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흰쥐에서 간흡충 재감염에 의한 특이 항체 면역반응

        고영아 조선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late immune response to infection and reinfection of Clonorchis sinensis. Rats were infected or reinfected with 100 metacercariae. The antigens were prepare as saline crude extract of the whole worm (Csw) and excretory (CsE) of Clonorchis sinensis. Antigenic proteins were observed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ELISA. The Csw antigens of 66,57,55,49,47,43,38,36,34,30,28,27,24,22,18,16,14 and 7 kDa were detected using serum of rat infected with Clonorchis sinensis, of which the antigens of 66,57,55,49,40,34,22 and 7 kDa showed strong antigenicity in infection but those of 28 and 27 kDa in reinfection. The CsE antigens of 49,38,30,28,25,23,14 and 7 kDa were detected, of which the antigens of 38,30,25 kda showed strong antigenicity in the infection period but that of 28 kDa in reinfe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tigenic properties of Clonorchis sinensis very accoding to the origin of antigen, infection, and reinfection. It would be possible to differentiate infection from reinfection if specific antigens could be only found in infection.

      • 디지털 클로딩의 의류생산 시제품 대용가능성 연구

        고영아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컴퓨터의 대중화와 웹 보급으로 인해 디지털 기술은 생산과 판매 양식의 변화뿐만 아니라 인류의 생활양식 전반에 걸쳐 혁명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최근 디지털화의 하나인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는 좀 더 빠르고 편하게 효율적인 방법에 기초하여 구현하고, 이로 인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더욱이 의류분야에서도 3차원 시뮬레이션 기술은 미래의 패션 디자이너로 하여금 의상을 디자인하고 가상공간의 가상모델에게 착의시키어 제품을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런 정확한 3D 시뮬레이션 기술에 기반하여 의상디자인 및 제작을 거친 의상을 디지털 클로딩이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클로딩이 의류에 활용되는 시스템들과 활용 가능한 분야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실제 의류업체에서 제작되고 있는 의상이 디지털 클로딩으로 재현되었을 때 얼마나 현실감있고 정확하게 표현되는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시제품 생산 공정에서 디지털 클로딩이 실제 의상을 대용할 수 있는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미래의 활용가능성을 증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주)래만의 “Ecole de PARIS”에서 2008년 F/W 신상품 중 6벌의 의상을 협찬받아 디지털 클로딩을 제작하였다. 이 디지털 클로딩의 착의 결과물을 의상관련자들과 시뮬레이션 제작 연구진들에게 이미지로 관찰시키어 자유롭게 답하도록 하여 얻은 답변을 바탕으로 외관평가지를 작성하였다. 외관평가 항목은 색상, 재질, 구조적 디테일, 장식적 디테일, 실루엣 영역에 걸쳐 각 7∼8문항으로 총 46문항으로 구성하여 각 실험복의 디지털 클로딩이 실제 의상과 같이 잘 표현되었는지를 외관평가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가자들의 디지털 클로딩의 색상인식 정도가 실제의상의 색상과 다소 차이가 있었고, 다양한 색이 섞여 있는 원단은 디지털 클로딩으로 표현하는 작업에 어려움이 많아 그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재질면에서 평가자들은 표면이 매끄럽고 얇은 원단의 디지털 클로딩은 실제 의상과 비슷하다고 인지하고 있었으나 두께감과 기모가 있는 소재나 두 가지 이상의 소재가 함께 배색되는 경우에는 실제 의상과 디지털 클로딩의 재질에 차이가 있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구조적 디테일이나 실루엣의 면에서는 평가자들이 실제 의상과 디지털 클로딩간에 대부분 비슷하게 인지하고 있었으나 주름은 실제 의상과 디지털 클로딩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실험복의 디지털 클로딩은 실제의상과 유사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시제품 생산 공정에서 디지털 클로딩이 실제 의상을 대신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증명하였다. 향후 디지털 클로딩이 충분히 구현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물리적 Parameter로 이루어졌는지 정량적?정성적인 검증이 이루어져야 하며, 실시간 Simulation과 실시간 Rendering에 대한연구가 보완되어야 하고, 디지털 클로딩)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의류 종사자들이 사용하기 쉬운 프로그램과 디자인CAD, 패턴CAD, CAM 등의 통합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이러한 제언들이 현실화된다면 한국의 디지털 클로딩기술은 디자인, 생산, 마케팅, 홍보 등 의류산업 전 분야에서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 믿으며, 의류패션 시장의 규모를 생각할 때, 우리나라가 의류분야의 핵심 기술을 선도함으로써 얻어지는 경제적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이다. Digital technology has been making a revolutionary change through the lifestyle of the humankind as well as the mode of production and sale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the computer and the dissemination of the website. The 3-dimensional computer graphics, one of recent digitalization, is implemented based on a little more fast, convenient and efficient method, which enables much time and cost to saved. Furthermore, the 3-D simulation technology in the clothing field enables future fashion designers to design clothing and check a clothing product beforehand by putting it on th virtual model in the virtual space. Clothing going through its design and production based on this accurate 3-D simulation technology is called digital clothing.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systems in which digital clothing is utilized and the fields in which it can be used. And by experientially testing how accurately and accurately the clothing produced in the real clothing manufacturer was expressed when it was enacted as digital clothing, this study was intended to grasp whether digital clothing could be substituted for real clothing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clothing sample and prove the possibility of its utilization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produce digital clothing under the sponsorship of six pairs of new products of 2008 F/W in “Ecole de PARIS” of Raeman Co;, Ltd. A group of researchers majoring in clothing and simulation manufacture were asked to observe the product of putting on digital clothing in the image and give free response. And then the appearance evaluation sheet for the simulated digital clothing was obtained based on their responses and discussions. The appearance evaluation sheet was composed of a total 46 questionnaires, with each domain of color, material, structural detail, decorative detail, silhouette composed of seven or eight items. The appearance evaluation was made as to whether the digital clothing of each experimental clothing was well expressed like real clothing,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The evaluators were aware that there was a more or less difference in color between digital clothing and real clothing. There was much difficulty in the work of expressing interwoven fabric with digital clothing, and so its effect was remarkably reduced.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The evaluators understood that there was similarity between digital clothing of smooth and thin fabric and real clothing in terms of material but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material between real clothing and digital clothing in case the material of pile and thickness feeling or more than two interwoven materials were colored. In terms of structural detail and silhouette, the evaluators understood that they were mostly similar between real clothing and digital clothing but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wrinkles between real clothing and digital clot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It was found that there was dependably high similarity between the digital clothing and real clothing. It was prov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igital clothing takes a role as a substitute for real clothing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clothing samples. For digital clothing to be fully implemented, it is suggested to develop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est of what physical parameter it was constituted, to complement a study on real-time simulation and real-time rendering, and to provide systematic education concerning digital clothing. And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integrated program of design CAD, pattern CAD and CAM as well as the program easily used by clothing employees. With further studies to make these suggestions actualized, Korean digital clothing technology is thought to bring an innovation in the whole field of the apparel industry such as design, production, marketing and PR and the like, as well as exert a great economic spillover effect by leading the core technology of the apparel industry.

      • 10-단계 수학에서 수준별 수업에 따른 수학에 대한 신념 및 태도 연구

        고영아 檀國大學校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별 집단(상, 하)에 따라 나타나는 수학에 대한 태도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고, 성별 집단간의 차이도 살펴본다. 그리고 수학 10-가의 각 단원에 대한 신념 및 태도를 조사하고 그러한 신념과 태도를 가지게 된 이유를 알아봄으로써 학생들의 심리를 파악하여 교수-학습 활동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우선 수준별 수업(상, 하)에 따른 수학에 대한 태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학에 대한 태도 검사지 결과 유의수준 p<0.05에서 0.05보다 훨씬 작은 값이 나와서 상반과 하반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에 큰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상반 학생들이 하반 학생들보다 전체적으로 수학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학습자가 가지는 성공과 실패에 대한 귀인 유형에서 상반과 하반의 큰 차이점은 없었고 성공과 실패의 원인을 노력에 가장 많이 비중을 두었다. 하반 학생들 경우 실패의 원인을 다른 귀인보다 능력이라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적은 것을 보아 충분히 잘 해낼 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노력이 부족해서 실패했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성별 수학에 대한 태도에 관한 t-검정 결과 유의확률(양쪽)이 0.052로 성별 유의한 차가 조금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학에 대한 자신감, 수학에 대한 학습동기, 수학의 유용성에 대한 태도, 부모의 태도에 대한 학습자 인식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조금 더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걸로 분석되었고 수학에 대한 불안, 수학의 성공에 대한 태도, 수학의 성역할 적합성, 교사의 태도에 대한 학습자 인식은 남녀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공과 실패에 대한 귀인유형은 남녀 모두 노력에 가장 비중을 많이 두었으며 남학생은 성공의 원인을 학습태도보다 능력에 비중을 두는 반면 여학생은 능력보다 학습태도에 더 비중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준별 수업에 따른 수학 10-가 과정의 각 단원에 대한 수학에 대한 신념 및 태도 (중요도, 난이도, 선호도)에 대한 연구 결과는 각각 다음과 같다. 상반 학생들은 집합과 명제, 실수와 복소수, 식의 계산, 방정식과 부등식 단원에서 하반 학생들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더 쉽다고 생각하며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확률과 통계 단원에서는 더 쉽다고는 생각하나 중요도, 선호도 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상반 학생들은 방정식과 부등식을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확률과 통계를 가장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며, 하반 학생들은 식의 계산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집합과 명제를 가장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난이도에서 상반 학생들은 집합과 명제를 가장 쉽다고 생각하고 확률과 통계를 가장 어렵다고 생각하며, 하반 학생들은 집합과 명제를 가장 쉽다고 생각하고 실수와 복소수가 가장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반의 경우 3개의 단원에서 50%이상의 학생들이 쉽다고 한 반면 하반에서는 5과목 모두 어렵다고 한 학생들이 50% 이상이었다. 선호도에서 상반 학생들은 실수와 복소수를 가장 좋아하고 확률과 통계를 가장 싫어하며, 하반 학생들은 식의 계산을 가장 좋아하고 실수와 복소수를 가장 싫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준별 학생들이 선호하는 단원이 매우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확률과 통계를 제외하고는 상반 학생들은 4개 단원을 50% 이상의 학생이 좋아하는 반면 하반 학생들은 5과목 모두 좋아하지 않는 학생이 5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하반 학생들은 모든 단원을 중요하게 생각은 하지만 상반 학생들보다 더 어려워하면서 선호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합과 명제 단원을 중요하다고 생각한 상반 학생들의 이유는 ‘다른 단원이나 과목을 공부하는데 이용되므로’가 가장 많았으며 하반 학생들은 ‘시험에 자주 출제되므로’,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를 향상시키므로’가 가장 많았다.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 이유는 상반, 하반 학생 공통적으로 ‘일상생활에 이용되지 않으므로’가 가장 많았다. 이 단원이 쉽다고 생각한 학생들의 이유는 상반과 하반 공통적으로 ‘내용 자체가 쉬어서’가 가장 많았으며 이 단원을 좋아하는 상반 학생들의 이유는 ‘조금만 노력해도 시험성적이 좋게 나와서’가 가장 많았고 하반 학생들은 ‘이전에 배운 내용을 몰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좋아한다는 의견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실수와 복소수 단원을 중요하다고 생각한 상반 학생들의 이유는 ‘다른 단원이나 과목을 공부하는데 이용되므로’ 가 가장 많았으며 하반 학생들은 ‘시험에 자주 출제되므로’가 가장 많았다. 이 단원이 쉽다고 생각한 상반과 하반 학생들의 가장 큰 이유는 ‘기초지식을 충분히 갖고 있어서’였고 이 단원을 좋아하는 상반과 하반 학생들의 가장 큰 이유는 ‘이 단원의 문제를 풀고 난 후에 기쁨을 느낀 적이 많아서‘였다. 식의 계산 단원을 중요하다고 생각한 상반 학생들의 가장 큰 이유는 ‘다른 단원이나 과목을 공부하는데 이용되므로’였으며 하반 학생들은 ‘일상생활에 이용되므로‘가 가장 많았다. 이 단원이 쉽다고 생각한 상반 학생들의 이유는 ‘열심히 공부하였기 때문에’가 가장 많았고 하반 학생들은 ‘기초 지식을 충분히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가 가장 많았으며 이 단원을 좋아하는 상반 학생들의 이유는 ‘이 단원의 문제를 풀고 난 후에 기쁨을 느낀 적이 많기 때문에’가 가장 많았고 하반은 ‘생각해서 풀어야 하는 문제가 많아서’가 가장 많았다. 방정식과 부등식 단원을 중요하다고 생각한 상반 학생들의 이유는 ‘다른 단원이나 과목을 공부하는데 이용되므로’가 가장 많았으며 하반 학생들은 ‘시험에 자주 출제되므로’,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를 향상시키므로’가 가장 많았다. 이 단원이 쉽다고 생각한 학생들의 이유는 상반과 하반 공통적으로 ‘열심히 공부하였기 때문에’가 가장 많았으며 이 단원을 좋아하는 상반 학생들의 가장 큰 이유는 ‘이 단원의 문제를 풀고 난 후에 기쁨을 느낀 적이 많기 때문에’, 하반 학생들의 이유는 ‘이전에 배운 내용을 몰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생각해서 풀어야 하는 문제가 많아서’가 가장 많았다. 확률과 통계 단원을 중요하다고 생각한 가장 큰 이유는 상반, 하반 공통적으로 ‘일상생활에 이용되므로’였으며 이 단원이 쉽다고 생각한 상반 학생들의 이유는 ‘내용 자체가 쉬워서’가 가장 많았고 하반 학생들은 ‘기초 지식을 충분히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가 가장 많았다. 이 단원을 좋아하는 상반 학생들의 이유는 ‘이 단원은 조금만 노력해도 시험 성적이 좋게 나오기 때문에’, 하반 학생들은 ‘이 단원의 문제를 풀고 난 후에 기쁨을 느낀 적이 많기 때문에’ 가 가장 많았다. 각 단원에서 그 중요도에 대한 이유로 상반 학생들은 ‘다른 단원이나 과목을 공부하는데 이용되므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많았으며 하반 학생들은 ‘시험에 자주 출제되므로’ 중요하다고 생각한 학생들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아 상반 학생들은 공부하려는 의지가 하반 학생들보다 높으며 하반 학생들은 외적인 환경에 의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걸로 보인다.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일상생활에서 이용되지 않으므로’가 두 집단 모두에게 가장 큰 이유였는데 교사로서 실생활 응용면을 강조하여 가르치면 학생들의 태도에 많은 변화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난이도에 대한 이유로 상반 학생들은 ‘생각해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많아서’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고 하반 학생들은 ‘내용 자체가 어려워서’ 라는 의견이 많은 걸로 보아 상반 학생들에게는 암기위주의 학습이 아닌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지도해줘야 하며 하반 학생들에게는 내용을 쉽게 설명해서 단원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지 않도록 지도해줘야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 선호도에 대한 이유로는 두 집단 모두 문제를 풀고 난 후에 느끼는 기쁨, 즉 단원에 대한 내용보다는 과정과 결과에 대한 느낌에 많은 비중을 두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으로부터 학생들에게 수학이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을 갖게 한다는 것은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수학 학습을 시작하게 하는 한 시발점이 되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가 각 단원의 내용 도입 단계에서 그 단원의 학습 결과로 얻을 수 있는 여러 상황을 충분히 설명하여 그 내용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게 지도하는 것도 학습에 대한 흥미와 동기유발을 일깨우는 한 좋은 학습 방법이 될 것이다. 그리고 상반의 학생들에게는 지루하게 많은 단순한 계산 문제의 취급은 지양하고, 하반의 학생들에게는 각 단원의 학습 내용 도입 이전에 그 학습 내용에 필요한 선수 학습의 기본 내용을 이해하게 하는 것과, 상반 하반 모두에게 학습 성취가 일상생활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를 인식하게 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당연한 이야기지만 포기하지 않고 꾸준한 노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특히 여학생의 경우에는 학습태도 지도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함을 알 수 있다.

      • 인간의 관점에서 표현한 馬의 형상 연구 : 10가지의 주제 중심으로

        고영아 경기대학교 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어떠한 대상이나 현상을 관찰할 때 개개인이 생각하는 태도나 방향을 주관적인 관점에서 표현한다. 이러한 인간은 감성을 지닌 존재이기에 사물이나 관심대상을 놓고 끊임없이 표현하고자 노력하며, 예술가들은 다양한 형태로 작가의 마음속 심리나 감정을 작품으로 표출함으로써 인간의 정체성(正體性)에 대하여 뒤돌아보게 한다. 도자예술을 공부하고 있는 본 연구자는 말(馬)의 선한 눈망울에서 느껴지는 친밀감과 역동성에서 전달되는 생명의 활력에 호감을 갖게 되었다. 그러한 말(馬)의 활동력은 삶의 긍정적인 에너지로 작용하였고, 말(馬)의 신체적 아름다운 곡선은 도자예술을 표현하는데 있어 매력적인 소재가 되었다. 본 연구는 인간이 생을 살아가면서 성장해가는 과정을 열 가지의 주제로 나누어 각각의 주제에 연상되는 말(馬)의 형상과 함께 조형 탑(塔)을 제작하여 인간의 관점에서 표현한 말(馬)의 형상을 연구하였다. 말(馬)이라는 소재와 조형 탑(塔)이라는 낯선 조합을 하나의 조형 작품으로 완성하여 연구자의 주관적인 관점으로 도자 예술을 새롭게 표현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 국내외의 문헌 자료를 통해 인간과 오랜 기간을 함께 지내온 말(馬)의 역사와 특성, 말(馬)의 종류, 그리고 말(馬)의 기능적인 구조를 설명하였으며, 말(馬)과 함께 하나의 조형물로 완성할 조형 탑(塔)에 대한 상징적 의미를 알아보고 주제에 맞는 말(馬)의 형태와 탑(塔)을 배치시켜 상징적 의미를 나타낼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또한 말(馬)을 소재로 한, 국내 ․ 외의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 사례를 바탕으로 연구자의 관점 중심으로 작품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When humans observe an object or phenomenon, they expressthe attitude or direction that an individual thinks from a subjective point of view. Since these human beings are emotional beings, they constantlystrive to express objects or objects of interest, and artists express their minds and emotions in various forms through their works, thereby making them look back on human identity. This researcher, who is studying ceramic art, has a crushon the vitality of life conveyed from the intimacy and dynamism of the horse's good eyes. Such an active power of the horse acted as a positive energy for life, and the beautiful curve of the horse's body became an attractive material for expressing ceramic art. This researcher divided the emotions that humans can feelin the process of growing up while living life into ten themes, and tried to express what is associated with each theme with the shape of a horse and a tower. For this study,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horse, the type and functional structure ofthe horse, an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sculpture tower to be completed together with the horse were investigated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new expression ofceramic art from the subjective perspective of the researcher by completing an unfamiliar combination of a horse and a sculpture tower into a single sculpture. Based on the work cases of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artists, I tried to produce a work centeredon the researcher's point of view.

      • Corset의 Supra현상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고영아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술의 진정한 가치는 그 속에 내포되어 있는 고유한 미적 기능과 현실과의 유기적인 연관 속에서 창조된다. 이 연관성은 예술이 그 시대의 반영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상과 현실을 늘 새롭게 그리면서 나타내는 패션 또한 문화창조의 하나인 예술 세계의 일부분인 것이다. 그러므로, 패션의 변화는 그 시대의 사회 변화를 예증하는 역할을 한다. 복식은 조형예술의 한 분야로 현대는 대중들이 유행 복식을 획일적으로 따르던 시대에서 벗어나 형식이나 전통에 구애받지 않고 개인적인 기호 하에 각자의 개성에 맞추어 내적 욕구와 미적 감수성을 표현하는 다양성의 시대로 전환되었으며, 이러한 복식의 표현 양식의 변화는 그 시대를 풍미한 문화현상들에 따라 현대 의상디자인에 있어 중요한 모티브가 되었다. 그 예의 하나로 속옷의 겉옷화 현상을 들 수 있다. 1990년대 이후 패션계에 현저하게 나타나는 속옷의 겉옷화 현상은 최근의 여성패션의 흐름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Infra-apparel이란 속옷을 가리키는 말로서, 속옷은 겉옷의 아래 입는 의복의 총칭으로 여러 목적을 위해 착용한다. 속옷의 착용 목적에 따라 속옷을 분류하면 생리위생상이나 생활적응상, 보정용, 장식용으로 나눈다. 속옷은 1)추위로부터의 신체보호, 2)겉옷의 형태유지, 3)신체의 청결유지, 4)속옷의 선정적 표현, 5)계층표시의 방법 등의 기능을 갖는다. 속옷 중에서도 특히 코르셋은 인간의 인체미를 과장, 강조하고 보정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오늘날은 코르셋의 연결개념인 브라(bra)와 함께 스트리트 패션(street fashion)으로 흔히 볼 수 있다. 이처럼 속옷이 겉으로 나오는 것을 하나의 현상으로 규정짓고 Infra의 반대되는 의미를 가진 단어로 '위에' '앞에'란 뜻을 가진 Supra를 사용하여 속옷이 겉옷으로 변용되는 현상을 Supra현상이란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속옷 중에서도 corset은 흉부에서 요부에 걸쳐 신체를 지탱해 주거나 체형을 보정할 목적으로 착용하였다. 코르셋의 사용은 크레타시대부터 였으나 코르셋의 형태를 갖춘 것은 14세기 이후이다. 16세기∼18세기에 지금 말하는 코르셋이 나타났고 19세기부터는 신축성이 좋은 새로운 재질이 개발되어 인체는 강한 압박으로부터 해방되었다. 코르셋이 여성의 아름다운 육체의 조형성을 가장 잘 살릴 수 있는 속옷이기 때문에 속옷의 Supra현상 중에서도 코르셋의 Supra현상을 본 연구의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다음과 같이 알아보았다. 20세기에는 새로운 예술 운동이 범람하고 있지만 대표할 만한 양식적 특징을 보이지 않고 다만 다양한 전위적 운동의 전개와 실험적 시도로 전통적인 장르가 혼합되거나 붕괴되는 현상으로 예술의 개념 그 자체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현대복식에서도 영향을 미쳐서 과거의 모든 양식들이 혼합된 이른바 칵테일 효과(Cocktail Effect)의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복식 연구에서 예술 미학적 측면으로 접근하고자 할 때는 이러한 다양성이 중요한 요소로 드러나고 있다. 마찬가지로 현대 복식에 나타난 현상 중의 하나인 속옷의 겉옷화 현상을 문화현상의 관점으로 고찰할 때 하나의 문화현상만으로 설명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여러 문화현상들의 혼합된 형태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여러 문화현상들 중에서 에로티시즘, 페티시즘, 페미니즘, 해체주의, 표현주의에 대한 개념들을 살펴보고 이것들이 복식에 나타나게 된 배경들을 설명하려 하며 복식에 나타난 예 중에서 코르셋의 Supra 현상을 이런 문화현상의 측면에서 설명하려 한다. 속옷 중에서도 코르셋의 Supra 현상을 보인 Jean-Paul Gaultier, Christian Lacriox, Gianni Versace, Thierry Mugler, Gattinoni, Givenchy외에 그 밖의 몇몇 디자이너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코르셋을 모티브로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디자인하여 여섯 개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그 첫 번째는 소재의 다양성 및 장식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디자인하였고, 두 번째는 코르셋의 원래 기능 중 가장 중요한 기능인 신체 보완적인 측면을 살려 디자인하였으며, 세 번째는 코르셋이 작품의 일부분으로 응용되도록 모티브(motif)로 사용하여 디자인한 경우로 장식적인 측면과 신체 보완적인 측면의 양면을 살려 디자인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제시한 여섯 개의 작품에 있어 그 특이성은 첫째, 코르셋이 현대예술의 추이와 비추어 볼 때 작품의 내용과 형식면에서 예술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둘째, 현대적으로 디자인된 코르셋이 다른 겉옷과 함께 착용되었을 때 미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손색이 없이 우수 할 수 있음을 컴퓨터 시뮬레이션(computer simulation)을 이용하여 입증할 수 있었으며 셋째, 입체적인 조형미를 유출해 내기 위해 동일공간 진행(homospatial process)이라는 방법에 의하여 디자인을 유추해 보는 특별한 과정을 거쳤다는 점이다. 디자인의 창조성은 무궁무진한 것이며 새롭고 다양한 현대적인 의상 디자인의 창조를 위해서는 우리의 상상력뿐만 아니라 과거의 복식 형태나 기능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 복식이 이루어질 수 있었던 역사적인 배경과 시대적인 상황, 문화현상들을 파악하고 현대문명의 이기인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이들을 통합할 수 있는 안목과 창의력을 발휘한다면 더 나은 의상디자인 개발과 창작이 가능함을 예시한 것이 본 논문의 의의라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코르셋의 응용 이외에도 동서양의 다양한 복식 아이템을 사용한 현대의상디자인 연구로 창조의 영역을 넓힐 수 있도록 제언하고자 한다. True value of art is created by the systematic connection between its unique aesthetic function and reality. This means that art reflects a character of the period. Fashion, as a cultural product, while longing for new ideals and reality, also is a part of the artistic world. Therefore, changes in fashion are related to the social changes. Dressmaking is a field of formative art. The modern dressmaking has emerged from the period when people would follow the popular fashion uniformly, and moved into the age of the diversity expressing the inner desires and aesthetic sensitivity of an individual, freedom from formality and traditional restrictions. This kind of changes in expression formats became important motives for modern dress designing following the present cultural phenomena during the period. "outer-wear-ization" of the under-garment exemplifies one. Especially, the remarkable "outer-wear-ization" of the under-garment in 1990's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cent mode of women fashion. "Infra-apparel" is a term used for under-garment. The under-garment is a generic name for any garments worn under outer-clothing and is worn for various different purposes. If classified its functional by the purposes; hygienic, lifestyle adaptable, shape-corrective and decorative. The function of under-garment as as followed 1)to protect the body from cold; 2)to support the shape of the costume; 3)for cleanliness; 4)erotic use of underclothes; and 5)as a method of class distinction. Corset, especially, has been playing a vital role in exaggerating and emphasizing the beauty of female body and correction of its shape. Today, one can frequently witness corset in street fashion along with bras, its sister concept. This "outer-wear-ization" of the under-garment is supplanted as a syndrome, and it is defined as "supra" syndrome using "supra" opposite meaning to "infra", meaning "above" and "front." Among various under-garments, corset is adapted to support the body, from chest to waist, and to correct the body shape. Usage of corset can be dated back to the Crete period, but the corset was done after 14th century. The one, we call "corset," appeared between 16th and 18th century, and the development of the new and flexible materials has liberated human body from a sense of oppression. Concentrating on corset "supra" syndrome paved the way for this research because, among all the underwears, corsets are the best in enhancing the beauty of female body shape. In the 20th century, although new types of artistic movements are flooding the sector, apparently without any distinctive formats, the concept of art has been expanded to the phenomenon of merging and deconstruction, the concept of art has been expanded to the phenomenon of merging and destruction of traditional style led by avant-garde and experimental art movements. This phenomenon influenced the modern dressmaking industry assuming an aspect of so called "Cocktail Effect," a mixture of different styles of the past. Therefore, one may confront a very difficult and uncertain aspect of research on modern dressmaking in aesthetic approach. Similarly, outer-wear-ization of the underwear, a phenomenon of modern fashion, can not be explained as a single cultural phenomenon, but as a mixed state of several cultural phenomena. Concepts of eroticism, fetishism, feminism, deconstructionism and expressionism among several cultural phenomena were closely investigated with an illustration of their backgrounds. The advent of "supra" syndrome and its background in these cultural phenomena were also illustrated. Stand-out "supra" syndrome exhibited by designers like Jean-Paul Gaultier, Gianni Versace, Thierry Mugler, Vivienne Westwood, Dolce & Gabbana, Christian Lacroix and several others including Mi-hwa Hong, Gi-oh Song from korean designers were carefully studied. Lastly, the six design pieces as results of this studys were made in three groups based on their corset motif. One was to be attributed to diverse materials, in other words for the purpose of decoration, the second one was made to enhance the support of the human body, corset's original and important purpose, the third one was made to combine the decorative with supportive aspects of corsets. Three aspects were noted while the pieces were being made; First of all, corsets are related closely to the art, and artistic talent can be sufficiently displayed while making the corset. Secondly, the computer simulation done on this project were quite convincing that modern design corsets worn with other outer wears can be practical and beautiful. Finally, designs were induced into using the "homospatial process" to achieve three dimensional formative beauty. Going back to the conclusion drawn after making the costumes of six pieces, creativity of design can be limitless. Our imaginative abilitics alone cannot accomplish the true creation of design and better development and creative design pieces can be achieved by following up on their historical background, periodical circumstances and cultural phenomena, and by utilizing the modern apparatus such as computer and the advent of the modern civilization. In addition to the application of the corset presented in this study,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e widening of the areas of creativity through the further research on the modern clothing designs utilizing the diversified clothing items of both the orient and the occident.

      • 고가도로 하부공간의 활용을 위한 Prototype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서울의 사대문을 중심으로

        고영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울은 1960, 70년대 이후 급격하게 산업화, 도시화되었다. 그 결과 인구팽창과 함께 수도로서 정치, 경제의 중심으로 발전하였고, 차량의 증가로 인하여 도심 교통량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다. 청계고가도로를 시작으로, 서울의 고가도로는 도심 교통난의 해소와 현대적인 도시의 상징으로, 자부심의 대상으로서 건설에 박차를 가하기도 하였다. 또한 현재의 서울의 도로교통 측면에서 볼 때, 고가도로는 서울시내 총 97개에 총 연장 85.1km로 교통 분담에 있어서도 큰 역할을 하고 있어서 존재 자체를 부인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서울의 도심에 있는 도시고가도로는 대도시 교통기능의 분담과 경제적 편리성이 있는 이면에 시가지의 환경과 커뮤니티를 파괴하는 역기능적인 환경영향의 결정적인 결점을 가지고 있다. 구조물이 물리적으로 강한 시각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변의 건물과 가로가 어울리지 못하고 하부공간은 방치되고 있어 도시경관을 크게 해치고 있다. 따라서, 현실에 맞는 문제 해결을 위해서 고가도로의 철거와 같은 방법뿐만이 아닌 기존 시설의 존재와 역할을 인정하고 그 상황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그 방법의 하나로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한 건축행위를 통하여 문제해결을 시도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도심고가도로에 대한 일반적 고찰을 통하여, 고가도로의 정의 및 고가구조물의 하부공간환경에 대하여 조사하고 일본과 미국의 사례를 통하여 고가도로 하부공간에 적용가능한 사례에 대해 조사하였다. 여기에 도심 유휴공간을 활용한 예를 통하여 고가도로 하부공간에 적용성을 검토해 보았다. 두 번째로, 전국적으로 산재되어 있는 고가도로의 모든 조건을 조사하기보다는 서울시내 중에서도 가장 도시민의 이용도가 높은 도심부 내의 고가도로를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그 대상지는 퇴계로의 광희고가도로, 서소문로의 서소문고가도로, 충정로의 서대문고가도로, 퇴계로의 회현고가도로, 퇴계로의 서울역고가, 청계로의 청계고가도로, 창경궁로의 원남고가도로이며 총 7개 구간이다. 사대문안 고가도로의 현황조사를 통하여 현재 우리나라 도심 고가도로 하부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해 본다. 세 번째로, 사대문안 고가도로 중 비교적 조건이 상이한 두 곳의 주변 거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이를 통하여 현재 하부공간의 이용현황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식 상태와 계획될 공간의 용도와 환경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여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조사하고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디자인 방법론에 근거하여 용도와 디자인에 따른 Prototype을 제시한다. 용도에 따라서 가변형 건물, Open Space 및 소공원, 주차장을 제시하였다. 외관 디자인에서는, 외관차단, 전체차단, 개방형으로 분류하였다. 결론으로, 본 연구에서는 고가도로 하부공간의 계획시, 그 건축물을 이용할 미래 사용자의 의견을 참고하여 용도와 디자인에 따른 5가지의 Prototype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도심의 고가도로 하부공간의 계획시, 참고가 되고자 한다. 디자인 과정은 결국 무엇을 만들고자 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각각의 Prototype을 서로 조합하여 도심지 고가도로주변 조건에 따라서 다양한 건축형태를 창출할 수 있다고 본다. Seoul has been industrialized and urbanized rapidly since 1960's. As a results, it has been not only experienced a population explosion but also played a central role of politics and economy as a capital. These factors caused a increasing traffic congestion in the central area of Seoul and to solve the problem, since first Chung-gae elevated road, many elevated roads in the city were constructed. Also, overpasses of Seoul have transported many vehicles. Elevated roads of downtown have reversal faces. one of sides can relieve traffic jam and be of benefit economical facility. But in another side, it has many faults such as destroying environment of city or community, visual pollution due to the gigantic structure. These structures possess the visual characteristics, so doesn't match with other buildings and streets, leave the space under elevated roads unoccupied and bring on many problems. So, tying to solve the problem: Instead of taking away elevated roads, we have to recognize the existing structure and find another way to use elevated roads constructively. One of approaching the problem, this subject should follow the user's opinion. First of all, throughout the general consideration about elevated road of downtown, this study researches about definition of elevated road and the space under elevated road. This study also look into examples to be applied to the space under elevated road through cases of Japan and United State, and then with useful cases, this study inquires into application about the developing space under elevated roads. Secondly, not researching conditions of elevated roads in all around Korea, this study is limited to fields of research in Seoul about elevated roads which have high coefficient of utilization of residents in Seoul. Fields of research are 7-areas; Gwanghui elevated road in Toegyero, Seosomun elevated road in Seosomunno, Seodaemun elevated road in Chungjeongno, Hoehyeon elevated road, Seoul station elevated road in Toegyero, Cheonggye elevated road in Cheonggyecheonno and Wonnam elevated road in Changgyeonggungno through research about the present conditions of elevated roads in the downtown area where is inner places of 'Sadaemun'. This way will point out the various way in order to solve the developing space under elevated roads. Thirdly, this study inquired into two kinds of residents who lived near totally different elevated roads in 'Sadaemun' with research papers. With these, this study analyzes perceptions of the present condition in the space under elevated roads, use of planed space in the near future and preference of environment. Finally, based on data from research, this study shows prototype which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purpose ; variable form, open space and small park, and parking area. In design about external appearance, this stud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design; external exclusion, entire exclusion and openness. As a result, based on use and design, this study shows six prototypes with referring future user's opinion who reside in near elevated roads. These prototypes should be reference to plan the space under elevated roads. As you already know, design process is 'make something' process. So, it can be possible to create various architectural format, considering about condition of near elevated roads in downtown with compounding of each proto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