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함께일하는세상'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 개발 : 사회적 기업 디자인지원 프로젝트 IV

        고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한국 사회에서 사회적기업 (Social Enterprise)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는 한국에서의 빈곤인구는 이미 600만 명을 훌쩍 넘기고 있다는 조사 자료를 발표한 바가 있다. 이것은 즉 대한민국 국민 8명 중 1명은 빈곤층이라는 말이다. 최근 5년간 한국 사회에서는 장기적 경기 침체로 인해 실업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을 뿐 아니라 고용이 된 경우에도 안정적이지 못해 일용직과 실업을 반복하고 있는 일명 ‘반실업층’ 계층의 숫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런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정부와 일반 기업들은 사회공헌을 목적으로 한 새로운 형태의 활동을 많이 하고 있다. 사회적 기업이 일반 기업과 다른 점은 바로 사회 환원 및 공헌이다. 사회적 기업은 주주들과 기업들이 최대의 이윤을 얻기 위함이 아니라 사회 소외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 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 많은 사회적 기업들, 특히 성장하기 시작하는 기업들은 재정적면과 인력면에서 자금 부족 문제를 여전히 가지고 있다. 또한 인력면에서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부족에 당면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들은 기업의 성장에 장애를 가져온다. 성장의 초기단계의 사회적 기업은 자금적, 인력적, 기술적으로, 또한 자급자족인 문제를 해결하고 기업의 규모를 확대시키기 위한 많은 도움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회문제점과 기업의 난제를 공감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이하TED)은 대학교육의 사회적 책임을 갖고 공조하기로 했다. 또한 이는 사회적 기업에 대한 연구인 동시에 사회적기업디자인연구의 중요한 배경이라고도 할 수 있다. 국제적인 대기업이 디자인에 대량의 자금을 투자하여 브랜드의 갱신, 광고 홍보 등을 하는 것은 디자인이 기업의 운영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국내의 사회적 기업도 역시 디자인이 기업홍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있지만 자금과 시간 부족 때문에 전문디자인회사에 디자인개발을 의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TED(시각 디자인 전공 브랜드디자인랩, 이하 브랜드디자인랩)와 사회적 기업 지원 센터인 SESnet(사단법인 사회적기업지원네트워크, Social Enterprise Support Network 이하 SESnet)은 함께 사회적 기업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2009년 부터 상호 협조하기로 하였다. 브랜드 디자인랩은 '디자인 재능'을 지원하고 사회 소외계층과 함께 나누는 '재능 기부'를 바탕으로 디자인 전문교육기관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부응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번의 실제적인 산학연계 프로젝트를 통하여 디자인 문화를 사회 소외계층에 보급하여 디자인 수요의 저변을 확대하고 '재능 기부'를 통하여 '사회적 공동체'를 형성하고자 한다. 동시에 대학을 비롯한 디자인 전문 교육기관의 새로운 디자인 교육방식 개발을 지향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디자인 전문 교육기관들의 사회적 책임의식을 높여주고 사회기업의 창업 또한 역시 촉진시킬 것으로 예상한다. 이 논문은 사회적기업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 개발에 관한 실제사례 연구를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의 사회적 기업이 어떻게 기업의 특징을 홍보하고 있는지 알게 되었으며. '재능 기부'를 통해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개발 과정에 참여하였고, (주)'함께일하는세상'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 사례의 전반적 내용을 수록하고 정리 하였다. 이 논문이 추후 중국의 사회적 기업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할 때 주요 참고 사례가 되길 바란다.

      • 한국 불교문화상품을 위한 패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고순 국민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초록 21세기 문화콘텐츠 경쟁력 시대에서 정신적인 가치를 고려했을 때 불교문화 콘텐츠는 곧 한국의 문화콘텐츠이며 향후에도 한국 문화 창달의 원천으로서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한국 불교 문화는 한민족과 오랜 세월 동안 고락을 함께 하면서 한국 사회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불교문화 콘텐츠는 타 종교에 비해 다양한 사람들과의 공감을 형성하는데 많은 제약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점검하고 개선하기 위해 불교문양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그 활용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 하였다. 본 연구는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시각디자인학과 김민 교수님의 지도 아래, 업계 최고의 디자인 전문기업인 (주)시디알어소시에이츠와 함께 수행한 불교문화 콘텐츠 디자인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시작하게 되었고, 문화적 가치가 높은 불교문화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불교문화를 재발견하고 재해석함과 동시에 불교문양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방법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전통문양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디자인 콘텐츠를 개발하였으며 문화 콘텐츠 개발을 통한 디자인 데이터베이스도 구축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단청과 꽃살문을 중심으로 160여개에 달하는 불교문화상품에 적용될 다양한 패턴들을 개발하였고 또한 전체 디자인 개발 과정들을 보다 상세하고도 체계적으로 기록하도록 노력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의 유, 무형 불교문화 콘텐츠를 시각화하여 사람들이 보다 쉽고 빠르게 이해하고, 보다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대중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였고 궁극적으로 한국의 고유한 전통문화로서의 불교문화의 중요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초등영재를 위한 암호교육 효과 분석 연구

        고순 국제문화대학원 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초등 영재의 영재성 계발을 위한 암호교육 과련 교수-학습 자료를 통하여 초등학교 영재교육의 효율화를 위한 준거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G시에 위치한 영재교육원과 영재학급을 운영하는 초등학교에서 학교장과 학부모의 동의를 얻어 선정된 6학년 영재를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연구자가 직접 지도를 하면서 자료를 재구성 하였으며, 영재교육기관, 경기도초등영재교육연구회 등의 협조를 받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흥미와 호기심이 있는 상황 전개 과정에서 암호의 유래와 의미, 고대와 현대의 암호체계를 알고 암호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할 것이며, 소수, 진법, 법(mod)에 의한 계산 방법을 아고 나만의 암호를 만들어 특징을 설명하고 다른 학생의 암호 체계를 이해아혀 해독하는 과저엥서 수학적인 의사소통능력과 논리력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2. 수학적인 창조물이 수학자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관심을 가지고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하면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소중한 수학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암호교육은 보편화되어야 할 것이다. 3. 암호체계의 경우 순서를 무시하고 암호화 하였을 때 전혀 다른 모양의 암호문이 된다는것을 알 수 있으므로 암호를 수신한 사람은 원래의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복호화를 시도하고, 잘못된 암호문으로 인해 혼동 상황이 야기되지 않도록 암호 관련 기초교육을 충실히 해야 할 것이다. 4. 일상생활 주면에서 암호와 관련된 내용을 찾을 수 있도록 영재들의 관심을 유발시켜 주고, 최첨단 정보사회에서 수학의 중요성을 생각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을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5. 영재들에게 암호학의 창의성과 논리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주도 학습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학습자료를 계발할 수 있는 학습 지원센터가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 초등학교 미술교과서 회화재료 분석을 통한 대체재료 활용방안 : 초등학교 4, 5, 6학년을 중심으로

        고순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use of painting paper among a domain of painting expression which show at the text bookof 4th,5th,6th grade at elementary schools as of 1999 and then to scrutiniz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n the materials. And also it proposes that the practical method is to express possible art materials with effective and substantial devices. Futhermore, it is helpful to be based on a creative and harmonious education for human nature which is the goal for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s. This method of research is to use literary researcf and comparative one with art text book and theory books related with an art education Literary researches are as follows; First, meaning and role of altemative materials which express paintings in an art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econd, classifica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for alternative materials. Third, importance of expression method. And finally possibility which express painting with variolts materials. Comparative research is to adjust painting an expression method of children adjust in real art class and compare works of art. In order to do comparative research, I study an activity method that is suited to developing steps to motivate children. Having expression possi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alternative materials can be my real experience. I prove a creative expression method with various materials such painting papers and coloring tools., which use in art field trip. Faced with art of western in the late 20 century very fast, the art is quick to adapt applications and selections of materials and expression method. Especially, Picasso, Braque, Marcel Duchamp and the concept afists made a turning Point of alarming changer with their materials,characterizing free of materials and coincidence of art. Eagerness tofind freshness presents a mental background for a new vision and also creates Peculiar works with various expression methods through materials and media. But the students for motivation and desire are not fully satisfied with activities in the field for education. There is a ,ereat problem thatisn't enough to adjust opportunities for esthetic expression accordingto developing steps. The causes are as belows; First lack of aninterest of a teacher who wants to realize expressive motivation forstudents. Second, lacks of teaching methods, lesson plans, materials and facilities. There are very serious problems; the students are reluctant to draw painting as a result of presenting unsatisfaction their paintings that are different from real object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I study the meaning of materials as a literary research and look for it as an art education. I try to find out expression possibilities of materials and education values in looking into the latest material characteris·tics. Second, 1 investigate and analyse problems like materials of drawing papers of the text book in the 6th educatilonal process of anelementary school. Third, I find out the suitable teaching methods aild developing steps for the students of 4, 5, 6th elementary school. 1 also utilize and lookfor possibilities of expressions depending on their ctlaracteristics. Fourth, searching for possibilities of alternative nnaterial expressions in having art lesson with using alternative materials. Works areproduced with new expression methods of art. Through the works, itis composed and prove that the analysis of art f:xpression methodssuch as drawing papers, coloring and collage connecting with materialcharacteristics is adapting works of the students in the real field. 71means that the students have their originality and inspire theircreativity. Particularly, it is devised that the teaching methods forpainting expression activity are for the elementan· students and themethods are for using not only material charactenstics, coloring butcollage and a simple object material. And I look into the teaching methods of painting expression activity that is frequently used to art lessons in addition to confirming possibility of alternative materials. Although the materials of paintingare using white and drawing papers as well coloring, the wallpaper,calendar and wrapping papers are fully endowed background, season and a main theme focusing on a painting by using these papers. As a matter of fact, it makes strong effects to create the works. It proves that the use of white papers, among painting domain of art text boolf at the 4th,5th, 6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isanything up to 72,1% totally i. e, 54 among 75 works overall. It concludes that painting paper materials of Pure anrl even painting arenot using various painting papers and materials. It means that the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variety of painting domains are lacking. Therefore, there is a way to show students' ideas and feeling with their whole heart and to produce their works very creatively; This isthe best way to express their painting with painting papers and other art materials. By performing this work, the students enjoy their painting and show their feeling and idea spontaneously. The importance of this research is to increase their abilify of expression. By presenting new expression methods with vafous painting, coloring and collage materials, the students make illarming progresses like originality and creativity. Accordingly the luays that express painting with various painting, coloring and collage materials are forgreat teaching methods for an art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this is the excellent teaching methods to use these materials which motivate and have an interest for the 4th,Sth, 6th students of an elementary school

      • 넬라 라슨의 작품에 나타난 흑인여성의 정체성 탐구

        고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thesis compares the female protagonists in Nella Larsen's Quicksand(1928) and Passing(1929) in terms of racial and sexual identity. Larsen's heroins in both novels are mulatto women who can belong neither to black society nor to white society just like Larsen, who was born from a white mother and black father. The two novels can be seen as companion texts in that both explore the confusion over sexual identity as well as racial identity for the black middle class in American urban areas of the twentieth century. In Quicksand, the heroine, Helga Crane, is on an endless journey from a southern black society to several places including Harlem, Copenhagen, and Alabama in order to explore her true self. She bounces back and forth between white and black culture until she finds herself in a situation that she can't escape from. She also struggles to find a space within which to experience her sexuality. However, she finds out that the myth of the black woman's licentiousness, which originates within the construction of the sexual identity of the female slave, makes it impossible for her to pursue her sexuality. In Passing, Larsen presents two mulatto women, who also are searching for their identity. Clare Kendry has been passed off as being white and married a rich white man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 privileges associated with being white. Racial ties are so all-pervasive that Clare is unable to escape her blackness and tries to be involved in Negro life after accidentally meeting her childhood friend, Irene Redfield. Irene seems to be loyal to her black identity, but she passes to white at different levels than Clare. Irene is caught between her desire for the security of her black middle-class life and her awakened desire for her friend Clare Kendry. However, Irene's growing fear of adultery between her husband and Clare might make her decide to get rid of Clare's presence in her life. Both the novels have tragic endings where Helga is engulfed by a quagmire of her own making, hoping to escape the life of southern black community and Clare falls out of a window, strongly suggesting Irene pushed her. Given such endings, Larsen demonstrates that in American society, where only white or black exists and the myth of black women's sexuality prevails, mulatto women are unable to find their true self in relation to race and sex.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박물관 전시에 대한 연구 : 제주특별자치도 민속자연사박물관을 중심으로

        고순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자연환경 및 인간의 역사와 삶의 이야기를 품고 있는 곳이 박물관이다. 종래의 박물관 전시물은 문헌 사료에 근거하여 시대에 맞는 용도를 연구하고 박물관 전 시를 통해 관람자들에게 보여 주는 역할을 했다. 관람자들은 주로 전시물 옆에 붙여진 간단한 설명으로 정보를 습득할 뿐이었다. 이에 반해 오늘날의 박물관은 지역적인 환경이나 전시물을 통해 문화와 만나게 하고 배우고 즐기면서 관람자 들에게 감성적인 동기도 부여한다. 따라서 전시물을 관찰하며 흥미를 가질 수 있 는 교육적 요소나 관람자들의 욕구를 반영하는 현대 박물관의 구조와 기능을 재 조명할 필요가 있다. 물론 지역의 문화 관광이나 체험 박물관들의 시대에 부응하 는 사례도 적지 않다. 박물관 전시물이 지역사회의 문화를 반영하고 박물관의 고 유기능을 유지하면서 관광 또는, 교육과 지역 향토 문화를 체험하는 장소가 되어 야 한다는 취지에서, 본 논문에서는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의 전시 스토리텔링을 다루었다. 스토리텔링은 청자와 화자 사이의 이야기, 즉 스토리의 구조를 지닌다. 스토리 텔링은 ‘무엇을 + 어떻게’의 구조를 통해 설명하고자 하는 대상과 작품을 직접 창작하는 방법을 규정하는 일종의 입체적 서술형식이라고 볼 수 있다. 박물관의 전시 스토리텔링은 전시공간에 전시물과 전시매체를 통하여 실제 이야기와 상호 작용하는 현장성을 통해 제주의 자연환경과 문화를 연출하는 장소로 차별화시킬수 있다.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은 제주 섬의 자연환경과 제주인의 생활문화를 소재로 삼아 상설전시 및 기획전시를 해 오고 있다. 종래의 전시와 달리 단순하게 구성 된 제주 고유의 문화를 연출하기 위한 전시물 구성에 한층 깊이 있는 고찰이 필 요하다. 대체로 표지판에 설명된 내용을 통해 전시물을 이해하거나, 해설자의 설 명에 의존하는 단순한 <전시-관람-이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박물관 전시 의 이론적 개념을 고찰하고 이를 박물관 전시 스토리텔링에 적용하였다. 전시 콘텐츠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작성된 텍스트에 의미를 부여하고, 전시매체 의 구상과 전시의 공간이미지로 분석을 하였다. 분석을 통해 전시물과 해석표지 물은 디자인을 고려하는 전시연출로 반영되어야 하며, 전시공간 구성에서는 공간 이미지를 개선하는 체험과 소통을 위한 전시 스토리텔링을 실현해야 한다. 전시 스토리텔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전시물에 담겨있는 이야기가 전시로 표현되어 야 한다. 이러한 전시는 관람자가 스스로 전시물을 체험하며 관람하게 하고, 특 정한 전시물에도 전시매체를 통해 감성을 자극하는 전시효과를 볼 수 있다. 궁극 적으로 전시환경에서 스토리텔링 기법은 관람자와 전시물에 대한 소통관계이다. 이를 위해 지속적인 전시물 해석을 구상하는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스 토리텔링 기법을 통해 제주지역의 자연과 문화가 아우러진 차별화된 역사적인 장소로 박물관 전시에 활용되어지길 기대해 본다. Museums contain the stories about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s’ history and lives. Traditional museums were aimed to study the usage with the times based on documents and display cultural assets to spectators. Spectators gained the information about exhibits through just brief explanations next to them. On the contrary, today’s museums give spectators opportunities to meet, learn and enjoy the culture and be sensibly motivated through the regional environment and exhibits. For the reason, it is necessary to shed new light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contemporary museums which reflect spectators’ desire and educational elements to observe exhibits with interest. Many museums try to meet the demands of this time which require cultural tourism and museums by experience. This paper deals with display storytelling of the Jeju Folklore and Natural Museum to claim thatmuseum exhibits reflect the culture of the local community and have a place to learn and experience the tourism, the education and the local folk culture while maintaining the traditional function of a museum. Storytelling consists of the structure of a story, specifically the story between a listener and a speaker. Storytelling is a type of three-dimensional narrative method which defines the object of description and the way to create stories through the structure of “How” and “What.” The exhibition storytelling of the Jeju Folklore and Natural Museum has become differentiated from other museums by showing Jeju’s natural environment and culture to spectators through present sense interacting with real stories via exhibits and medium of exhibition. The Jeju Folklore and Natural Museum operates permanent exhibition and special exhibition based on the natural environment of Jeju and living culture of Jeju islanders. It is necessary to study more deeply the exhibition composition which is simpler than the museum’s existing exhibition and shows Jeju’s specific culture. This paper studies the theoretical notion of museum display and applies it to display storytelling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exhibition ─ seeing ─ understanding” depending on written descriptions about exhibits or explanations of museum commentators. The contents of exhibition give meaning to existing descriptions through storytelling and analyze designing medium of exhibition and spatial image of exhibition. The exhibition presentation for design should be considered through analysis when displaying exhibits and installing description signs. In addition, display storytelling for more improved spatial images for spectators’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should be realized when designing an exhibition space. The stories about exhibits should be expressed to realize display storytelling. Through this display method, the spectator sees and experiences exhibits vividly and is even sensibly motivated by certain exhibits. Ultimately, such a storytelling method used for exhibitionenvironment serves as a communication tool between spectators and exhibits. Therefore, continuous researches for interpreting exhibits are required. This paper expects storytelling to be broadly used for museum display in Jeju, making the museum a distinguished historical place which encompasses the environment and culture of Jej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