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대학병원 임상병리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및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고범주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대전광역시와 전라북도에 소재하는 대학병원의 임상병리사를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연구대상 조직의 직무요인들간의 상관관계, 직무요인들과 직무만족간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서 병원조직의 임상병리사의 직무만족 요인들을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직무요인으로 구분하여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사용된 자료수집방법은 설문지(questionnaire)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C용 사회과학 통계패키지(SPSS-PC ver10.0)를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병리사의 직무만족 평균이 2.43으로 나타나 연구대상의 임상병리사의 직무에 대한 만족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서는 성별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보면 남자 평균은 2.42, 여자는 2.43으로 전체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었으나 성별에 따른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를 보면 연령에서는 19-29세 2.51, 30-39세가 2.45, 40-45세 연령집단에서는 2.29로 나타나 연령이 낮은 집단이 많은 집단보다 직무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결혼여부에 따른 직무만족도에 대한 집단간 차이에서는 기혼자에 비해 미혼자가 직무만족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기간에 따른 직무만족에 대한 차이에서는 근무기간이 적을수록 직무만족이 높고 근무기간이 길어질수록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집단에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대졸과 대학원이상의 고학력의 경우 전체평균보다 낮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고학력의 불만족 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근무지역에서는 대전광역시에 근무하는 임상병리사가 전라북도에 근무하는 임상병리사보다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상병리사가 인식하는 직무요인에 대한 인식을 보면, 직무요인 중 승진이 3.7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복지와 보수가 3.67과 3.27로 나타났으며 설비 2.50, 업무 2.38 등의 순으로 직무요인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직무요인 중 남자의 경우 업무, 복지, 동료관계, 설비에서 여자의 경우 보수, 승진 등에서 평균적으로 각각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직무요인에 대한 인식차이를 보면 연령별로 승진, 복지, 보수 등은 높은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 동료관계, 설비측면에서의 직무요인은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학력에 따른 직무요인에 대한 차이에서는 보상, 승진, 복지 요인에서는 높은 직무요인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업무, 동료관계, 설비 부분에서는 낮은 인식을 보이고 있었다. 결혼여부에서는 전체적으로 보수, 승진, 복지 부분에서는 높은 인식도를 보이고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업무, 동료관계, 설비에서는 낮은 인식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기간에서는 전체적으로 보수와 승진 복지 등에서 높은 인식을 보였고, 상대적으로 업무와 설비 등에서는 낮은 직무요인 인식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근무기간이 길어질수록 업무요인에 대한 인식이 점차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으로 발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근무지역에서는 보수, 승진, 복지 부분에서는 전체적으로 높은 인식을 보였고 업무와 동료관계, 설비에서는 낮은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상병리사의 직무요인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 직무요인인 업무, 보수, 동료관계, 복지, 설비, 승진 등 모든 직무요인 변수들이 임상병리사의 직무만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결과 밝혔다.

      • 귀농·귀촌인의 지각된 사회자본과 마을참여

        고범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귀농·귀촌인의 지각된 마을의 사회자본 형태에 따라 마을참여의 방식이 작동되는 메커니즘을 검증하고 귀농·귀촌인의 마을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귀농·귀촌인의 정착실태 장기추적조사(2016) 자료를 사용하였다. K-평균 군집 분석을 시행하여 귀농·귀촌인의 지각된 마을의 사회자본 수준에 따른 군집을 분류하고 사회자본과 마을참여의 평균 차이를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마을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집 분석결과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통합성이 높은 집단은 통합성이 낮은 집단에 비해서 마을 영농활동의 평균이 높았다. 연계성이 높은 집단은 연계성이 낮은 집단에 비해서 마을 회의/행사의 평균이 높았다. 둘째, 귀농·귀촌인의 마을참여는 연령, 성별, 연고지 여부, 학력, 가구소득, 영농활동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귀농·귀촌 준비도는 성격에 따라서 서로 다른 마을참여에 영향을 주었다. 넷째, 귀농·귀촌 성취도 중 가치추구 성취만이 마을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통합성 사회자본은 마을 영농활동 참여도를 높였다. 반면, 연계성 사회자본은 마을 회의/행사 참여도를 높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군집 분석결과와 일치한다. 이상의 연구는 귀농·귀촌인의 마을참여 영향요인을 세분화하여 분석함으로써 귀농·귀촌인의 사회적 특성에 따라 마을참여가 차이를 보임을 검증하였고 마을 차원의 변화 필요성을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chanism in which the method of participation in the village level works according to the social capital form of the village that is perceived by the Urban-to-Rural Migrants’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articipation in the village level of urban-to-rural migrants. To this end, urban-to-rural migrants survey(2016) data was used. By conducting a K-mean cluster analysis, the cluster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ocial capital form of the village that is perceived for urban-to-rural migrants and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social capital and participation in the village level was compared. Next, the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 the village level were analyzed using an order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it was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and the group with high integration had higher average ‘village farming activity’ than the group with low integration. the group with high inkage had higher average ‘village meeting or event’ than the group with low inkage. Second, the participation in the village level differed depending on their age, gender, place of origin, educational background, household income and farming activities. Third,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urban-to-rural migration affected the participation of different in the village level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Fourth, only the pursuit of value among the degree of achievements of urban-to-rural migr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articipation in the village level. Fifth, integrated social capital increase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village farming activities'. inkaged social capital, on the other hand, increase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village meeting or event’.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cluster analysis results. The abov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articipation in the village level of urban-to-rural migrants' by subdividing the participation in the village level according to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urban-to-rural migrants', and discussed the necessity of change at the village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