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바흐《영국 조곡 제2번 (BWV. 807)》의 분석 연구

        고문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J. S. Bach, who is generally called the master in the Baroque era in the history of music achieved the perfection of the fugal technique which was very popular in the baroque era as composing the extensive number of works on the basis of the styles and forms in almost all genres except opera. A suite, a main musical one of popular genre in the baroque era, has a regular framework by the order of arrangement as a series of dance movements with unique features. The suites for keyboard instruments by Bach include English Suites, French Suites and Partitas The suites by Bach were composed coherently using the same tonality and polyphonic tech- nique. 《English Suites No. 2》 is comprised 6 dances -Prelude, Allemande, Courante, Saraband, BourréeⅠ, BourréeⅡ and Gigue. The basic dances, Allemande, Saraband, Courante and Gigue adopted the binary form. The optional ones Prelude and Bourrée in ternary form. The dances present the unique musical characteristics in their rhythm, meter, speed, and style. The tonality is in a minor and Bourrée II is the only one using in A major. This paper analyzed the form, harmony, melody and rhythm of 《English Suites No. 2》 and investigated the individual style of each dances 음악사에서 바로크 시대의 거장으로 일컬어지는 바흐는 오페라를 제외한 거의 모든 음악 장르에서 방대한 양의 작품을 후대에 남겼으며 바로크 시대에 활발하게 쓰여진 푸가기법을 최고의 경지에 올려놓았다. 바흐의 작품 중 건반악기를 위한 조곡은 바로크 시대의 주요한 음악 장르로서 영국 조곡, 프랑스 조곡, 그리고 파르티타가 있다. 바흐의 조곡은 같은 조성으로 통일감 있게 작곡되었으며, 대위법적 전통과 무곡으로서의 특징이 드러난다. 《영국 조곡 제2번》은 총 6곡의 무곡으로 구성되며, 기본악장은 알르망드, 사라방드, 쿠랑트, 지그로 2부형식이며 선택적 무곡은 프렐류드와 부레로 3부형식이다. 각 악장은 무곡 특유의 박자, 리듬, 빠르기의 대조를를 보이며 배열 순서에 의한 일정한 틀을 가진다. 프렐류드는 전주적 성격의 악장으로 영국 조곡의 첫 곡이며 협주곡 형식으로 주제와 에피소드를 갖는 형태이다. 조성은 전체적으로 가단조이며 그 중 부레Ⅱ만 유일하게 가장조로 구성된다. 알르망드는 약박으로 시작하며 음계적 음형과 대위적 선율로 진행된다. 쿠랑트는 장식음과 부점 리듬을 사용하는 프랑스식 쿠랑트이다. 사라방드는 잦은 전조의 모습을 보이며 호모포니적 특징이 나타난다. 부레Ⅰ,Ⅱ는 조성과 구성에서 대조성을 보이며 악곡의 트리오적 기능을 나타낸다. 지그는 가단조의 가락단음계로 빠른 음형으로 진행되는 이태리식 지그이다.

      • 대학의 유아음악교육 교재에 수록된 동요 분석

        고문주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유아음악교육 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음악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음악적 특성인 박자, 조성, 음역, 음정, 형식은 어떠한가?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서울의 7개 도서관에 소장된 대학교재를 목록화하였으며, 교육과정 시기에 따라 구분하였다. 이 중 3회 이상 중복된 동요를 중심으로 Microsoft Excel을 사용하여 목록화하였다. 이러한 과정으로 분류된 동요를 음악적 요소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박자는 홑박자인 서양음악에 치우쳐 있어 겹박자 중심의 전래동요의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4/4박자의 곡이 교재에 많이 나타남으로써 이전에 비해 동요의 수준이 높아졌고, 이런 점에서 대학교재에 실린 동요의 예술성이 높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높은 짝수박자의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홀수박자인 3/4박자의 동요가 낮은 연령의 유아부터 제시될 필요가 있다. 둘째, 동요의 조성은 대부분이 장조의 곡으로써 유아들에게는 밝고 즐거운 곡이 적절하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유아들도 나름대로의 슬픔과 고즈넉함 등의 조용하고 어두운 감정을 일상에서 경험함을 감안할 때 장조뿐 아니라 다양한 조성의 곡을 제시하여 동요를 통한 감정 순화와 표현력을 고양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C장조 위주의 동요 편재성은 각 조성만이 가지는 고유한 음색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사라지게 만드는 것이므로 다양한 정서를 느낄 수 있는 조성의 동요 제시가 필요하다. 셋째, 동요의 음역은 c’-c”(가온도-높은도)의 음역대가 다수로 나타나 유아에게 적합한 음역대와 차이가 있다. 즉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음역은 유아들의 발달을 고려하기보다 8도 음역의 동요가 흔한 오늘날의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동요의 음정은 8도와 9도 중심의 음정 변화가 큰 동요 위주의 곡이 수록되어, 유아의 발달 수준을 고려한 6도 이내의 동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선행연구와 차이가 있다. 다섯째, 동요의 형식은 두도막형식-한도막형식-작은세도막형식-세도막형식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도막형식은 낮은 연령의 유아에게, 작은세도막과 두도막형식은 높은 연령의 유아에게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세도막형식은 유아들의 음악적 능력을 고려하여 제시될 필요가 있고, 따라서 대학교재에 수록될 경우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주목할 만한 것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 이후의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변화를 들 수 있다. 이 시기에 수록된 동요는 이 전의 교육과정 시기에 비해 하향 평준화되어 오히려 과거의 표준보육과정에 수록된 동요의 수준과 매우 유사하다. 동요의 수록 수도 대폭 줄어 교재에서 동요가 갖는 비중이 낮아지고 있다. 또한 동요에서도 서양음악 위주의 추세는 1980년대와 90년대를 풍미한 창작동요제와 더불어 유튜브와 같은 디지털매체의 발달로 더욱 편중되고 있음이 본연구를 통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현대적 감각에 맞는 전통음악의 발굴과 창작국악동요로의 영역을 확대할 필요성이 대학의 유아음악교육 교재에 실린 동요에서도 제기된다.

      • 유효전력변동방식을 이용한 계통연계형 태양광발전용 인버터의 새로운 단독운전 검출기법 연구

        고문주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용 전력변환장치(photovoltaic power conditioning system : PV PCS)는 계통의 사고 또는 점검을 위한 정전시 신속히 이 정전 상태를 검출하여 전력변환동작을 정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아주 드문 경우이긴 하지만 PCS의 출력전력과 부하의 소비전력이 평형을 이룬 상태에서는 계통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연계점 전압의 주파수와 실효값에 변화가 발생하지 않아 이를 수동적 기법으로는 검출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이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능동적기법이 추가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버터 출력 전류의 크기를 변화시켜 단독운전 발생 후 인버터 출력 전압의 주파수 변화를 야기 시켜서 단독운전 현상을 방지하는 유효전력변동방식과 AFD (Active Frequency Drift : AFD) 방식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전력품질을 저하시키는 기존의 대부분의 능동적기법과는 다르게 단독운전 검출 성능과 전력품질이 우수하다. 제안된 방법의 검증을 위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와 분석을 통하여 설명한다. Photovoltaic(PV) power conditioning system(PCS) has been increased around the world since PV PCS is becoming widespread as a clean and gentle energy source for earth. As a result, high density grid-connected PV PCS will be interconnected with distribution network. In this situation, islanding phenomenon becomes most important issues for the safety and stability of grid-connected PV PCS. Islanding phenomenon is undesirable because it lead to a safety hazard to grid service personnel and may cause damage to power generation and power supply facilities as a result of unsynchronized reclosure. In order to prevent the phenomenon, various anti-islanding methods have been proposed and analyzed. In this paper proposes the variation method of inverter output current magnitude to prevent the islanding phenomenon as a novel method, which causes the frequency variation of inverter output voltage after islanding. Unlike most active anti-islanding method deteriorating power quality, this noval method will have high performance of islanding detection and good power quality. For the verification of the proposed method, the simulated result and analyses are presented.

      •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대한 정부보조금의 적정성 분석

        고문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for the subsidy on eco-friendly vehicles, it is generally recognized that the eco-friendly vehicles are environmentally better than Internal Combustion Vehicles(ICV) and that the supply of the vehicle should be encouraged by giving out the subsidy. This study was started from the question on whether the subsidy on the Hybrid Electric Vehicles (HEV), the eco-friendly vehicle commercialized the most, is at the optimal level that can motivate the buying factor of an individual in comparison with the ICV. In order to do the research, a Sonata HEV taking up the share of about 50% out of HEVs being available in the market and a Sonata ICV, the target vehicle type for comparison were selected, and the total cost paid by an individual when operating the vehicles for 10 years was calculated to check the subsidy level at which the individual is indifferent to an ICV. The research resulted in the fact that KRW 3.7 million that is higher than KRW 2.7 million being the current subsidy level should be provided. The subsidy at this level was the level at which an individual was indifferent to the ICV when purchasing the vehicle. Furthermore, if the total social cost occurring from the HEV in the future is lower than that occurring from the ICV and it is the level beyond the subsidy provided in the initial period, the socio-economic purpose of providing the subsidy to a HEV can be achieved. However,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total social cost of Sonata HEV was at the level being higher than the ICV by KRW 3.72 million. It was caused by the fact that the saving of gas expenses and the reduction of the greenhouse gas don’t trade off the initial high vehicle price difference from that of the ICV. Namely, the subsidy provided for a hybrid vehicle is not returned as the social benefit by so much even though the vehicle is operated for 10 years from now on. The following research conclusion can be derived from the result. First of all, when the level of the subsidy provided by the government when purchasing and operating the HEV is compared with the ICV, it cannot be a sufficient economic cause from the personal perspective, and the additional subsidy of KRW 0.8 or more million is necessary. Secondly, the analysis of the social cost occurring from the purchase and operation of the HEV and the ICV showed that the social cost of the HEV occurs more than that of the ICV by KRW 3.92 million. It implies that KRW 2.9 million, the amount of the subsidy provided when purchasing the HEV vehicle, cannot be justified from a social perspective. In addition to the conclusion,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subsidy currently provided for the HEV can be the basis for the provision of the subsidy if the effect of the subsidy is derived from the vehicle produced in the future due to the subsidy in spite of the non-occurrence of the benefit from the corresponding vehicle so that the additional research on the ICV and HEV to be produced in the future was done. Even though the possible correct estimation on the factor affecting the total social cost of a vehicle in the future is needed, the total social cost of the HEV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ICV by estimating the future vehicle price change and the greenhouse gas and air pollution damage cost with the learning curve formula using the precedent of Japan’s Prius in the paper.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the total social cost reduced in comparison with the ICV doesn't trade off the subsidy initially provided for the HEV even though various progress ratio scenarios are applied. Namely, the subsidy currently provided for the HEV does not cause the decrease of the social cost compared to the ICV even though the corresponding vehicle is operated for 10 years in the future. The HEVs produced in the future will not decrease the social cost by so much either. The research showed that in order to justify the subsidy for the HEV, the HEV price should be decreased dramatically or the fuel efficiency caused by the technical development should be achieved at the very high level. However, the improvement of the fuel efficiency of the HEV has a limitation with the difficulty in the dramatic reduction of the vehicle price in the short period. Hence, the subsidy provided for the HEV by the government has no socio-economic effectiveness. The prudent review on the HEV subsidy should be done. Furthermore, the subsidy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after the evaluation on whether the subsidy provided for the eco-friendly vehicl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HEV has the sufficient socio-economic benefit.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보조금의 일반적인 인식은 친환경자동차는 환경성이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해 우수할 것이며, 보조금을 주어서 이에 대한 보급을 장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 가장 상용화되어 있는 친환경자동차인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에 주는 보조금이 내연기관 자동차(ICV)와 비교해서 개인의 구매요인을 유발할 적정한 수준인가에 대한 의문점에서 시작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시중에 나와 있는 HEV 중에 점유율 약 50%을 차지하고 있는 쏘나타 HEV와 비교대상인 차종인 쏘나타 ICV를 선정하여, 개인이 자동차를 10년 동안 운행하였을 때 들어가는 총비용을 산출하여 개인에게 ICV 와 무차별한 보조금 수준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현재의 보조금 수준인 270만원 보다 높은 수준인 370만을 주어야 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고, 이 정도의 보조금을 주어야 개인이 차량을 구입할 때 ICV와 무차별한 수준이었다. 그리고 향 후 HEV 에 의해 발생하는 총 사회적 비용이 ICV 보다 낮고 이것이 초기에 준 보조금을 상회하는 수준이라면 HEV 에 보조금을 주는 사회 경제적 목적이 달성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연구 결과 쏘나타 HEV의 총 사회적 비용이 ICV 에 비해 오히려 372만원 높은 수준이었으며, 이것은 초기에 ICV와의 높은 차량 가격 차이를 유류비 절감이나 온실가스 배출 저감이 상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즉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주는 보조금이 현재 시점에서 향후 그 자동차를 10년 동안 운행하여도 그만큼 사회적 편익으로 돌아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결론을 도출 할 수 있다. 첫째, 현재 HEV를 구입하여 운행하고자 할 때 정부가 제공하는 보조금 규모는 ICV와 비교해 볼 때 개인적 차원에서 충분한 경제적 유인이 되지 못하며, 80여 만원의 추가적인 보조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HEV와 ICV의 구입 및 운행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분석한 결과, HEV의 사회적 비용이 오히려 392만원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현재 HEV 차량 구입시 제공받는 보조금액 290 만원이 사회적 관점에서 볼 때 정당화될 수 없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이러한 결론에 추가하여 본 연구는 현재 시점에서 HEV에 대해 부여하는 보조금이 해당 차량에 의해 편익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이 보조금으로 인해 향후 생산되는 차량에서 보조금의 효과가 발현된다면 보조금을 주는 근거가 될 수도 있다고 판단하여 앞으로 생산될 ICV 와 HEV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하였다. 이 때 향 후 차량의 사회적 총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가능한 정확한 추정이 필요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일본 프리우스의 선례를 이용한 학습곡선식을 이용하여 차량의 향후 가격변화와 온실가스와 대기오염피해비용을 추정하여 HEV 의 사회적 총 비용을 ICV 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다양한 개선비율 시나리오를 적용하더라도 ICV에 비해 절감되는 총 사회적 비용이 초기에 HEV에 주었던 보조금을 상쇄시키지 못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즉 현재 HEV에 주는 보조금은 해당차량을 향후 10년 운행하여도 ICV에 비해 사회적 비용감소가 발생하지 않을뿐더러, 앞으로 생산되는 HEV 차량도 그만한 사회적 비용감소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HEV 의 보조금이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HEV 가격이 지금보다 획기적으로 낮아지거나, 기술발전으로 인한 연비개선이 매우 높은 수준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HEV 의 연비개선은 어느 정도 한계가 있으며, 차량가격 역시 단기에 급격하게 줄어들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현 정부가 HEV에 주는 보조금은 사회 경제적인 실효성이 없으며, HEV 보조금에 대한 신중하고 철저한 검토를 해야 할 것이다. 또한 HEV와는 다른 종류의 친환경 자동차에 주는 보조금 역시 충분한 사회 경제적 편익이 있는지 평가를 한 후에 보조금 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 직류 전동기의 구동을 위한 일정주파수 제어형 영전압 스위칭 다중공진 컨버터

        고문주 광운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직류전동기 구동을 위한 일정주파수 제어형 영전압 스위칭 다중공진 컨버터를 제안한다. 컨버터의 부하로써 직류전동기를 구동하고자 할 때 전동기의 특성에 적합한 컨버터를 설계해야 한다. 직류전동기의 구동시에 전동기에서의 맥동 토크를 제거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전류의 리플을 제한된 범위에서 최소화해야 함으로 높은 스위칭 주파수를 이용해야 한다. 그러나, 스위칭 주파수의 증가는 스위칭 손실과 스위칭 스트레스의 증가를 함께 동반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하드스위칭 방식은 스위칭 손실과 스위칭 스트레스에 제한를 받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제시된 방식이 영전압, 영전류에서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소프트 스위칭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기의 제어시 정상상태가 아닌 전동기의 기동 또는 제동시 부하의 큰 변동을 가져오기 때문에 이에 적합한 컨버터가 필요하다. 기존의 소프트 스위칭 컨버터인 가변주파수 제어 방식은 부하변동시에 스위칭 주파수의 가변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단점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제시한 일정주파수 제어형 영전압 스위칭 다중공진 컨버터는 부하인 직류전동기의 특성인 전류와 전압의 큰 변동에 적합한 다중 모드로 동작한다. 제안한 이론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Pspice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고, 설계 제작된 150W 급의 벅 컨버터의 실험 결과와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여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A constant frequency controlled-ZVS(Zero Voltage Switching) multi- resonant converter for driving d.c. motor is proposed in this paper. A converter must be designed with DC motor characteristics to drive DC motor. To remove ripple torques in driving the motor, high switching frequency must be used for small ripple current. But increasing of the switching frequency results in high switching loss and stress. Since hard switching techniques are limited by the loss and stress in high switching frequency operation, a soft switching has being proposed using ZVS, ZCS(Zero Current Switching) techniques to solve these problems. There are large load changes in starting and breaking the motor. To control the motor, a converter that is matched to the characteristics of DC motor must be used. The conventional soft technique uses varible switching frequencies for the load changes. But, there are some defects in the variable switching frequency. The converter proposed in the paper is proper for wide load range of DC motor and each mode of the converter operation is matched to the characteristics of load. The converter is analyzed with computer simulation and the 150W converter is implemented. We show that results of simulation agree to those of experiment.

      •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에서 무릎 통증이 대퇴 근력과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

        고문주 成均館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에서 같은 연령대의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대퇴 근력, 슬관절 고유수용성감각, 그리고 균형 능력이 각각 저하되어 있다는 것은 이전 연구들에 의하여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에서 무릎 통증과 대퇴 근력, 슬관절 고유수용성감각, 균형 능력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이전 연구들마다 서로 다른 결과를 보고하고 있어 논란이 있어 왔다. 이는 이전 연구들마다 연구 대상 및 실험 방법의 상이함에 따른 결과로 생각된다. 또한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에서 슬관절 고유수용성감각 및 대퇴사두근 근력의 저하가 이들에서 관찰되는 균형 능력의 저하에 기여할 것이라는 견해가 많았다. 그러나 균형 능력에는 고유수용성감각과 근력 외에도 시각, 중추신경계 반응 등 복합적인 인자가 관여하고 있고, 정상적인 노화에서도 균형 능력의 저하가 존재하므로 논란이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이번 연구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여 첫째, 양측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에서 무릎 통증과 대퇴사두근 근력, 슬관절 고유수용성감각, 균형 능력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조군과 정상군에서 갖게 되는 서로 다른 인자들을 배제하기 위하여 양측 슬관절 골관절염을 가진 한 환자 내에서 통증이 더 심한 쪽과 덜 심한 쪽으로 나누어 통증과 각 인자와의 연관성을 보고자 하였으며, 대퇴 근력, 슬관절 고유수용성감각, 균형 능력을 측정하는 데 있어 객관적으로 정량적 분석이 가능한 방법을 사용하여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둘째,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에서 측정한 대퇴사두근 근력, 슬관절 고유수용성감각, 균형 능력 사이에 의미 있는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임상적 소견 및 방사선 소견에서 양측 슬관절 골관절염으로 진단된 50세 이상 75세 미만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지난 1주간 평균적으로 양측 무릎에서 느낀 통증의 정도를 시각통증등급(Visual analogue scale)을 사용하여 통증이 더 심한 슬관절과 통증이 덜 심한 슬관절으로 나누었다. 1) 양측에서 Kellgren-Lawrence 등급 척도 상 2등급 이상의 슬관절 관절염 소견을 보이는 경우 2) 양측 무릎의 시각통증등급 점수의 차이가 2점 이상인 경우, 3) 통증이 더 심한 쪽 슬관절에서 Kellgren-Lawrence 등급이 같거나 더 높은 경우를 만족하는 경우 연구 대상자로 선택하였다. 선택된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Biodex System&#9415; (Model Biodex multi-joint system 3, BMS-INC, USA)을 이용하여 슬관절 신전근과 굴곡근 근력 및 슬관절 고유수용성감각을 측정하였고, Biodex Stability System&#9415; (Biodex Inc, Shirley, NY)을 이용하여 전체 균형 지수, 전후 균형 지수 및 내외 균형 지수를 측정하였다. 슬관절 신전근 근력의 경우 60°/sec와 180°/sec의 두 가지 각속도 모두에서 통증이 더 심한 쪽에서 그렇지 않은 쪽에 비하여 의미 있게 저하되어 있었다(p<0.05). 그러나 슬관절 굴곡근 근력은 통증이 더 심한 쪽과 덜 심한 쪽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p>0.05). 슬관절을 90°에서 15°, 30°, 45°로 신전하여 위치하게 하여 측정한 슬관절 고유수용성 감각의 경우 통증의 정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전체 균형 지수, 전후 균형 지수, 내외 균형 지수로 측정한 균형 능력은 통증이 더 심한 무릎과 덜 심한 무릎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대퇴사두근 근력, 슬관절 고유수용성감각, 그리고 균형 능력 사이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상자의 우측 무릎과 좌측 무릎 측정치를 각각 비교하였을 때, 대퇴 근력과 슬관절 고유수용성감각 및 균형 능력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p>0.05). 이번 연구는 무릎 통증이 슬관절 골관절염의 신경근육학적인 인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한국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로서 이전 연구들과 달리 비만 등의 인자를 배제하여 그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며, 각 인자들의 명확한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추후의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Objective: Quadriceps strength, proprioception and balance deficits have been recognized in subjects with knee osteoarthritis. Previous studies suggests that quadriceps strength and proprioception deficits may be related with knee pain, but evidence is contradictory. The relationship between knee pain and balance have never been clearly evalua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quadriceps strength, proprioception and knee pain in patients with knee OA. The correlation between muscle strength, proprioception, and balance were evaluated in knee OA patients. Subject and Method: Pain of the each knee was assessed by self-reported visual analogue scale for last one week. The inclusion criteria were symptomatic and radiographic bilateral knee OA(Kellgren-Lawrence grade ≥2), VAS difference of the two knees ≥ 2, and same or high Kellgren-Lawrence grade on more symptomatic knee. Thirty three participants(32 women, 1 men: mean age 59.18 years) underwent assessment of maximal voluntary contraction of quadriceps and hamstring muscles, knee proprioceptive acuity(measure passive joint reposition sense) and balance index using Biodex System&#9415;(Model Biodex multi-joint system 3, BMS-INC, USA) and Biodex Stability System&#9415;. Result: Quadriceps strength was significantly poorer in more symptomatic knee than less symptomatic knee(p<0.05, paired t test), but hamstring muscles power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ain severity (p>0.05, paired t test or Wilcoxon signed ranks 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knee pain and proprioceptive acuity(p>0.05, paired t test or Wilcoxon signed ranks 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knee pain and balance index(p>0.05, paired t test or Wilcoxon signed ranks test). The results failed to show an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quadriceps strength, proprioception, and balance index(p>0.05, Spearman or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Conclusion: In this study, more symptomatic knees had weaker quadriceps strength than less symptomatic knees, but proprioceptive acuity and balance index was not found to differ. These relationships may provide significant insight into the pathophysiology of neuromuscular deficits in knee OA. Future studies needed to account the influence of pain on neuromuscular factors as well as attempt to further cla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