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유아숲체험장의 환경특성에 따른 유아놀이 행태분석

        강태순,이명우,정문선,Kang, Taesun,Lee, Myungwoo,Jeong, Moonsun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6

        숲공간에서의 경험과 놀이가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최근 숲활동공간에 대한 연구와 관련 조성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이 숲활동의 효과를 중심으로 하고 있어, 숲활동을 위한 공간설계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숲활동공간의 물리적 환경특성이 유아놀이행태와 유아발달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숲활동공간 설계 시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유아발달과정의 지표인 인지 사회놀이를 유아의 놀이행태유형으로 선정하고, 숲활동공간은 놀이시설공간과 숲속공간으로 구분하였다. 각 공간의 환경특성으로는 놀이시설공간의 경우, 놀이영역과 포장재, 숲속공간의 교목 및 관목밀도, 경사, 포장재, 자연낱개재료로 선정하였다. 환경조사와 행태관찰조사를 바탕으로 만 4, 5세 유아들이 각 공간에서 보이는 놀이행태의 유형과 발생빈도를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놀이시설공간에서는 시설과 모래장이 함께 있는 시설물놀이터에서 놀이행태가 높게 발생했으며, 인지 사회놀이는 기능-혼자와 기능-병행놀이가 우세하게 발현되었다. 2) 숲속공간에서는 낮은 밀도의 식재공간과 자연낱개재료가 있는 환경에서 다양한 유아놀이행태가 나타났고, 기능-집단놀이와 발달단계의 최상위인 상징-집단놀이가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3) 상징-집단놀이는 소밀도 이하의 교목, 10~20도 경사, 땅에 고정된 대형 그루터기의 환경특성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들의 놀이행태를 직접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유아들의 숲활동을 위한 공간조성시 적용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특성의 기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experience and play activities in forest spaces have played an effective role in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therefore, many studies and projects related to forest activity space have progressed actively. However, the focus of previous research has been merely on the effectiveness of forest activity but little on providing the basis for the spatial design of these types of forest activity spaces. Thu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evelopmental play activity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forest activity spaces for evidence-based design. First of all, indicators for Cognitive-Social play(CSP) was selected and forest spaces were categorize into play facility spaces and forest spaces. More detaile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were 'play area' and 'paving materials' for play facilities and 'density of tree and shrub', 'slope', 'paving materials' and 'fixing and type of natural loose parts' for forest space. Through environmental inventory and behavior observation, the types of play behaviors and the occurrence frequency of children aged four to fiv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play facility spaces, play behaviors occurred at a high frequency at the facility playground with play facilities and sand area. In terms of CSP, functional-solitary and functional-parallel plays occurred predominantly. 2) In forest spaces, various play behaviors occurred at high frequency in the environment with low density planting and various natural loose parts. For CSP, functional-group and symbolic-group plays occurred at a high frequency. 3) Symbolic-group play appeared to be highly affected by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like tree area of scatter density or less, 10~20 degree slope, and the presence of fixed large stump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standards of physi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for forest activity space design through direct observation and analysis of children's play behaviors.

      • KCI등재

        위성영상을 활용한 해안선 탐지 연구동향

        강태순,유호준,황예진 해양환경안전학회 202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9 No.6

        빠르게 변화하는 연안지형과 연안침식의 동적변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공간의 연속성이 포함된 짧은 주기 그리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최근 영상 모니터링 분석기술 발전과 함께 원격감지를 활용한 연안 모니터링 연구가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원격 감지는 일반적으로 항공기나 위성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측정된 영상을 활용하여 객체나 지역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로 연안 지형변화를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그 활용도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원격 위성영상 기반 해안선 탐지는 위성영상으로부터 측정가능한 해안선 정의, 해안선 탐지기술 적용을 통한 해안선 추출로 수행된다. 기존 문헌에서 조사된 다양한 자료로부터 위성 영상기반 해안선 정의, 원격 위성영상 현황, 기존 연구동향, 위성영상 기반 해안선 탐지 기술연구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로부터 최신 연구동향, 이상적인 해안선 추출 및 고도화된 디지털 모니터링과의 연계를 위한 실용적 기법을 검토을 위한 연구를 제언한다. 향후 한반도 전역의 변화 경향과 침식정도의 파악을 위해서는 국지적 모니터링에서 벗어나, 광역 위성 영상 등 디지털 모니터링을 활용한 능동적인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해안선 탐지 분야는 지속적인 연구와 분석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 될 것으로 판단된다. To comprehensively grasp the dynamic changes in the coastal terrain and coastal erosion, it is imperative to incorporate temporal and spatial continuity through frequent and continuous monitoring. Recently, there has been a proliferation of research in coastal monitoring using remote sensing, accompanied by advancements in image monitoring and analysis technologies. Remote sensing, typically involves collection of images from aircraft or satellites from a distance, and offers distinct advantages in swiftly and accurately analyzing coastal terrain changes, leading to an escalating trend in its utilization. Remote satellite image-based coastal line detection involves defining measurable coastal lines from satellite images and extracting coastal lines by applying coastal line detection technology. Drawing from the various data sources surveyed in existing literature, this study has comprehensively analyzed encompassing the definition of coastal lines based on satellite images, current status of remote satellite imagery, existing research trends, and evolving landscape of technology for satellite image-based coastal line detection.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 directions, on latest trends, practical techniques for ideal coastal line extraction, and enhanced integration with advanced digital monitoring were proposed. To effectively capture the changing trends and erosion levels across the entire Korean Peninsula in future, it is vital to move beyond localized monitoring and establish an active monitoring framework using digital monitoring, such as broad-scale satellite imagery. In light of these results, it is anticipated that the coastal line detection field will expedite the progression of ongoing research practices and analytical technologies.

      • SCOPUSKCI등재

        장애인을 위한 보라매 공원의 무장애 공간화 계획

        강태순,김신원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 2001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4 No.2

        The city of Seoul set up a 5 year plan of expanding and improving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for the old people. This plan started on July of 2000, and the park is a place that is to be facilitated on 2001. A park is a place where people come to get energy throgh amusement and relaxation. There are a lot of people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but despite these differences, they all get together and mix in freely. Therefore, when facilitating the park, we have to take notice of the disabled people. It has to be comfortable for both normal and disabled people, and eventually, they will all get together as one, regardless of the differences. Because of these reasons, 1 set up a Redesign of Boramae Park. Under the motto of 'barrier free', I built a place where all people can have there own place with equity, not just having the opportunity, but really getting the chance. The main place is a place that has a personal, and social therapy function; a sports space and a gardening space. Other than these spaces, there is a center space for events. All people can increase their health through the sports space, and for the disabled, they can get along with their neighbors and fasten their social comeback from the gardening space, they can not only see the plants, but they can personally raise the plants to get mental stability. They can eventually be cured from this experience. Right now, the city of Seoul is working on the 5 year expanding and facilitating plan, but to increase the facility for the disabled, and get sympathy between the disabled and normal people, more effort is needed.The plan has to be not just adding facilities, but making spaces, programs, and more leisure time is needed to do these activity. The Redesign of Boramae Park was planned under these purpose and it only stopped on a study, but these park has to be made to help make social integration and a blessed society.

      • KCI등재

        이용자 참여를 통한 명상숲 설계안 도출에 관한 연구 - 무안현경중학교를 사례로

        강태순,정문선 한국도시설계학회 2020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meditation forest design plan for various user needs based on direct user’s participation in design. Participatory design workshops using questionnaires and drawings were conducted for all students and staff. The contents of the main survey questionnaire are the required elements, demand, and desired types of space and facilities by users for meditation forest. To derive the final design proposal, the main survey questionnaire and 72 meditation forest design proposals created by users were synthesized and analyzed in the study. As a result,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meditation forest were functionality, activity space, and naturalness. Users selected rest, walk, exercise, raising animals and plants as a desired activity, and the desired space appeared as shelters, natural forests, walking trails, and exercise area. In the design of meditation forest by users, 3-4 types of space appeared on average, and the most common types of space were resting area, planting area, exercise area, and an ecological pond. For path designs, the simple circulation around the gymnasium has generally appeared. Based on these results, two design alternatives can be proposed focusing on the basic type with the relaxation function of the meditation forest. The first is an active type that enhances exercise and play functions, and the second is a static type that strengthens meditation and education func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의 직접적인 설계참여를 통하여 다양한 이용자 요구에 적합한 명상숲설계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전교생과 전교직원을 대상으로 설문, 그림그리기를 사용하여 워크숍을 수행하였다. 본조사의 설문내용은 명상숲에 대한 필요요소와 요구, 원하는 공간 및 시설 등이었다. 최종설계안은 본조사 설문과 이용자가 작성한 72개의 명상숲 설계안을 종합분석하여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명상숲 조성에 고려해야할 필요요소로는 기능성, 활동공간, 자연성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는 원하는 활동으로 휴식, 산책, 운동, 동식물기르기 등을 선택했고, 원하는 공간은 쉼터, 자연스런 숲, 산책로, 운동공간 등으로 나타났다. 명상숲 참여설계안에는 평균 3~4개의 공간유형이 나타났고, 휴식공간, 식재공간, 운동공간, 생태연못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동선의 경우, 체육관을 중심으로 부지 전체를 순환하는 단순한 동선구조가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명상숲의 휴식기능이 강조된 기본형을 중심으로 운동 및 놀이가 강화된 동적유형과 명상 및교육기능이 강화된 정적유형의 설계안이 중학교 명상숲의 설계안 모델로 제안되었다.

      • KCI등재

        생태면적률 적용을 통한 도시 내 벽면녹화의 지역적 효과 분석 - 서울시 중구를 사례로 -

        강태순,이명우,Kang, Tae-Sun,Lee, Myung-Woo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5

        최근 고밀도 시가지의 가장 중요한 해결과제 중 하나는 생태기능의 향상이다. 녹지 확대가 불가능하지만 활용할 수 있는 벽면이 많은 이 지역에서는 벽면녹화가 그 생태기능 향상을 위한 좋은 대체방법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밀도 시가지 내 전체적으로 벽면녹화가 조성되었을 경우, 그 지역에 미치는 효과를 생태면적률로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적 벽면녹화계획 사례가 필요하므로, 먼저 벽면녹화 유형들을 설정하고, 사례 대상지역에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벽면녹화 유형은 형태적, 기능적 특성에 따라 4가지로 설정되었다. A type은 단순형과 기능형, B type은 복합형과 기능형, C type은 단순형과 경관형, D type은 복합형과 경관형의 특징을 지닌다. 사례대상지역으로 서울시 중구를 선정하고, 2011년 6월부터 8월까지 3개월 동안 예비조사 1회, 본 조사 2회에 걸쳐 전수 조사하였다. 최종적으로 결정된 벽면녹화 가능지역은 총 498개소, 총 길이 8,449m, 총 입면적 $23,754.90m^2$이다. 또한 이 대상벽면을 각 유형별로 분류하고 면적산정을 해 본 결과, A type $1,936.65m^2$, B type $5,875.30m^2$, C type $12,487.85m^2$, D type $3,455.10m^2$으로 나타났다. 녹화가능한 벽면의 전체 입면적을 통해 생태면적률 증가분을 분석하였다. 먼저 중구 전체지역에 대한 생태면적률을 총생태면적률, 인공지역에 대한 생태면적률을 순생태면적률이라 정의하였다. 총생태면적률은 현재 17.97%, 조성 후엔 0.10%가 증가하게 된다. 순생태면적률은 현재 4.73%, 조성 후엔 0.11%가 증가하게 된다. 이는 현재의 순생태면적률 4.73%에 대해 2.28%에 해당하는 수치로서, 평면적 자연녹지복원이 거의 어려운 인공지역 $9,256m^2$를 입면녹화를 통해 자연녹지로 복원한 면적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결과적으로 고밀도 시가지 전체에 조성된 벽면녹화는 그 지역 생태기능 향상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입면의 경관적 가치까지 고려해 본다면 벽면녹화의 지역적 효과는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regional effectiveness of wall-plantings by applying a biotope area ratio when wall-plantings are constructed in high density areas. For this, this study required a sample of the wall-planting's regional plan. Therefore, types of wall-planting were determined and applied to a sample site. Four types of wall-plantings were developed by formative features and functional features. Type "A" had simple and functional features, Type "B" had both mixed and functional features, Type "C" had both simple and landscape features and Type "D" had mixed and landscape features. Jung-gu District in Seoul was chosen as the sample site. Total investigations were performed three times for three months from June to August, 2011. Total green-able walls were located in 498 places with a total length of 8,449m and gross vertical area of $23,754.90m^2$. The classification results of total green-able walls by the four types were Type "A" at $1,936.65m^2$, Type "B" at $5,875.30m^2$, Type "C" at $12,487.85m^2$ and Type "D" at $3,455.10m^2$. This study analyzed how all facade areas of the green-able walls impacted the biotope area ratio at the site. First, the biotope area ratio regarding all the zones in Jung-gu District was defined as the gross biotope area ratio while the biotope area ratio regarding all of the artificial zones was defined as the net biotope area ratio. In the case of the gross biotope area ratio, 17.97% is current ration with a projected increase to 0.10% after wall-planting. In the case of the net biotope area ratio, 4.73% is the current ration with a projected increase to 0.11% after wall-planting. This 0.11% is about 2.28% of 4.73%. This study looks at all wall-plantings that have been constructed throughout a high density area to observe their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ecological function therein. With consideration of the landscape value of the facade, the regional effectiveness of wall-planting is expected to increase even more.

      • KCI우수등재

        유아참여 워크숍을 통한 숲놀이 활동 및 공간 요소의 도출에 관한 연구

        강태순 한국조경학회 2018 韓國造景學會誌 Vol.46 No.5

        Recently, user participatory workshops have been applied as a way to plan landscape spaces that reflects the needsand demands of the users. It is also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FECC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which is growing rapid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t the design elements (forest play activities andspace), the basic needs, and the demands of users in making the FECC a preschooler participatory workshop. For this,materials for preschooler participation were selected, and a step-by-step workshop was conducted to satisfy the demandsof the preschooler’s development. First, in the pre-workshops phase, design elements standards were deducted through thepreschooler participatory results (41 children aged 6 and 7, Kindergarten). Second, in the main workshop phase, the designelements to be introduced on the site (Songsan-mulbit FECC) were deducted through the participating preschooler’s selectionand those results were analyzed. The materials used at the preschooler participatory process were ‘drawing a picture’ inthe pre-workshop phase, and the design elements and the standard types charts were the forest play activity pictogramchart, and the forest play space general images chart in the main workshop. As for results, frst, there are 38 standard types of forest play activities that have been deducted. It consists of 27cognitive activities (functional 16, constructive 4, symbolic 4, game on rule 3), 9 games (sensory 5, other 4), and twosocial play activities (solo, group). There are 21 standard types of forest play spaces. They consist of 8 play facility spaces(5 facility, 3 natural), 2 water spaces, and 11 spaces of 5 types. Secon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results to the site,the forest play activities to be introduced on the site were selected, and the functional play was most selected. Additionally,climbing and water play were most selected as the unit activities. Also, functional, constructive, symbolic, games basedon rules were selected, even in the preschooler’s development play. In the case of the forest play spaces to be introducedin the site, the preschooler’s selection results by sex and age tended to be similar to the preschooler’s comprehensive selectionresults, but the boys preferred function and adventure spaces more than the girls, while the girls preferred rest spaces morethan the boys. This result is similar to the previous study results, which directly observed the preschooler’s forest play behavior, and analysis that the preschooler recognized the site and selected the design elements introduced on the site. Therefore, the participatory workshop process and the materials process in this study are analyzed and applied to the purposeof the study. It is valuable as a case to be applied in design of the FECC from this point forward. 최근 사용자의 필요와 요구가 반영된 조경공간계획을 위한 방법으로 사용자 참여 워크숍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유아숲체험원의 조성에 대한 질적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숲체험원을 조성함에 있어 사용자의 기본적인 필요와 요구를 담은 계획요소(숲놀이 활동과 공간)를 유아참여 워크숍을 통해도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유아발달상의 요구가 충족된 유아 참여디자인 주요 도구를 선정하고, 단계별 워크숍을수행하였다. 첫 번째, 사전 워크숍단계에서 유아참여(K유치원 6, 7세 통합반 41명)의 결과를 통해 계획요소의 표준유형을도출하였다. 두 번째, 본 워크숍단계에서 대상지(송산물빛유아숲체험원)에 도입할 계획요소를 참여유아(사전워크숍참여유아)들의 선택을 통해 도출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유아 참여과정에서 사용된 도구는 사전워크숍에서‘그림그리기’, 본 워크숍에서 계획요소 표준유형 차트(숲놀이활동 픽토그램 차트, 숲놀이공간 실사이미지 차트)이다. 그 결과, 첫 번째 도출된 숲놀이 활동의 표준유형은 38개이다. 인지놀이 27개(기능 16, 구성 4, 상징 4, 규칙 있는게임 3), 기타 놀이 9개(감각(탐색) 5, 기타 4), 사회놀이 2개(혼자, 집단) 유형으로 구성된다. 숲놀이 공간의 표준유형은21개이다. 놀이시설 공간 8개(시설 5개, 자연 3개), 수공간 2개 외 5 공간 11개로 구성된다. 두 번째, 대상지에 적용한결과, 대상지 내 도입할 숲놀이 활동은 전체적으로는 기능놀이가, 단위활동으로는 오르기와 물놀이가 가장 많이 선택되었다. 또한 유아발달놀이 측면에서는 기능, 구성, 상징, 규칙 있는 게임, 기타 놀이가 고르게 선택되었다. 대상지 내 도입할숲놀이 공간의 경우, 유아의 성별 나이별 선택결과는 유아의 전체 선택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나, 남아는 여아보다신체, 모험 등의 기능놀이공간을, 여아는 남아보다 쉼터공간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는 유아의 숲놀이행태에 대하여 직접 관찰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유아들이 대상지를 인지하고, 대상지 내에 도입할 계획요소를 선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참여디자인 워크숍 과정과 과정별 도구들은 연구의 목적에 맞게 구축․적용된 것으로 파악되며, 향후 유아숲체험원 조성계획 시 적용할 수 있는 사례로서 가치가 있다.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학교 내 기념공간 설계 - 목상고등학교 김대중동산을 대상으로 -

        강태순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1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목상고등학교 김대중 동산을 대상으로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하여 기념성이 강화된 학교 내 기념공간의 설계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공간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영역과 기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2020년 1월 ~3월 총 4회 동안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이후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공간 및 동선의 구상, 기본설계, 실시설계, 시공의 연구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먼저 대상지에서 도출할 수 있는 기념공간의 아이덴티티를 스토리(Story), 맥락(Contextual), 담론(Discourse)이라는 스토리텔링의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이에 해당하는 설계요소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설계요소들은 연구의 공 간컨셉에 따라 구상된 2개의 영역 및 4개의 공간으로 배치되었다. 기억영역(Memory area)의 경우, 정원공간(Garden space)에 기억의 정원, 옥중편지벽, 진입로를 배치하고, 숲공간(Forest space) 에 기억의 숲, 휴식공간, 독립운동의 길(산책로)을 배치하였다. 추모영역(Remembrance area)의 경우, 열린공간(Openspace)에 김대중 동상 및 기념비, 묵념공간, 추모마당, 추모길을 배치하고, 수벽 공간(Tree screen space)에 배롱나무숲, 배롱나무길을 배치하였다. 모든 설계요소들은 명명 (Naming), 연속성(Sequencing), 드러냄과 감춤(Revealing & Concealing), 수집(Gathering), 열림(Opening)의 5가지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하여 설계되었고 이를 통해 기념성, 장소성, 경관성, 휴식기능 등을 확보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학교 내에서 환경조형물로만 인식되고 있는 기념동상 중심의 기념공간을 기념성이 강조된 기념공간으로 조성할 수 있는 설계안을 제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설계사례는 학교내 기념공간이 갖는 교육적 효과, 학교의 상징성, 학생들의 정체성 및 학교에 대한 자부심까지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morial space design for Kim Daejung hill in Moksang high school that enhances commemorative characteristics by applying storytelling practices. First, we conducted a theoretical review of the storytelling areas and practices applicable to spatial designs. Then,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four times from January to March 2020. After that, we went through conceptual design plans of spaces and circulation, final design, and detailed design applying storytelling practices. As a result, the identity of the memorial space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site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of storytelling: Story, Contextual, and Discourse. Then, design elements corresponding to each identity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spatial concept of the study, the derived design elements were applied in two areas and four spaces. The memory area comprises memory space(memory garden, prison letter walls, access road) and forest space(forest of memory, rest space, independence movement trail). The remembrance area is composed of open space(Kim Daejung statue & monument, the silence tribute space, the remembrance yard, the remembrance trail) and tree screen space(crepe myrtle forest, crepe myrtle trail). All spaces and facilities design elements are designed with five storytelling practices(naming, sequencing, reveling & concealing, gathering, and opening) to secure commemorative character, placeness, landscapes, and resting functions. As a result, the final design plan proposes the memorial space with a memorial statue, which is recognized only as a sculpture-centered space, into a place emphasizing commemorative characteristic. Futhermore, this design case is very meaningful as it can strengthen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memorial space in the school, the symbolism of the school, the identity of the students, and the pride of the school.

      • 실시간 비디오 모니터링 기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연안침식의 현황분석 연구

        강태순,남수용,김무홍,백공구,Gang. Tae-Sun,Nam. Su-Yong,Kim. Mu-Hong,Baek. Gong-Gu 한국방재학회 2007 한국방재학회지 Vol.7 No.1

        자원개발 및 해사채취 그리고 최근에는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상승, 고파랑 및 태풍강화 등의 영향으로 연안침식이 가속화되고 있어 연안재해의 측면에서 체계적이며 지속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해수 욕장의 해안선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매우 경제적이고 연속적으로 해안선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비디오 영상을 이용한 모니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2003년 부터 우리나라 주요 20개 백사장에 대해 연안침식의 정량적 현황분석을 실시하여 왔다. 그 외에도 백사장 62개소에 대해 모니터링의 일환인 연안침식 이력조사를 매년 실시하여 침식현황에 대한 정성적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모니터링에 의한 침식현황 분석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전 연안은 양빈을 실시하여 인위적으로 현상황을 유지하고 있는 몇몇 지역을 제외하고는 완만한 침식경향을 보이고 있어 대책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더욱이 전국적으로 침식지역이 확대되고 있어, 2007년<TEX>${\sim}$</TEX>2010년까지 주요 백사장 16개소에 비디오 모니터링 체계를 추가 구축하고 전국 120개의 침식 지역에 대하여 침식이력조사를 확대 수행하여 연안관리 및 대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축적할 계획이다.

      • KCI우수등재

        유아참여를 통한 유아숲체험원 설계안 도출과정에 관한 연구

        강태순 한국조경학회 2019 韓國造景學會誌 Vol.47 No.5

        This study is to derive a design alternative to the FECC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that meets the preschooler’s preferences. For this purpose, preschooler participation is included in each phase of the FECC, the site perception phase, the deriving design elements phase, and the deriving design alternative phase.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the deriving design alternative phase was carried out with kindergarteners and preschoolers (6, 7 years olds; all 41 students) at Songsan-mulbit FECC in Gwangsan-gu, Gwangju. In order to derive the design alternatives, three detailed design processes (preschooler participation 2 times, researcher analysis 1 time), tool construction, and a preschooler participation workshop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preschooler’s design process, 41 designs were drawn, and an average of 7.66 spaces were drawn by each preschooler. The 6-year-old males designed the least (average 6.80 spaces) and the 7-year-old females designed the most (9.0 spaces). The physical and adventure play spaces were most common (38.9% to 48.7%) regardless of gender or age. To analyze the feasibility of the preschooler’s design using a base map, the appeara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7 items) in the site were analyzed in each of the 41 designs. As a result,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ere apparent a total 72 times overall. Simila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ppearing more than once were apparent in 87.8% (26 designs) of designs. Second, three design alternatives were derived: APS- types (intensive planning of active play facility spaces) was presented in 15 designs, NS-types (planning focused on nature spaces) was presented in 14 designs, and SPS-types (planning focused on static play facility spaces) were presented 12 designs. Third, NS-type, which were finally selected through a preference assessment (5-point scale) and a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three alternatives, has mainly natural spaces (forest space, forest path, shelter, natural exploration space, and ecological pond) and active play facility spaces, water play space and soil (sand) play spaces was appropriately designed. Therefore, the NS-type was analyzed as the design alternative that can fully accomplish all types of cognitive development through developed through play (functional play, constructive play, dramatic(symbolic) play). 본 연구는 유아의 설계참여를 통하여 유아 선호에 부합하는 유아숲체험원 설계안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유아 참여설계에 대한 전체과정을 대상지 인지단계, 계획요소 도출단계, 설계안 도출단계로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안 도출단계를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위치한 ‘송산물빛유아숲체험원’과 K유치원(6, 7세 통합반; 전체 41명) 유아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설계안 도출을 위해 3회의 설계과정(유아 참여과정 2회, 연구자 분석과정 1회)과 과정별 도구구축, 유아 참여 워크숍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워크숍을 통한 유아의 설계안은 총 41개안으로, 유아 1명이 평균 7.66개소의 공간을 그렸다. 6세 남아가 가장 적게(평균 6.80개소), 7세 여아가 가장 많게(평균 9.0개소) 설계하였다. 전체, 성별, 나이별 모두 신체 및 모험놀이공간을 가장 많이(38.9%~48.7%) 설계하였다. Base map을 활용한 유아설계의 가능성 분석을 위해 41개의 설계안에서 대상지 내 물리적 환경특성(7개 항목)의 출현 여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72번의 환경특성이 나타났고, 이러한 환경특성은 87.8%(26개안)의 설계안에서 1개 항목 이상 나타났다. 둘째, 설계대안으로 APS type(동적 놀이시설공간 집중배치) 15개 안, NS type(자연공간 위주 설계) 14개 안, SPS type(정적 놀이시설공간 위주 설계) 12개의 안의 3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셋째, 설계대안별 선호도(5점 척도) 평가와 3개 유형의 대안 비교평가를 통해 최종 선정된 NS type은 자연공간(숲공간, 숲길, 쉼터, 자연탐색공간, 생태연못)이 주요 공간으로 설계되었고, 동적놀이시설공간, 물놀이 공간, 흙(모래)놀이 공간 등이 적정한 양으로 배치되어 인지적 발달놀이(기능놀이, 구조놀이, 극(상징)놀이) 모두가 충분히 발현될 수 있는 설계안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