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강소천의 동요,동시에 나타난 동심성(童心性)

        강정구 ( Jeong Gu Kang ),김종회 ( Jong Hoi K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5

        1930년대 강소천의 동요 · 동시에 나타난 동심성은 당대의 주요 문인집단이 지향했던 순수 관념의 아동문학적인 구체화였다. 1930년대의 주요 문인집단은 세상에 대한 판단중지를 통해 미와 예술적인 열정에 심취한 순수 관념을 지향했는데, 1930년대에 출현한 주요 동요 · 동시시인들은 그러한 순수 관념을 아동문학적인 장르적인 특성에 맞게 어떻게 전유 · 형성하는가 하는 과제를 감당했다. 그 중에서 강소천은 그의 동요 · 동시시집 『호박꽃초롱』에서 당대의 동요 · 동시시인들이 감당했던 아동문학사적인 과제의 한 응답으로써 순수=동심의 문학을 잘 보여줬다. 강소천의 동요 · 동시시집 『호박꽃초롱』은 1930년대의 순수 관념을 동심으로 전유한 대표적인 작품집이었다. 무엇보다 그의 동요 · 동시시집에서는 사회적인 관계를 벗어난 사적인 아동과 세계를 형상화했다. 다만 이러한 형상화는 1920년대에 등단한 동요 · 동시시인들과 다른 순수한 아동 화자와 그 화자가 바라보는 세계를 재현해내는 데에 성공했지만, 사회 · 국가 · 민족의 이데올로기에 대해서 암묵적으로 동조 · 추종 · 무관심했다는 점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그리고 그의 동요 · 동시시집에서는 순수한 언어의 관념을 전유해서 아동이 사용하거나 사용할 법한 언어를 탐구 · 제작했다. 언어의 물질성 · 기표성 그 자체에 대한 관심이 깊어졌고, 1920년대의 전통적인 율격에 대한 발전과 파격이 엿보였다. 1920년대의 동요 · 동시시인들과 비교해 볼 때에 이러한 강소천의 문학적인 변모는 분명히 1930년대의 새로운 문학적인 흐름에 동참하는 것이 아닐 수 없다. 1930년대에 순수 관념을 지향한 문학은 문학이 문학다워야 한다는 내향적이고 자기완결적인 주장을 하면서 미 자체에 대한깊은 관심을 보여주고 언어조형과 비(非)세속적인 순수 관념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어놓았음에도, 그것이 근대자본주의의 중산층 ·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와 특권의식을 보여줬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강소천의 아동문학 역시 이러한 공과를 함께 지니는 아동문학적인 한 현상이다. The child``s mind in Pumpkin flower lanterns written by Kang, So-cheon is relative to poetry-literature group who is Bak, Yongchel and Kim, Yeong-rang. They pursued the purity which is away desires and power and politics of world, and it is trademark of poetry-literature group. Poets of 1930’s in field of children literature seek the purity that is insisted by poetry-literature group. The purity which is searched by Kang, So-cheon is the pure child``s mind. The pure child``s mind of Kang, So-cheon in the 1930’s is distinguish from Bang, Jeong-hwan and Yun, Seok-gung’s children’s verse. Kang, So-cheon’s children’s verse is new. His children in Pumpkin flower lanterns are away desires and power and politics of world, but Bang, Jeong-hwan and Yun, Seok-gung’s children in their children’s verses are social children. His world in the text is pure human, animal, and plant. Also Kang, So-cheon’s language is new from Bang, Jeong-hwan and Yun, Seok-gung’s children’s vers in the 1920’s. His poetic language is emphasized to matter itself of language. The meaning isn’t important. And His rhythm is odd than children’s rhythm, but characteristic.

      • KCI등재

        황순원의 시집 『방가』의 재탐색

        강정구(Kang, Jeong-gu) 한국어문학회 2017 語文學 Vol.0 No.135

        This article deals with the era of post-proletarianism in the early to mid 1930’s and explores Walt Whitman‘s influences on Hwang Sunwon’s literary collection entitled Pangga (Singing Loudly). Hwang Sunwon’s Singing Loudly has been discussed by researchers and scholars who viewed Hwang’s poems as the representation of nationalism, proletarianism, or anarchism. This study intends to prove that Hwang Sunwon’s Singing Loudly is an example of literature revealing the ideas of post-proletarianism, and it also argues that more often than not the poems shows the influence of Walt Whitman, who insisted that all being has the real him/herself, and the real him/herself is anybody and all things. In my analysis, I discuss the post-proleterian culture as the main literary streams of the early to mid 1930s. And then I analyze how Hwang Sunwon’s Singing Loudly is associated with Walt Whitman’s poems where the author articulates the importance of pure wills and emphasizes that the real him/herself and the object has real being or the real him/herself. Conclusively, Hwang Sunwon’s Singing Loudly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works embedded in post-proletarianism, and it was aimed tosearch for the natural being. The poems in the collection suggests some hints to the origin of Hwang Sunwon’s pursuit of pure literature (sunsu munhak).

      • KCI등재

        민족을 상상하는 해방기의 문학

        강정구(Kang, Jeong-gu) 한국어문학회 2016 語文學 Vol.0 No.132

        This essay shows how the concept of nation was imaginated in the literature of the liberation period with the representation of Japan and America. In that period, "nation" seems to be a conception that was imagined under the Japanese and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Thus, in this article the ways Koreans imagine the nation and nationalization are examined through the literature of the period. After 1945, a psychological frontier was established by Koreans unconsciously. This eventually overturne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the oppressed and Japan, the suppressed. Koreans perceived Japan as the worst nation. Later, Koreans hope to found their nation on their own land. However, they were controlled by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Consequently, the Korean people imaginated the concept of their nation, instead of realizing it in reality. Attitude and tendency that Koreans wish be approved by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are also shown in literature of the liberation period.

      • KCI등재

        종교문화적인 갈등으로 바라본 신천학살사건

        강정구(Kang, Jeong-gu),김종회(Kim, Jong-hoi)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1 외국문학연구 Vol.- No.42

        이 논문의 문제제기는 한국전쟁 중에 일어난 신천학살사건을 바라보는 방식이었다. 신천학살사건은 주로 남북한 국가권력이 직ㆍ간접적으로 개입한 사건으로 알려져 왔지만, 황석영은 그의 소설 『손님』에서 오랜 세월 동안 마을주민 간에 쌓여온 종교문화적인 갈등이 폭발한 사건의 측면이 강한 것으로 형상화해 놓았다. 그의 작품은 좌우 이데올로기의 대립 사건에서 기독교 집단을 중심으로 한 종교문화적인 갈등 사건으로 신천학살사건의 좌표를 이동시켜 놓은 것이었다. 이 글에서는 거시사와 미시사의 인식을 비교ㆍ대조하는 것을 연구방법론으로 설정하여 기독교 집단이 독특한 종교문화적인 정체성을 만들고 학살에 참여하는 과정을 분석했다. 첫째, 소설 『손님』의 서사를 추적하면서 북한의 국가권력이 신천학살사건을 바라보는 인식의 방법과 그 허구성을 검토했다. 북한의 국가권력은 거시사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좌우 이데올로기가 대립한 가운데에 미군이 자행한 집단학살로 신천학살사건을 보았다. 신천박물관의 해설원은 학살주체로 여기는 해리슨을 ‘흡혈귀’로 규정하였는데, 이러한 규정은 세계사적인 이데올로기의 대립 구조 속에서 좌익이 우익을 바라보는 평균적ㆍ익명적인 시각을 그대로 노출시키는 것이었다. 그렇지만 이 소설이 강력한 서사적인 긴장감을 얻는 이유 중의 하나는, 이러한 거시사적인 인식이 요섭이라는 한 개인에 의하여 해체되기 때문이었다. 요섭은 자기 경험이라는 미시사적인 층위에서 “당시의 참극을 목격하고 살아난 사람들”의 “호소가 기획된 것임을 잘 알”았던 것이었다. 둘째, 소설 『손님』에서 주목되는 것은 신천학살사건이 남북한 국가권력이직ㆍ간접적으로 개입한 것뿐만 아니라, 전쟁 이전부터 있었던 마을주민 간의 오랜 종교문화적인 갈등이 전쟁 중에 폭발하여 발생한 것임을 생생하게 밝힌 점이었다. 우선, 소설에서는 개화기부터 전쟁 이전까지 기독교 집단이 자신들의 독특한 종교문화적인 정체성을 형성하여서 집단의 내부와 외부를 가르고, 좌우 이데올로기를 수용하는 양상을 잘 드러냈다. 찬샘골의 기독교 집단은 해방기까지 자기들 특유의 계층적ㆍ종교문화적인 정체성을 지녔는데, 더러 종교 특유의 특수주의적인 성향을 드러내기까지 했다. 류삼성이 자신의 가계를 “하나님에게서 택함받언 백성덜”이라고 하면서 ‘성줏단지’(전통주의)를 부숴버리거나, 드난살이 순남을 배제ㆍ차별ㆍ배타했던 것이 그 사례가 되었다. 또한, 이러한 기독교 집단은 해방기에는 좌우 이데올로기가 대립된 현실을 신앙적인 믿음 위에서 인식하여 좌익 집단과 극심한 종교문화적인 갈등 관계에 놓여 있었다. 자신들은 “주님의 십자군”이었고, ‘공산당’은 “사탄의 세력”인 것이었다. 그리고, 이 작품에서는 이러한 전쟁 이전의 갈등이 전쟁 중의 학살로 나타남을 극명하게 보여줬다. 전쟁 중에 좌우 이데올로기의 대립으로 인해 발생한 대부분의 집단학살과 달리, 찬샘골에서 벌어진 마을주민 간의 학살은 전쟁 이전의 종교문화적인 갈등이 폭발한 경우라는 점에서 그 성격이 구별되었다. 찬샘골이라는 마을 안의 전쟁은 “우리 싸움언 피와 살에 대한 것이 아니오 정사와 권세와 이 어둠의 세상 주관자덜과 사탄이라넌 악령에 대한 싸움”이자 “이거이 다 우리 하나님이 내리넌 천벌이다”라는 요한의 말처럼, 기독교 집단 스스로가 전쟁의 동기ㆍ원인ㆍ실천을 종교문화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마을 안의 전쟁이 더욱 폭력적이었던 것은, 학살 대상인 기독교 집단의 외부를 규정하는 방법에 있었다. 그 외부는 핵심적인 좌익 이데올로기 신봉자ㆍ이단자에서 차츰 범위가 넓어져 내ㆍ외부가 뒤섞인 자들까지도 포함되었고, 그 결과 내ㆍ외부가 분간조차 잘 되지 않을 때도 있었다. 이렇게 볼 때, 신천학살사건이 일어난 배경에는 남북한의 국가권력이 직ㆍ간접적으로 개입한 요인도 있지만, 전쟁 이전부터 오랫동안 마을주민 간에 쌓여온 종교문화적인 갈등이 폭발한 요인이 중요함이 확인된다. 신천학살사건은 우익 대 좌익이라는 이데올로기로는 설명할 수 없는 종교문화적인 측면이 사건의 주동자들 사이에서 상당히 뿌리 깊게 작용하고 있던 것이다. 소설 『손님』은 한 인간이 전쟁에 참여하는 미시사적인 논리를 잘 보여준 것이다. 이러한 논리는 앞으로 한국 근현대사를 다룬 문학을 검토하는 데에 좀 더 활용될 필요가 있다. This essay focuses on how to see Sincheon Massacre. Sincheon Massacre is known to an case by nation power of South or North Korean. But this case is village people’s explosion of religion-culture. Hwang, Seok-yeong researched and wrote this fact of case. Firstly, Nation power of North Korean look at this Sincheon Massacre, which is genocide by U. S. army. They saw this case to History of ideology in World WarⅠⅡ. Thou Yo-seop memories the time that they killed village people of the belief of religion-culture. Secondly, in the Hwang, Seok-yeong’s visitor, village people in Sincheon conflicted in the religion-culture, divided the Christian‘s inner-group and outer-group. So they massacre together in the Korean war. In visitor, Christian’s group got their identification of religion-culture from an enlightened age. They excluded outer-group such as a farm servant, anti-Christian, and Socialist. And Christian’s group conflicted with outer-groups in the 1940’s. And, in the Hwang, Seok-yeong’s visitor, this conflict of Christian’s inner-group and outer-group was blowing up in the Korean war. Specially, village people massacre together in chansamgol. Sincheon Massacre is blowing up conflict of Christian’s religion-culture.

      • KCI등재

        제국주의 담론의 내적 모순

        강정구(Kang Jeong gu)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7 외국문학연구 Vol.- No.65

        이 논문은 서양인이 우등하고 조선인이 열등하다는 제국주의 담론의 기본적인 전제를 재고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기술되었다. 담론 속의 주객이 구성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확고하고 우월한 서양인의 위치는 담론 속의 주체 자리에 기입되었기 때문이었고, 우등한 서양인 중심으로 구성된 담론의 일관성과 논리성은 내적 모순을 숨겼기 때문이었음을 검토했다. 첫째, 제국주의 담론 속의 서양인(A)은 조선인을 계몽시키는 주체(A)라는 동일율(A=A)의 논리로 일관성을 지니는 우등한 주체인 듯이 보이지만, 이러한 동일율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서양인이 계몽하는 주체이면서도 계몽시키지 못하는 주체라는 현실적인 사태의 모순(A=A=-A)을 간과하거나 은폐시켜야 했다. 둘째, 제국주의 담론 속의 서양인 선교사는 조선인(A)을 선교의 대상(A)이면서도 그 대상이 아닌 자(-A), 즉 모순(A=A=-A)을 지녀서 비(非)일관성을 드러내는 열등한 타자로 구성했는데, 이러한 타자의 구성은 자기 모순-선교사는 선교하는 주체(A)이면서도 선교하지 못하는 주체(-A)라는 현실적인 사태의 모순(A=A=-A)-을 전가시킨 것에 불과했다. 셋째, 제국주의 담론 속의 서양인(A)은 우등한 주체(A)이면서도 우등하지 못한 주체(-A)라는 자신의 모순(A=A=-A)을 희석시키고자 최대한 나쁘지 않게 말하는 수사학을 발휘함에도, 이러한 수사학은 서양인의 자기모순을 명백하게 노출시키는 한 증거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que the foundational premise of the discourse of Western imperialism, namely the premise that Westerners are superior and the people of Choson are inferior. By examining the process by which the discursive subject and object are constructed,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purportedly superior position of the Westerner is due to the Westerner’s insertion in the position of the subject within the structure of the discourse. The Westerner in imperialist discourse may appear to be a superior subject who identifies himself as the subject who enlightens Choson, but in order to establish this principle of identity it is necessary to ignore or obscure the contradiction of actual circumstances. Western missionaries within imperialist discourse, confronted with the contradiction that the people of Choson are both the object of their evangelical work and at the same time not the proper object of evangelism, construct them as an inferior Other in a manner characterized by inconsistency. Moreover, faced with the contradiction between being a superior subject and at the same time failing to be a superior subject, Westerners in imperialist discourse used rhetoric to dilute negative portrayals as far as possible.

      • KCI등재

        아메리카니즘과 성매매 여성 -주요 전후소설을 중심으로-

        강정구 ( Jeong Gu Kang )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49 No.-

        This Essay discussed about Americanism and harlots so call ‘yang-gongju’ in the postwar-novel of 1950s. Americanism in Korea expresses the postwar-phenomenon that Korean runs mad in the American thought and culture unconsciously, and theirs thought and culture is bad. Firstly, Americanism of postwar Korea shows wills forward truth. This will is expressed on the novel such as Kim, Seonghan’s Medium. Cheonok represents human who falled in Americanism. She like anything of America. America is truth. Secondly, Americanism lets Korean forbidden in that Korean don``t speak and criticize on the anti-America, American bad acts is understanded in other manner. If Korean wife prostitutes with the U. S. Army soldier, who is abused? We think Korean wife and the U. S. Army soldier, but in postwar Korea it is no problem. Thirdly, postwar Korean think we have to be different from harlots. Harlots and American have culture together. Postwar Korean likes American have culture, but hates Harlots. Because Americanism runs in this Korean thought.

      • KCI등재

        식민지 시기의 시단(詩壇)의 민족 표상에 관한 시론(試論)

        강정구 ( Jeong Gu Kang ),김종회 ( Jong Hoi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49 No.-

        The representation of nation in the Japanese colony is the term which is having ambivalent meanings. The term is used to adapt on Japan’s colonial policy on the one hand, to critic and face each other one the other. This essay studys three aspects. Firstly, in the Japan’s annexation and after this the representation of nation is presented by metonymic things such as child, friends, and youth. In the moment of the age of metonymic things modern poetry is occured. Secondly, in the 3.1 movements and after that times the representation of nation is the concept of organic characteristics. Japanese discriminated against Korean, so 3.1 movements occurred, and nationalists insisted national represantion; Chosun’s mind. But KAPF and modernists critics this concept because not universal concept. Thirdly, in the age and after the China-Japan War the representation ofnation is mimic concept. For Japanese power is big and powerful, others concept of nation does not occupy in the Korean discourse. So Korean was mimic Japan’s concept of nation.

      • KCI등재

        식민지 시기의 김기림 비평에 나타난 민족 표상의 성격 재고(再考)

        강정구 ( Jeong Gu Kang )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5 No.-

        This essay studies re-thinking on the nations in the Kim, Ki-rim`s critics. I think that nations in his critics is nationalism, not Nationalism. The Nationalism is close concept. But the nationalism is open concept. Benedict Anderson and Prasenjit Duara thinks that what is nation, who discusses nation, and how say nation. Signifiant nation is imagined communities. So nation is not transcendental or absolute signifiant. But the literacy movement of the Right and the Left trusts ours nation only is true, and others nation is not true unconsciously. In the Kim, Ki-rim`s critics, I research a aspect of imagined communities`s identity. The signifiant nations is experienced and open concept, not transcendental and not-open. All people in the Kim, Ki-rim`s critics is open concept. This thought is important. Many scholars think Kim, Ki-rim of Liberation period is the front of the literacy movement of and the Left, and Kim, Ki-rim writes the critics of the Lef

      • KCI등재

        1950년대 김규동의 문학에 나타난 모더니티 고찰

        강정구(Kang, Jeong-gu),김종회(Kim, Jong-hoi)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외국문학연구 Vol.- No.46

        This essay studies on modernity in the literature of Kim, Ku-dong of 1950s. In his literature, there are two values that the truth on the reason and criticism on the reason is inconsistent. This essay analyzes melting, revolt, and reflective modernity. Firstly, Kim, Ku-dongs modern poetry has a collision, in that the truth on the reason and criticism on the reason is inconsistent. We understand this concept is melting modernity, for Marxs a slogan. Kim, Ku-dong endures for modernity that order and disorder is dissolved Secondly, there is post-perspective in butterfly and square. Kim, Ku-dong receives scientific technique, that scientific technique reject perspective, and than is revolt to the vanguards positive attitude of civilization. Thirdly, modern myth appears be skeptical on the truth on the reason. This doubt studies on reflective modernity that enlightenment enlightens itself. Kim, Ku-dongs poetry shows the project of modernity that we think poetry under speeding of civilization. And Kim, Ku-dongs poetry shows negative reality. This is reflective. Thus, Kim, Ku-dong knows that melting, revolt, and reflective modernity are caused by double experiences of development and retrogression of modern civilization. His literacy modernity is meaningful, because he shows consciousness of 1950s in th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