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 자활사업 프로그램운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 자활후견기관을 중심으로

        강병태 한일장신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북지역 18개 자활후견기관내에 종사하는 실무자들을 통해서 자활사업 프로그램운영 개선방안을 살펴보고 자활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전북지역 자활후견기관들이 자활사업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있어 사업의 효과를 높이고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자활사업 프로그램운영의 유형과 분석, 실무종사자의 전문성, 참여근로자 문제, 지방자단체와의 협력 관계등 실태를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자활후견기관에 근무하는 실무종사자 105명을 대상으로 정형화된 설문지를 도구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활사업 프로그램운영은 지역적 특색과 여건을 고려한 사업을 개발해야 한다. 전북지역 자활사업 프로그램 유형을 보면 시장진입형 사업이 사회적일자리형 사업 보다 많았으며 정부가 권장하는 표준화 5대사업에 치중되어 사업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전라북도 자활후견기관 실무자들은 자활근로 사업의 유망업종에 대해서는 지역특화 사업을 선호했다. 이처럼 지역특화 사업이 다른 기타 업종보다 우선순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자활근로사업 업종선정시 지역여건에 맞는 특화사업이야말로 시장경쟁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실무종사자들의 전문 역량강화를 위해서는 전문교육과 전문센터 설립이 필요하다. 자활실무자들의 전문성에 대해 동료의 실무자들은 부정적으로 보았으며 실무자 자신이 맡고 있는 사업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전문적 경험이 매우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전문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자활사업 참여자들를 위한 자활의욕고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성에 맞는 사업 개발이 필요하다. 자활의지 부족의 원인으로 참여자들의 오랜 나태한 습관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이것은 자활사업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의 문제가 신체적 문제보다 정신적 문제가 더 큰 문제임을 알 수 있다. 참여자들을 위한 자활의욕고취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넷째, 지방자치단체와의 관계에서는 자활사업에 대한 이해와 상호협력이 있어야 한다. 실무자들은 지방자치단체와의 상호협력관계가 자활사업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지자체 역할의 우선순위에서도 상호협력관계를 가장 높게 응답하였으며, 그 다음이 자활사업에 대한 이해로 응답하였다. 이것을 볼 때 자활후견기관이 지방자치단체에게 원하는 것은 다름아닌 상호협력과 자활사업에 대한 이해를 기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자활사업 프로그램 운영의 올바른 발전방향은 사회부조와 취약빈곤층 근로제공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개선 및 보완해야 사항으로 자활사업 정책목표의 현실화, 참여자 동기부여 및 인센티브, 실무자 전문역량강화 및 전문교육센터 건립이 필요하다 자활사업은 보장기관인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력과 이해, 민간기관인 자활후견기관의 전문성을 갖춘 실무자들의 확보와 참여자들의 자활프로그램 업종선정시 각 지역의 특화사업을 적극개발해야 할 것이며 참여자를 고려한 업종선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 전라남도 지역산업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강병태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During the last two decades, the policies and strategies of national land regional development have changed gradually in accordance with the shift of the economic and social environment, which is mainly distinguished by economic growth,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Industry in Jeon La Nam Do. This research is formed by for parts. The first parts is the introduction and the second part describ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regional industry. The third part explains the actual condition of Jeon nam region. The forth part reaches the plans and solutions, and the conclusion. The result of observing regional industry is following belows. Firstly, regional industry has to be grown as the gate of southern-west and those investing focused in welfare, industrial Jeon nam and cultural Jeon nam. Secondly, The develoment of using space in region has to be attained for connecting routes along Lwang-Yang gulf, Mok-Po gulf and cental inland part, as the new industrial region and this new industrial region should be developed as the central city industrial. Thirdlly, The nabagement of trading goods should be formed to strengthen the industry and technology as the grobal mind. The information science thechnology is not under other nations, but those network system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has to reach to bays, gulfs, and even islands for growing venture industry. This would also help to develop advanced welfare to regional life. For Jeon nam region, the welfore piblic sevice, industrial complex, caltural complex, bay complex should be coustructed for advanced life. At the last, preserving acean environment developing ocean industry and the grobal interchange should be related. The development of the Southen west would hasten the development of the whole Jeon nam regions. Additionally this reseach covers the whole industrial part efforts to relate all primory factors about economy development, regional economy and regional policy to that.

      • 은행의 자금조달비용과 위험프리미엄 결정요인이 선박금융대출 가산금리에 미치는 영향

        강병태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Shipping bank loan is the fastest and the most efficient method of asset acquisition for the shipping companies. As for the banks, shipping bank loan is relatively stable and lucrative way of capital management for its unique characteristics of asset-backed finance, corporate finance with the feature of project finance. Given the pro-cyclical and capital intensive nature of the shipping industry, banks are thus required to take more delicate risk management measures and, accordingly, set the interest rate at the reasonable level. For that, banks are required to avert risks from their lending by properly reflecting the cost incurred by risks of loan provision and bad debts. In the aspect of the shipping companies, given their position of maximizing their business profit by getting the lowest interest rate as possible, it is crucial for them to correctly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shipping bank loan spread and analyze their trend. For that purpose, this study conducts empirical analyses on the determinants of the lending rate of shipping bank loan, which are set to properly reflect the risks of bad debts and lending cost. Among those, the study focuses on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s of bank's funding cost and the determinants of default risk premium on the shipping bank loan spreads. For tha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 of banks' funding cost, vessel nature, the financial strength of borrower, borrower's reliability, market risk exposure on the spread of shipping bank loans. Based on such analyses the study finds that, as for the all vessel types, except vessel nature, other factors – banks' funding cost, financial strength and borrower's reliability and market risk exposure are identifi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hipping bank loan spreads. As for the analysis on the loan spread decision model for all types of vessel, the spread tends to increase with the higher CDS premium, lower LIBOR, shorter profit running period, and smaller size of fleet while the higher freight risk level. In the case of container ships, banks' funding cost, financial strength and borrower's reliability, market risk exposure are identifi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hipping bank loan spreads. Also,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loan spread decision model of container ships, the spread tends to increase with higher CDS premiums, lower LIBOR, longer tenure of the loan, shorter profit running periods, longer business years of borrowers, smaller fleet size and higher freight rate risk level. In the case of tankers, only bank's funding cost and market risk exposure are identifi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hipping bank loan spread. As for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loan spread decision model of tankers, the spread tends to increase with lower LIBOR, higher freight rate risk and lower MSCI levels. The reason for different analysis results between the tankers and the container ships is that when the banks decide the loan spread for tankers, the feature of tanker pool and shipping companies’s market share are first considered along with the charter and affreightment contracts of the vessels. Also, rather than the financial status of borrowers or the features of collateralized vessels, the business outlook of the vessel type is considered to have more effect on the spread setting of shipping bank loans. The empirical analysis conducted in this study is the first analytical attempt in Korea to prove the effect of bank’s funding cost and the risk premium determinants on the spread of shipping bank loans. Thus I expect to provide a meaningful academic background to subsequent studies on ship financing. Also, the results are expected to facilitate the ship financing business of Korean commercial banks by helping them to set their loan interest rate with a reasonable academic background. The lessons gained from this study are, first, the focus of credit rating of shipping companies should be put on their market share and business experience – such as the size of their fleet, the business years of borrowers, etc. - rather than the financial information. Second, for shipping companies, they also need to know how banks decide the interest rate with what kind of decision making mechanism in order to make wise and reasonable decisions for their vessel investment. Third, given the highly volatile vessel values, when making decisions on shipping bank loan lending, it is advised to avoid conventional lending practice of depending too much on the collateral value of vessels. Fourth, the study also found that, despite the relationship banking nature of the shipping bank loan, the increase of the banks’ funding cost is hence directly transferred to shipping companies. KEY WORDS: Shipping bank loan, Spread, Funding cost, Default risk premium, Credit risk. 선박금융대출(shipping bank loan)은 수혜자인 해운기업에게 있어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자산매입 수단이다. 공급자인 은행의 입장에서도 자산담보부대출이자 기업대출이며 프로젝트금융(project finance)의 특징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하고 수익성이 높은 자금운용 수단이다. 그러나 해운산업은 대표적인 자본집약적 산업이며 경기변동에 매우 민감한 경기순행적(procyclical) 산업이다. 해운산업의 이러한 특징 때문에 선박금융대출에 참여하는 상업은행은 다른 업종에 대한 대출보다 더 세심한 위험평가와 이에 상응하는 대출금리의 책정이 필요하다. 또한 향후에 예상되는 대손위험과 대출취급에 따라 발생하는 원가를 합리적으로 대출금리에 반영함으로써 대출에 따르는 위험을 회피하여야 한다. 해운기업의 입장에서도 되도록 낮은 대출금리를 적용 받음으로써 해운영업에서 창출되는 이익의 극대화를 도모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선박금융 대출금리(가산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그 이유를 분석하는 것은 은행의 대출건전성 유지는 물론 해운기업의 자본비용지출 절감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은행이 향후에 예상되는 대손위험과 대출취급원가를 합리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책정하는 선박금융 대출금리의 결정요인, 그 중에서도 은행의 자금조달비용(funding cost)과 위험프리미엄(default risk premium)의 결정요인이 선박금융대출의 가산금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6년 사이에 실행된 66건의 상업은행의 선박금융대출을 대상으로 ‘은행의 자금조달비용’과 ‘담보선박의 특징’, ‘차주의 재무건전성’, ‘차주의 신뢰성’, ‘시장리스크 노출정도’가 가산금리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전체 선종의 경우 요인별 분석에 있어서는 ‘은행의 자금조달비용’과 위험프리미엄 결정요인 중 ‘담보선박의 특징’을 제외한 ‘차주의 재무건전성’, ‘차주의 신뢰성’, ‘시장리스크 노출정도’ 등의 요인이 선박금융대출 가산금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선종에 대한 가산금리 결정모형에 대한 분석에 있어서는 CDS프리미엄이 높을수록, LIBOR가 낮을수록, 이익의 연속기간이 짧을수록, 선대규모가 작을수록, 운임위험이 높을수록 가산금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종별 분석에 있어서 컨테이너선에 대한 요인별 분석에서는 ‘은행의 자금조달비용’요인과 ‘차주의 재무건전성’, ‘차주의 신뢰성’, ‘시장리스크 노출정도’ 등의 요인이 선박금융대출 가산금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컨테이너선에 대한 가산금리 결정모형의 다중회귀분석에 있어서는 CDS프리미엄이 높을수록, LIBOR가 낮을수록, 대출기간이 길수록, 이익의 연속기간이 짧을수록, 업력이 길수록, 선대규모가 작을수록, 운임위험이 높을수록 가산금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탱커선에 대한 요인별 분석에서는 ‘은행의 자금조달비용’요인과 ‘시장리스크 노출정도’요인만이 가산금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탱커선에 대한 가산금리 결정모형에 대한 회귀분석에 있어서는 LIBOR가 낮을수록, 운임위험이 높을수록, MSCI가 낮을수록 가산금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탱커선에 대한 분석 결과가 컨테이너선에 대한 분석결과와 차이가 나는 이유는 탱커선에 대한 선박금융대출 가산금리의 결정은 소속된 탱커풀(tanker pool)의 규모나 시장지배력 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며, 차주의 신뢰도 보다는 대출대상 선박의 용선여부 및 장기운송계약 체결 여부가 더욱 중요시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차주의 재무상태나 담보선박의 특징보다는 해당 선종의 향후 시황이 가산금리 책정에 더욱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은행의 자금조달비용과 위험프리미엄 결정요인이 선박금융대출의 가산금리에 미치는 영향을 국내 최초로 실증적으로 분석한 점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선박금융에 관한 연구에 학문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선박금융 대출경험이 많지 않은 국내 금융기관의 선박금융 활성화와 대출금리 산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해운기업에 대한 신용등급평가는 차주의 재무제표 보다는 선대규모와 차주의 업력 등 해운기업의 시장지배력과 경험을 더욱 중시해야 한다는 것이며 둘째, 해운기업 역시 효율적인 선박투자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은행의 대출금리 결정 메커니즘을 숙지해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셋째, 선박의 담보가치는 변동성이 크므로 선박의 담보가치에 의존하는 기존의 대출의사 결정은 지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은행의 자금조달비용은 선박금융 대출의 가산금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관계금융의 성격이 강한 선박금융대출에 있어서도 자금조달비용의 상승이 차주인 해운기업에게 그대로 전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한계는 표본의 수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실증분석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과 분석대상 거래의 차주가 대부분 비상장 기업인 관계로 제한된 자료에 대해서만 분석이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 추가적인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면 선박금융대출 가산금리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한국조달행정의 제도화과정에 관한 연구

        강병태 단국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조직은 환경과의 교호작용을 통하여 생존하고 발전한다. 군사정부에 의하여 경제재건의 기치아래 설립된 조달청도 50년이 넘는 세월 속에서 여러 역경을 이겨내고 지금까지 존속하고 있다. 업무의 특성 상 조직의 존립에 대한 타당성이 늘 제기되어 왔지만 그 때마다 조달청은 나름대로의 노력과 사회의 여론에 힘입어 생존을 유지하여왔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조달행정에 대한 연구는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방안 등의 미시적 분야에만 한정되어 왔지 거시적 분야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제도화 이론에 입각하여 그 문제를 다루고자한다. 제도화이론에 따르면 조직은 효율성에 관계없이 매우 정교화 된 제도적 환경에 존재하면서 이러한 환경에 동형화 함으로써 생존에 필요한 정당성을 획득한다고 한다. 이러한 함의에서 조직은 제도화된 환경을 조직의 구조, 기능, 과정에 의례적으로 반영하면서 정당성을 극대화 시키고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킨다. 이러한 제도화를 가져오는 기제(mechanism)에는 억압적(coercive) 기제, 모방적(mimetic) 기제, 규범적(normative) 기제가 있다. 특정의 환경 아래서 이들 기제가 작용하여 입법이나 기술의 변화 또는 시장의 힘에 근거한 '혁신‘이 '습관화’되고 그 습관이 이론화를 거처 ‘객관화’되며, 이익집단의 저항과 지지를 거치면서 제도로 ‘정착화’ 된다. 위와 같은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한국조달행정의 제도화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조달행정에 대한 내외적 압력인 사회경제적 상황, 제도활동, 기제의 작용, 제도의 정착이라는 네 부분으로 구성되는 분석모형을 설정하였다. 먼저 조달행정의 환경에 자리하고 있는 제도활동을 분석하고, 다음에 그 활동을 통하여 산출된 여러 제도와 제도를 부과시키는 기제들에 관하여 분석하며, 세 번째는 어느 제도가 조달행정에 부과되거나 조달청이 스스로 어느 제도를 채택하였을 때 조달청의 기능이 분화되고 그 결과로 조달청의 주요 고객인 정부기관과 기업 그리고 조달청 자신에게 편익을 가져오는 과정과 그에 대한 분석이며, 끝으로 제도의 형성, 확산, 변경, 해체에 대하여 제도활동과 제도에 대하여 나타나는 조달청의 반응을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조달청의 창설, 조달업무내용의 체제적 변환, 국내외 조달시장의 변화, 전자정부의 등장이라는 큰 제도적 충격을 전환점으로 하여 조달행정의 시대적 발전을 4단계로 구분하였다. 제1단계는 조달관계법령 등의 제정을 통한 강력한 강압적 기제가 작용하여 중앙조달제도의 확립을 가져왔고, 제2단계는 내자와 외자의 비중 변화에 조달청이 외국의 규범적 사례를 따라 중앙조달을 확대시켰고, 제3단계는 정부투자기관 경영의 자율화, 조달시장의 해외업체에 대한 개방, 지방자치의 실시, 정부구조개혁의 시작이라는 ‘혼란의 시대’로 이의 극복을 위해 모방적 기제가 작용하였고, 제4단계는 초일류 국가건설을 위한 전자정부의 탄생과 더불어 디지털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지원적 강압기제와 규범적 기제가 동시에 작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또 다른 사실은 제도화의 결과 조직의 효율성 증대가 동반된다는 것이다. 제도화논자들이 비록 사회적 정당성에 주목하고 조직의 효율성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하더라도 제도화의 결과 조직의 효율성도 동시에 향상됨이 밝혀졌다. 한편, 최근 들어 행정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이에 따른 고객 제1주의는 조달행정에 대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 우리 사회에는 행정은 낭비적이고 비경쟁적인 것의 대명사가 되어 버렸다. 끊임없이 변하는 환경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시스템도 계속적인 변화를 추구하여야 함을 일깨워 주고 있으며, 이러한 압력들은 조달행정에 대하여도 그 존재의 정당성 여부를 현시점에서 다시 묻고 있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조달청은 다시 한번 조직의 내면적 혁신이 필요하다.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에너지와 내부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엔트로피의 불균형에 따른 요동을 통해 새로운 질서의 소산구조(dissipative structure)를 창출시켜야 한다. 여기에는 구성원의 상호조정과 자기규제를 통한 창발성(emergence)과 각 구성원의 고도의 협력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An organization survives and prospers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Public Procurement Service (PPS) is the government procurement agency of South Korea and established in 1961 by the then military government under the banner of economic development. Since then, it has survived various difficulties for nearly fifty years. The necessity of PPS has come under question because of its nature. However PPS has fulfilled its responsibilities and attracted enough public opinion in favor of its existence. So far, studies on procurement administration have focused on microscopic issues such as efficiency improvement, not on macroscopic issues such as overcoming difficulties for survival. Therefore, this paper's thesis is the survival issue on the basis of institutionalization theory. An organization could exist in a highly sophisticated and institutionalized environment, regardless of its production efficiency. And it acquires legitimacy and resources required for survival by synchronizing with such environment. Under the circumstances, an organization applies institutional environment model to its structure, function, and process to maximize legitimacy and improve organizational survival chances. There are three mechanisms which bring about such institutionalization: coercive mechanism, mimetic mechanism and normative mechanism. As these mechanisms take into effect under a certain circumstance, an 'innovation' initiated by law enactment, technology change and market force becomes a 'practice.' The 'practice' becomes a 'norm' when it is equipped with theories and the 'norm' becomes an 'institution' through consultations with interest groups in favor of or against the 'norm.'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theory, this paper sets up an analysis model to analyz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rocurement administration in South Korea. This model consists of four analyses on each factor which has prompted changes in procurement administration internally and externally: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s, activities of institutional actors, operation of mechanisms and establishment of institution. The first analysis is about the interaction among institutional actors conducted under the environment of procurement administration. The second one is about the various institutions made by the interaction among institutional actors and the mechanisms which make such institutions exist. The third one is the process in which PPS becomes specialized and gives more benefits to its main contractors - the government and businesses and PPS itself when an institution is imposed on procurement administration of PPS or PPS adopts the institution. The fourth one is the response of PPS to the institution and institutional actors when the institution is established, spread, changed and dismantled. For such analyses, this paper divides the development of procurement administration of PSS into four stages chronically: the establishment of PPS, systematic change of services and roles of PPS, changes in local and overseas procurement market and the beginning of e-government. Each development has the institutional impact on PPS. During the first stage, coercive mechanism such as the enactment of public procurement law made the government to establishthe central procurement system. During the second stage, PPS referred to foreign cases of normative mechanismto expand central procurement services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proportion of local and foreign capital. During the third stage, or during 'the age of confusion', PPS underwent various changes: government-invested institutions acquired autonomy, procurement market was open to overseas businesses, the local governments were given autonomy and government organizations went through restructuring. To deal with such changes, mimetic mechanism was in force. During the fourth stage, the government adopted e-government system as a part of its efforts to be a world-class country. Therefore, coercive and normative mechanisms were in effect simultaneously to support PPS to be a leader in the digital age. Recently, however, procurement administration of PPS faces another paradigm shift as the concept of administration changes to focus more on a customer-centered approach.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administration is referred to as the symbol of being wasteful and uncompetitive in the society. That means there should be continuous systematic changes for the government to survive ever-changing environment, which poses a question again whether PPS is worth to exist under such circumstances. To answer yes to the question, PPS should undergo internal restructuring. What PPS ought to do is creating a dissipative structure through fluctuation caused by the imbalance between incoming energy and outgoing entropy. And the dissipative system absolutely requires emergence via coordination and self-restriction and intensive cooperation among members of P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