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모형을 적용한 음악극 창작수업 지도방안 연구 :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강미정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과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사회의 변화는 사람들의 생각과 가치관에도 영향을 주어 현재는 모든 사람의 개성을 존중하고 인정하는 포스트모더니즘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각 개인을 이해하고 수용해주는 장점도 있지만, 하나의 공동체로 모이는 데에는 어려움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성격은 점차적으로 교육 현장에도 영향을 주게 되고, 현재는 인성교육 및 협동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협동학습은 서로 다른 구성원들이 모여 하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과거의 경쟁교육과 학업 중심의 교육현장으로 양산된 사회적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구상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적 표현과 더불어 다른 사람과의 협동능력을 함양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음악교육 중 음악극 수업은 이러한 협동학습의 성격을 포함하여 진행할 수 있는 수업방안 중 하나이다. 학생들은 협동학습 역할을 토대로 음악극을 구상함에 따라 동료와의 긍정적인 상호의존성을 요구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 속에 하나의 작품을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수업은 학생들에게 협동학습 능력을 신장시키며, 2015 교육과정에서 명시한 핵심역량인 심미적 감성역량, 창의적 사고역량, 의사소통역량 등 다수의 핵심역량을 함양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의 단계를 적용한 음악극 창작수업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대상은 2015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교수·학습 방법에 제시된 것을 기반으로 고등학교 1학년으로 선정하였다. 수업은 총 5차시로 <흥부가>를 주요 스토리로 정하여 창작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극의 장르는 학생들의 흥미와 재능을 고려하여 하나의 장르에 국한되지 않도록 하였다.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과 음악극은 소그룹의 협동이 전체의 협동으로 이어져 하나의 결과를 만들어내는 공통점을 갖는다. 이러한 유사점은 수업에 적용하기 용이하며 학생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학습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Modern society is changing rapidly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al change has influenced people's thoughts and values, and is now living in an era of postmodernism that respects and recognizes everyone's individuality. While this social atmosphere may have the advantage of understanding and accommodating each individual, there may be difficulties in bringing them together as a community. The nature of these societies has gradually influenced the educational scene, and now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character education and co-education. Collaborative learning is designed to complement social problems generated by competitive education and academic-oriented educational sites in the past. In this regar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ed on creative expression as well as fostering cooperative skills with others. Music drama classes during music education are one of the ways to proceed, including the nature of these collaborative studies. Students will need positive interdependence with their peers as they plan music plays based on their collaborative learning roles, completing one piece in the process. Classes like this enhance students' collaborative learning skills and encourage a number of core competencies, including aesthetic emotional, creative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which are the core competences specified in the 2015 curriculum. Accordingly, this study studied the method of teaching creative lessons for music plays that applied the steps of an autonomous cooperative learning model. The subjects were selected as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criteria for achievement of the 2015 curriculum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presented. Classes were allowed to be created by selecting Heungbu as the main story in total of 5 classes, and genres of the play were not limited to one genre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interests and talents. The autonomous cooperative learning model and music play have a common feature in which the cooperation of the small group leads to the cooperation of the whole group, resulting in a single result. These similarities are easy to apply to classes and can expect more effective learning outcomes for students.

      • 야간근무 간호사의 선잠 실태

        강미정 영남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M.S. Thesis The Light Sleep Status of Night Shift Nurses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274 nurses for working in the night shiftwork at 2 university hospitals and 1 general hospital located at Daegu city to survey the recognition and status for having a light sleep for the nurses working in the night shift. The period of survey was for a month on April 2010. The structured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in 46 questions of 7 question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10 questions related with sleeping pattern during daytime after the night shift working and 17 questions related with having a light sleep was used for survey. The nurses by 74.8% answered the experience of having a light sleep during night shift working in the experience ratio of light sleeping. The experience of having a light sleep and the night shift working days during the month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p<0.01). The more days of night shift working were, the more experiences of having a light sleep were. The intensity of night shift working and the experience of having a light sleep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p<0.01). The lighter in the work intensity was, the higher the experience in light sleep was. The drowsiness during the night shift working was more frequent after 4 AM was 56.6%. The experience of obstacle in nursing affairs due to drowsiness was 57.7%. The affairs in difficulties were 'difficulty in provision of medical recording', 'difficulty in responding to patients/guardians' and 'difficulty in compliance with treatment time'. The pattern of having a light sleep revealed that the time for light sleep less than 30 minutes was 78.5%, the location for light sleep in nurse station was 93.7% and 44.9% answered the light sleep was helpful for working. The heavy workload and the environment for light sleep was not established were most of answering for the reason of not having a light sleep. The average sleeping time in daytime after night time shiftwork and sleeping pattern did not show the association with the experience of having light sleep. The percentage for requiring the guarantee for having a light sleep was 85.8%, the time for light sleep was 54.5% for 30-60 minutes and many opinions were for asking resting room. However, 92.3% of them were against for the prolongation of the working time equivalent to the light sleep. It was answered that the environment of the night time working was more influential than the sleeping time during daytime. Owing to the result for answering of potentiality influencing to the nursing affairs, having a light sleep during working can not be guaranteed in principle, but the guideline for the light sleep for the nurses during the night time working is essential if it is not avoidable in reality. It is considered that the method of guaranteeing the short time light sleep within the scope of not hindering the affairs shall be surveyed if it is necessary.

      • 참만남 집단상담을 통한 초보상담자의 자기성찰과 전문성 발달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강미정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참만남 집단상담을 통해 초보상담자들이 경험하는 자기성찰과 상담자 발달의 본질을 기술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현재까지 꾸준히 참만남 집단상담에 참여하고 있는 초보상담자 10명이다. 자료의 수집은 개별심층면담의 4단계에 의거하였다. 총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6월 20일~2013년 8월 12일이며 모든 면담자료는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을 실시하였고, 참여자의 표현을 그대로 필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6개의 구성요소와 26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6개의 구성요소는 '현실에서 겪는 어려움', '참만남 집단상담에 대한 기대', '참만남 집단상담을 통한 성장', '초보상담자의 자기성찰', '상담자로서의 전문성 발달', '상담에서의 적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서 초보상담자들은 막연한 불안감과 결핍감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며 이러한 상태에 대해 원인을 파악하지 못하는 개인적 어려움을 겪는다. 상담자로서는 자신이 없고 내담자가 이해되고 공감되지 않아 문제에만 초점을 두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참만남 집단상담을 통해 초보상담자들은 자신의 감정자각을 위해 노력하고 서서히 느껴진 감정을 표현하게 된다. 나누어진 감정들에 대한 교류가 깊어짐에 따라 집단원들의 진심어린 이해와 사랑을 몸소 느끼며 한 단계 성장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더 깊은 자신의 내면을 알고 과거의 삶을 통해 현재를 이해하며 핵심감정과 사고들을 자각하는 자기성찰 과정을 경험한다. 자신의 지속되어 온 감정들을 보는 시야가 열리고 삶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자유로움과 행복감을 느낀다. 이러한 자기성찰을 통해서 초보상담자들은 상담자로서의 전문성이 발달한다. 깊이 있는 공감과 경청에 대해서 배우고 책으로만 배웠던 상담이론들을 체득하며 초보상담자들이 자신의 치유과정을 통해 상담과정을 이해하기도 한다. 이러한 배움들이 상담에서 내담자를 더 존중하고 사랑으로 대하는 태도의 변화에서 느껴지기도 하며 역전이를 자각하고 경계하려는 노력으로 적용하는 모습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초보상담자들이 참만남 집단상담을 통해 경험한 자기성찰과 전문성 발달을 생생하게 제시하였으며 자신의 삶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자기성찰의 경험이 상담자로서의 전문성 발달과 어떠한 의미와 구조를 가지는지 알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상담자들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교육과 성찰에 관련한 논의점들이 제시되었다.

      • 임부의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요인

        강미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임부를 대상으로 수면장애를 파악하고, 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P 대학병원 및 2개 산부인과 전문병원의 외래와 1개 보건소에서 산전관리를 받기 위하여 내원한 임부로, 임신 합병증이나 다른 전신 질환 및 정신과적 과거력이 없고, 건강한 단태아를 임신한 임부 131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7월 31일부터 9월 30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χ²-test, 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수면장애는 21점 만점에 평균 7.97점으로 나타났으며, 임부의 불편감은 96점 만점에 평균 42.86점, 산전우울정도는 30점 만점에 평균 7.02점, 분만에 대한 두려움 점수는 165점 만점에 평균 68.65점이었다. 2) 숙면인과 비숙면인 간의 일반적 특성은 임신 분기(χ²=5.85, p=.054)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비숙면인 경우 임신 3기가 많았다. 3) 대상자의 수면장애에 따른 임부의 불편감, 산전우울, 분만에 대한 두려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임부의 불편감은 비숙면인 집단(45.42±11.46) 이 숙면인 집단(36.19±6.16)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산전우울은 비숙면인 집단(8.03±5.00)이 숙면인 집단(4.33±2.60)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분만에 대한 두려움은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임부의 수면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임부의 수면장애의 위험성은 임부의 불편감이 클수록 1.11배(OR=1.11; 95% CI: 1.04-1.19) 증가하며, 산전우울정도가 높을수록 1.17배(OR=1.17; 95% CI: 1.02-1.3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5.5%(Nagelkerke’s R²=.355, p<.001)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임부의 불편감과 산전우울이 임부의 수면장애의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임부의 수면증진을 위한 중재 개발 시 임부의 불편감과 산전우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임신은 기간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므로 임신 기간을 고려한 수면완화 중재가 필요하다. 따라서 연구대상자를 임신 기간별로 구분하여 반복연구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cidence of and risk factors for sleep disturbance in pregnant women. Th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among outpatients who visited P University Hospital in B metropolitan area, one of the two local obstetric hospitals, or a health center to receive prenatal care. A total of 131 patients without pregnancy-related complications or a history of psychiatric disorders and who gave birth to healthy singleton children were included. The data were analyzed from 31 July until 30 September 201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raw numbers, percentages, means, standard deviations, t-test values, ANOVA values, χ²-test values, and logistic regression values were analyzed. 1) The subjects’sleep disturbance scores were 7.97 on average out of 21 points. The mean score for discomfort was 42.86 out of 96 points, the mean score for depression before pregnancy was 7.02 out of 30 points, and the mean score for fear of childbirth was 68.65 out of 165 points. 2)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erms of the pregnancy trimester (χ²=5.85, p=.054) between the subjects with and without disturbed sleep. The subjects with disturbed sleep were mostly in the third trimester. 3) Pregnancy-related discomfort, prenatal depression, and anxiety regarding parturition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in subjects with disturbed sleep (45.42±11.46) than in those without disturbed sleep (36.19±6.16). Prenatal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the subjects with disturbed sleep (8.03±5.00) than in those without disturbed sleep (4.33±2.60). The incidence of anxiety regarding parturition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4)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sleep disturbance in pregnant women showed that the risk of sleep disturbance was 1.11-fold higher with increased discomfort (OR=1.11;95% CI:1.04-1.19) and 1.17-fold higher with increased prenatal depression. The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as 35.5% (Nagelkerke’s R²=.355, p<.001). These results confirm that discomfort during pregnancy and prenatal depression affect sleep in pregnant women. Therefore, discomfort during pregnancy and prenatal depression must be taken into account when developing interventions for sleep improvement. In addition, owing to the range of experiences over the course of pregnancy, interventions to alleviate sleep disorders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period of pregnancy. Thus, further experiments need to be conducted that evaluate sleep disturbance in pregnant women according to the period of pregnancy.

      • 본능 자극 영상 콘텐츠(브이로그/ASMR/먹방) 시청에 영향을 미치는 수용자의 이용 동기, 인구통계학적 특성·5대 성격·개인주의-집단주의 및 시청 만족도 : 이용과 충족 이론을 중심으로

        강미정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redefine Vlog, ASMR, and Mukbang (eating broadcasting) contents as 'Instinct Stimulus Video Contents,’ which are emerging as major genres among the recent video contents, and to explore their motives through factor analysis. In addition, the study explores consumers ’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ig five personality traits, individualism/collectivism tendencies and satisfaction from viewing those contents in terms of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The analysis items were derived through previous studies, Focus Group Interview (FGI), and interviews with experts, and additionally, two surveys were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such as factor analysis, cross tabulation analysis (chi-square 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335 samples obtained from the first survey and 106 samples obtained from the second survey. As a result, age, income level, and collectivism were found to be factor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individualism/collectivism tendencies, respectively, that influenced consumers’ choice of instinct stimulus video content genre. The motivation for watching instinct stimulus video contents consisted of five factors: self-assessment and improvement, sensory stimulation and relaxation,entertainment pursuit, escapism and passing time, and following trends. The assessment of relative influence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individualism/collectivism tendencies revealed that collectivism had positive (+) influence on self-assessment and improvement; individualism had the most positive (+) influence on sensory stimulation and relaxation, and the education level and diligence had negative (-) influence. Furthermore, collectivism had positive (+) influence and neuroticism had negative (-) influence on the motivation for entertainment pursuit; collectivism, age, and income level, in a descending order, had positive (+) influence on the motivation for following trends. In contrast, none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ig five personality traits, or individualism/collectivism tendencies factors showed influence on escapism and passing time. Lastly, among the different motivation for use, self-assessment and improvement, sensory stimulation and relaxation, and entertainment pursuit motivation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 influence on viewing satisfaction, while following trend motive had negative (-) impact.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escapism and passing tim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level satisfaction from watching those cont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 study concludes with discussion of the academic significance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its effectiveness in the future in terms instinct stimulus video content production and marketing utilization. 본 연구는 최근 동영상 콘텐츠 중 메이저 장르로 떠오르는 브이로그, ASMR, 먹방 콘텐츠를 ‘본능 자극 영상 콘텐츠(Instinct Stimulus Video Contents)’로 새롭게 개념 규정하고, 요인분석을 통해 그 이용 동기를 탐색하였다. 아울러 이를 시청하는 수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5대 성격,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시청 만족도를 이용과 충족 이론 관점에서 폭넓게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FGI(Focus Group Interview) 그리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분석 항목들을 도출하였으며, 두차례에 걸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에는 1차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335개의 표본과 2차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106개의 표본에 대하여 요인분석, 교차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의 통계분석 기법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본능 자극 영상 콘텐츠 시청 장르에 영향을 미치는 수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5대 성격,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은 연령, 소득수준, 집단주의로 나타났으며, 본능 자극 영상 콘텐츠의 이용 동기는 자기 평가 및 향상, 감각 자극 및 안정, 재미 추구, 도피 및 시간보내기, 유행 추구의 5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아울러 이용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수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5대 성격,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한 결과, 자기 평가 및 향상 동기는 집단주의가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감각 자극 및 안정 동기에는 개인주의가 가장 큰 정(+)의 영향을 다음으로 교육수준과 성실성이 부(-)의 영향을 미쳤다. 재미 추구 동기는 개인주의와 집단주의가 정(+)의 영향을 신경증이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유행 추구 동기는 집단주의, 연령, 소득수준 순으로 유행 추구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도피 및 시간 보내기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수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5대 성격,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은 없었다. 마지막으로 이용 동기가 시청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자기 평가 및 향상, 감각 자극 및 안정, 재미 추구 동기가 정(+)의 영향을 미치고 유행 추구 동기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도피 및 시간 보내기 동기는 시청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어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가 갖는 학문적 의의를 논하였으며, 향후 본능 자극 영상 콘텐츠 제작 및 마케팅 활용 측면에서 효과 제고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