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Crystallization and Preliminary X-ray Crystallographic Analysis of HemK Protein from Thermotoga maritima : 써모토가 마리티마의 HemK 단백질에 대한 결정화와 기초 X-ray 결정학적 분석

        강경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1855

        HemK 효소는 N^(5)-메틸글루타민을 형성하는 S-아데노실메티오닌에 의존적인 메틸전이효소이다. 이 효소는 GGQ 모티프의 글루타민 과 반응하여 두 개의 class I 유리인자 (RF1과 RF2)를 메틸화한다. 글루타민 메틸화는 단백질 번역의 종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재조합된 써모토가 마리티마의 HemK를 대장균에서 대량 발현 시키고 정제하였다. 그것의 기질인 AdoMet와 결합된 상태 에서 황화암모늄을 침전제로 사용하여 296 K에서 결정화 하는데 성공하였다. 방사광을 이용하여 X-ray 데이터를 2.5 Å까지 얻었고, 이 결정의 단위 격자상수는 a = 104.24 Å, b = 118.73 Å, c = 146.62 Å 이며 I222 (또는 I212121) 공간군에 속하는 사방결정계 이다. V_(M) 은 3.62 Å^(3) Da^(-1) (또는 2.41 Å^(3) Da^(-1)), 용매 함량은62.7% (또는 44.0%)를 갖고 비대칭단위 내에 두 개 (또는 세 개)의 소단위체가 들어있었다.

      • 중국어권 아동·청소년소설 한국어 출판번역에서의 재맥락화 양상 : ‘교육적 기대규범’ 측면에서

        강경이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1855

        The main purposes of this thesis are to specify the educational expectancy norms that older generation of Korea have in mind when it comes to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and to examine the educational recontextualization aspects in the transl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 novels, based on such external norms.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is a genre that must have both artistic values and educational values, and it responds relatively well to external, macroscopic environmental factors, compared with the case of adult literature.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d the recontextualization tendency of Chinese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that have been introduced in the publication market of Korea, in view of educational expectancy norms of Korean society, trying to prove an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ontext and the text translation. To this end, this study approached the subject in three dimensions―social practice, discursive practice of publishers, and text: first, theoretical literature was reviewed in order to draw the norms the older generation of Korean society has in mind about the educational role of children and adolescent novels; then, the stance and practice of publishers regarding the educational factors, when publishing books, were exam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lastly, the recontextualization types found in the real novel translation texts, focusing on these educational expectancy norms, were categorized and presented through text analysis. First, in order to clearly specify the educational expectancy norms forming outside of texts, the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deliberation and censorship systems that directly affect children and adolescent books; specialists' domination discourse on the educational fun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eight institutes who make and distribute the lists of recommended books for children and adolescent readers. The result of analysis confirmed that, regarding the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the social frame, the discourse of specialists, and the selection criteria of book recommending institutes are all interrelated and heading in the same direction. The result also presented the five categories of educational expectancy norms the Korean society has about the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in view of content, the three categories are‘importing a national and social identity’, ‘expanding cognitive area’, ‘developing affective area'; and, in view of format, the two categories are‘securing readability' and‘considering aesthetic impression'. Next, the study interviewed 14 persons in depth, who are engaged in the public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 books, through which it examined, how the educational norms shared within a society affect a decision-making process in the publication translation, and what choices publishers make to improve the educational value of a translated work.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four items: 1) children and adolescent book publication and external environment 2) things to consider in the public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books 3)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aspect in the public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books 4) recontextualization strategy focusing on the educational function. The following is the findings from the interview responses for each question; first, most publishers, in planning and publishing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books, are influenced by such peripheral factors as publication regulations, education curricula 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s, the preference of book-recommending organizations and educational institutes, the needs of adult/children/adolescent readers, the trend of best selling books, etc. This seems related with the motivation in reality that the book sales would increase if publishers make books that can be well-accepted in a society by considering the external needs. Secondly, the considerations which publishers give priority to when they plan a book include: literary value of a work, popularity and written style of a writer, sense of subject, originality, market demand, selling possibility, etc., and stressed that, in case of foreign literary works, they also consider the award-winning history, the reviews from local mass communication media, a work's chemistry with Korea's sentiment, etc., as major criteria. Also, when it comes to subjects, publishers tend to select the content that helps with the inner growth and problem-solving competency develop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 readers, by conveying promising and positive messages. Third, publishers empathize with the educational role of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and make intentional efforts s when publishing books, in which they select more works that convey educational messages and censor or adjust any harmful and sensational content in advance. Fourth, publishers agreed that they tend to intervene and participate more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editing, than they do when they publish adult books, because the books target children and adolescents in growth phase. The educational recontextualization strategies taken by publishers, when they publish foreign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are: deleting or filtering out elements that can hardly be accepted ideologically; adjusting the suggestive and immoral content, the sensitive content that can be controversial in the society, the content that might confuse or mislead readers in the regular school curricula; leaving out disparate elements; simplifying wordy descriptions or statements or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narratives for a better understanding; reconstructing literary devices such as pun, etc., to make them more familiar within the culture of a target language. Based on the previously-drawn five educational expectancy norms and the practice of publishers, the last text analysis separated the 'text selection' stage and the 'text creation' stage and examined a concrete recontextualization aspect materialized in each stage. First, for analysis of the‘text selection’stage, the study summarized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from a total of 63 Chinese children and adolescent novels that have been translated in Korea, and reviewed such overall characteristics as nations of origin, writers, genre composition, subjects, reviews in their source language cultures, etc., through which, it found out the tendency of works that are preferred and easily-accepted in the children and adolescent book publication market of Korea. Among the Chinese children and adolescent novels that were translated in Korean from 2000 to 2014, there were overwhelmingly more works from the mainland of China than those from Taiwan; the works of only a handful of writers were noticeably favored; by genre, realist novels accounted for 68%, the most response. The subjects in most works were universal―regardless of social ideologies and, time, and space―some of which are everyday lives of a main character who is in growth phase, the emotions or worries anybody can agree, virtues required to grow into a respectful adult, regrets about the vices as a human being, etc. Also, award winning works account for 65%, implying that whether a certain work received a prize or not is used as a major criterium in deciding the educational value and literary value of that work. Second, for analysis of the‘text creation’ stage, the study conducted ‘constant comparison method’on the ST and TT of 42 Chinese children and adolescent novels, extracted the cases of recontextualization focusing on the previously-drawn five educational expectancy norms, and categorized their types and detailed strategies. The analyzed educational recontextualization types were categorized in ten groups: to import the national, and social identity, 1) purifying ideology; to expand cognitive domain 2) providing related information 3) correcting information; to develop affective domain, 4) weakening negative factors 5)adjusting honorific expressions; to secure readability 6) processing special metaphors 7) domesticating exotic elements 8) adjusting a written style 9) adjusting narratives; and to consider the aesthetic impression 10) reproducing the literary effect. This study tried to examine, with its focus on education, how the texts of Chinese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are being recontextualized in reality, considering its connectivity with the macroscopic environment such as the‘social practice’including the publication system of a target language society and overall social recognition and social convention about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within a target language society; and‘discursive practice’of publish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it tri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educational expectancy norm', through which it clearly specifies the expectation and demand for the educational role which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must assume, and that it tried to macroscopically view the translation phenomena in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in a social context. Also,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summarizing the status quo of Chinese children and adolescent novels that were accepted in Korea for the recent 15 years. This thesis, however, noted the fact that both groups are under age and dealt with higher-grade elementary students and adolescents altogether as a group, whom, for a clearer result, can be subdivided into different age groups in the future. Also, in an effort to focus on clarifying the relation between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phenomena appearing in the translated texts, this study had to compress the 'translation’and‘publishing’into one stage, and exclude the viewpoints and stances of translators, which might need to be added in the further studies. The study had another limit in specifying the recontextualization types based on educational expectancy norms, in which, the study categorized them comprehensively and described the phenomena, rather than examining each category deeply. Despite all these limits,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in that it gave shape to the educational expectancy norms forming silently in the Korean publication market of children and adolescent books, and in that it tried to categorize the recontextualization types implying how these expectancy norms work in the Korean translation process of Chinese children and adolescent novels, comprehensively though.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drawn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the future to better understand the status quo of Korea's acceptance of Chinese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and also to be used as a reference in the related studies, publication planning, and translation strategy.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아동·청소년문학(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에 대한 한국사회 기성세대들의 교육적 기대규범(educational expectancy norm)을 규명하고, 이러한 외부적 규범에 기인한 아동·청소년소설 번역에서의 교육적 재맥락화(recontextualization) 양상들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아동·청소년문학은 예술성과 교육성을 동시에 담보하고 있어야 하는 장르로 성인문학에 비해 외부, 거시적 환경 요인에 비교적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출판 시장에 소개된 중국어권 아동·청소년소설의 재맥락화 경향을 한국 사회의 교육적 기대규범과 결부시켜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맥락과 텍스트 번역의 상관관계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문화적 관행(social practice), 출판사의 담화 관행(discursive practice), 텍스트(text) 세 가지 차원에서 접근함으로써 한국 사회 기성세대들이 아동·청소년소설의 교육적 역할에 대해 기대하고 있는 규범들을 도출하기 위한 이론문헌 연구를 실시하고, 심층인터뷰를 통해 출판 시 교육적 요소에 대한 출판사들의 입장과 관행을 확인했으며, 이러한 교육적 기대규범에 따라 실제 소설 번역 텍스트 상에 구현된 재맥락화 유형들을 범주화해 제시하였다. 우선 텍스트 외부적으로 형성된 교육적 기대규범을 명시화하기 위해 아동·청소년도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심의, 검열제도와 아동·청소년문학의 교육적 기능에 대한 전문가들의 지배 담론, 아동·청소년 권장도서 목록을 선정·배포하는 8개 대표기관의 심사기준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청소년 문학을 둘러싼 사회제도적 틀과 전문가들의 담론, 도서 선정기관의 선택기준은 긴밀한 연관성을 띄며 동일한 방향을 지향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결과적으로 한국사회가 아동·청소년문학에 대해 부여하는 교육적 기대규범은 내용적 측면의 ‘국가적, 범사회적 정체성 이입’, ‘인지적(cognitive) 영역의 확대’, ‘정의적(affective) 영역의 함양’, 형식적 측면에서의 ‘가독성 추구’, ‘예술적 심미성 고려’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아동·청소년도서 출판 현업에 종사하는 관계자 14명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출판번역에 관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사회적으로 공유하는 교육적 기대규범의 영향을 어떤 식으로 받는지, 번역 결과물의 교육적 가치 제고를 위해 어떠한 선택을 하는지 확인했다. 이를 위해 1) 아동·청소년도서 출판과 외부환경 2) 아동·청소년문학도서 출간에서의 고려사항 3) 아동·청소년문학도서 출간에서의 교육적 측면 고려 여부 4) 교육적 기능을 고려한 재맥락화 전략 네 가지 문항에 대한 질의응답을 실시하였다. 각 문항에 대한 인터뷰 답변 내용을 정리하자면 첫째, 대부분의 출판사들은 아동, 청소년 대상 문학 도서를 기획, 출간할 시 출판제도, 교과과정이나 입시제도, 권장도서 선정 기관과 교육기관의 선호 방향, 성인독자와 아동·청소년독자들의 요구사항, 베스트셀러 경향 등 주변적 요인에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이는 외부의 수요를 반영해 전사회적으로 수용이 가능한 책을 만들어야 판매량이 올라간다는 현실적 이유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둘째, 출판사들은 아동·청소년문학 기획 시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사항에 대해 문학으로의 작품성, 작가의 인지도 및 필력, 주제의식, 독창성, 시장수요 부합도, 판매 가능성 등을 언급했으며, 특히 외국 작품의 경우 수상작 여부, 현지 매스컴의 평가, 국내 정서와의 부합도 등도 주요 척도로 작용된다고 답했다. 또한 작품의 주제 면에서는 진취적이고 긍정적인 메시지를 통해 아동, 청소년독자들의 내적 성장과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내용들을 주로 선정하는 편이었다. 셋째, 출판사들은 아동·청소년문학의 교육적 역할에 공감하며, 도서 출간 시 교육적 메시지를 담고 있는 작품 위주로 선택하거나 유해하고 자극적인 내용에 대해 사전 검열 및 조정을 하는 등 의도적 노력을 하고 있었다. 넷째, 출판사들은 성장기에 속하는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므로 번역, 편집단계에서 성인도서보다는 더 적극적인 개입과 참여를 하게 된다고 수긍했다. 외국 아동·청소년문학에 대해서 출판사들이 취하는 교육적 재맥락화 전략으로는 이데올로기적으로 수용이 어려운 요소들을 쳐내거나 걸러내는 방식, 선정적이고 비윤리적인 내용, 사회적으로 논란의 소지가 있는 민감한 내용, 정규 교과과정에서의 학습 노선에 혼선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되는 내용들에 대해 조정을 가하는 방식, 이질적 요소를 생략하는 방식, 장황한 묘사나 서술을 간략화하거나 내러티브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단순화하는 방식, 언어유희 등의 문학적 장치를 도착어 문화에 친숙하게 재구성하는 방식 등이 있었다. 앞서 도출된 다섯 가지 교육적 기대규범과 출판사들의 관행을 바탕으로 마지막 텍스트 분석 조사에서는 텍스트 선정 단계와 텍스트 생성 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에서 구현되는 구체적인 재맥락화 양상들을 고찰했다. 첫 번째 ‘텍스트 선정’ 단계의 분석에서는 국내에 번역된 중국어권 아동·청소년소설 63편의 서지사항들을 개괄하고 도서의 출처 및 작가, 장르 비중, 주제, 출발어 문화권 내에서의 평가 등에 관한 전반적인 특성을 살핌으로써 국내 아동·청소년도서 출판시장에서 선호되고 독자들에게 쉽게 수용되는 작품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2000년에서 2014년까지 국내에 번역된 중국어권 아동·청소년소설은 대만보다는 중국 대륙 작품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몇몇 소수 작가의 작품으로 편중되는 현상이 두드러졌고, 장르별로는 사실소설의 비중이 68%로 가장 많았다. 주제로는 주로 성장기 주인공의 일상적 단편들,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감정이나 고민들, 올바른 인간이 되기 위한 긍정적 덕목, 인간의 부정적인 면모에 대한 반성 등 시대와 공간, 사회적 이데올로기와 무관하게 보편적 주제와 내용을 다루는 작품들이 대다수였다. 또한 수상작 비중이 65%에 달함으로써 수상 여부가 작품의 교육적 가치와 작품성을 판단하는 주요 지표로 활용되고 있음을 엿볼 수 있었다. 두 번째 ‘텍스트 생성’ 단계의 분석에서는 중국어권 아동·청소년소설 42편의 ST와 TT에 대해 ‘반복적 비교분석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을 실시하여 앞서 도출된 다섯 가지 교육적 기대규범의 관점에 기인한 재맥락화 사례들을 추출하고, 그 유형과 세부전략들을 범주화하여 정리했다. 분석 결과 교육적 의도의 재맥락화 유형은 국가적, 범사회적 정체성 이입을 위한 1)이데올로기 정화, 인지적 영역의 발달을 위한 2)연관 정보 제공과 3)정보의 수정, 정의적 영역의 함양을 위한 4)부정적 요소의 약화와 5)위계법 가시화, 가독성 추구를 위한 6)특수 비유 처리, 7)이질적 요소 자국화 8)문체의 조절 및 9)내러티브 조정, 예술적 심미성 고려를 위한 10)문학적 효과 재현 총 10가지로 상위 범주화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도착어 사회의 출판제도, 아동·청소년문학에 대한 사회 전반의 인식과 통념을 포함하는 ‘사회문화적 관행’, 출판사들의 ‘담화관행’들로 복잡하게 얽힌 거시적인 환경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실제 중국어권 아동·청소년문학 텍스트의 재맥락화가 어떻게 구체화되고 있는지 교육적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교육적 기대규범’이라는 개념을 설정하여 아동·청소년문학이 지녀야 할 교육적 역할에 대한 국내 기성세대들의 일반적인 기대와 요구를 명시적으로 도출하고, 아동·청소년문학 번역 현상을 사회적 맥락과 연계시켜 거시적으로 조망하고자 시도했다는 점에 있다. 또한 최근 15년 간 중국어권 아동·청소년소설의 한국 내 수용현황을 개괄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다만 본 논문에서는 미성년 독자그룹이라는 동일성에 착안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이상의 아동과 청소년을 함께 논했지만 보다 명확한 결과 도출을 위해서는 연령대의 세분화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외부 환경적 요인과 번역 결과물에 나타난 현상 간의 관계 규명에 초점을 두고자 ‘번역’과 ‘출판’을 하나의 단계로 압축하고 번역가의 시각과 입장을 배제할 수밖에 없었는데, 추후 번역가의 목소리를 추가할 필요도 있다. 교육적 기대규범에 기인한 재맥락화 유형 구체화와 관련하여 각각의 항목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루지 못하고 포괄적 범주화와 현상 기술에 그쳤다는 점도 한계로 남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국내 아동·청소년도서 출판 시장에 암묵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교육적 기대규범의 윤곽을 구체화하고, 이러한 기대규범의 작동으로 인해 중국어권 아동·청소년소설의 한국어 번역본이 재맥락화되는 유형들을 포괄적으로나마 범주화하고자 시도했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들이 중국어권 아동·청소년문학의 국내 수용 현주소를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향후 아동·청소년문학 번역 관련 연구와 출판 기획, 번역 방침 수립에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희망해본다.

      •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써 이야기체 설교방법에 관한 연구

        강경 한일장신대학교 한일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39

        "설교의 전성기는 이제 지나갔는가?"라는 미국 워싱턴의 설교자대학에서 웨델(Theodore O. Wedel)이 수년전 설교의 위기를 논하면서 발표한 글의 제목이다. 설교의 위기를 맞는 이 시대에 하나님의 말씀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청중들을 설교라는 커뮤니케이션에 참여하도록 하는 방법이 이야기체 설교이다. 설교는 교회의 예식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설교는 그리스도교의 발전과 전파에도 절대적 영향력을 끼쳐왔다. 그리스도교 신앙에 있어서 이야기는 구약성서에서 신약성서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복음 전달의 수단이었다. 더불어 설교갱신을 요구되는 현상황에서 이야기체 설교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러므로 본고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써 이야기체 설교의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Ⅱ장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이해를 위하여, 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유형, 커뮤니케이션의 구성요소와 과정, 커뮤니케이션의 원리와 역할, 커뮤니케이션과 설교와의 관계, 그리고 공중커뮤니케이션을 살펴보았다. 커뮤니케이션이란 언어·몸짓이나 화상 등의 물질적 기호를 매개수단으로 하는 정신적·심리적인 전달 교류이다. 커뮤니케이션의 유형은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자기완결적인 커뮤니케이션과 도구적인 커뮤니케이션, 퍼스널커뮤니케이션과 매스커뮤니케이션이다. 커뮤니케이션의 구성요소는 송신자, 데시지, 채널, 수신자, 그리고 효과이다. 이런 구성요소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지 전달단계, 접촉단계, 반응단계, 이해단계, 수용단계, 내면화단계, 그리고 행동단계이다. 커뮤니케이션의 원리에는 수신자 중심의 원리, 반복의 원리, 관련성의 원리, 적절한 정보량의 원리, 슬리퍼 효과의 원리, 선택적 인지의 원리, 선정의의 원리, 그리고 구성의 원리이다.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은 설교자가 메시지를 잘 준비하여 준비한 메시지를 잘 전달해야 한다. 설교할 때 설교자나 청중 그 어느 쪽이라도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청취태도가 결여되어 있다면 효과적인 전달은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설교자의 뜻이 명확하게 전달되고 청중들의 주의가 설교에 집중되었을 때 비로소 효과적인 설교가 이루어질 수 있다. 공중커뮤니케이션은 그리스도교의 설교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공중커뮤니케이션의 정의는 한 사람의 전달자가 대중이 아닌, 이해관계를 같이 하는 다수의 수용자에게 설득을 목적으로 메시지를 전랄하는 행위 또는 과정을 말한다. 그리고 공중커뮤니케이션의 네 가지 특징을 제시하였다. 공중연설의 목적은 정보전달의 목적, 설득의 목적, 오락의 목적 등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공중연설의 주제는 TV에서나 지역단체, 학교 등 연설이 행해지는 상황과 환경에 관계없이 다양하며 제한이 없으나, 주제선정시 주의사항을 제시하였다. 공중연설의 유형은 연설의 목적에 따라 크게 정보적 연설과 설득적 연설로 나뉘며, 전달요령에 따라 즉흥 연설, 무원고 연설, 암기식 연설, 원고 연설 등으로 구분하였다. 커뮤니케이션과 설교와의 관계에서 설교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이론은 의사소통과정의 신학적 차원과 인간적 차원 모두를 설명하였다. 커뮤니케이션 원리는 커뮤니케이션의 역동성에 관한 특정의 이론적 이해를 근거로 하여 그 과정의 의미를 설명하였다. 커뮤니케이션의 원리를 활용함으로써 설교자는 설교에 대한 신학적 입장들을 좀더 포괄적 입장에서 잘 이해할 수 있었다. Ⅲ장에서 전통적 설교이론에서 새로운 설교이론으로의 요청을 다루었다. 전통적 설교이론은 흔히 연역법적 논문 형식의 3가지 요점과 유머로 이루어진 설교가 전통적 설교이론을 대표하는 설교 형식이다. 이 이론에서 설교의 목적은 설교자의 마음과 머리에 있는 바를 청중의 머리와 마음으로 가져가는 것으로 일방향적임을 의미한다. 이 설교이론의 설교 목적이나 내용은 언어에 대한 이해와 분리할 수 없다. 본문형식의 특징은 설교의 내용이나 전하고자 하는 진리를 한 문장이나 혹은 하나의 중심 아이디어로 표현하도록 하는 것과 이야기체와 귀납법을 전용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설교란 그리스도교적 믿음을 전하고 되풀이해서 가르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나님의 말씀 신학의 설교이론은 말씀의 신학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설교이론으로 설교의 케리그마 이론이라고 한다. 케리그마의 전달과 하나님이 말씀하시는 사건이 바로 설교의 목적이다. 케리그마 설교이론에 있어서 설교자와 청중 사이에 놓여 있는 틈은 점점 더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 어떤 학자들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교 후나 전이나 혹은 설교 도중에 설교자와 청중이 대화를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설교의 내용은 본질적인 복음과 하나님의 구원하시는 행위이다. 하나님의 말씀은 설교에서 능동적으로 역사하여 설교를 역동적 사건으로 만들고 있다. 이 이론은 말씀의 역사를 통한 설교에서의 하나님의 현현에 좀 더 주도적인 역할을 부여한다. 변형적 설교이론에 의하면 설교는 예배자에게 경험, 사건, 만남, 혹은 해프닝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다. 설교가 사건이 되는데 있어서 케리그마 설교의 이론과는 다른 역할론을 펼친다. 설교자의 책임을 더 강조하며 조우의 초점이 인간적인 측면으로 이동된다. 설교의 목표는 예배자의 가치나 세계관 혹은 실재를 변화시키는 설교적 사건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이 설교이론에서 말씀과 세계는 서로 분리할 수 없으며 성서로부터 추출한 어떤 신학적 지식으로부터 특정한 성서 본문의 의미에 대한 해석을 한다. 변형적 설교학의 공통적인 점은 언어, 특별히 설교언어와 삶 사이의 연결을 중요시하는 것이다. 귀납적인 설교는 청중을 위해 설교자가 본문의 메시지를 얻게 된 경험을 재창조한다. 그것은 설교의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그것과 함께 유회하고, 씨름하고, 명료화하도록 한 설교자의 경험을 재추적한다. 설교자 경험의 시각과 음성을 언어로 포착함에 의해 설교자가 들은 것을 청중이 들을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한다. 귀납적 설교는 변화하는 시대를 사는 청중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말씀을 듣게 하려는 시도로부터 나온 하나의 방법론이다. 새로운 설교이론인 이야기체 설교는 구성의 연속적인 요소를 따르는 설교 형식이다. 이야기체 설교 구성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불안정과 해결을 향한 중간의 전환과 해결이라고 할 수 있다. 로우리는 해결을 경험이나 사건으로서의 설교를 작성하기 위한 근본적인 원리로 묘사하고 있다. 그는 역전의 원리를 강조한다. 그것은 사태를 거꾸로 뒤집는 것이다. 그는 이런 행위에서 복음은 급진적인 비연속성과 역전으로 경험된다는 말이다. Ⅳ장에서 이야기 신학은 미국 신학계에서 등장한 이야기 신학은 새로운 설교학운동의 발전과 형성에 지대한 역할을 했다. 4세기 이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이야기는 신학에서 배제되어 왔다. 그 이유는 초기 교회가 이단과의 논쟁을 거치면서 교리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교회를 보호한다는 측면에서 아주 중요했기 때문이다. 이야기 신학의 태동 배경은 계몽주의의 영향, 해석학의 영향, 객관적 탐구, 그리고 공동체적 탐구이다. 이야기와 신학과의 관계는 달리 구분될 수 있다. 신학은 논리적이며 논쟁적이고 합리적인 설명을 가진 형태이고 이야기는 경험과 줄거리를 중시하기 때문이다. 신학에 이야기를 사용하는 것은 신학을 이해하는데 풍부한 가능성을 제공해준다. 이야기와 성서와의 관계에서 그리스도교 신앙의 규범인 성서에는 많은 이야기가 있다. 이처럼 성서의 이야기는 이스라엘인들의 신앙을 통해서 후손들에게 전달되었다. 이야기와 계시와의 관계에서 근본적인 문제는 인간이 하나님을 알고 하나님께 대해 말할 수 있으려면 하나님의 계시로부터 출발할 수밖에 없는데 이 계시는 결국 인간의 신앙으로서만 받아들여지고 인식할 수밖에 없으니 이런 객관과 주관, 보편과 특수의 문제를 어떻게 조화시켜 나갈 수 있으며 이때에 계시란 무엇이냐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야기는 계시의 사건의 증언되는 가장 중요한 문학적 형식중 하나이다. 계시의 의미는 이야기 신학의 신학으로의 가능성을 말해주고 있다. Ⅴ장에서 이야기체 설교의 정의는 특정한 시간에 일어나는 사건이다. 그 사건은 불안정 상태(또는 충돌)에서 계속적인 갈등(혼란)이 지나고 극적 반전으로 그리고 대단원의 끝으로 이어가는 이동이다. 이야기체 설교의 가설들은 개인적 경험이 의미의 토대라는 것이다. 이 전제는 개인간의 의사소통이란 경험의 공유라는 토대 위에서 가장 잘 이루어진다. 철학적 전제들은 진리의 상대성, 커뮤니케이션의 주관성, 그리고 경험의 지고성이다. 이야기체 설교의 특징은 사람은 논리보다 감정에 의해 삶을 이끌어간다. 설교자는 청중과 의사소통을 위해 이야기한다. 간접적인 표현으로 설교를 전달한다. 설교자가 결론을 내리지 않고 개방적이다. 설교의 목적은 설교에 청중을 참여시키고 심취하게 한다. 성서의 본문의 특별한 문학형식과 그 본문을 오늘날 재구성하는데 중요한 암시를 지니는 내용으로 취급해야 한다. 이야기체 설교의 방법에서 이야기는 산문이나 운문에서 사실이거나 허구적인 이야기이다. 이야기의 특징은 공동체를 형성한다. 가슴에 말한다. 시대를 초월한다. 청중을 사건 속으로 초청한다. 시대적 요청이다. 치유 능력이 있다. 행동하도록 이끄는 힘이 있다. 성서는 스토리를 가진다. 현대의 그리스도교인들은 복음을 듣고 싶어한다. 이야기의 구성 요소에는 개념적 요소와 기술적 요소가 있다. 개념적 요소는 사건, 등장인물, 배경, 줄거리이다. 기술적 요소에는 관점, 아이러니와 상징, 구조 형태, 한 본문을 다른 본문 안에 인용하는 본문의 상호 관련성, 이야기의 독특한 문체인 반복, 대조, 말놀이, 중심 낱말, 어구, 문장, 주제, 교차대구, 인용 등의 수사학적 장치들이 있다. 성서의 이야기 해석방법은 일반적 성서 해석방법과 이야기의 성서 해석방법이 있다. 일반적 성서 해석방법에서 모든 설교의 기본은 성서의 본문을 해석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설교자들이 설교작성에서 소홀하기 쉬운 것이 본문의 의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개관식 해석방법으로 이야기를 해석하는 방법은 먼저 누가, 언제, 어디서라는 배경을 살피는 것이다. 핸드릭스의 해석방법은 구약성서의 이야기의 해석방법이다. 먼저 구성에 대한 연구이고, 이야기 속에 어떤 움직임 또는 흐름은 실제적 움직임일 수도 있고 영적인 흐름일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이야기 중에 어떤 식의 발전이 이루어져야 하는 지이다. 스테인은 비유해석을 위한 네 가지 해석의 원리를 제안했다. 비유의 중요한 한가지 요점을 찾아라. 비유가 말해진 삶의 자리를 찾아라. 복음서 기자가 비유를 어떻게 해석했는가를 찾아라. 하나님께서 비유를 통하여 오늘날 우리에게 무엇을 말씀하고 계신가를 찾아 보라. 이야기체 설교의 형태는 없으나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이야기체 설교는 정해진 형태를 탈피하여 자신이 좋아하는 형태로 말해야 한다고 권하기도 한다. 로우리가 소개한 네 형태는 본문 이야기를 그대로 따르기, 지연시키기, 중단시키기, 그리고 교체시키기이다. 이야기체 설교 구성 단계에 대하여 로우리의 방법과 로빈슨의 방법을 살피보았다. 로우리는 이야기체 설교 구성을 위한 기본적인 5단계를 제시했다. 1단계: 웁스! 평형을 뒤집어라! 2단계: 우! 모순을 분석하라! 3단계: 아하! 해결의 실마리를 드러내라! 4단계: 와! 복음을 경험하라! 5단계: 예! 결과를 기대하라! 로빈슨은 이야기체 설교의 구성을 위한 4단계를 제시했다. 1단계: 쟁점을 발견하라. 2단계: 쟁점을 탐구하라. 3단계: 쟁점을 재구성하라. 4단계: 쟁점을 해결하라. 로빈슨의 방법을 그 쟁점을 발견하거나 혹은 상상함, 쟁점을 탐구하거나 혹은 돋보이게 함, 쟁점을 재구성함, 그리고 쟁점을 해결함이다. Ⅵ장에서 이야기체 설교의 실제는 이야기체 설교의 준비지침과 이야기체 설교의 실례를 제시하였다. 이야기체 설교의 준비지침은 모든 중요하지 않은 것에 주의하라. 행간을 읽어라. 만나는 모든 것을 파악하라. 당신 자신의 경험에서 나온 자료를 도입하라. 행동에서 동기로 옮겨가라. 사실보다 그 이전의 역동성으로 나아가라. 감각을 총동원하라. 늘 해오던 동일화 작업을 전환하라. 능동태 어법을 사용하라. 1인칭이나 2인칭 단수 형태로 이야기를 몰고 가라. 주관적인 것에서 객관적인 것으로, 특별한 것에서 일반적인 것으로 옮겨가라. 단계를 정하라. 이야기체 설교의 실례로써 로우리의 설교문, 월리스의 설교문, 그리고 강경인의 설교문을 들었다.

      • 고교생 헤어스타일에 대한 개선방안연구

        姜敬順 조선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1839

        Our country has experienced a very comprehensive social change in the modern society. This social change has brought an sudden obstacle in the old way of thinking. In the past, Our society valued the mental part highly. Owing to the rapid speed of industrialization, we had a big trouble between in moral value and material value. Also we had lost the harmony in contacting with the different culture. In this situation, Our adolescents have adopted the new culture easily. In doing so, they have the characterestic to move their deed easily. However, our students want to express their challenging attitude not enduring their routined uniform, restricted hair style, and the different way of deed. In contrary, adults do not try to understand their culture. Also they make their children obey unwillingnessly. They say their children should be keep their rule under the controlled restriction Nowadays, adults might think they understand their children naturally and accept their culture. In this reason, after studying the development psychology of the adolescents, I want to approach the research about the freedom of hair style in the opinion of their parents, teachers, and students. Also, considering the fash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likeness, I want to design the new hair style that high school students really want to have. Lastly, I want to recommend the newly designed hair style approprate to the students most. My research has a great emphasis on the proper hair style to the students without losing their identity. Also, adults have to share with their children and try to understand their culture. They have to ease their incontents and make them study and do their deeds right. Try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new hair style, We have to settle down the healthy teenagers culture. In the future, We have to concern about the new hair style continuously hoping our students grow up as a citizen of the 21st century.

      • 발아조건이 다양한 발아현미의 항산화 및 Amyl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강경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에서는 현미, 찹쌀 현미, 흑미, 찹쌀 흑미의 발아 조건에 대해 연구 하였다. 먼저 다양한 침지수 발아에서는 모든 발아 현미들이 증류수에서 가장 잘 생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아 4일부터 증류수에서 자란 싹들의 줄기가 가늘어 지기 시작하였고 수돗물과 알칼리수에서 발아 된 것은 증류수에서 자란 것에 비하여 길이는 짧았으나 통통하게 생장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의 발아는 발아 길이가 0.5 cm 자라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30℃에서는 발아 후 1.3일 정도였으며 25℃에서는 4일, 20℃에서는 평균 10일 정도가 걸림을 알 수 있었다. 다양한 쌀의 종류에 따른 발아는 찹쌀 흑미가 모든 조건에서 가장 잘 생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찹쌀 흑미 > 흑미 >찹쌀 현미 > 현미 순으로 자랐다.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의 발아는 30℃ 항온에서 가장 잘 자랐으나 물갈이를 너무 자주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실험에서 발아 조건에 관한 결과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수돗물 침지로도 충분한 발아가 가능하며 상온 25℃에서 4일 정도면 사용하기에 적절한 발아 현미를 만들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발아 현미들의 항산화 소거능을 보면 30℃ 수돗물에 침지한 찹쌀 흑미가 12시간 시료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발아 전반에 걸쳐 큰 변화는 없었다. 발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찹쌀 흑미가 현미보다 약간 떨어진 것은 찹쌀 흑미의 주 항산화 요인이라고 알려진 안토시안 색소가 물갈이로 인하여 거의 소실되어 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발아 현미의 경우 다른 베리류에 비해 항 산화능이 높지 않으나 매일의 식사로 섭취가 가능하여 쉽게 섭취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발아 현미의 Amylase 효소 활성에서 현미에서 처음에 낮게 나타났으나 24시간 이후 효소 활성이 높아져 흑미와 큰 차이가 없었다. 찹쌀 흑미의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높게 나타났으며 흑미의 경우 발아 전 높게 나타났으나 발아가 진행 된 후 큰 변화가 없었다. 찹쌀 흑미가 전반적으로 amylase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환원당은 항온 30℃ 발아 후 12시간 시료에서 모든 발아 현미가 높게 나타났으나 그 중에서 찹쌀 흑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아 12 시간 전 후에는 찹쌀 현미 > 찹쌀 흑미 > 흑미 > 현미 순으로 당이 측정 되었다. 발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환원당 함량은 급격히 감소되었다. 이번 실험을 통해 가정에서 쉽게 발아 현미를 만들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특히 유아를 위한 이유식과 청소년들, 군부대, 등 단체 급식에 발아 현미 이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높은 발아 현미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방법이 모색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 된다.

      • 승찬대사 『信心銘』 硏究

        姜鯨求 동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불교는 교학적으로 모두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선불교는 특히 그러하여 言語道斷, 心行處滅을 그 교리의 특징으로 삼기까지 한다. 관념화된 언어 대신 구체적 행위를 보여주었던 부처와 迦葉에게서 유래된 禪은 達摩에 의해 중국에 전해졌다. 그 후 達摩의 禪은 2조 慧可, 3조 僧璨에 전수되었다. 『신심명』은 禪의 궁극적 경지를 중도불이법문으로 강조한 글로서, 깨달음은 어렵지 않지만 옳고 그름을 가려서는 얻을 수 없으므로 차별과 분별을 일시에 놓아 버려야 하며, 말이 끊어지고 생각이 끊어진 곳에 깨달음의 세계가 있다는 僧璨의 禪思想을 집약하여 담고 있다. 본고는 『신심명』의 판본, 그에 대한 다양한 해설과 그 의의를 살펴보고, 나아가 기타 신심명류 경전과의 비교를 통해 『신심명』에 대한 종합적 이해에 이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집필되었다. 이에 『신심명』의 문장은 『景德傳燈錄』을 기준 으로 하고, 『五燈全書』 외 23개 저작에 기록된 판본을 찾아보고 그 상호간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한 국내에 출판된 신심명에 대한 국내 고승 및 학자들의 해설서에 대한 교작업을 통해 심화된 이해에 도달하고자 하였다. 특히 20여종을 넘는 해설서 중, 특히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는 번역해설서 6권을 선정하여 각 구절별로 역 및 해설상의 차이가 나타나는 부분을 상호비교와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신심명』에 대한 심화된 이해에 도달하고자 노력하였다. 한 부대사의 『심왕명』 , 우두법융선사의 『심명』 , 석망명스님의 『식심명』 등 신심명류 경전으로 분류될 수 있는 여타 문장들을 함께 살펴보는 장을 마련함으로써 『신심명』의 객관적 위치를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