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타이거넛츠 함량에 따른 스펀지케이크 품질 특성

        송지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samples made with tigernuts powder. Samples were made with various ratio of tigernuts powder to flour (0%, 10%, 30%, 50%, 70% and 100%). The analysis of specific gravity, baking loss, volume, specific volume, baking quality, moisture content, pH, sugar content, color, texture profiles, and sensory evaluation were conducted. Specific gravity, baking loss, and sugar content increased, while volume, specific volume, moisture content, and pH decreased with increasing percentage of tigernuts powder. L values of crust and crumb increased whereas, a and b values decreased with increasing tigernuts powder content. According to the texture profiles analysis, hardness, ad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increased, and the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tigernuts powder addition. Sensory attribute difference test resulted that, flour flavor, egg flavor decreased in the higher of tigernuts powder, whereas, brownness, cell uniformity, density, nut odor, sweetness, and savory flavor with increased with percentage of tigernuts powder. Also, hardness and chewines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igernuts powder content. In the consumer acceptance test, 0%, 10% and 30% tigernuts samples received the highest score in taste acceptance, and 0% and 10% tigernuts sample showed the highest score in overall acceptance. In conclusion, taste acceptance, overall acceptance samples replaced with tigernut powder in the case, 10% showed the most suitable quality characteristics to make sponge cake.

      • 척수장애인의 간헐적 자가도뇨에 대한 적응, 우울, 삶의 질의 관계

        송지현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s of intermittent self-catheterization on the adaptation, depression, and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to develop an intervention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126 spinal cord injury patients who were listed on the Korean Spinal Cord Injury Association and were taking intermittent self-catheterization treatment. The survey us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hich addressed of the participa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dividual experience on their disease and intermittent self-catheterization, and intermittent self-catheterization on the adapta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utilized Cronbach's alph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factor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PASW 20.0 program.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mean score of intermittent self-catheterization on the adaptation was 58.98. The mean score of the perceived ease of use was the highest ranked one followed by discreetness of management, discreetness of conduct, psychological well-being, convenience, and ease of conduct.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was 17.19, which indicated the situation of mild depression. The mean score of the quality of life was 56.16. Physical health, environmental aspects, psychological, overall quality of life and general health, and social relationships ranked in order. Secondly, the intermittent self-catheterization on the adapt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spouse (p=.019), Type of Insurance(p=.021) and self-catheterization related to complication experience (p=.014), In addition, the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religion (p=.002), and Occupation (p=.001). Thirdly, the intermittent self-catheterization on the adapta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depression (p<.001) and the quality of life (p=.017). Depression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the quality of life (p<.001). Lastly,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the depression and religion were the influential factors to improve quality of life (p<.001), which explained 19.5% of the total variance of the quality of life.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intermittent self-catheterization should be conducted more comprehensively. Secondly, performance rates of intermittence self-catheterization skill should b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intermittent self-catheterization on the adaptation. Thirdly, the questionnaire should be more articulated with considering the differences between Western and Korean culture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is study.

      • 유아교육기관의 주제통합 영어교육을 위한 방안

        宋池賢 淑明女子大學敎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are needed to conduct subject integrated English curriculums in the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attends to two different areas; required skill or knowledge from teachers and expected support from the school or the English agency which educates pre-service teachers. To achieve these aims, data was collected from English teachers, homeroom teachers and pre-service English teacher trainers through surveys, personal interviews, phone interview, email.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categorized into four areas. The four areas are 1)what needed from English teachers who teach only English class, 2)what needed from English teachers who also teach other classes, 3)what needed from the English school agency, 4)what needed from the homeroom teacher or school administrator. The results from first category showed that teachers who only teach English should make an effort to improve English proficiency, possess a proper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e aware of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nd cooperate closely with school administrators. The results from the second category showed that English teachers who also teach other classes should make an effort to improve English proficiency, be aware of the significance of a content-based instruction and have sufficient teaching experiences as a pre-service teacher. The results from the third category showed that the English school agency should educate pre-servic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velop or take subject integrated course books and materials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teachers for observing and attending homeroom teacher's class. The result from the fourth category showed that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English teachers and homeroom teachers as well as provide all materials for an effective English class.

      •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과제 중심 요구 분석

        송지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39

        최근 들어 한국의 대학이나 대학원에 진학하고자 하는 외국인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지방의 대학들을 중심으로 두드러지며, 이에 따라 이들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의 대학 문화에 잘 적응하도록 돕기 위한 차별화된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과제 중심 언어 교수(TBLT)에 입각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제안하고, 보다 효과적인 과제 중심 수업을 위해 한국어 교실에서 반영해야 하는 실제 학문적 과제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I 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서술하고 기존 학문 목적 한국어 연구를 주제별로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의 연구가 요구 분석을 통해 개괄적인 교육과정을 제시하거나 학문적 텍스트의 언어 구조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두고 있었다. 그러나 요구 분석이 실시된 연구들에서도 과제는 주된 논의 대상에서 벗어나 있어, 과제 중심 언어 교수의 적용을 모색한 실제적 연구는 거의 전무한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과제를 단위로 제시함으로써 과제의 중요성과 어려움에 근거한 유학생들의 요구 정도를 밝혀보기로 하였다. II 장에서는 종합적 접근법(synthetic approach)과 분석적 접근법(analytic approach)에 따른 기존의 교수요목 이론들을 제시함으로써 과제 중심 교수요목이 등장한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다음으로는 학문 목적 한국어의 성격과 내용을 고찰하였다. III 장에서는 요구 분석의 단위가 과제가 되어야 함을 밝히고, 보다 실제적이고 정확한 결과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연구 절차와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질적 조사와 양적 조사 방법을 병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는데, 질적 조사로는 외국인 유학생들과 자유로운 면접 형식의 예비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여러 실제적인 과제들과 어려움을 확인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 양적 조사로서의 본 조사는 예비 조사 결과와 문헌 조사 결과를 토대로 설문지를 개발하여 대전, 충남권 대학의 유학생 147명을 대상으로 과제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다. IV 장에서는 본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서술하였다. 현황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과 함께, 학업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한국어 실력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는지 질문하였다. 실제 과제와 관련해서는 중요성과 어려움으로 나누어 각각의 순위를 살펴본 후, 전공과 입학 전 최종 한국어 급수에 따라 과제에 대한 요구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중요한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학생 현황을 살펴보면 설문에 응한 유학생 중 중국 국적의 학생이 90.48%를 차지하고 있으며, 입학 전 한국어 학습과 관련해서도 3급 이하만을 수료하고 대학에 진학하는 비율이 70%로 나타나 서울 지역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지역의 상황과 학습자 요구를 고려하여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둘째, 유학생들에게 대학에서의 학업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최소한의 한국어 실력에 대해 물어본 결과 4급 정도에 해당하는 한국어 실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입학을 전제한 경우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기간은 한정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이 같은 목표점에 대한 요구는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할 점이라고 하겠다. 셋째, 실제 과제에 대한 유학생들의 요구는 대부분이 평균값 3 이상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그러나 과제의 중요성과 어려움은 전혀 다른 양상을 보였다. 즉 유학생들은 강의 듣기 등 수용적 이해와 관련된 과제를 보다 중요하게 여기는 데 반해, 어렵게 느끼는 과제들로는 보고서 등의 쓰기와 관련된 과제들을 들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육용 과제를 개발할 때, 과제의 중요도와 난이도를 모두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넷째, 유학생의 전공은 과제에 대한 요구 정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서 일반적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전제로 과제의 범위를 한정하였기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국어 급수는 과제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는데, 높은 급을 수료하고 입학한 유학생일수록 대부분의 과제에 있어서 어려움을 적게 느끼고 있었고, 그 차이는 유의미했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궁극적인 목적이 성공적인 학업 수행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실제 과제들에 대한 요구 정도를 밝히는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제공되어야 할 교육용 과제의 개발과 선택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The number of foreigners willing to study at Korean universities or graduate schools has been drastically increasing recently, especially around non-Seoul area. Accordingly, it has been suggested that a specialized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se foreign students to make them adjust to Korean university culture. Therefore, in this study, I suggest education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based on task-based language teaching (TBLT) and review target academic tasks that can be used in real time Korean class effectively. The organization of this study is following. In chapter I, I describe the necessity and object of this research, and review previous studies on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by subject. By doing so, I found out that previous studies mainly focused on explaining the typical linguistic features and structures of Korean academic texts or curriculum development through analysing needs of the foreign students. But even in the cases needs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earch applying task-based language teaching was almost obsolete, as tasks were not the main objects of discussion. Therefore, in this study, by suggesting task as a unit, I find out the needs of foreign students based on the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tasks. In chapter 2 we study the background in which task based syllabus was introduced, by introducing syllabus theory focusing on synthetic approach and analytic approach. Then, we examine the nature and detail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In chapter 3, I show that the unit of needs analysis should be task, and suggest procedure and method of analysis to collect more realistic and exact result materials. In this paper, I used both qualitative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For qualitative research, I conducted unstructured interviews with foreign students beforehand, finding out their difficulties. Based on these interviews and literature survey, I made a questionnaire, and conducted a survey for 147 foreign students at universities around Daejeon, and Chungnam area. In chapter 4, I describe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To understand the condition of respondents, I asked their personal backgrounds, and how much Korean proficiency they think is minimally needed to study at Korean universities. Regarding target tasks, I reviewed the each ranking of perceived importance and perceived difficulty of tasks. After that, I tried to find out whether the demands for the tasks vary according to the majors or Korean level of respondents. The major results by my analysis are following. Firstly, 90.48% of respondents were Chinese nationals and about 70% of respondents started their college lives with Korean level 3 or lower, making a big difference with foreign students in Seoul area. It implies that Korean education should adapt to the needs of students and areas. Secondly, the respondents think that the Korean proficiency minimally needed to study at Korean universities was level 4. Considering the fact that time to learn Korean is limited when entering college is premised, such demands for target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Thirdly, foreign students' demands for target task were mostly 3 or higher, meaning that they were rather high. However, the task importance and the task difficulty showed totally different aspects; while foreign students consider tasks regarding receptive comprehension such as listening to lectures important, they consider writing reports hard. This result shows that we should consider both importance and difficulty, when we develop pedagogic tasks for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Fourthly, the majors of foreign students were irrelevant to the extent that they demand the tasks. It seems that such a result came out as I limited the scope of tasks to Korean for General Academic Purposes. However, it was found out that Korean level affects on the tasks; the higher Korean level students finish before entering the university, the less hardship they find in doing tasks, and the result was meaningful. The ultimate goal of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is to accomplish their study at university by performing several academic tasks successfully. So this study which finds out the extent to the students' needs of target tasks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a basis for developing and choosing pedagogic tasks for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 외동아, 첫째아, 둘째아 이하의 사회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송지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외동아, 첫째아, 둘째아 이하의 사회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수준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사회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충남 소재 4년제 대학교 재학생 368명의 설문지를 통계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사회성 검사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검사지, 진로태도성숙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동아, 첫째아, 둘째아 이하의 사회성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첫째아, 둘째아 이하가 외동아보다 높게 나타났고, 진로성숙은 둘째아 이하가 외동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자신감과 진로성숙의 하위요인인 준비성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사회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사회성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동아, 첫째아, 둘째아 이하 모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목표선택이 진로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첫째아와 둘째아 이하는 사회성의 하위요인 중 사교성 또한 진로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개인의 사회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수준은 형제 구성에 의해서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그동안 진로성숙에 대한 변인으로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사회성과 진로성숙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밝히고, 사회성이 진로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 朝鮮時代 淸州地域의 司馬試 入格者 分析과 世居家門

        송지현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Samabangmok(司馬榜目) is a list of successful candidates tested in Saengwon-si(生員試) or Jinsa-si(進士試). It comprises the information of passers who took the national exam held irregularly or in every three years. Samabangmok is more in detail than other list books when it comes to recording the information of passers. It is therefore outstanding in a sense that the book makes it possible to examine the change of influential families in each area by analyzing the passers. Based on ≪CD-ROM Samabangmok≫ of 1997 provided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nd a Samabangmok database of current website, this paper analyzes the Samabangmok of Cheongju-mok(淸州牧) in Joseon Dynasty, including the time when Cheongju was degraded down to Seowon-hyun(西原縣) as well. In this sense, the 433 of Sama-si passers resident in Cheongju are examin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wo kinds of Samabangmoks. Up to now, Samabangmok has been partly cited in papers on Hyangchon(鄕村) social history. Beyond that, however, samabangmok is more centered in this paper, which is focused on understanding Sama-si passers resident in cheongju throughout Joseon Dynasty by analyzing the result of statistics of list books. Furthermore, this result will be examined how correlated with specific families that produced considerable Sama-si passers in Cheongju. Als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 of families and to find the existence of main distinguished famailies in Cheongju region. According to Samabangmok Analysis of Sama-si passers in Cheongju, the passers resident in Cheongju outnumbered others in Sukjong(肅宗) era and Kojong(高宗) era. This is because a long period of Dynasties usually held more exams and thereby produced more passers, including ones with special benefits. However, From geographical specialty of view, Cheongju Sarim(士林) and Sajok(士族) participated in many social activities resulted in increasing Seowon(書院) and growing Sama-si passers in Sukjong era. These passers were averagely 36.9 years old, which was older than the average age of 35.54 of national Sama-si passers. In addition, the oldest and the youngest passers in Kojong era received various benefits, and Yuhak(幼學) was 99% among the passers regionally as well as nationally. In Munkwa(文科)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54 of 433 Sama-si passers were admitted and the top three of highest scores among them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family names, Jeonju Lee(全州李) was most, Koryung Shin(高靈申) was second most and Namyang Hong(南陽洪) was followed next. Generally, 93 family names were found among total 1442 family names, and most of them were centralized in major family names. Court ranks of their fathers were mostly Munsan-kye(文散階) and usually in high ranks. The fathers' government offices were mostly Haksaeng(學生) and Yuhak and if they have jobs, they were usually Oegwan-jik(外官職), government position. In regards of major distinguished families, the first ancestor of them and the year of his arriving and reason of migration were also explained. Not only that, Koryung Shin, Hansan Lee(韓山李) and Chogye Byun(草溪卞) were selected and analyzed with a world map in relation to Shinhang lecture hall in cheongju. These families settled in Cheongju in the middle era of Joseon Dynasty and continued their family strength as Sajok. Koryung Shin family was Namin(南人), filled with disiples of Hwang Lee(李滉) but was gradually pushed out of Shinhnag(莘港) Seowon. Hansan Lee family was Seoin(西人) and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milies that produced four principals in Shinhang Seowon. Beside, Eunjin Song(恩津宋) family continued to hold power by marrying Sajok in Cheongju. Chogye Byun family produced a few Sama-si passers nationally but generated half of passers in Cheongju. This means that Chogye Byun family enlarged their family after settling in Cheongju leaving their original place and was also influenced by Deukyun Lee(李得胤) and Siyeol Song(宋時烈) as a Seoin family. Consequentially, the distinguished families that produced many Sama-si passers were resident in Cheongju and increased their family power in Hyangchon society through Shinhang Seowon and other Seowon. Moreover, their positions in Seowon and the clans in Cheongju were changed, influenc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ccording to a trend at that time.

      • 코로나19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송지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코로나19 바이러스 및 변이 바이러스의 감염에 대해 예측이 어려운 현 상황에서 일부 국민은 감염병 유행 초기보다는 그 심각성에 대해 인지하고 있으나, 기본적인 예방행위에 대한 실천수준 차이가 지속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어 이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 해결 대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현재 코로나19가 장기적 국면으로 들어서는 상황에서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질병관련 태도에 대한 인식개선 및 예방행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일반 시민의 코로나19 위협 심각성에 대한 인지도와 예방효능감 및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도가 정부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문헌 고찰 및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연구를 병행하였고, 실증 연구의 경우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통계적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시민들의 코로나19 정책 및 위협 심각성 인지도가 정부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코로나19 정책 및 위협 심각성 인지도는 정부정책 순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 시민들의 코로나19에 대한 예방효능감이 정부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코로나19에 대한 예방효능감은 정부정책 순응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 시민들의 코로나19에 대한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가 정부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코로나19에 대한 정부정책 신뢰는 정부정책 순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코로나19 정책 및 위협 심각성에 대한 인지도와 정부정책 순응의 관계에서 예방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예방효능감의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코로나19에 대한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와 정부정책 순응의 관계에서 예방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예방효능감의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시민들의 예방효능감은 정부정책 순응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데 반해 코로나19의 위협 심각성에 대한 인지도와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는 정부정책 순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 시민들이 코로나19의 위협 심각성에 대한 인지도를 충분히 느끼고 정부정책에 신뢰하더라도 정부정책 순응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자기 스스로 느끼는 예방효능감이 결국 영향을 더 크게 미치는 용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코로나19의 위협 심각성에 대한 인지도와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는 에방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정부정책 순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코로나19와 관련한 정부정책에 대한 순응에 있어서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주요어 : 코로나19, 정부정책 신뢰, 예방효능감, 정책 순응 Under the current situations where the infection of COVID-19 virus and its mutants can hardly be predicted, some people recognize the severity of diseuse more than earlier. However, since the levels of the basic preventive behaviors differ among people, some fundamental alternatives are needed. Namely, under the current situations where the COVID-19 pandemic lasts for a long time, it is necessary to provide for the citizens about their attitudes towards the disease preven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itizens perception of the threats posed by the COVID-19, the preventive efficacy and the trust to the government policy on the compliance with the government policies. For this purpose, the relevant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analysis was implemented in the study.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methods. Through the survey, five main findings were revealed as followed. First, the government’s policies and the threat severity of COVID-19 did not affect the citizens compliance with the government’s policies significantly. Second, preventive efficacy of the citizens s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ir compliance with the government policy. On the other hands, their trust to the government polici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ompliance. The fourth finding was that, preventive efficacy of citize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ce on that relation between their recognition of the COVID-19 and severity of the threat and their compliance with the government policies. lastly, the mediating effects of preventive efficacy positively affected the relation between their trust of the government policies and their compliance with the government policies. In summary, citizens' preventive efficacy had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their compliance with the government policies, while their recognition of severity of the threat and their trust of the government policies had no significant effects. These results mean that preventive effects of citizens would affects greater than recognition of the COVID-19 threat or trust to the government policies on the compliance with the government policies. In addition, it could also be confirmed that the mediated effects of citizens' preventive effects efficacy in the relations between ordinary citizens' recognition of severity of the threat and the trust of the government policies were significant. This study could established factors that affecting citizens' compliance with the government policies regarding the COVID-19. Key words: COVID-19, trust of the government policies, preventive efficacy, compliance with the polices

      • 지속가능한 오가닉 메이크업 디자인

        송지현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오늘날 인류가 겪고 있는 환경문제는 경제활동에 의해서 얻어진 유해적 결과물이다. 이에 따라 자연 생태계와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가치관에 관심을 기울이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지금까지의 문명의 발전이 기술의 전개방향에 대한 모색이었다면 이제 인류가 할 일은 환경을 파괴하고 있다는 것을 자각하고 자연과 함께 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꾀하는 것이다. 특히 21세기의 라이프스타일은 건강과 환경보호에 대한 논의를 중점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삶의 유형에 대한 문화적 배경과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 시대의 메이크업 디자인에 나타난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특성을 파악하고 작품을 제작하여 궁극적으로 메이크업 디자인 산업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디자이너 브랜드의 작품과 패션잡지, 문헌자료와 관련 사이트 자료를 참조하였다. 에코디자인과 그린디자인으로 나타난 사례들을 분류하여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특성과 내재적 의미를 파악하고 패션컬렉션에 표현된 메이크업 이미지에 도입하여 메이크업 디자인의 지속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지속가능한 디자인은 21세기의 친환경적이며 미래 지향적인 에코디자인을 의미한다. 환경 친화적 디자인으로서 자연주의, 그린디자인에 이은 개념으로 그 생태 환경 보존과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발전으로 역할이 확대되었다. 건축 디자인, 사진, 미술,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특성은 시간성, 건강지향성, 경제성, 환경친화성, 사회성이 작용한다. 2005ss ~ 2010ss 컬렉션의 메이크업의 지속가능성이 적용된 디자인을 분석한 결과 시간성은 자연 회귀 사상의 느림의 정신이 바탕이 된 내추럴 메이크업과 방향의 자유성와 경계의 모호성을 지닌 회화적 메이크업으로, 건강지향성은 윤기 나는 피부와 햇볕에 그을린 듯한 자연스러움을 표현한 베이지와 브라운 색조의 메이크업으로, 경제성은 단색과 절제의 미를 살린 포인트 메이크업으로, 환경친화성은 친환경적 오브제를 형상화하는 아트 메이크업으로, 사회성은 역사와 문화의 융합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꾀하는 절충성과 복합성을 띈 메이크업으로 나타났다. 이 중 시간성, 건강 지향성, 사회성을 주제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첫째, 흐트러진 머릿결이 만들어내는 곡선으로 느림의 정신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유기농 재배된 곡식을 사용하여 점, 선, 면을 이루어 흐름이 동시에 생성하고 소멸되는 불규칙성을 통해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시간적 특성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둘째, 지속가능한 디자인으로서 생태 환경과 인간의 공존의 미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친환경적 소재를 이용한 작품을 위해 녹색 재생용지를 이용하여 꽃의 잎사귀 부분을 미니멀리즘적으로 속눈썹으로 형상화하였다. 인간 얼굴의 눈의 형태와 구조적 조화를 이루어 인류와 자연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염원을 시각적 아름다움으로 표현해보고자 하였다. 셋째, 선들의 중첩으로 공간 안에서 깊이감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선의 중첩은 시간과 공간의 변화를 가져오고 작가 자신과 그가 표현하고자하는 매개체의 관계, 즉 작가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선들의 중첩과 오가닉 메이크업 트렌드인 민낯의 사진과 디지털 문명의 금속성을 중첩하여 이들의 엇갈림을 통해 복합적이고 절충적인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대한 본 연구자의 생각을 미적인 방법으로 표현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지속가능한 메이크업 디자인은 현대 메이크업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안한다고 볼 수 있다. 지속가능성에 대한 가치와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을 살려 환경과 미래를 바라보는 진보적인 사고와 실용적 가치를 조화시킨 균형적이고 실험적인 정신에서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미래 세대를 위해 잠재되어 있는 메이크업 디자인 영역의 문화적 영향력의 범위가 확대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