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출토 고대 목간

        三上喜孝(Mikami yoshitaka),오택현(번역자) 한국목간학회 2017 목간과 문자 Vol.0 No.18

        본고는 최근 日本에서 出土된 木簡 중에서 주목되는 것을 선택해 소개하고자 한다. 이번에는 『木簡硏究』38號(2016年)에 공개된 埼玉県 川口市 三ツ和 유적에서 출토된 木簡을 소개하고, 더울어 유사한 木簡을 검토함으로써 지방사회에 있던 쌀의 出納簿에 관해 考察하고자 한다. 埼玉県 川口市의 三ツ和 유적은 縄文時代 후기부터 江戸時代에 걸친 복합 유적인데, 2013년에 행해진 27차 조사에서는 平安時代의 井戸에서 54점의 木簡이 출토되었다. 4점의 목간은 원래 曲物로 알려진 大型 木製 食膳具의 밑부분이었던 것을 転用해서 기록했던 것으로 木簡의 用済로 본다면 최종적으로는 井戸의 補強部材로서 재이용되었다. 이들 木簡은 古代의 지방사회에서의 記録簡의 部材로 목간이 어떠한 life cycle을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있게 해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내용은 쌀의 지급과 수납에 관한 출납장부로 추측된다. (1)은 農閑期의 造営 작업에 대한 쌀의 지급을 기록한 것이고, (2)는 봄에 出挙할 때 쌀의 지급을 기록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1)에는 人壽 元年(851)의 기년이 있어, 木簡의 연대가 9세기 중반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木簡과 매우 유사한 성격으로 藤原宮에서 출토된 弘仁 元年(810)年 銘을 가진 초기 荘園의 記録簡을 들 수 있다. 그래서 三ツ和 유적에서 출토된 木簡도 9세기 중반의 初期 荘園과 연관된 쌀의 출납 장부일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by selecting what is particularly noteworthy among Mokkan products excavated from Japan recently. At this time, this study introduces Mokkan excavated from Mitsuwa ruins of Kawaguchi-shi, Saitama Prefecture that was disclosed to the public according to 『Study on Mokkan』 Vol. 38(2016) and at the same time, examines similar Mokkan products and consider the account books on rice in local communities. Mitsuwa ruins of Kawaguchi-shi, Saitama Prefecture is a complex site from the late Jomon period to Edo period. In the 27<SUP>th</SUP> investigation of 2013, 54 Mokkan products were excavated from the wells of the Heian Period. Four mokkan products were recorded by converting the bottom side of the large-sized wooden Sikseongu that was originally known as woodworking(曲物, まげもの). To look at the solvent for mokkan, it was finally reused as reinforced material for wells. These mokkan products are important data because they are helpful for understanding what life cycle mokkan have as member of framework between recordings in ancient local communities. The contents can be guessed based on the account books recording the payment and acceptance of rice. It is thought that (1) is a record of payment of rice during farmer’s slack season and (2) is a record of payment of rice in spring. As (1) has a calendar record for the first year of Insu (851), the era of mokkan can be seen as the mid 9<SUP>th</SUP> century. The most similar thing to these mokkan stuff can be taken as recording of mokkan of the initial manor with inscription in the first year of Hongin (810) excavated from Deungwon palace. Thus it is thought that mokkan excavated from Mitsuwa ruins is likely to be the account book of rice associated with the initial manor in middle of 9<SUP>th</SUP> century at the site.

      • KCI등재

        일본 출토 고대 목간

        三上喜孝(Mikami yoshitaka),오택현(역) 한국목간학회 2018 목간과 문자 Vol.0 No.20

        매년 최근 일본에서 출토된 목간 중에서 주목되는 것을 선택해 소개했지만, 이번에는 목간이 아닌 필자가 조사에 관여한 漆紙文書의 출토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漆紙文書란 古代에 漆의 상태를 양호하게 보존하기 위해 漆을 종이로 덮었는데 이로 인해 그 종이에는 漆이 스며들어 부식되지 않은 상태로 땅 속에 남겨졌던 것이다. 그때에 사용된 종이는 대다수가 문서의 이면서(反故文書)여서 고대문서가 땅 속에서 발견될 수 있었던 것이다. 漆은 상당히 예민한 물질인 반면, 일단 건조되면 어떤 조건에서도 부식되지 않는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漆이 부착되어 있는 물질은 땅 속에서도 부식되지 않고 잔존할 수 있는 것이다. 付着物이 종이 문서일 경우, 漆이 부착된 종이 문서는 부식되지 않고 땅속에 남게 된다. 이렇게 고대의 문서가 발굴조사에 의해 출토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그 조사 사례의 하나인 2017년 秋田県 大仙市의 払田柵跡에서 출토된 漆紙文書를 살펴보고자 한다. 秋田県 大仙市에 소재하고 있는 払田柵跡은 9세기 초에 만들어진 고대 城柵으로, 고대의 행정구역으로 말하면 出羽国에 소재하고 있는 城柵이다. 出羽国에는 秋田城과 雄勝城, 2개의 고대 城柵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 문헌 사료에 남겨져 있어, 払田柵跡이 어느 단계에서는 雄勝城이 되었다고 하는 설이 유력하다. 본 漆紙文書는 원래 漆이 부착된 면을 안쪽으로 하고, 4번 접어서 폐기했다. 해독을 위해 4번 접어졌던 漆紙文書를 펴고, 적외선 관찰에 의해 해독을 실시했다. 그 결과 종이의 양면에 문자가 확인되었다. 한쪽 면(A면)은 秋田城에서 지출한 兵粮의 수량과 狄俘에서 지급한 식량의 수량을 지출할 때마다 기록한 후, 出羽国의 大目(第4等官)이 매번 확인·서명한 장부이다. 出羽国에서 大目의 관직이 두어졌던 天長 7年(830) 이후에 작성되었다고 생각된다. B면은 漆 부착면이기 때문에 문자가 2행 정도만 확인되지만, 官職·位階·人名이 쓰여졌었다고 생각된다. A面과 B面은 쓰여진 문자의 분위기가 다르고, 표면과 裏面이 내용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그래서 어떤 면이 폐기된 뒤 반대 면이 재사용되었다고 생각된다. 이 漆紙文書의 발견에 의해 払田柵에서 秋田城으로 兵粮의 지출이 행해지고 있었던 것과 狄俘(복속시킨 蝦狄)에게 식량을 지급했던 것, 그리고 그것들은 国司의 大目이 관계되어 있었다는 것이 알려지게 되었다. 払田柵에는 出羽国司가 깊이 관련되어 秋田城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 밝혀졌다. 고대 城柵의 기능을 생각해도 흥미로운 자료라고 생각된다. Every year, the author has introduced some of the bamboo strips which were excavated in Japan recently and deemed noteworthy but this year, it is lacquered documents discovered in the investigation the author participated that will be introduced. Lacquered documents (漆紙文書) were preserved undecayed because the paper was coated with lacquer in ancient times. At first, the lacquer was covered by the paper for protection but the paper has been smeared by the lacquer made undecayed. The paper used then was mostly recycled paper from old documents(反故文書) which is now being unearthed in the excavation process. Lacquer is extremely sensitive but at the same time became stronger when dried and incorrodible under any conditions. That is how lacquered materials remain uncorroded even when buried underground. If the material was pieces of paper, documents made of the paper remained intact in the ground. This explains the way ancient document are discovered in the excavation survey. This paper will examine the lacquered document found in the ancient wall of Hotta in Daisen, Akita Prefecture in Japan in 2017. The wall in Hotta was built in the early 9th century and located in the ancient Dewa province. According to historic literature, there had been two ancient castles with a palisade, Akita Castle(秋田城) and Ogachi Castle (雄勝城), in Dewa province; it seems plausible to believe that the wall of Hotta turned into Ogachi Castle at some time in history. This lacquered document had been folded four times with lacquered side facing each other before throwing away. To read the document, it was unfolded and read by infrared observations. As a result, characters were identified on both sides of the paper. A side(Side A) proved to be a document reviewed and signed by Oome(大目, the 4th rank official)of Dewa Province after recording the expense of provisions for the army in Akita Castle and the amount of provisions distributed by barbarians subjugated(狄俘) every time the transaction was made. It is believed that the document was created after Dewa had the office of Oome in the 7th year of Tenchou(830). Side B is lacquered and only two lines of characters are identified; they seem to include public offices, positions, and names. Side A and B have different set of characters and the contents are not connected with each other. It is believed that the back of the paper was recycled after a side had been used and scraped. The discovery of the lacquered document revealed the following: provision was paid from the wall of Hotta to Akita Castle; barbarians subjugated(狄俘) was provisioned; and they were related with Oome(大目) of Kokushi(国司). It showed Kokushi of Dewa was closely connected to the Wall of Hotta and Akita Castle. The findings are particularly interesting given the function of the ancient fortress and palisade.

      • KCI등재

        일본 출토 고대 목간 - 고대 지역 사회에서의 농업경영과 불교활동 -

        三上喜孝(Mikami Yoshitaka),오택현(번역자) 한국목간학회 2020 목간과 문자 Vol.0 No.24

        본고에서는 鳥取県 青谷横木 유적에서 출토된 농업경영과 불교활동이 기록된 木簡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青谷横木 유적은 鳥取県 青谷 평야에 있으며, 고대 官道인 山陰道 유적과 条里制 구조, 많은 목제 제사 용구가 출토되어 주목되는 유적이다. 水陸 교통의 연결 지점이기 때문에 대규모 율령제적 제사가 행해지는 한편 농업경영 및 조세 수취와 관련된 말단 관아가 존재했다고 추정된다. 유적에서는 농업경영과 관련된 木簡이 다수 출토되었다. 먼저 주목할 것은 다양한 종류의 쌀 품종명이 기록된 꼬리표 木簡으로 소위 種子札 木簡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10세기 후반~11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생각되는 다수의 種子札이 확인되고 있다. 이들 木簡에서는 「須流女」 「長比子」 「赤稲」 「赤尾木」 「黒稲」 「嶋丸子」 「伊□子」라는 품종명이 확인되며, 이 중에는 다른 지역 유적에서 출토되었던 種子札에서 확인되는 동일한 품종명도 확인되어, 동일한 쌀 품종이 각지에 전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주목되는 것은 농업 노동 편성에 관한 木簡이다. 다양한 품종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농업 노동력을 관리해야 했는데, 그 기록이 木簡에 남아 있다. 그중에서 모내기 노동력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각지에서 모내기 노동력을 기록한 木簡이 출토되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이 木簡에서 남녀를 나눠 기록하고 있다. 특히 9세기 말 이후가 되면 모내기 노동에 있어서 여성의 비율이 남성에 비해 높게 나타난다는 점이 주목된다. 마지막으로 불교 활동에 관련된 木簡이다. 経典을 서사한 木簡이 출토되고 있는데, 経典을 서사했던 주체가 「宅」이라는 경영 거점을 가진 남녀였던 것도 木簡을 통해 알 수 있다. 농업경영의 거점을 가진 사람들이 그 번영을 기원하는 의미로 불교 활동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었던 양상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talk about mokkan on agriculture and Buddhist activities. Many mokkans have been found in the Ruins of aoyayokogi(青谷横木) that describe agricultural management. First, a label mokkan with various kinds of rice variety names was found, and second, a label mokkan related to agricultural labor formation was found. Third, mokkan involved in Buddhist activities was also discovered. Thus, it has been confirmed through mokkan that the Ruins of Aoyayokogi(青谷横木) is a site of diverse character.

      • KCI등재

        일본 출토 고대 목간

        三上喜孝(Mikami yoshitaka),오택현(번역자) 한국목간학회 2016 목간과 문자 Vol.0 No.16

        본고에서는 최근 일본에서 발견된 고대 목간 중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을 선택해, 그 내용과 의의를 소개하고자 한다. 여기에서는 2014년에 발견되어 『木簡硏究』37호(2015년) 등에 공표되었던 京都府 · 平安京左京九条 三坊十町(施薬院御倉跡) 출토 목간에 대해서 소개한다. 목간의 출토지점은 平安京의 左京九条 三坊十町에 해당하고, 鎌倉時代의 古文書에 의하면 「施薬院御倉」이 있었던 장소다. 施薬院이란 仏教思想에 기반해서 병자에게 약을 시행하고, 치료를 행했던 시설이다. 발굴조사에 의하면 平安前期와 後期의 연못이 검출된 것 외에 平安時代 末期부터 鎌倉時代까지의 건물지 등도 검출되었다. 이 중 9세기 초에 속하는 연못에서 16점의 목간이 출토되었다. 비교적 명확하게 문자가 확인되는 목간 중에는 武蔵国(지금의 東京都와 埼玉県 지역)이 施薬院으로 薬物인 蜀椒 一斗를 진상했을 때 사용된 荷札木簡(꼬리표 목간)과 「六物干薑丸」라고 하는 薬物 이름이 쓰여진 목간, 그리고 施薬院의 田에서 耕作에 종사했던 「客作児」(고용노동자)의 사망을 기록한 목간 등이 있다. 이것들은 9세기에 있어서 施薬院의 실태를 알려주는 것으로 모두 귀중한 내용을 담고 있는 자료이다. 한국 출토 목간과의 관련으로 본다면 백제의 수도가 있던 부여 泗泚城의 東羅城 大門 부근에 위치한 陵山里寺址에서 출토된 「支薬児食米記」라 불리는 목간이 떠오른다. 고용노동자를 「○○児」로 부르는 용례는 한반도와 일본열도에 공통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고, 더욱이 모두 의료관련 시설에 관련된 사례가 확인되는 것은 우연이라고는 하지만 흥미로운 것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고고자료로서의 목간(木簡)

        三上喜孝(MIKAMI Yoshitaka) 한국고대사학회 201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7

        본 원고에서 부여 된 과제는 역사학의 사료로서 활용되는 경우가 많은 목간을 본래의 속성인 고고자료로서 새롭게 파악하고, 이를 위한 연구방법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한국에서는 최근, 각지에서 목간의 출토가 확인되고 있으며, 문헌사료가 부족한 고대사 연구에 있어, 금석문과 나란히 1차 사료로서 주목받고 있다. 일본에서도, 목간이 고대사연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자료라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으며, 목간이 지하에서 출토 된 고고자료라는 점에서 나타나는 성격이나, 당시 사회의 문맥 안에서 사용되어 온 성격을 고려하지 않고서는, 역사자료로서 충분히 활용하는 것은 곤란하리라 생각한다. 그러므로 당연히, 종래의 문헌사료와는 다른 연구 방법을 체득하였을 때 처음으로, 목간을 마주 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원고에서는, 그 하나의 예로서, 목간의 제작 기법과 폐기의 문제에 주목한다. 우선, 목간의 제작 기법의 해명은, 목간을 제작한 주체를 추정할 때에, 큰 의미를 가지는 것이, 일본의 목간연구로 밝혀져 있다. 한편, 목간이 폐기되는 때는, 목간이 본래의 역할을 끝낸 뒤, 2차적으로 이용당해서 폐기될 경우가 많아서 목간의 내용과 출토 유구의 성격이, 반드시 대응하지 않는 것을 안다. 이렇게 해서 목간은 그 문자내용뿐만 아니라 고고학적인 검토를 하지 않으면 정확한 의미를 파악할 수는 없다. 그 때문에의 방법론의 공유가, 연구자에게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동(東)아시아의 법규범(法規範) 전파의 실태와 출토문자자료(出土文字資料)

        三上喜孝 ( Mikami Yoshitaka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99 No.-

        본 논문의 목적은 동아시아문화권에서 법규범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전파해 나갔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동아시아에 율령법이 확산되었던 사실은 알려져 있는데, 율령의 법체계에는 나타나지 않은 다양한 법규범도 동아시아에는 존재하고 있었고, 그것들은 목간 등의 출토문자자료의 검토를 통해 분명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구체적인 사례로서 율령법 도입 이전의 한반도와 일본열도에 널리 사용된 `某の前に申す`라는 형식의 `前白木簡`, 또한 곡물을 빌려주는 출거제도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율령의 규정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으나 실태로서는 고대 한반도와 일본열도에서 널리 행해진 법규범이라고 말할 수 있다. 금후 새롭게 발견되는 한국출토목간 중에 동아시아의 법규범의 전파 문제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실마리가 될 자료가 나오게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it clear how a legal model was spreading in the East Asia. We know a way of the legal codes of ancient China to have spread in East Asia. But the various legal models which don`t show also existed in legal system of the legal codes of ancient Japan in East Asia. A study of wooden documents made it clear that the legal model has existed which is not existed in the legal codes of ancient China in ancient Korea and Japan. In the future, a study of Korean wooden documents would offer the key which elucidates how a legal model spread in East Asia.

      • KCI등재

        일본 출토 고대 문자자료 - 秋田県 秋田城跡 111次 調査 出土 具注暦 기재 漆紙文書-

        三上喜孝(Mikami Yoshitaka),오택현(번역자) 한국목간학회 2019 목간과 문자 Vol.0 No.22

        본고는 매년 최근 일본에서 출토된 목간 중 주목되는 것을 선택해 소개했지만, 이번에는 작년에 이어서 필자가 조사에 관여한 漆紙文書의 출토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秋田城이란 秋田県 秋田市에 있는 고대 城柵으로 山形県 庄内地方에 있던 出羽柵을 733년(天平5)에 이동시킨 것이다. 8세기 후반에는 出羽国府를 두었다고 하는 견해가 있다. 秋田市 教育委員会에 의해 발굴조사가 진행되었고, 최근 조사에서 漆紙文書, 木簡, 墨書土器와 같은 유물에서 문자자료가 대량으로 확인되었다. 2018년 111차 조사에서는 秋田城의 西門 유적지 부근에서 발굴된 토기에 부착되었던 漆紙文書가 출토되었다.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해 조사해 보니 고대 具注曆의 일부가 확인되었다. 具注暦이란 지금의 달력인데, 暦日을 표시한 것 이외에도 日의 干支, 納音, 十二直, 節気, 七十二候, 吉凶과 禍福 등의 暦注를 적어 놓은 暦이었던 것이다. 고대 일본에서는 具注暦이 매년 중앙정부의 陰陽寮에서 작성되어 中務省을 거쳐 諸司·諸国에게 배포되었다. 그러나 頒暦의 실태는 諸国에서 雑掌들이 都에 가서 서사해 가지고 왔다고 생각된다. 国府에 준비된 具注暦은 다시 동일하게 서사되어 国府 내의 기관과 国分寺 그리고 郡家 등에도 구비되었을 것이다. 具注暦의 서식은 일반적으로 상 · 중 · 하 3단으로 되어 있다. 상단에는 日付 · 干支 · 納音 · 十二直, 중단에는 24절기와 七十二候, 하단에는 暦注와 吉事注 등을 기재했다. 고대의 具注暦은 각지에서 漆紙文書의 형태로 출토되고 있다. 正倉院 文書에서 전래된 3개의 사례를 포함해 具注曆은 이제까지 15건 정도 확인되고 있다. 이번에 출토된 秋田城 111차 조사 출토 漆紙文書는 남겨진 문자 정보에서 宝亀 9년(778) 具注暦으로 4월 30일~5월 3일 부분일 가능성이 높다. 이것은 漆紙文書가 부착되어 있던 토기의 연대와도 일치하는 연대관이다. 秋田城跡에서는 天平宝字 3년(759)의 具注暦 漆紙文書가 발견되었고, 기록된 具注暦은 儀鳳暦이다. 하지만 이번에 발견된 778년 暦은 大衍暦이여서 하나의 유적에서 儀鳳暦에서 大衍暦까지의 具注暦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귀중한 자료라고 생각된다. 또 잘못 서사되었다고 생각되는 부분도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秋田城이라는 官司에서 具注暦이 2차로 서사되었을 가능성도 엿볼 수 있다. Akita Castle(秋田城) is an ancient a fortress and a palisade(城柵) in Akita, Akita Prefecture(秋田県), and an excavation was conducted by the Akita City Education Committee(秋田市教育委員会). In the 111th survey in 2018, Lacquered documents(漆紙文書) were unearthed near the west gate of Akita Castle(秋田城). An infrared(赤外線) camera showed that some of the ancient Juzhuli(具注曆, annotated calendar) were identified. The form of the sphere force is generally in three stages: top, middle, and bottom. The 111st Akita Castle(秋田城) 111th investigation of the Lacquer Paper document is highly likely to be the part of the calendar from April 30 to May 3. The 778-year-old calendar, which was discovered this time, is a valuable reference to the transition from the Giho calendar(儀鳳暦) to the Taisho calendar(大衍暦) in one site.

      • KCI등재
      • KCI등재

        古代日本における人面墨書土器と祭祀

        三上 喜孝(Mikami Yoshitaka)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1 동서인문 Vol.- No.16

        고대 일본에서는 8~9세기 유적을 중심으로 토기에 사람의 얼굴을 그린 토기(人面墨書土器)가 다수 출토되었다. 소월리 유적에서 출토된 얼굴 장식옹의 의미에 대해 생각하는 참고로 일본의 고대 유적에서 출토된 인면 묵서 토기에 대해 기존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먼저 출토 유적의 특징으로는 수도의 유적과 지방의 관청 유적에서 출토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수도나 지방의 관청을 역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그 네 구석이나 경계 부근에서 거행된 제사와 관련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수도나 지방 관아 외에는 취락에서 출토된 사례도 있다. 東일본에 존재하는 취락 유적의 경우 인면 묵서와 함께 개인명이나 그 본관지가 기록되어 있는 사례가 있는데, 이는 개인의 연명 기원을 위한 제사에서 이용되었을 가능성을 말해 준다. 다음으로 인면 묵서를 그리는 방법의 특징을 살펴보면, 그 대부분은 토기 측면에 正方向으로 그려져 있다. 또한 토기의 측면을 둘러싸듯 인면을 여러 개 그린 경우가 많다. 이는 정방향으로 놓인 인면 묵서 토기에 술과 음식 등을 담아 역병의 신에게 바쳤다는 것이나 어느 방향에서도 인면이 볼 수 있도록 고안하여 그렸음을 말해 준다. 그려져 있는 인면은 수염을 기른 남성이 많은데, 이는 도교(Taoism) 기호적 회화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경계 밖에서 몰려오는 역병의 신을 쫓아내기 위해 식사를 올리면서 그때 인면 묵서 토기가 사용되었던 것이다. 이상을 토대로 경산시 소월리 유적의 인면 장식옹과의 비교를 시도해 보면 공통점으로는 토기의 측면에 인면을 표현하였다는 점이나 어느 방향에서도 인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는 점이 일본의 인면 묵서 토기의 특징과 유사하다. 결정적인 차이는 소월리에서 출토된 인면 장식옹은 미리 인면 장식을 한 후에 燒成된 반면, 일본 고대의 인민 묵서 토기는 소성 후의 토기에 墨으로 인면을 그렸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일본 고대의 인면 묵서 토기와의 관계성에 대해서는 더욱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The finds unearthed at the Sowol-ri 所月里 site in Gyeongsan 慶山, Korea, include, in addition to wooden documents, a pot decorated with human faces on three sides. Until now, only a few examples of pottery with human faces have been found in Korea; thus, the discovery of pottery with no practical use may be significant for consideration on the nature of this site. In Japan, many pots with human faces painted in ink have been unearthed, mostly at sites dating from the eighth to ninth centuries. As reference for the consideration of the meaning of the Sowol-ri pot, I wish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literature on ink-painted human face pots that have been unearthed at ancient sites in Japan. First, a distinctive feature of these sites is that many of them are the sites of former capitals or regional government offices. The pots probably have connections with religious rites that were performed at the four corners of such sites or near their boundaries in order to protect the capital or the regional government office from an epidemic. Apart from capital cities and regional government offices, there are also examples of pots that have been unearthed at the sites of former settlements. Sites of eastern Japan also provide instances in which an individual’s name and place of living had been inscribed together with the ink painting of the human face. This suggests that such pots may have been used in religious rites to pray for the prolongation of the person’s life. In addition, there are characteristic features regarding the way the faces are painted. Faces are mostly painted frontally and the same face is often painted several times around the sides of the pot. These characteristics show that these pots, which were placed with the human face on the front and filled with wine or food, were offerings to the epidemic god, and that they were made in a way to ensure that the human face could be seen from any direction. The human faces often represent bearded males, and it is very likely that they were influenced by the symbolic paintings of Taoism. Meals were offered in order to ward off the epidemic god who came from outside the limits of the locality in question. Ink-painted human face pots were used on such occasions. The comparison between these Japanese pots and the pot adorned with human faces from the Sowol-ri site shows great similarity in the depiction of the human faces on each side of the pot in such a way that the human face can seen from any direction. However, there is a determining difference in that the Sowol-ri pot was fired after the human faces had been added, whereas ancient Japanese pots were fired before the human faces were painted. Based on this fact,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establish whether or not there are any connections between the Sowol-ri pot and the ancient Japanese pots.

      • KCI등재

        한일 목간에서 본 고대 동아시아의 의약문화

        三上 喜孝(Mikami Yoshitaka)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1 동서인문 Vol.- No.17

        본고의 목적은 한국 경주시 월지에서 출토된 약물명을 쓴 목간을 출발점으로 하여 고대 일본의 의약문화를 주로 한반도와 비교하면서 고찰하는 것이다. 경주 월지는 신라 시대 왕궁 추정지인 월성 동북에 인접한 연못이다. 1975년에 시작된 발굴 조사로 8세기쯤의 목간 30점 이상이 출토되어 그 중 1점에 약물명을 쓴 것이 확인되었다. 목간에는 여러 가지 약물명을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주목되는 것이 ‘藍淀’이다. 이와 관련되는 약물로 8세기 지지(地誌)인 『出雲國風土記』나 10세기 법제사료인 『延喜式』에 ‘藍漆’이 보인다. 고대 일본에서는 일반적인 약물이었다. ‘藍淀’은 중국 명대의 李時珍이 편찬한 『本草綱目』에 ‘藍澱’이 있고 ‘藍淀’이라고도 한다고 한다. 쪽을 물에 담그고 석회를 넣고 잘 저어서 가라 앉은 것이 藍淀(澱)이고 윗부분을 青黛라고 한다. 다음에 ‘藍漆’에 관해서는 고려 고종시대 13세기 후반에 편찬된 『鄕藥救急方』에 藍漆 本名藍藤根, 味辛, 温, 本草云, 生新羅, 八月採, 乾 라고 하여 중국에서 수입된 약이 아니라 한반도에 자생하며 민간에서도 입수할 수 있는 약이었다. 이렇듯 ‘藍漆’은 한반도에서 자생하는 쪽을 이용한 약물로 예부터 알려져 있었다. 고대 일본에서도 『延喜式』에는 지방에서 왕도로 공진하는 약물로 ‘藍漆’이 많이 보인다. 공진하는 지역의 특징으로는 한반도에서 온 도래인이 일찍부터 집주한 지역이 많고 藍漆의 지식이 한반도 도래인이 가져온 것이 관련된다고 생각된다. 고대 일본의 의약문화는 중국에서 직접적으로 수입된 것이 아니라 문자나 불교 등 다른 문화처럼 한반도 의약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일본 고대 문헌 사료에서 널리 확인되는 ‘藍漆’이 중국의 본초서에는 거의 안 보이는 데 대해 한반도 의약서에서 확인되는 약물인 것은 그것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medicinal culture of ancient Japan, chiefly in relation to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a wooden tablet that has recorded the names of several medicinal substances and which has been unearthed at Wolji 月池 in Gyeongju 慶州, Korea. Wolji is a pond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northeast Wolseong 月城, which is thought to have been the site of a royal palace during the Silla period. More than thirty wooden tablets dating from around the eighth century have been unearthed in the course of excavations that began in 1975, among which one lists various medicinal substances. It has been possible to ascertain the names of several medicinal substances and this paper focuses on namjeong藍淀 in particular. A related medicinal substance known as namchil藍漆 is mentioned in the eighth-century Japanese regional gazetteer Izumo no kuni fudoki出雲国風土記 and the tenth-century collection of government regulations Engi shiki延喜式. In ancient Japan, namchil was a rather common medicinal substance. The Bencao gangmu本草綱目, compiled by Li Shizhen 李時珍 during the Ming period in China, mentions landian藍澱, with a note that it was also written landian藍淀. According to this work, the leaves of the indigo plant were soaked in water, to which lime was added and stirred in. The sediment was called landian and the clear layer of fluid qingdai青黛. Next, the Hyang’yak gugeub bang 郷薬救急方, which was compiled in the second half of the thirteenth century during the reign of Gojong (高宗) of Goryeo, includes the following entry on namchil : 藍漆 本名藍藤根、味辛、温、本草云、生新羅、八月採、乾 This tells us that namchil was not imported from China, the indigo from which it was made grew in the wild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t could also be obtained by the general populace. Thus, namchil was widely known from ancient times as a medicinal substance made from the wild indigo that grew on the Korean peninsula. Similarly, in ancient Japan, namchil (Jp. ranshitsu) is frequently mentioned in the Engi shiki as one of the medicinal substances that were sent as tribute from the provinces to the capital. A distinctive feature of the regions that were sending it is that many of them were localities where migrants from the Korean peninsula had settled from an early stage, which means that knowledge of namchil was brought to Japan by migrants from the Korean peninsula. The medicinal culture of ancient Japan was not only imported directly from China, but just as other cultural aspects including writing and Buddhism, it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Korean culture, in this case the Korean medicinal culture. This is evidenced by the fact that namchil, which can be widely ascertained in textual sources of ancient Japan, is seldom mentioned in Chinese pharmacopoeias but can be verified in Korean medical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