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 연극공연에서 전통설화 활용 연구

        신원기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Modern society has developed into a sociocultural society through a revolutionary change and is now known as the Hyper-Connected Age. The biggest issue facing the 21st century is the COVID-19 Pandemic which has led us to have different transition from the Contact Age to another paradigm. This fast change has affected the human society, heavily influencing its’ art and culture. The perspective and usage of performing arts now aim to gain new communicating method in order to get ready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order to develop traditional culture these days, it needs to be seen in various perspectives which will result in new values of culture through combining and blending. In this study Korean Traditional Folk Tales were - ii - used to understand the new paradigm of preserving and developing traditional culture. The folk tales’ cultural and artistic characteristics were used to form a written script which was then developed into a play to be performed on a stage. The study suggests new ways of looking at the method of preserving and developing traditional culture as a new demand that is required in the modern society. The traditional folk tales <Dong Dong Nakrang Dong>, <Dal-a Dal-a Balguen Dal-a>, <Guryungyi Sinrang> were reconstructed into a written script play that meets the needs for the current era. <Dong Dong Nakrang Dong> which focused on the beauty of the Koguryo’s culture was mainly used for a stage art. The interactive communication method of combining cultural heritage into the theater art together suggests new ways of preserving cultural assets. The attempt of the expansion of cultural space allowed people to experience cultural heritage easier than by only seeing it in a museum. The study focused on how people can preserve the cultural assets in daily life through popular art. <Dal-a Dal-a Balguen Dal-a> was used as a method of preserving the traditional culture through community theater. The amateur members were involved in every part from making the play, props and performing it. This community art is a new form of a practical art. Letting a variety of people communicate and feel their cultural heritage easily in daily life. Through this project a ‘new way of preservation’ was formed. <Guryungyi Sinrang> was transformed from being a traditional folk tale into a drama play. New attempts were used in order to use traditional elements as little as possible helping the viewers to imagine more through a Minimalism Performance. This experiment made people experience culture through imagination expending their thoughts about - iii - culture more than just seeing it only with their eyes. The new attempts of experimental theater work with traditional culture guided new ways to preserve Korean Traditional Culture. Korean culture can be used as an entertainment method which can be known as the K-Tradition with ‘well-made’ and ‘interesting contents’. As the study progressed it can be seen that fast digitalization keeps on changing the ways of performing arts in many ways. It breaks the existed method and a whole new level of online performance is on the market already. The development of the new Paradigm is a must in this new noncontact society. Therefore, the study must continue with new approaches taken as culture and our civilization is constantly changing. 초연결시대(Hyper-Connected Age, 超連結時代)가 가져온 혁명적 변화의 추동(推動)으로 현대사회는 새로운 사회문화적 환경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21세기 초두(初頭)의 가장 큰 토픽으로 기록될 코로나19(COVID-19) 팬데믹(Pandemic) 현상은 컨텍트(Contact) 시대의 새로운 전환을 앞당기며 인류사회의 문화예술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환경에 나타나는 문화적 현상의 흐름에 따라 공연예술의 관점이나 방식 역시, 첨단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을 통한 공연예술 환경의 전환을 지향하면서 4차 산업혁명시대의 실험을 시작하고 있다. 현대는 한국 공연예술의 발전적 성장을 위해 다양성과 보편성을 내포하고 있는 전통문화의 융 ‧ 복합을 통해 확장된 장르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내는 창의적 사고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민족의 고유한 문화적 자산으로 한국문화의 원형을 담고 있는 ‘신화(神話)’에서 문화 ‧ 예술적 특성을 살려 텍스트로 활용하고 연극공연에 접목하여 각기 다른 관점으로 본 전통의 활용과 보존 측면의 실험적 연극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신화적 내용을 기반으로 한 <둥둥 낙랑둥>, <달아달아 밝은 달아>, <구렁이 신랑> 등 세 작품의 연극공연을 통해 전통의 재해석과 창조의 과정을 살펴보고 현대사회의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새로운 문화 수요에 대비한 방안을 마련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둥둥 낙랑둥>은 작품 속의 배경이 되는 고구려 시대의 독창적인 미를 담은 문화유산을 연극무대에 활용하였다. 인터랙티브(Interactive)의 개념을 광범위한 소통의 방식으로 확장하여 연극공연에 문화유산을 접목함으로써 문화유산의 보존에 새로운 시도와 변화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이러한 실험적 연극공연을 통해 박물관의 전시공간과 같은 시각적 무대미술로 전시공간의 개념에 대한 확장을 시도하였다. 또 문화유산을 유물로서의 가치 보존보다 대중예술을 통한 일상적 향유(享有)로 대중과 소통하는 새로운 문화유산 보존의 방안 연구에 주안점을 두었다. <달아달아 밝은 달아>는 예술의 고유 가치와 소통의 가치로 교류하는 시민연극으로 제작하였다. 아마추어 단원들로 구성하여 연기연습과 무대를 준비하는 전 과정에 참여하면서 만든 커뮤니티 아트(Community Art)의 개념을 도입한 실용예술로서의 실험극이다. 특별하고 전문적인 공연예술의 형태를 갖추지 않더라도 전통을 실생활에서 접하는 기회를 만들어 줌으로써 전통문화에 대한 다양한 계층의 관심을 유도하는 것이 전통의 활성화를 위한 실천방법의 모색이다. <구렁이 신랑>은 전통설화를 소재로 한 전통극이나, 최소한의 전통적 요소만 차용하여 극 중 다양한 포인트로 활용한 작품이다. 절제된 전통의 본질적 표현으로 관객의 더 많은 상상력을 요구하는 미니멀리즘(Minimalism) 형식으로 공연하면서 실제로 보여 지는 것 보다 더 풍성한 유보된 의미를 관객과 만나게 하였다. 이는 새로운 연극적 경험과 함께 전통극의 외연(外延)확장에 주목한 미니멀리즘 전통실험극이다. 이러한 다양한 전통실험극 연구를 통하여 문화의 세계화 속에 우리가 지켜야 할 한국 문화원형의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를 확보하였다. 한국 아티스트만이 가지는 K-트레디션(Tradition)으로 대중의 관심을 이끌어 내는 ‘웰 메이드 작품’과 ‘흥미로운 콘텐츠’를 창출하는 것이 전통의 보존을 위한 노력이다. 본 연구를 지속하는 중에도 디지털 플랫폼이 빠르게 전환되는 새로운 시대의 도래는 문화 · 예술의 전통적 공식을 깨고,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방식의 온라인 공연이 진행되고 있다. 더욱 더 발전된 신기술의 활용은 언컨택트(Uncontact) 사회의 공연예술에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을 구축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시대가 만들어낸 새로운 문명에 맞추어 변화하고, 배우며, 또다시 성장하는 기회를 만들어내기 위해 끊임없는 도전과 실험의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 무대공간에서의 고구려 문화재 활용에 관한 연구 : 최인훈 희곡「둥둥 낙랑 둥」을 중심으로

        신원기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of using Koguryo’s cultural assets on theater stage contains new way of protecting the cultural properties on this modern society we live in today. To approach better for the people instead of cling to the traditional way of just showing cultural assets itself on museum or on written material the cultural assets were produced it on stage for the people to feel the culture more easier way and moreover having them to think about protecting the cultural assets through unconsciousness throughout the play. To do so Koguryo’s creatively beautiful cultural assets were reborn as stage art and dissolved well with the playwriting. Koguryo was a strong ancient country in East Asia which was multicultural. It means the country was a multiracial nation and because of that complexed environment had to be interacted among people. This strong and unique one culture was made through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different kinds in the society. To look in deeper Koguryo’s unique ancient tomb mural is a one big mixture of artistic space of how they absorbed foreign culture and reproduced it by elaborating in their own ways as the evidence. It contains the key information of the time and space of the Koguryo that age. This fascinating collaboration of the culture is perhaps trying to communicate past to the future. In this 21st century people digitalize records and bits of the ancient currencies as new technology system called blockchain. Likewise the past and the present is very relevant and cannot be dealt separated as different matter. A lot of Korean culture’s fundamental was found in Koguryo time period. To indicate this importance of using and protecting the traditional heritage the study needed to approach in new ways. Due to fast growing technology and media for easier and broader understand for people this study used the cultural assets as new entertainment content. To make a new content for protection of the traditional heritage the studier used the Koguryo’s culture as a motive and reinterpreted Korean tale about prince Hodong and princess Nakrang reproducing a play called ‘Dong dong Nak rang dong’. This attempt is an eye-opening progress in this field which suggests new system for protecting the traditional assets. The importance comes from keeping the traditional ways and at the same time wanting the people to understand and feel in modern view. The study doesn’t stop at protecting Korean culture only. Even though the story is about the Korean society and culture if we look deeper inside the basic spiritual ceremony contains similar bond and sympathy of human beings all over the world. The process of new attempt of bringing ancient heritage to entertainment field will help the people who live in present day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past and deeply think about how to pass on to the future. 고구려 문화재의 무대공간에서의 활용에 관한 연구는 고구려 문화재의 독창적인 아름다움을 극작에 맞게 재창조하여 무대미술의 역할을 수용하고, 일반적인 문화재보존방식에서 벗어나 대중예술 속에서 관객의 의식을 통한 보존방법이라는 현대적 관점에서 본 새로운 소통의 보존형식을 시도해 보았다. 고구려는 고대 동아시아의 강국으로 다민족국가이며 복합적 환경으로 다양한 생활방식을 가진 사회로 보편적 이해와 수용을 거쳐 문화의 다양성과 포용력으로 독자적인 개성과 함께 높은 문화수준을 보여준다. 특히, 고구려 고유의 무덤양식속의 고분벽화는 외래문화의 수용과 고구려식의 재창조과정을 통해 그 시대의 시공간을 그대로 옮겨와 모든 정보를 담고 있는 복합적인 예술의 공간으로 과거와 현대를 잇는 대화의 통로를 열어주고 있다. 수 천년전 고대화폐의 기록과 조각을 디지털화한 블록체인기술이 현대에서 활용되듯이 우리는 고구려 문화에서 수많은 한국문화의 원형을 찾을 수 있다. 본연구자는 이러한 소중한 전통문화유산을 보존함에 있어 대중과 소통하고 공유하기 위해 콘텐츠적으로 다가가기위한 새로운 시도와 변화의 필요성을 본 연구를 통해 학문적으로 접근해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문화의 창조적 재해석의 관점에서 한국의 설화를 소재로 한 호동왕자와 낙랑공주의 이야기 『둥둥 낙랑 둥』작품을 통하여 고구려 문화재를 모티브로 무대화에 새롭게 활용하여 보았다. 이러한 시도는 현대의 괄목할만한 기술에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를 접목시켜 대중예술에 역사 속 신화와 문화재를 응용함으로써 대중속의 예술로 승화시켜 전통문화를 보존하는 방식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한국의 설화나 문화는 한국적인 정서를 바탕으로 하지만 그 원초적 의식이나 상상의 원형은 인류의 보편적 공감대를 형성하므로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독창적인 문화예술로 모두에게 감동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둥둥 낙랑 둥』작품 속에 나타난 고구려 문화재를 활용하여 무대화하는 과정을 통해 문화재가 현대공연문화와 대중예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한바, 민족의 역사와 문화·예술의 혼이 담긴 소중한 문화유산을 과거와 현재, 미래로 지속적으로 전해질 수 있도록 응용되고 장려되어 권장되어야 할 것이다.

      • ER 햅틱 마스터와 연동되는 수술용 로봇 시스템의 설계 및 제어

        신원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ER(Electrorheological)유체를 이용한 최소침습수술(Minimally Invasive Surgery)용 4-DOF 햅틱 마스터(Haptic Master)와 연동되는 슬레이브(Slave) 로봇 시스템을 제작하고,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슬레이브 로봇의 위치제어 성능과 햅틱 마스터의 힘반향 제어 성능을 고찰하였다. 21세기 로봇 기술 분야에서는 오감을 통함 인간과 기계간의 커뮤니케이션과 원거리 환자를 위한 원격제어 기술은 무엇보다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다. 현재 오감 중에서 촉각에 관한 인터페이스는 자동차, 가상현실, 의료시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 개척되고 있는 분야이며, 원격 제어 기술과 소형로봇 연구는 무인도, 전쟁터나 우주선 등과 같은 의료를 받기 어려운 곳의 의료시술을 제공하기 위한 원격제어 및 소형로봇 연구 또한 활발히 연구 개척되고 있다. 따라서, 원거리 환자에게 의료 공급을 위한 의료용 마스터와 슬레이브 로봇에서의 촉감 구현은 매우 시급한 문제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 위한 원격제어 수술에 이용되는 마스터와 로봇에서 고도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실현하기 위한 새로운 햅틱 작동 메커니즘과 그에 부합하는 슬레이브 로봇의 원격제어 기술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실제 수술도구의 4-DOF 움직임을 쉽게 구현하기 위하여 짐벌 조인트(Gimbal Joint)를 사용한 새로운 메커니즘을 고안하여 슬레이브 로봇을 제작하고, TCP/IP통신을 사용한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햅틱 마스터와 슬레이브 로봇의 연동하였으며, ER 유체를 이용한 햅틱 마스터의 힘반향 제어성능과 슬레이브 로봇의 위치제어 성능을 평가하였다. In this research, 4-DOF haptic master device using electro-rheological (ER) fluid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IS) is proposed and integrated with a slave robot via TCP/IP communication. The slave robot has been designed to evaluate the control performance. In order to easily follow the 3-DOF rotational motion and 1-DOF translational motion of haptic master, novel mechanism of slave surgical robot with gimbal joint was devised and it has been manufactured and mounted at the end of the slave robot arm. The haptic master and slave robot system for MIS is connected via TCP/IP communication, respectively. In order to obtain the desired force and position trajectory, haptic master and slave robot are implemented, in which the repulsive force is controlled by SMC controller and position tracking is controlled by PID controller. Through the haptic master movement, repulsive force is measured and ER fluid is applied filed of voltage. The repulsive force can feel via the haptic master. The slave robot is well operated along the desired position of haptic master. Also, the repulsive force is well tracked. The tele-operation haptic master and slave robot system for MIS will be contributed to the remote places of patients. Also, this technology can be applied not only the medical industry but also virtual reality, game, online shopping and remote control robot. So the proposed technology can make tremendous effect for social/cultural side.

      • 빅데이터와 기계학습을 활용한 서울시내 거점오피스 선정

        신원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종업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자기개발을 도모하여 개개인의 업무효율성과 기업의 생산성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거점오피스를 선정하였다. 선정을 위해 종업원의 삶의 질과 자기개발에 해당하는 요소들을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하였으며 통신사와 지자체의 생활인구 데이터에 기초한 행정동 간 통근시간 및 인원 데이터를 비롯하여 학습시설, 여가시설, 유흥시설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서울을 비롯하여 서울과 맞닿은 8개 도시, 총 575개 개체데이터(행정동)를 대상으로 수집된 각각의 데이터는 삶의 질과 자기개발 여건으로 범주화하여 가공하였다. 최적의 클러스터 값 K를 결정하기 위해 Elbow Method로 클러스터의 수의 변화에 따른 클러스터 내 오차제곱합의 변동을 관찰하였으며 K=3을 최적의 클러스터 수로 설정하였다. 삶의 질과 자기개발 여건으로 범주화된 RED, GREEN, SKY 전반의 현상지표는 각 클러스터 내 개체데이터(행정동)들의 위도와 경도에 맞춰 변환하는 과정을 거쳤다. 변환을 거친 RED, GREEN, SKY의 현상지표를 토대로 거점오피스 후보지를 선정하였다. 클러스터링 결과, SKY(도심지에서 강남-판교), GREEN(도봉에서 송파까지 이어지는 서울 동부지역), RED(관악에서 강서를 중심으로 한 서울 서부지역)로 구분되는 클러스터를 확인하였다. 클러스터별 거점오피스 후보지로 RED는 합정역 7번 출구 일대, GREEN은 구의 2동 아차산역 3번 출구 일대, SKY는 문정-장지 구간을 선정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