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년 세대’ 담론의 젠더화를 위한 시론

        배은경(Bae, Eun-Kyung)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5 젠더와 문화 Vol.8 No.1

        이 글은 한국 청년 세대 담론이 가진 남성중심적 한계를 극복하고 오늘 /여기 청년기 인구집단이 가진 다층성과 이질성을 포착하기 위해, 남성성 연구의 성과를 활용하여 청년 세대 담론의 젠더화를 시도한다. 최근의 청년 세대 담론은 청년층을 몰젠더적인 남성인 것처럼 표상하고, 그들의 위기와 좌절을 젊은 남성들이 표준화된 근대적 남성 생애주기 과제를 달성하기 어려워진 것에서 찾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한국사회에서 정상가족의 표준이나 근대적 성별분업은 상당부분 이미 해체, 변형되고 있으며, 따라서 청년 세대에 대한 담론이 여전히 이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 것은 불합리하다. 생애가족임금을 전제로 하는 ‘1인 생계부양자’와 근대적 핵가족이 약화되는 가운데 일상문화의 소비주의는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의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대체할 대안적 남성성은 등장하지 않고 있다. 최근 젊은 남성들 사이에 좌절과 불안, 분노를 더욱 증폭시키고 있는 요인을 여기서 발견할 수 있다고 본다. This paper aims to provide theoretical tools for gendering the discourse on the ‘young generation’ in Korea, using the language of masculinity studies. Most of the existing ‘young generation’ discourse tends to represent this generation as young men who are failing to achieve the tasks set for them in the standard male life-cycle script of the modern family. Difficulties in securing a stable income and employment and the subsequent impossibility of holding the position of ‘the sole breadwinner’ in the family are considered as the main causes of young people’s frustrations and crises. However, the standards of the normal family and modern division of labor by gender have been weakening in Korea since the Asian financial crisis of 1997, necessitating new visions for young people’s lives. However, as long as modern gender relations are reconstructed along the lines of the modern stereotype, while consumerist culture continues unchecked, no alternative masculinities that can replace the old hegemonic masculinity will appear. It is proposed that this is the main reason for the amplification of frustration and anxiety among young men in Korea today.

      • KCI등재

        20~30대 남성들의 하이브리드 남성성

        김엘리(Elli Kim) 한국여성학회 2020 한국여성학 Vol.36 No.1

        이 연구는 20~30대 남성들의 좀 다른 남성성 수행을 근대 남성성과는 다른 변화라고 보고 그 특성과 의미를 하이브리드 남성성의 개념으로 탐색한다. 한국사회에서 근대 남성성은 가장으로서의 생계부양자(경제)와 군인으로서의 국가안보주체자(군사)가 결합된 씩씩한 군사적 남성성이라면, 2000년대 이후에는 부드럽고 스마트한 자기경영자로서의 남성성 담론이 등장한다. 한편으로 분단사회에서 남성만의 병역의무제는 근대적 군사안보 통치와 신자유주의 자기경영주체의 자유 추구 사이에 모순을 일으키며 문화 격차를 내는데, 이 격차는 국가안보의 강한 통치와 더불어 군의 자기계발 정책 안에서 개인의 이익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봉합된다. 20~30대 남성들은 근대 남성성을 수행할 수 없는 경제적 조건에서 이와 비판적 거리를 두고, 전통적으로 여성의 일로 간주된 것들을 차용하여 고정된 성별분업을 유연하게 만드는 교섭을 한다. 그래서 그들은 배제를 통해 남성성을 구성하는 근대적 헤게모니 남성성과는 달리, 이질적인 요소들을 혼융하는 하이브리드 남성성을 수행하며 복합성과 유동성, 분열성을 드러낸다. 그래서 이 연구는 포스트근대 남성성의 단서를 특징화하고, 20~30대 남성들의 여성혐오정동만이 아닌 좀 다른 남성성을 수행하는 남성들의 혼종성에 초점을 두어 젠더관계 조정을 위한 저항의 생성 가능성을 열어놓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hybrid masculinity reconstructed by men in their 20s and 30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modern hegemonic masculinity, and explores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 in the context of neoliberalism. The masculinity of modern developmental society was characterized as strong militaristic masculinity combined the breadwinner as the head of family with the national security subject as a soldier. In contrast, a soft and smart self-management masculinity has newly emerged since the 2000s in neoliberal society. Besides, the male-only conscription system causes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rule of military security and the pursuit of liberty in neoliberal self-management and makes cultural gap between them. However, this gap is patched up in the way of expanding the individual interest of men within the self-development programs conducted by the military. The men in their 20s and 30s criticize masculinity negatively in economic condition, which is not able to perform modern masculinity, and negotiate with given gender rules for making strict gender division of labor flexible by performing women’s traditional roles. Thus they perform their hybrid masculinities which are charactered as complex, fluidity and ambivalence in contrast to modern hegemonic masculinity constructed through the exclusion of non-hegemonic elements. This study implies that this hybrid masculinity may signal a characteristic of post-modern masculinities and opens up a possibility for changing the gender relations by focusing on the hybridity of young males who perform slightly different masculinities, rather than speak misogyn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