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사시나무에서 Auxin/indole-3-acetic acid 1 (Aux/IAA1) 유전자 분리 및 발현 특성 구명

        배은경,최영임,이효신,최지원,Bae, Eun-Kyung,Choi, Young-Im,Lee, Hyoshin,Choi, Ji Won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9 식물생명공학회지 Vol.46 No.3

        옥신은 식물의 생장과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조절자로서 기능한다. 옥신 신호전달 과정은 3개의 주요 옥신 반응 전사인자인 Auxin/indole-3-acetic acid (Aux/IAA), Gretchen Hagen 3 (GH3), 그리고 small auxin up RNA (SAUR) 유전자에 의해 조절된다. 특히, Aux/IAA는 옥신 신호에 반응하여 빠르게 축적되는 수명이 짧은 핵 단백질이다. 이 실험에서 우리는 현사시 나무(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로 부터 PagAux/IAA1 유전자를 분리하고 발현 특성을 분석하였다. PagAux/IAA1 cDNA는 4개의 보존된 도메인과 2개의 nuclear localization sequence (NLS)을 포함한 200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고 있다. Southern blot 분석으로 현사시나무 genome에 PagAux/IAA1 유전자가 single copy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PagAux/IAA1 유전자는 잎과 꽃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었다. 그리고 PagAux/IAA1 유전자는 현탁배양세포의 생장 과정에서 초기 지수생장기에 발현되었다. PagAux/IAA1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건조와 염 스트레스 및 식물호르몬인 ABA 처리에 의해 발현이 감소된 반면 저온 스트레스, 형성층의 세포 분열 과정 그리고 식물호르몬인 GA와 JA 처리에서 발현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PagAux/IAA1 유전자가 현사시나무에서 저온 스트레스 반응뿐 아니라 생장 과정에 관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Auxin plays a crucial regulatory role in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processes. Three major classes of auxin-responsive transcription factors controlled by the Auxin/indole-3-acetic acid (Aux/IAA), Gretchen Hagen 3 (GH3), and small auxin up RNA (SAUR) genes regulate auxin signaling. Aux/IAA, in particular, encodes short-lived nuclear proteins that accumulate rapidly in response to auxin signaling. In this study, we isolated a PagAux/IAA1 gene from poplar (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and investigated its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e PagAux/IAA1 cDNA codes for putative 200 amino acids polypeptide containing four conserved domains and two nuclear localization signals (NLSs). Utilizing Southern blot analysis, we confirmed that a single copy of the PagAux/IAA1 gene was present in the poplar genome. The expression of this gene is specific to leaves and flowers of the poplar. PagAux/IAA1 expressed in the early exponential growth phase of cell-cultured in suspension. PagAux/IAA1 expression level reduced in drought and salt stress conditions, and the presence of plant hormones such as abscisic acid. However, expression enhanced in cold stress, cambial cell division, and presence of plant hormones such as gibberellic acid and jasmonic acid.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gAux/IAA1 participates in cold stress response as well as developmental processes in the poplar.

      • KCI등재

        기록화 스토리텔링 방법론 연구

        배은경,Bae, Eun-Kyung 한국기록학회 2021 기록학연구 Vol.- No.70

        본고는 기록화 스토리텔링의 개념 및 방법론에 관한 연구이다. '기록 활용'이 기록학계의 화두로 떠오른 후 활용을 위한 다양한 방법론이 모색되고 있다. 스토리텔링도 그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기록 활용을 위한 방법론으로서의 스토리텔링을 '기록화 스토리텔링'으로 규정하고, '기록의 기록으로서의 가치구현 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담론의 총체'로 개념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록화 스토리텔링 이론의 정초(定礎)를 목적으로 기록학, 스토리텔링, 기호학, 언어학 등 다양한 이론을 도입하고 있다. 아날로그 시대가 잉태한 디지털 시대의 기록학은 두 시대의 학문적 경향을 총체적으로 계통화할 과제를 가진다. 그중 하나가 디지털 시대의 기록화의 문제이다. 기록화 스토리텔링 역시 디지털 시대가 요구하는 이론이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기록화'를 가변적이고도 실천적인 행위로 규정하고 있고, 기록화에 따른 결과를 '기록화 스토리텔링', 즉 '기록의 가치가 끊임없이 생성되는 기호작용'으로 규정하고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concept and methodology of documentation storytelling. After 'use of records' has emerged as a hot topic in the archivologic field, various methodologies are being sought for utilization. Storytelling is one of them. This study defines storytelling as a methodology for the utilization of records as 'documentation storytelling' and conceptualizes it as 'the totality of various discourse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value of records as records'. This study introduces various theories such as archiving, storytelling, semiotics, and linguistic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 theory of documentation storytelling. Archivology in the digital era ,conceived by the analog era, has the task of systematizing the academic trends of the two eras. One of the tasks is about documentation in the digital age. Documentation storytelling is also a theory required in the digital age. This study defines 'documentation' in the digital age as a variable and practical act, and defines the result of documentation as 'documentation storytelling', that is, 'a semiosis in which the value of records is constantly created'.

      • 치과질환과 에이즈

        배은경,Bae, Eun-Gyeong 대한에이즈예방협회 2006 레드리본 Vol.70 No.-

        구강은 신체의 관문과도 같은 기관으로 구강 안은 신체 다른 부위의 상태를 알려줄 수 있는 좋은 거울과도 같다. 에이즈 환자도 마찬가지이다. 에이즈는 면역체계의 기능을 약화시키는 질환으로 에이즈 환자에게서는 건강한 사람에게선 보기 힘든 질병들이 나타나기도 하고 일반인에게 나타나는 질병은 더 심하게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구강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징후들은 HIV에서 AIDS로 진행되는 증후군으로 진단에 활용되기도 한다.

      • KCI등재

        시베리아 과학자 김 파벨 가족의 구술 생애사 연구

        배은경(Bae, Eun K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8 역사문화연구 Vol.30 No.-

        본 논문은 시베리아 고려인 과학자 김 파벨과 그의 가족에 대한 심층 면담을 토대로 고려인 이주민사의 생생하며 역동적인 역사의 이면을 살펴보고 있다. 특히 김 파벨의 외삼촌인 노보시비르스크 시의 최고령 고려인 한 데멘티 가족과 그의 선조들은 140년 고려인 이주민 역사의 전 시대를 관통하는 길고 다난했던 가족사의 주인공들이며, 그들이 말하고 있는 과거에 대한 기억과 회상은 고려인 역사의 재구성에 중요한 단서가 되어주었다. 본 논문은 1937년 고려인 강제이주와 1957년 이후 등장한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의 신이주, 이 두 차례 이주를 계기로 고려인들의 삶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구술 자료를 통해 살펴보고 있다. 본 논문의 주요 구술대상인 김 파벨 가족은 고려인 사회의 전형적이며 모범적인 역할 모델이었다. 그들은 선조의 역사를 밝히고 알리는데 적극적이었으며, 고려인으로서의 선대 조상의 역사에 대한 자부심도 매우 컸고, 고려인의 정신문화와 풍습을 보존하려고 애쓰는 특별하고도 아름다운 가족이었다. 특히 김 파벨 알렉세예비치가 작성한 가족 계보는 그의 가족 사랑과 민족애를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었다. 한 데멘티 가족과의 구술 작업에서 우리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었다. 고려인 역사의 다사다난함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는 역사적인 한 가족과의 만남과 그리고 그들이 들려 준 과거의 기억들은 고려인 이주민 역사의 공백을 분명 채워 주리라 기대한다. 이번 작업을 통해 필자는 러시아 고려인의 삶과 정신에 대한 의구심과 궁금증이 더해갔다. 그들의 역사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다양한 스펙트럼을 갖는다. 우리가 알고 있던 그들의 삶과 정신은 일부에 불과했다. 이번 작업으로 채집된 구술과 영상 자료들은 고려인 역사의 알려지지 않은 단면을 해명하는데 일조하리라 믿는다. Данная работа рассматривает свежую и двигающую обратную сторону истории корейцев России в основе интервью со сибирского корейского ученого Ким Павела и его семьей. Особенно дядя Кима Павела Хан Дементий, который есть самый старейший корейцев в городе Новосибирск, и его семья и его предок - герои длинной и сложной семейной истории, которая охватывает 140-летнюю всю историю русских корейцев. И их памяти о прошлом стали важным ключом для перестройки истории русских корейцев. Данная работа осматривает, как изменилась жизнь русских корейцев по поводу двух переселений, то есть насильственной депортации 1937 г. и нового переселения среднеазиазских корейцев после 1957 г. Наиболее обнару- жение новых фактов в истории русских корейцев стало импулсом для пере-смотрения установившейся истории русских корейцев. Семья Ким Павела как основного обьекта исследования данной работы была стандартным и примерным ролью функции в обществе русских корейев. Она активна в освещении истории предка и имела большую самоуважаемость о семейной истории. А также она была красивой семьей, которая старает сохранить нациольную традицию и культуру. В частности, генеалогическая ветка, созданная Кимом Павлом Алесеевичом, показывает корейскую семей-ную любовь и национальную душу. Мы получили много нового в работе устной интервью со семьей Хана Дементия и считают, что встреча с исторической семье, хорошо отраженной историю русских корейцев, помогает дополнить белые пятна истории русских корейцев. При этой работой узналось то, что истоия корейцев в России имеет много- образные спектры. То есть их жизнь и душа, которые мы уже знали, была частью от всех. Мы желаем то, что данная работа исследования устной интервью будет освещать неизвестные стороны истории русских корейцев.

      • KCI등재

        사회 분석 범주로서의 ‘젠더’ 개념과 페미니스트 문화 연구

        배은경(Bae Eun-Kyoung) 한국여성연구소 2004 페미니즘 연구 Vol.- No.4

        이 글의 목적은 젠더(gender)라는 말이 학계와 일상에서 점점 더 친숙한 용어가 되고 있으면서도 그 페미니즘적 뿌리나 개념적 특징 혹은 유용성에 대한 관심은 악화되는 듯 보이는 최근 한국 사회의 담론 상황에 이론적으로 개입하는 것이다. ‘젠더’는 원래 문법적 성 구분을 뜻하는 평범한 단어였으나, 양성의 차이가 생물학적 결과물이 아니라 사회적 관행의 결과에 불과함을 밝히고자 한 1960~1970년대 제2물결 페미니스트들에 의해 새로운 의미를 가진 개념으로 성립하기 시작했다. 말하자면 젠더는 처음부터, 페미니스트 문제의식을 가진 사회과학, 혹은 사회분석을 촉구하는 일종의 개념 도구나 분석 범주로서 등장한 것이었다. 통상 젠더는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성’이라고 이해되는데, 이 글은 이러한 일반적 개념규정의 의미를 정밀하게 밝히기 위하여 문화에 대한 페미니스트들의 관심과 젠더 개념의 발전 과정을 연계하여 문제의식의 교차와 접목을 살펴보는 전략을 취하였다. 개념으로서의 ‘젠더’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성적 특질에 대한 단순한 자칭으로부터 그러한 특질을 생산하는 행위들에 대한 수행적인 개념으로, 또는 남성 지배를 위한 이데올로기적 도구로서의 ‘섹스에 대한 지식’이거나 현실 자체를 구성하는 담론적 권력의 한 형태로, 점점 더 다양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분화ㆍ발전해 왔다. 젠더 개념의 이러한 변화 과정은 그간 관련이 있다. 페미니즘 운동은 남녀의 평등을 주창하는 것으로 시작되어 여성성을 재평가하고 여성 문화를 강조하는 흐름을 지나, 여성을 고정된 정체성으로 총체화하기보다는 여성들 간의 차이를 인정하고 그러면서도 연대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오늘날의 상황에까지 왔다. ‘담론 이론’과 탈구조주의 내지 포스트모더니즘의 문제의식을 경유하며 성이나 정체성이 고정되고 불변하는 어떤 원래적인 것이 아니라는 관점을 받아들인 페미니즘은 특정한 역사적 국면에서 ‘여성’ 이 구성되는 방식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여기서 젠더의 개념은 ‘여성’ 혹은 ‘남성’을 구성해 내는 힘, 현실 속에 주체들과 의미들을 생산해 내는 어떤 분류 체계로서의 젠더라는 개념은 문화주의, 구조주의, 담론 이론의 문화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로지른다. 오늘날 젠더는 문화가 대상을 구별하고, 이항대립을 설정하고, 위계질서를 생산하는 방식 및 그 효과에 대한 질문으로까지 이어지는 이론적 화두가 되고 있다. 그리하여 개별 학문의 한계나 국가의 한계는 물론이고 자연/문화 혹은 몸/정신 같은 구분까지 초월하는 메타 범주로서 연구되어야 한다고 지적된다. 사회이론에서 문호에 대한 문제의식이 발전하고 정교화되어 온 과정들은, (단순히 남성과 여성이 아닌) ‘젠더’ 범주의 작동이라고 하는 새로운 연구 영역의 발견에 공헌하였다. 문화와 사회에 대한 인식이 풍부해질수록 젠더라는 범주는 더욱더 중요해졌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 속에 들어설 여지가 생겼다. 그간 많은 페미니스트 연구자들의 작업에 의해 젠더가 ‘문화’나 ‘권력’이나 ‘현대성’만큼이나 보편적으로 사회현상들 아래 깔려 있는 구조를 가리키는 범주임이 드러나면서, 젠더의 생산ㆍ재생산ㆍ변형에 대한 연구가 사회과학적 작업의 핵심에 맞닿아 있는 문제라는 점이 밝혀졌다. 오늘날 ‘젠더’의 개념을 통해 사회 분석 작업을 한다는 것은 결국 문화와 사회의 학문이 전체 영역에서 성, 그리고 남녀라는 구분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처음부터 다시 묻는 일이 되고 있다. For ten years or so, we Koreans become more and more familliar with the English word ‘gender’. Today ‘gender’ is readily used as ordinary term both in the academic and the everyday-life context, but the theoretical uniqueness of the concept or its feminist origin is often neglecte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ervene theoretically in this situation. The word ‘gender’ aquired a new meaning in the 1960~1970’s by the second-wave feminists, who wished to emphasize that the differences in the behavior between the sexes were not a consequence of biology but of social convention. The concept of gender was redefined as the theoretical device to analyze and conceptualize the social relation between women and men, so it can be said that 'gender' appeared as a conceptual tool or a category for analysis of social sciences and discourses. A proper trace into the peculiar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gender can make this more clear. To investigate what it "means that gender is the social and the cultural", this study examines and associates the concerns about the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gender’ within social/feminist discourses. The concept of gender has been changed and developed to have more and more complex meanings since the 1970’s, from early usage to mean the sexual traits constructed socially, up to the various usages to mean the performativity of the social construction of femininity/masculinity, the ‘knowledge abou sex' as a means for male chauvinism, or a form of discursive power constructing the reality itself. The change of the concept of gender has been related closely to that of the feminist concerns about the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feminist movements. Current Feminisms share the viewpoint that gender or identity is not fixed or unchangable with the ‘discourse theories ’, postculturalism, or postmodernism, and pay attention to the ways and effects of constructing the woman in specific historical conjunctures. The concept of gender in this context is the power constructing the ‘woman’ or the ‘man’, the categorical system generating subjects and meanings in the reality. ‘Gender’ as a categorical system forming subjects in the historical conjuncture transects the theoretical concerns about 'the culture of culturalism, structuralism, and ‘discourse theories’ The concept of gender nowadays has become the theoretical topic questioning the ways and the effects of the culture which distinguishes the objects, establishes the dichotomies, and generates the hierarchical orders. Therefore, it is asserted that gender should be investigated as one of the meta-categories transcending the borders not only of particular disciplines and countries but of the dichotomies of nature/culture or body/spirit.

      • KCI등재

        극단치 이론을 이용한 지진위험 모델링과 관리

        배은경 ( Eunkyung Bae ),김소연 ( So-yeun Kim ),김창기 ( Changki Kim ) 한국리스크관리학회 2018 리스크 管理硏究 Vol.29 No.2

        본 논문에서는 최근 국내 지진위험이 대두되는 현상을 반영하여, 한국, 일본, 중국에서 발생하는 지진 위험들을 모델링한다. 1990년 1월부터 2017년 6월까지 한국, 일본, 중국에서 발생한 지진 규모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블록 최대화 방법(Block Maxima)을 사용할 경우, 한국 지진 규모는 6개월 블록에서 Frechet 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나타나고, 1년과 3개월 블록에서 Weibull 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나타난다. 일본 지진 데이터에서는 1년, 6개월, 3개월 모든 블록에서 Weibull 분포를 따르고 블록크기가 작아질수록 얇은 꼬리를 가진다는 것을 보인다. 중국 지진 데이터에서도 1년, 6개월, 3개월 모든 블록에서 Weibull 분포를 따르며 일본과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일반화 극단값 분포(Generalized Extreme Value Distribution)를 사용할 경우, 세국가 데이터의 형태모수들은 임계값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어떤 경향을 보이지 않으나 척도모수는 임계값이 커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는 일본, 중국의 지진 위험과는 상이한 분포를 가지며 따라서 우리나라특성에 맞는 지진 위험 측정 및 예측을 위한 정교한 수리적 모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지진 보험, 지진 공제, 그리고 CAT 파생 상품 등을 이용한 지진 위험의 관리가 필요하며 이 경우에도 지진 위험에 대한 정교한 수리 모형이 필수적이다. 향후 계속하여 우리나라에 적절한 수리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위험관리 기법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In this paper, we model earthquake risks of three countries; Korea, Japan, and China. Using data from January 1990 to June 2017, we analyze the earthquake magnitudes in three countries. As a result, when the block maximization method is used, the magnitude of the earthquake in Korea follows Frechet distribution for 6 month blocks and Weibull distribution for 1 year and 3 month blocks. According to the Japanese earthquake data, Weibull distribution is observed in all blocks of 1 year, 6 months, and 3 months, and the smaller the block size, the thinner the tail. In the Chinese earthquake data, Weibull distribution is observed in all blocks, similar to Japan. Using the generalized extreme value distribution, we find that the shape parameters of the three countries do not show any tendency of increasing or decreasing according to the threshold value, but the scale parameter tends to increase as the threshold value increases. Korea‘s earthquake risk differs from those of Japan or China, and this indicates that a sophisticated mathematical model for earthquake risk measurement and prediction suitable for Korea is need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anage earthquake risk using earthquake insurance or CAT derivatives, which also require elaborate models. We expect further researches to go on regarding appropriate mathematical models for Korea and to study various risk management techniques based on it.

      • KCI등재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성적 소수자 인식 영향 변인 연구

        배은경(Eun Kyung Bae),안은미(Eun-mi An),백형의(Hyung-ui Baik)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사회과학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e of social work practice for sexual minorities by exploring the general perception that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have in clinical practice and the variables to affect their homophobic perception. For this study, 211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ho are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vi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the data of 167 among them were analyzed a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omophobia and the variables such as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period that they have practiced social work, whether they have personally contacted with sexual minorities, whether they have received the sexual-minority-related education, how much they have sexual-minority-related knowledge, political orientation and the recognition of gender roles. In results of study, the four variables were found to be correlated with homophobia of social workers including gender, whether they have personally contacted with sexual minorities, the conservative recognition of gender role and conservative political orientation and five variable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it including gender, whether they have personally contacted with sexual minorities, whether they have received the sexual-minority-related education, political orientation and the recognition of gender roles. Based on the results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e ways for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to practice social work in clinical practice for sexual minorit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젠더 관점과 여성정책 패러다임

        배은경(Bae, Eun-Kyung) 한국여성학회 2016 한국여성학 Vol.32 No.1

        1995년 제정되어 한국 여성정책의 법적 근거로 활용되어 오던 「여성발전기본법」이 「양성평등기본법」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2014년 5월 기존 법률의 전부개정으로 「양성평등기본법」이 탄생하던 즈음부터 2015년 7월 1일 시행에 이르기까지, 이 법개정을 한국 여성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으로 보고자 하는 다양한 담론이 생산되었다. 그러나 젠더나 여성, ‘양성평등’이나 ‘성인지적 관점’ 등의 용어에 대한 이해가 흔들리고 정치 및 정책 현장에서의 용어법과 학계에서의 용어법 사이에 괴리가 생긴 상황에서, 쉽사리 여성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을 운위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이 글은 패러다임 ‘전환’을 말하기 전에 우선 필요한 작업으로서, 한국 여성정책의 패러다임 그 자체에 대한 역사적 검토를 시도한다. 한국 사회에서 여성정책 패러다임이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이었으며 어떻게 변해왔는지, 그리고 그 변화의 계기는 무엇이었는지 이해하기 위해, 해방 이후 현재까지의 한국 여성정책의 역사를 젠더를 이해하는 방식과 정책 관점의 변화를 중심으로 정리한다. 여성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젠더 관점(gender perspective)’이라는 용어의 의미가 구성되어온 과정을 연결시키면서, 최근 페미니즘 이론의 핵심 화두로 떠오른 교차성(intersectionality) 분석의 문제의식을 도입하여 오늘/여기 여성정책의 현재적 쟁점과 미래 전망을 제시한다. From 1<SUP>st</SUP> July 2015, the new Framework Act on Gender Equality comes into force. The law is a complete revision of the existing Framework Act on Women’s Development, which had been the basis for gender policy in Korea. In May 2014, as the law was passed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there was much talk in the media of the law, regarding it as a benchmark of a change in the paradigm/direction of gender policy. However, it remains a question whether a new paradigm of gender policy would indeed emerge, and whether policy would be developed toward a desirable way to increase gender equality in substance. This article discusses the paradigm that has undergirded women’s policy in South Korea since the end of colonial rule in order to provide a summary of how the policy paradigms have changed, and how perspectives on gender have shaped the policy. The brief history of women’s policy within South Korea is reviewed, focusing o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ctual policies and the meaning of ‘gender equality’ within the policies, as well as the meaning of ‘women’ or ‘gender’ itself. In addition, this article discerns disagreements over the ‘gender equality’ within the discourses around women’s policy, and reviews how these disputes have shaped policy itself. Through this, this article inspects the current issues and forecast the further agendas in the field of gender policy in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