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Th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FLEXIBLE-WORK Arrangement, Job Satisfaction and Decision Making

        Yongjin Sa J-INSTITUTE 2021 Public Value Vol.6 No.3

        Purpos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ivil servants satisfaction with flexible-work arrangement and their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another goal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decision-ma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flexible-work system and job satisfaction. By doing so, this study is highly anticipated not only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s quantitative research on flexible-work system, but also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effects of flexible-work arrangement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Method: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the 2020 Public Employee Perception Survey data provid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KIPA) was used. The subjects of this survey are public officials from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nd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Variables included in the analysis model of this study include job satisfaction(dependent variable), satisfaction with flexible-work arrange-ment(independent variable), decision-making(control variable),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and position(control variabl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by vali-dating the hypothese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atistical analysis, civil servants with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ir flexible-work arrangement were found to have a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their counterpart. Moreover, hypothesis test-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decision-ma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flexible-work ar-rangement and job satisfaction verified a partial moderating effect of decision-making. In addition, older civil servants and married civil servants tend to have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each of their corresponding counter-parts. Conclusion: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studies conducted on flexible-work arrange-ment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quantitativ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flexible-work system and job satisfaction and confirm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decision-making on the positiv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flexible-work arrange-ment and job satisfaction were verified. It suggests that in order to further strengthe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flexible-work system and job satisfaction, efforts need to be made to enhance the fair-ness and transparency of decision-making process within organizations.

      • KCI등재

        미취학 자녀를 둔 여성관리자의 직장-가정 간 전이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녀양육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하영(Hayoung Choi),이소민(Somin Lee),이호택(Hotaek, Lee)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여성연구 Vol.9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미취학 자녀를 둔 여성관리자 집단의 직장-가정 전이가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나아가 자녀양육만족도가 직장- 가정 간 전이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관리자패널5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최종 분석에는 미취학자녀를 둔 여성관리자420명의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Process macro를활용한 매개효과 검증 및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한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로는 먼저 직장-가정 갈등은 자녀양육만족도에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직장-가정 갈등은 여성관리자의 삶의 만족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양육만족도는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직장-가정 갈등과 삶의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직장-가정 촉진은 자녀양육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여성관리자의 삶의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자녀양육만족도는 직장-가정 촉진과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직장-가정 갈등과 촉진 모두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자녀양육만족도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에 따른 제언으로 첫째, 정부와 기업조직은 여성관리자들이 직장과 가정 생활을 양립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와 조직문화를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노동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여성의 일을 인정하는 문화와 법적제도를 만듦으로써직장-가정 촉진을 향상시키고 자녀양육과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기여를해야 한다. 셋째, 정부에서는 여성근로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자녀돌봄의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육아지원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서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Work - Family Spillover on the Life Satisfaction of women managers with preschool children, and furthermore, to investigate whether the Child - Rearing Satisfac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 Family Spillover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5th year of the Korean Women Managers Panel of the Korea Women s Development Institute was used. In the final analysis, data of 420 female managers with preschool children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 we performed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using SPSS Process Macro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using Bootstrapping.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ork-Family Conflict has a negative effect on child rearing satisfaction. Second, Work-Family Conflict negatively affects the life satisfaction of women managers. Third, Child Rearing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Family Conflict and Life Satisfaction. While, Work- Family promotion had almost sam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child rearing satisfaction, although derection was oppoesed. Based on these results, following suggestions are insisted. First, government and corporate organizations need to establish institutional devic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to enable women managers to reconcile their workplace and family, and in particular to create ways to reduce working hours. Second, creating a culture and legal system to recognize women s work can improve work-family facilitation and positively contribute to child care and life satisfaction. Third,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childcare support policies that meet the needs of female workers and raise the satisfaction of child care. Based on these conclusions, we describ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 노인요양시설의 활성화를 위한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업무환경영향요인 연구

        김윤균,금상욱,곽미정 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17 부동산경영 Vol.16 No.-

        This paper examined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of care worker in connection with influence of work environment to level of satisfaction with work for them with the introduction of a long-term care system.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ly it was found that work identity of work environment and work feedback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relevant empowerment of care worker. Secondly it appeared that work environment of care worker has positive influence to remuneration satisfaction and work satisfaction. Thirdly, in terms of mediating effect by empowerment of care worker on satisfaction of remuneration and work satisfaction there was such effect. It appeared that relationship empowerment of care worker and personal empowerment has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ory relationship with their colleague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all of subordinate factors of empowerment has positive influence to satisfaction of duties itself. Other than that in terms of influence of care worker's work environment to satisfaction of works and in terms of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it was found that to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in remuneration and treatment work identity, work self autonomy and work feedback have positive influence. And result of analysis of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related to relationship of work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of remuneration level it was found that it satisfied partial mediating conditions related to work identity, work self-autonomy, work feedback and satisfaction with remuneration. Also in terms of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of work environment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role of mediation of relevant empowerment was partial in terms of relationship to work identity, work self autonomy, work feedback and satisfaction with colleagues. Result of analysis of mediating role of relevant empowerment in connection with work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with work itself it was found that relevant empowerment satisfied conditions in connection with relationship of work identity, work self autonomy, work feedback and satisfaction with work itself. It was found mediating role of personal empowerment in relationship of work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with remuneration treatment had partial mediation among work autonomy, work feedback and satisfaction with remuneration and treatment. Thus it was found there was need for consideration of care worker. Thus this study signifies importance of empowerment of care worker in connection with foregoing study which showed work environment plays positive role for job satisfaction of the care worker. 본 논문은 장기요양제도의 도입에 따라 요양보호사의 업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특히 요양보호사의 임파워먼트가 가지는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업무환경의 업무정체성, 업무피드백이 요양보호사의 관계 임파워먼트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업무환경이 직무만족의 보수대우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업무환경의 하위요인인 업무피드백이 동료관계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의 보수대우 만족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의 보수대우 만족에 영향을 주고 있었고, 동료관계의 만족에 요양보호사의 관계 임파워먼트, 개인 임파워먼트가 동료와의 관계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 모두 직무자체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요양보호사의 업무 환경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에 있어서는, 업무환경과 보수 및 대우 만족에 업무환경의 업무정체성, 업무자율성, 업무피드백이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업무환경과 보수대우 만족과의 관계에서 관계 임파워먼트의 매개역할에 대한 분석 결과 업무정체성, 업무자율성, 업무피드백과 보수대우 만족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업무환경과 동료관계 만족의 관계에서 관계 임파워먼트의 매개의 역할은 임파워먼트가 업무정체성, 업무자율성, 업무피드백과 동료관계 만족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업무환경과 직무자체 만족과 관계에서 관계 임파워먼트의 매개역할을 분석한 결과 관계 임파워먼트는 업무정체성, 업무자율성, 업무피드백과 직무자체 만족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업무환경과 보수대우 만족에서 개인 임파워먼트의 매개역할은 업무자율성, 업무피드백과 보수대우 만족 간의 부분매개인 것으로 분석되어 요양보호사의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업무환경이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연구에 이어서 요양보호사의 임파워먼트의 중요성을 함의하고 있다.

      • KCI등재

        일과 삶의 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정홍인(Jeong Hongin),이효섭(Lee Hyoseop)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일과 삶의 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고, 일과 삶의 균형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규명을 위하여 서울 지역 내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20부를 배포하였으나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는 271부였으며,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과 삶의 균형은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일과 삶의 균형이 유지될수록 생활만족도는 증진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일과 삶의 균형은 사회적 자본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과 삶의 균형이 타인과의 신뢰, 규범, 네트워크라는 사회적자본 형성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사회적 자본 역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타인과의 사회적 자본이 형성될수록 생활의 만족도는 증진하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일과 삶의 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가 밝혀졌다. 즉, 일과 삶의 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형성 정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는 더욱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상기 연구결과를 통해 일과 삶의 균형과 사회적 자본이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는 조직구성원에게 일과 일 외의 균형적인 삶이 확보될수록 생활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일과 삶의 균형이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자본이 형성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구성원 간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협동적 활동들이 많을수록 생활만족도가 증가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상기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and tr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y analyzing related previous studies. For the empirical identification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office workers in Seoul. A total of 320 copies were distributed, but the data used for analysis were 271.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work-life bala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hich means that the more work-life balance is maintained, the more life satisfaction is increase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work-life balance also affects social capital.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work-life bal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such as trust, norms, and networks with others. Third, social capital was also found to have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hich means that life satisfaction increases as social capital with others is formed.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was reveal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it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social capital form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proved that the work-life balance and social capita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life increases as an organization member has a balanced life between work and work.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in order for the work-life balance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social capital must be formed. This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that the more cooperative activities based on trust among members,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시설경비업 종사자의 근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성배 한국경호경비학회 2019 시큐리티연구 Vol.- No.61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315 facility security workers in Daejeon, South Chungcheong Province and Gyeonggi Province for about a week from August 7 to August 13, 2019 to identify the impact of work environment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finally collected 293 of the total 315 parts of the data, excluding non-response and inappropriate responses. The STATA 14.2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 subjects,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established key variables. Nex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verify differences in work environment, task stress and task satisfaction factor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differences in work environment,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recognition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detail, the factors for the work environment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academic background, number of years of service, wages and types of service in the recognition of the work environment. Job stress factor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education, wages and types of service in job stress recognition. In job satisfaction factors, age, academic background, number of years of service and wages (monthly benefi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recogni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identify the working environment,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re as follows. The working environment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the better the job environment, promotion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It has been shown that job stress has had a nega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conflict of relationship (promoting colleagues). job autonomy increases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decreases when job requirements and job insecurity increase. In terms of the impact of work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the higher the work promotion, job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level, the report showed. According to these studies, the better the working environment, the lower the job stress, and the lower the job stres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better the working environment, the more satisfied the job was found to be, and the empirical research result was verified that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of security workers can reduce job stress and improve job satisfaction through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본 연구는 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2019년 8월 7일부터 8월 13일까지 약 7일 간 대전, 충남, 경기지역에서 근무하는 시설경비업 종사자 3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15부의 자료 중 미응답 및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한 293부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STATA 14.2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자들의 분포비율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설정된 주요 변인들에 관한 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의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과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요인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인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세부적으로 근무환경 요인에서는 연령, 학력, 근무년수, 임금(월급여), 근무형태가 근무환경 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직무스트레스 요인에서는 연령, 학력, 임금(월급여), 근무형태가 직무스트레스 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직무만족 요인에서는 연령, 학력, 근무년수, 임금(월급여)이 직무만족 인식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근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관계갈등, 직무불안정은 부(-)적 관계를, 직무요구와 직무자율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관계갈등(동료 격려), 직무자율성이 있으면 직무만족이 높아지고, 직무요구와 직무불안정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면 직무만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환경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환경, 근무촉진, 조직특성이 좋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아지며,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근무환경의 개선을 통해 경비업 종사자들의 근무환경 개선이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실증적 연구결과를 검증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 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근무환경 만족도와 근로시간 만족도의 다중매개효과 검증

        이성은 융복합지식학회 2022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Vol.10 No.3

        This study aims to test multi-mediation effects of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working-hour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telecommuting due to COVID-19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utilized 2021 Social Survey data of Korea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e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es,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and SPSS Process Macro was used to test multi-mediation effects of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working-hour satisfaction. Study subjects for the analyses were 13,712 wage workers.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experience of telecommuting due to COVID-19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rd, working-hou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ourth, experience of telecommuting due to COVID-19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working-hour satisfaction.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elecommuting can be considered one of alternative working types in the situation of spread of infectious disease like COVID-19.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 경험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있어 근무환경 만족도와 근로시간 만족도의 다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통계청의 2021년 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근무환경 및 근로시간 만족도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2021년 사회조사에서 추출한 임금근로자 13,712명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 경험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무환경 만족도는 삶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로시간 만족도는 삶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 경험은 근무환경 만족도와 근로시간 만족도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확산의 상황에서 재택근무가 근로자의 대안적인 근무 형태 중 하나로 고려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일·가정 병립을 위한 유연근무제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민성 ( Min-sung Kim ),임상호 ( Sang-ho Lim ) 산업진흥원 2018 산업진흥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일·가정 병립을 위한 유연근무제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지 총 73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ㆍ가정 병립을 위한 유연근무제가 직무만족도 상관관계는 근무만족도와 유연근무제현황, 근무만족도와 근무현황, 유연근무제현황과 조직만족도, 근무현황과 조직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근무만족도와 조직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는 p<.01 유의수준의 .313으로 낮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연근무제가 직무만족도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일ㆍ가정 병립을 위한 유연근무제가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근로자의 자녀명수와 평균근속년수 간에는 유의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근속년수 5년 이하는 자녀없음(38.4%), 1명(15.1%), 2명(11%) 자녀없음에서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평균근속년수 21년 이상은 자녀2명(9.6%)에서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일ㆍ가정 병립을 위한 유연근무제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유연근무제 활성화로 유연근무제 정착 및 직무만족도를 높여 효과성을 검증한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flexible working system for work - family connection on job satisfaction. A total of 7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wor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lexible work system for work and home affairs has a statistically in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flexible work system, work satisfaction, work status, flexible work system, organizational satisfaction, , But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satisfaction showed a low correlation of .313, p <.01. Second,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flexible work system, it was analyzed that the flexible work system for work and home affair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employees and average years of service. The average number of years of service was below 5 years. No child (38.4%), 1 person (15.1%), 2 children (11% ). & Lt; / RTI & g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lexible work system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worker and the family,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flexible work system by increasing the flexible work system and the job satisfaction by activating the flexible work system.

      • KCI등재

        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의 대학생활만족과 직장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김현주(Kim, Hyunjoo),손은령(Son, Eun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의 대학생활과 직장만족의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증진 방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청년노동시장 및 학교생활의 대표통계를 제공하는 청년패널 2007(YP2007)의 9차(2015)년도와 12차(2018)년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시기의 부정적 자기개념, 진로자기효능감, 직업가치관, 진로계획과 같은 정서·인지·행동적인 다양한 변인 간의 관계에서 정적 또는 부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간접적으로 대학생활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인 시기의 부정적 자기개념, 진로자기효능감, 직업가치관이 직장만족도에 정적 또는 부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대학생 시기의 부정적 자기개념이 대학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직장인 시기의 부정적 자기개념은 직장만족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 시기의 진로관련 변인과 대학생활만족이 직장인 시기의 직장만족도에 직·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활과 직장만족의 영향요인 검토를 통해 대학생 시기의 대학생활만족 정도에 따라 직장인 시기의 직장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정서·인지·행동적 특성을 고려하여 진로교육이 선행되어야함을 확인하고 나아가 대학생활만족을 위한 진로교육프로그램 운영과 대학의 역할, 상담적 개입의 중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ollege life and work satisfaction of young people experiencing school-to-work transition periods and to aid in the understanding of promotional plans. For thi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data from the 9th year (2015) and 12th year (2018) of the Youth Panel 2007 (YP2007) from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KEIS) that provides representative statistics of the youth labor market and school lif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were either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in relationships among various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variables such as negative self-concepts, career self-efficacy, occupational values, and career planning during the college period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negative self-concepts, career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values of the working period positively or negatively affect work satisfaction. In particular, negative self-concepts during the college period do not significantly affect college life satisfaction, but negative self-concepts during the working period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work satisfaction. Third, career-related variables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during the college period were shown to have direct and indirect positive effects on work satisfaction during the working perio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erified that work satisfaction during the working period may differ depending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during the college period by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and work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demonstrated that career education must be provided first in consideration of the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Furthermore, this study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the roles of universities and career education program management for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long with the importance of counseling intervention.

      • KCI등재

        기혼직장여성의 결혼만족도와 일만족도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유성경,임영선 한국여성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1 No.3

        This study analyzed the longitudinal changes of satisfaction with marriage and work for married working women. Using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an & Fmaliles, data were analyzed by Latent Growth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rriage satisfaction was decreasing with the course of time and the higher the intial score of marriage satisfaction, the faster the decreasing speed of marriages satisfaction. Second, the work satisfaction was increasing as time passes and the higher of initial score of work satisfaction, the slower the increasing speed of work satisfaction. Third, the younger married working women, the higher the initial score of the marriage satisfaction. The shorter the period of marriage, the higher the initial score of work satisfaction and the older married working women, the slower the decreasing speed of work satisfaction. Forth, the effect of work satisfaction on marriage satisfaction was decreasing over time. The implications on research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사무종사자의 직장 내 관계와 일-생활의 균형 및 근무환경이 직업만족도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태훈(Taehun Lee),조교영(Gyo-Young Cho)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20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31 No.6

        본 연구는 직장 내 관계와 일-생활의 균형 및 근무환경이 사무종사자의 직업만족도와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제 5차 근로환경조사에 참여한 사무종사자 6208명에 대한 자료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교차분석, 신뢰도분석, 경로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일-생활 균형과 직업만족도의 관계는 음의관계로 (-0.09) 일-생활 균형의 갈등이 높아질수록 직업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환경과 직업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면 (0.32)로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진다면 마찬가지로 직업만족도 또한 높아진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장 내 관계가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0.35)로 직장 내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진다면 직업만족도도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직장 내 관계와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0.06)으로 직업만족도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직장 내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진다면 정신건강 또한 긍정적으로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무종사자들의 직업만족도와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원만한 직장 내 관계와 일-생활 균형의 보장 및 쾌적한 근무환경의 필요성이 보장되어야 된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사무종사자의 직업만족과 정신건강 향상에 도움을 주기위한 정책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uses data from 6,208 office workers who participated in the 5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to find out how work-life balance and work environment affect the job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of office worker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job satisfaction is negative (-0.09) and the higher the conflict between work-life balance,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level. Relationship between work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0.32) shows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work environment increases as well as the job satisfaction level increases, and the impact of work-in-work relationship on job satisfaction (0.35) shows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work satisfaction increases as well.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mental health (0.06) shows that mental health also increases positively if satisfaction with work satisfaction increases, as does that with work satisfaction. In order to enhance the job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of office workers, the need for a good working relationship and work-life balance and a pleasant working environment should be guarante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policy data to help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of office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