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전쟁기 미군의 전쟁범죄 조사와 처리 -전쟁범죄조사단(KWC)을 중심으로-

        양정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4

        The U.S. force raised the need for organized investigation about war crimes with mentioning the concept of war crimes immediately after the Korean war's break out. It resulted in setting up a War Crimes Division. War Crimes Division was organized under the need of investigation, arrest for war criminals and the organization charged with the task of trial. The War Crimes Division was organized in judge advocate general of the U.S. Eighth Army on 13, October in 1950. It transferred to military district of quartermaster in Korea in September of 1952. This organization was released on 31, May in 1954 since the war ceased. The War Crimes Division’s task was mainly to investigate some events that were suspected of war crimes and to organize case files in the preparation of war-crimes trial after the war. Its investigation was performed generally through interrogation to POWs. Field trip investigations were also made to demonstrate war crimes’ evidence. Another method to obtain the evidence of war crimes was the body recovery program and collecting statements given by returnees with the exchange operation of prisoners. The investigation of the War Crime Division was focused on the prisoner of war returnees since it moved to military district of quartermaster in Korea. Its activities were performed linked with ‘Little Switch’ and ‘Little Switch’, the exchange operations of prisoners. At the same time, the investigation of the War Crime Division primarily devoted to the screening of case files and re-tabulation of statistics for the preparation of the interim report. As the result, 1,956 cases were referred to the Office of the Judge Advocate General and Army Headquarters in Washington D.C. and Far Eastern Military Headquarters. The War Crime Division not only investigated the atrocities suspected as People’s Army and People's Liberation Army committed, but also checked and preserved huge number of case files systematically. Some parts of those case files were submitted as corroborative facts to a special subcommittee on Korean War Atrocities. However, the U.S. never conducted a war-crime trial, nor took legal action against war crimes through the International Court. The POWs were exchanged. It was declared that even non-repatriated war criminals from People’s Army were not charged with war crimes. The policy of the U.S. force was not to use war criminal materials to make it easier for UN POWs to return. There was the situation of the U.S. was not immune from the suspicion of war crimes’ perpetrators behind its attitude like above. Finally, investigation activities of War Crimes Division could not be far from propaganda charging hostile countries at war and collecting evidences for the preparation in post-wartime. 미군은 한국전쟁이 발발한 직후부터 전쟁범죄의 개념을 거론하면서 조직적인 조사 활동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것은 전쟁범죄조사단 설치로 이어졌다. 전쟁범죄조사단은 한국전쟁 관련 전쟁 범죄자들에 대한 조사와 체포, 그리고 재판을 위한 운용 책임을 맡을 조직이 필요하다는 판단 속에서 조직되었다. 1950년 10월 13일 전쟁범죄조사단은 미 8군 법무과 내에 설치되었고, 1952년 9월 한국병참관구로 이관되었다. 이 조직은 전쟁이 끝나고 1954년 5월 31일에야 해체되었다. 전쟁범죄조사단의 주요 활동은 전쟁범죄로 추정되는 사건을 조사하고 이후의 전범재판에 대비하기 위해 사건 기록을 정리하는 것이었다. 조사 활동은 주로 거제도 포로 심문을 통해 이루어졌고, 전범 증거를 입증하기 위한 현장 조사가 실시되었다. 이와 함께 증거들을 획득하는 또 다른 방법은 포로교환 작전으로 회수된 미군 유해와 귀환자들의 진술이었다. 한국병참관구 이관 이후 조사단의 조사 활동은 주로 귀환한 포로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포로 교환 작전인 ‘Little Switch’와 ‘Big Switch’와 연계되어서 진행되었다. 전선이 고착화됨에 따라 1952년 말 조사단의 활동은 중간보고서 준비를 위한 사건파일의 검토와 재도표화에 집중되었다. 그 결과 한국에서 일어나 1956개의 사건이 전쟁범죄 조사 및 분석 대상으로 워싱턴의 법무감실과 육군 본부, 그리고 극동군 사령부에게 제출되었다. 전쟁범죄조사단은 북한과 중국군이 저질렀다고 여겨지는 잔학행위를 조사했을 뿐만 아니라 방대한 사건 기록을 체계적으로 정리ㆍ보존했다. 이 기록들 일부는 한국전쟁의 잔학행위를 조사하기 위한 미 의회 청문회에 증거 자료로 제출되기도 했다. 하지만 미국은 전범재판을 열지도 않았고 국제재판소에 제소하지도 않았다. 포로들은 교환되었고, 송환되지 않은 북한군 전범일지라도 전범혐의가 유지되지 않는다고 공표했다. UN군 포로들의 순조로운 귀환을 위해 전범 자료를 이용하지 않겠다는 것이 미군의 정책이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전쟁범죄의 가해자 혐의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미국의 상황이 있었다. 결국 전쟁범죄 조사 활동은 상대국을 비난하는 선전전 성격과 전쟁 이후를 대비한 증거 수집의 양상을 벗어나기 힘들었던 것이다.

      • KCI등재

        중국에서 전쟁범죄에 관한 연구논평

        팽봉연 ( Peng Fenglian ),진은주 ( Chen Yinzhu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4 비교형사법연구 Vol.16 No.2

        China has made due contributions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punishing war crimes whether in theory or in practice. The theoretical studies focused on the connotation and denotation of war crimes, Chinese legal basis for punishing war crimes and judicial practice, body found criminally responsible for war crimes, the norms convergence between Chinese criminal law and international criminal law about punishing war crimes, the research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future trends of international punishing war crimes and other aspects. The connotation and denotation of war crimes have the trend of expansion from the perspective of evolution. Chinese punishing war crimes legal basis include not only international criminal law treaty which China has joined or signed but also Chinese domestic criminal law. The main methods of punishing war crimes are international punishment and domestic punishment. International punishment is the supplement to domestic punishment. The practice of Chinese punishing war crimes was proceeding against Japanese war criminals in World War II. The state and individuals should take criminal responsibility for war crimes together. China put forward a legislative proposal about perfecting the link between Chinese criminal law and international criminal law in punishing war crimes. Because China has not signed the “Rome Statute”, for war crimes in Chinese domestic armed conflict, it can be only exercised jurisdiction by Chinese courts.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punishing war crimes can be divided into five stages from “Versailles Treaty” to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Statute”. The trend and ability was increasing of punishing war crimes through the formation of international judicial bodies. The content about individual takes responsibility for war crimes will be given priority in development. A planned genocide and acts against humanity, in wartime or peacetime, in international armed conflict or non-international armed conflict, constitute serious international crimes.

      • 國際法上 公訴時效가 適用되지 않는 犯罪에 대한 一考

        김병렬(Byung-Ryull KIM) 大韓赤十字社 人道法硏究所 2006 人道法論叢 Vol.- No.26

        公訴時效란 검사가 일정한 기간동안 公訴를 제기하지 않고 형사사건을 방치하는 경우에 訴追機關의 訴追權을 소멸시키는 제도를 말한다. 戰爭犯罪 혹은 人道에 반하는 범죄 등 국제법상의 특정범죄에 대해서는 이러한 공소시효제도를 적용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전쟁범죄인에 대한 처벌노력은 전범자의 망명을 허용했던 네덜란드 정부의 引渡拒否와 상급기관의 명령에 의하여 범죄행위를 수행하였다는 피고인들의 변명 등에 의해 유야무야 되었다. 하지만 이처럼 전쟁범죄자들의 처벌이 유야무야 되었다고 해서 그 시도가 전혀 의미를 갖지 않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움직임을 바탕으로 하여 제2차 세계대전 중인 1943년에 國際聯合 戰爭犯罪委員會가 창설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한편 전쟁범죄와는 달리 인도에 반하는 범죄에 대한 처벌 논의는 1943년의 모스크바선언에서부터 처음으로 시작되었다. 그 후 우여곡절 끝에 1945년 8월 8일자 유럽추축국의 주요 전범 기소 및 처벌에 관한 런던협정과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소헌장에 의해 처벌이 명문화된 후 연합국 통제위원회법 제10호에서 처벌대상 범죄행위가 인도에 반하는 범죄행위로까지 확대되었다. 그리고 이어지는 뉘른베르크 전범재판에서 많은 전범자들이 이러한 혐의로 재판을 받았다. 이 재판 이후 전쟁범죄와 인도에 반하는 범죄 그리고 인류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범죄행위에 대하여는 반드시 사법적 제재조치를 취하여야 한다는 인식이 점차 보편화되었다. 그러나 전쟁범죄자 등에 대한 사법적 제재조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勝戰國에 의한 이러한 재판의 적법성 여부, 전쟁범죄 등의 公訴時效와 관련해서는 쉽게 국제적인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 결국 수많은 논란 끝에 1966년에 가서야 국제연합총회는 ‘뉘른베르크 사법재판소의 선언에 의하여 인정된 국제법상의 원칙과 국제사법재판소의 판결’을 추인할 수 있었으며, 다시 2년이 지난 1968년에야 ‘戰爭犯罪 및 人道에 反하는 罪에 대한 公訴時效不適用에 관한 協約’(Convention on the Non-Applicability of Statutory Limitations to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을 채택할 수 있었으며 이 협약 제1조에서 전쟁범죄, 제네바 제협약의 중대한 위반, 인도에 반하는 죄, 강제적 추방, 집단살해죄 등을 공소시효가 적용되지 않는 국제법상의 범죄로 명문화하였다. 하지만 이 협약이 발효된지 35년이 넘는 현 시점에서도 불과 46개국만이 이에 가입하고 있는 바 전쟁범죄자를 포함한 국제법상의 특정범죄자들의 예외 없는 처벌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국내법상으로 시효의 적용을 배제하는 것은 각국의 상황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대부분 내란과 외환의 죄 정도에 불과하다. 살펴볼 때 내란과 전쟁이 주체상의 차이는 있을지 몰라도 본질적으로 폭력을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일치하는데도 하나는 시효의 적용이 배제되는데 다른 하나는 그렇지 않다면 법적 정의면에서도 결코 바람직하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은 국가들이 조속히 이 협약에 가입해야 할 것이다. A statute of limitations is a statute which terminates prosecuting body's right to prosecute if a prosecutor left a criminal case untrea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international law, there is a statute of limitations for certain crimes, such as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Post-First World War efforts to punish war criminals proved futile, as the government of the Netherlands accepted war criminals seeking refuge and refused to extradite them, and another war criminals appealed that they simply carried out upper echelon's orders. Nevertheless, being futile does not mean these efforts were insignificant since they paved the way toward the establishment of the "War Crime Commission" of the League of Nations in 1943. The Moscow Declaration of the 30th October 1943 kicked off a debate on a crime against humanity. After much meandering, the punishment of war criminals was codified by the "London Agreement for the Prosecution and Punishment of the Major War Criminals of the European Axis" of the 8th August 1945 and the Charter of the 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 in Nuremberg. And the jurisdiction of the Nuremberg 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 was expanded by "Allied Control Council Law(ACCL)" Order No. 10 to include the indictment of crimes against humanity, and a number of war criminals were tried at the tribunal afterward. After the trial, the idea had become prevailing that judicial sanctions should be taken against war crimes, crimes against humanity and peace as well as crimes threatening the stability. However, despite the expanding recognition that judicial sanctions should be taken against war criminals, no international consensus had been reached on legality of such trials by victorious countries and a status of limitation on war crimes until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It was only in 1966 when the UN General Assembly could approve "International Law Recognized by the Charter of the Nuremberg Tribunal and the Judgement of the Tribunal", and again in 1968, the General Assembly adopted the "Convention on the Non-Applicability of Statutory Limitations to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Article 1 of the convention provides that no statutory limitations shall apply to war crimes, "grave breaches" enumerated in the Geneva Conventions, crimes against humanity, evictions by armed attack and the crimes of genocide. However, the fact that only 46 countries have ratified the convention, which came into force 35 years ago, pose a stumbling block to the unexceptional punishment of specific crimes including war crimes. The extent to which the application of the statutory limitations can be abated in domestic law vary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in each country. Yet, only a handful of crimes such as a rebellion and foreign currency related crimes enjoy the benefit of such abatement. Although a rebellion and a war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who is the subject, they are essentially the same in that violence is used in both of the two events. Thus, the fact that the statutory limitations apply in one but in the other runs counter to the goal of achieving legal justice. This is the very reason why more states should ratify the convention.

      • KCI등재후보

        도쿄국제군사재판과 뉘른베르크 국제 군사재판에 대한 국제법적 비교 연구

        이장희 동북아역사재단 2009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5

        This article tries to review a Comparative Study on Nuremberg War Crimes Trials & Tokyo War Crimes Trials from International Law Point of View. The Tokyo trial was modeled after Nuremberg, as though the Japanese wars in Asia had been more or less the same as Hitler’s war, but even judges recognized that the Japanese defendants were not simply Oriental Nazis. Two trials were sharply criticized from German & Japanese people in terms of“ enforced”Victor’s Justice in 1940’s, But they have many differences such as constitutions of tribunal judges & prosecutors, trial process, indictment crimes, trial jurisdiction, decisions and its enforcements. Tokyo War Crimes Trial & its procedure was controlled mainly by the USA from point of view of Asian strategical policy for coming cold war times. But Nuremberg Military Trial & its procedure was preceded equally by four occupation powers. Especially “Crimes against Humanity”was neglected by Tokyo Military Trials compared to Nuremberg Military Trials. For instance, a responsibility Immunity from war crimes for Emperor Hirohito was the most vital mistake in the Tokyo Military Trials. Besides, nineteen“class A”war criminals were released from prison. Bacteriological warfare Experiment by 731 Japanese troops was not punished as war crimes. The Tokyo Trials neglected accepting positions of war victims. It is well known that the Nuremberg Trials led the Germans to confront with the Nazi-dictatorship and greatly contributed to liquidation of the Nazi-past in post-war Germany. Its central achievement lies in recognizing the category of crimes against humanity. For the trial’s framers, its decisive legal character lay in recognizing the category of crimes against peace. But it was “the conspiracy of the aggressive war”rather than the holocaust that was centered on in judging in atrocities of the Nazis, although“ crimes against humanity” being defined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in the Nuremberg Trial. However,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Nuremberg trials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as a stepping stone to liquidation of the Japanese colony-past for Korean people. 본 연구는 동경전범재판과 뉘른베르크 전범재판을 국제법적 관점에서 비교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주요 배경은 한일간에 일본 식민통치지배에 대한 과거 청산이 왜 독일에 비해 현재까지 지연되는 이유를 국제법 분석과 사법적 청산과정에서 찾아보려는 데서 연유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크게 4부분으로 이루어 진다: 제1부는 문제제기에서 본 연구의 실질적 문제의식, 본 연구의 국제법적 문제의식 그리고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부에서는 극동국제군사재판소 및 Nuremberg 국제군사재판소의 설치 배경 및 국제법적 설치근거를 살펴보았다. 극동국제군사재판소는 연합국 최고사령관 맥아더의 특별 선언(1946.1.19)에 의해 설립, 이어 동 사령부 일반명령 제1호로 [국제재판 조례]를 공포하였다. 특히 동 특별선언에서 연합국은 연합국 최고사령부(SCAP)가 항복이행을 위해 일체의 명령을 발한다는 협정을 맺었다고 하였다. 이에따라 SCAP는 국제군사재판소를 설치했다라고 그 설치법적 근거를 밝혔다. 반면 Nuremberg 재판소는 1945년 8월 London 협정이라는 국제조약에 근거한다. 양 재판소의 설치조례와 국제법 원칙은 1946년 UN 총회에서 만장일치로 “ Nurembrg 군사법정 조례와 동 법정의 판결에 의하여 승인된 국제법 제원칙” 을 확인하는 지지 결의를 받았기에, 국제법적으로 문제가 없다. 나아가 이러한 국제법 제원칙은 1993년 국제형사재판소 설립을 위한 논의를 하는 주요한 기초자료가 되었다. 제3부에서는 양 재판의 비교를 다양하게 하였다. 1. 재판소의 구성 문제: 동경재판소가 미국주도로 임명된 판사, 검사로 구성되어, 재판 전체가 객관적 기준보다는 냉전시대를 대비한 미국의 아시아 패권전략 입장에서 이용되었다는 비판이 있다. 반면, Nuremberg 재판은 4개국이 비교적 재판소 구성이나 재판진행이 공평했다고 한다. 2. 재판대상 범죄 및 기소 범죄 양 재판 모두 재판대상 범죄는 통상적 전쟁 범죄, 평화에 대한 죄, 인도에 대한 3가지 였다는 점은 공통이다. 다만 동경재판은 뉘른베르크 재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도에 대한 죄]가 독립된 기소사유로 다루어지 않았고, 소홀했다는 비판이 있다. 한 예로 동경재판의 문제점으로서 천황 면책, 일본 731 부대의 세균전 불기소, A급 전범 19명 석방 등 이 강하게 비판받고 있다. 반면 뉘른베르크 재판의 초점을 나치 유태인 잔학성 규명 이냐, 독일의 유태인 학살을 전쟁범죄로 구명하는 냐로 의견이 나누어졌다. 결국 뉘른베르크 재판은 독일 나치학살의 정확한 진상보다는 [인도에 반하는 침략범죄]로 만드는 데 역점을 둔 것 같다. 3. 재판관할권의 비교 및 4. 재판진행과정 양 재판 모두 재판의 물적 관할권으로서 통상의 전쟁범죄(B급전범)외에 평화에 대한 죄(A급 전범), 인도에 반하는 범죄(C급 전범)를 새로 추가 하였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다만 중점이 달랐다. 또 양 재판소의 인적 관할권으로서 “승자의 재판”이라는 비판을 받은 점에서 유사하다. 다만 동경 재판은 미국의 주도하에 서구의 11개국이 참여한 강대국의 재판이었고, 조선과같은 피해자 아시아 국가들은 재판부 구성에 일체 참석하지 못했다. 특히 일본측 법관 및 검사의 재판 참여문제기 강하게 제기되었다. 반면 뉘른베르크 재판은 [인도에 반하는 범죄]를 동경재판에 비교하여 더 많이 기소하고, 그 판결 집행도 철저하게 시행하였다. 5. 판결의 결과 동경재판은 유죄 25...

      • KCI등재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전범재판

        신희석(SHIN Hee-seok) 서울국제법연구원 2015 서울국제법연구 Vol.22 No.2

        제1차 세계대전(1914-1918)과 제2차 세계대전(1939-1945)은 국제형사법 형성의 중요한 계기였다. 19세기 이후 서구 민족국가간 주권평등에 기초한 무차별전쟁론과 내정불간섭원칙은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고, 승전국들은 패전국 지도자에 의한 대내외적 주권의 남용을 심판할 전범재판을 추진했다. 그 결과 기존의 전쟁범죄와 구분되는 평화에 반한 죄(침략전쟁)와 인도에 반한 죄(자국민에 대한 잔학행위)가 탄생했다. 제1차 세계대전 전범재판은 연합국의 준비부족 및 의견대립, 독일 · 터키의 국민적 저항으로 실패한 반면, 제2차 세계대전의 경우 연합국의 사전준비와 미 · 영 · 소 3국의 추축국 지도자 재판실시 결정으로 뉘른베르크 및 도쿄 국제군사재판이 열렸다. 주권론, 죄형법정주의 측면에서 논란이 되었던 평화에 반한 죄와 인도에 반한 죄는 각각 1928년 파리조약과 1907년 헤이그협약(IV) 전문의 마르텐스 조항이 법적 근거가 되었다. World War I (1914-1918) and World War II (1939-1945) were pivotal in the formation of international criminal law. The principle of unlimited right to resort to war and non-interference in domestic affairs, based on sovereign equality among Western nation-states especially in the 19<SUP>th</SUP> century, came under criticism during the two World Wars. After both wars, the victors prepared war crimes trials to punish the internal and external abuse of sovereignty by the leaders of the defeated nations. This led to the emergence of crime against peace (war of aggression) and crime against humanity (atrocities against one’s own nations) that were distinct from conventional war crimes. While the lack of preparation and disagreement on the Allied side and the national resistance in Germany and Turkey scuppered the post-World War I war-crimes trials, the Allied mid-war planning and the decision by the United States, Soviet Union and Britain to try the Axis leaders paved the way for Nuremberg and Tokyo 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s. Crimes against peace and humanity raised concerns about the violation of sovereignty and retroactive application, but the 1928 Pact of Paris and the Martens clause in the preamble to the 1907 Hague Convention IV provided the legal basis for the new crimes respectively.

      • KCI등재

        전쟁범죄의 개념적 한계와 그 적용가능성에 대한 연구

        오경식 ( Kyung Sik Oh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4 비교형사법연구 Vol.16 No.2

        The concept of war crime is not clearly defined yet, but it started becoming established after World War II in sentencing war criminals. The Rome Statute 6,7,8 states the scope of war crimes and the crimes against humanity including genocide. Post the Second World War treatment of war criminals differ completly in Germany and Japan. Whereas Germany punished the war criminals on a national level, Japan took a different path. If Germany established national trust with the surrounding nations by punishing the Nazi war criminals, Japan only treated war criminals on an individual level, with the greatest war criminal (Emperor Hirohito) not even being tried. In the international law war crimes and the crimes against humanity has no the prescription of public prosecution. Since Japan claims to respect the international law, legal backgrounds for punishing Japanese war criminals is already in place. Range of criminal punishment that happened during the Second World War is a war crime, including criminal and the Inhumane. In addition, during the Second World inhumanity and japanese colonial policy of war in the Korean peninsula also can be punished as a war crime. Killings of independence activists and torture and persecution, etc. belong to this range. Also the the comfort women inhuman must be punished as a war crime. The establishment of the Court to judge the Japanese war crimes is needed. In fact, to establish this Court in Japan is difficult, but the nature of the arbitral tribunal is possible. These new tribunals may exercise jurisdiction irrespective of the consent of the Japanese government.

      • KCI등재

        일본군 ʻ위안부ʼ에 대한 국제범죄의 법적 구성

        이윤제(Yun Je Lee) 대검찰청 2016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53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범죄를 인도에 반하는 죄인 “노예화”로 처벌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하여는 현재 이론이 없다. 따라서, 본고는 성노예를 본질로 하는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범죄를 ‘인도에 반한 죄’로서의 성노예뿐만 아니라 ‘전쟁범죄’로서의 성노예로 처벌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기존의 논의들이 전시성폭력인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범죄를 인도에 반한 죄의 유형으로만 구성하고 전쟁범죄로 구성하지 않은 이유는 서구 중심의 국제법의 주류적 견해가 2차대전 당시의 한국을 일본의 식민지로 보면서 한국인에 대한 일본의 범죄의 법적 구성에 있어서 적대관계에 있는 국가관계를 요건으로 하는 전쟁 범죄의 상호주의 원칙을 적용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입장은 일본의 민족말살정책과 한국인에 대한 차별, 그리고 한국의 지속적이고 강고했던 대일항전의 역사를 무시하는 것이다. 필자는 본고에서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성노예 범죄를 전쟁범죄로 구성하는 세 가지 이론적 방법을 제시한다. 첫째 가사 일본이 한국을 식민지로 병탄한 효과에 의하여 한국의 독립국가로서의 성격을 잃었다는 견해를 취할지라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존재는 물론이고 일제의 침략에 대항한 독립군, 광복군, 의혈단 등에 의한 대규모의 장기적 무력충돌의 존재는 전쟁범죄에 필요한 상황인 비국제적 무력충돌로 보기에 충분하다. 둘째, 이러한 대일항전은 비국제적 무력충돌을 넘어 민족자결권을 행사하여 식민지배, 외국의 점령에 대항하는 무력충돌이므로 국제적 무력충돌 중의 전쟁범죄로 구성할 수 있다. 셋째, 최근 국제형사법은 아동과 여성의 전시에 있어서의 취약성과 특별한 보호를 위하여 전통 국제형사법에서 전쟁범죄에 요구되던 상호주의의 원칙을 아동과 여성에 대하여는 적용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전시의 여성에 대한 성노예 범죄는 피해여성이 속한 집단이 가해 집단에 속하는지 여부를 따지지 않고 전쟁범죄를 구성한다.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 one of the most heinous international crimes which Japanese committed during the World War II. This crime is regarded as sexual slavery and there is no doubt that this horrible crime constitutes enslavement as crimes against humanity. Nonetheless, whether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crime against koreans constitutes war crimes has been debated because of reciprocality element of war crimes. It seems that the traditional international law approach did not pay attention to Koreans national liberation struggle against Japan. I suggest that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 sexual slavery as war crimes and there are three ways to support my argument. First, there is enough evidence to prove the existence armed conflict to consider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as war crimes during non-international armed conflict. There have been large scale armed conflict for a long time between Korea and Japan during the World War II as we see in the example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Korean Independence Military activity, and so forth. Second, this armed conflict is now considered international armed conflict based on the Article 1(4) of the 1977 Protocol Additional I to the Geneva Conventions of 12 August 1949 which reads “The situations referred to in the preceding paragraph include armed conflicts in which peoples are fighting against colonial domination and alien occupation and against racist régimes in the exercise of their right of self-determination, as enshrined in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and the Declaration on Principles of International Law concerning Friendly Relations and Co-operation among States in accordance with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It is obvious that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 sexual slavery as war crimes during international armed conflict. Third, recent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criminal law does not focus the reciprocal element in some categories of war crimes any more. International criminal law does not require child soldiers belong to enemy group since children are vulnerable and need special protection during war time. So are women during war time. Therefor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constitute war crime regardless of the membership of the victims.

      • KCI등재

        BㆍC급 전범재판과 조선인

        김용희(Kim Yong-Hee) 한국법학회 2007 법학연구 Vol.27 No.-

        본 논문은 태평양전쟁기 BㆍC급 전범재판에서 일본의 전쟁 책임을 추궁 받아 전쟁 범죄자가 된 조선인 집단에 관한 연구이다. 태평양전쟁 중 BㆍC급 전범재판은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49개 법정에서 개정되었으며 약 5,700명이 전범으로 기소되었다. 조선인 포로감시원 3,000명 중 129명이 전범으로 일본의 전쟁 책임을 떠안게 되었으며, 조선인 군속들은 대부분 건강하지 못한 포로를 위험한 작업에 사용하여 사망케 한 행위, 억류 시민 또는 피구금자에 대한 구타 등으로 기소되었다. 포로수용소의 전범관계에서 조선인 군속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이유는 일본군이 포로수용소 편성 과정에서 조선인과 대만인만으로 포로감시원을 편성해 포로학대에 대한 전쟁책임을 회피해 보고자 하는 술책, 명령자와 함께 명령 실행자도 처벌하는 연합국측의 재판방식에 있었다. 물론 연합군 포로 4명 중 1명이 사망할 정도로 가혹했던 포로수용소의 강제노동은 당연히 심판 받아야 한다. 그러나 포로의 강제노동에 관한 정책을 입안하고 강행했던 대본영 관계자들은 면죄부를 받고 최말단 포로감시원을 속죄양으로 삼은 BㆍC급 전범재판은 공정한 재판이 되질 못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필자는 일본당국의 치밀하고도 비인간적인 식민지정책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것은 필자만의 경험이 아니라, 이 논문을 접하는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는 바일 것이다. 또한 조선인 포로감시원들이 보여준 삶의 궤적을 통해 나라 잃은 식민지국가의 국민이 국제사회의 냉엄한 현실 속에서 어떻게 버려지는지에 관하여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과거 조선인 전범집단에 대해 내려졌던 법적, 역사적 책임을 지금에 와서 면제하여 준다 하더라도 그들이 겪어야만 했던 지난날의 참혹한 상처는 지워질 수 없는 것이다. 결 국 인간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인류애와 인간이 지니는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역사적 교훈을 시사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support group of Korean persons who were held responsible in place of Japanese for the war crimes in the B and C class crimes trial of Pacific War. Generally speaking, the war crimes are atrocities which, in the middle of war or in the period of war, soldiers, police, public servants, or civilians violate the laws of war in territories of warring nation or neutral nation. And the A class criminals who are related to conspiracy of the war and the brutal atrocities in action are supposed to be tried at the 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 in accordance with the joint resolution by the Allied Powers, the B class criminals who are related to killing, mistreatment and looting in violation of the laws of war and the C class criminals who are related to the inhumanities such as killing, mistreatment and looting against civilians are supposed to be tried in accordance with a local law in the court established at the place of crime. The B and C class crimes trials about the Pacific War were opened at 49 tribunals in Asia, including Japan, and about 5700 persons were indicted for the war crimes. 129 of the 3000 Korean guards were held responsible for the war in place of Japanese. Most of them were indicted for the atrocities such as ‘the act which killed the unhealthy war prisoners by making them do the dangerous work and the assault on the detained civilians or detainee. A lot of Korean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were related to the war crimes in a prisoner’s camp. It was because the Japanese army intended to evade its responsibility on the war by organizing only Korean and Taiwanese persons as guards in a prisoner’s camp, and the Allied Powers judged the executors together with the orderers. The compulsory labor in a prisoner’s camp that was harsh enough to make 1 of 4 prisoners of the Allied Powers be killed must be judged. But the persons of the headquarters who were related directly to the war and framed policies of compulsory labor were exonerated from their responsibility. On the contrary, the low-ranking guards were judged as the B and C class war criminals. Accordingly. the trials were unfair. This paper causes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olonial policy, inhuman and delicate, that Japan formulated in the war. Including me, many persons who read this paper will have the same feeling. Also, the harsh lives that the Korean guards had lived in a prisoner’s camp furnishes an opportunity that we can recognize stark realities of lif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which colonized people had suffered all sorts of hardships. Although the legal and historical responsibility that the support group of Korean persons were held for the war crimes in place of Japanese are now exonerated, the serious wound they received in the past will yield to no remedy. Accordingly, this paper gives a historical lesson that we human being must lead to a general life with universal love and value of mankind in any situation.

      • 전후 극동지역에서 전시범죄의 처벌

        유하영(Ha-Young YU) 대한적십자사 인도법연구소 2019 人道法論叢 Vol.- No.39

        이 논문은 제2차 세계대전이후 아시아지역 연합국이 설립한 소위 “BC형 전범재판”의 설립과 운영에 관한 연구이다. 일반적으로 극동국제재판소 헌장에 의한 도쿄 전범 재판소만이 극동 전범재판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 대부분의 사형 판결과 처벌 인원은 개별국가 전범재판소에서 이루어 졌다. 국제법적인 성격이 강한 뉘른베르그 전범 재판소 및 그 “후속 재판”(subsequent trials)에 비해 극동국제군사재판은 미국의 주도하에 이루어져 천황 및 소위 “731부대”의 불처벌 등 적지 않은 문제를 발생하였다. 한국의 경우 전후 국제질서를 형성함에 전승국도 패전국도 아닌 어정쩡한 상태로 해방이 되었고 연이어 남북분단과 한국동란으로 인해 전후처리와 전후 새로운 국제질서 형성에 거의 참여하지 못했다. 대표적인 사례로 일본 패전 후 강제동원 피해자인 군무원(군속)과 일본군 성노예(위안부)는 일본 국적으로 간주되어 오히려 전범으로 처벌되고 어떠한 배상이나 보상도 받지 못했다. 극동 전시범죄 재판 중에서 나름대로의 가치를 추려보면 소련의 하바롭스크 및 중국의 개별 전범재판소에서의 일본 전범 처벌은 정의의 확립 차원에서 가치 있는 일로 평가된다. 또한 민간인 살해 및 포로 강제 노동, 생체실험 등에 대한 전범 처벌은 이후 국제인도법 규범의 확립에도 적지 않은 기여가 되었다. 잔혹한 전시범죄에 대한 엄정한 처벌은 전시범죄를 예방하는 순기능을 가지고 있다. 전시범죄와 인도에 반한 죄는 시효없이 적용되어야 한다. The paper is an introduction to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o-called BC-type war crimes trials, established by the Asian Union after World War II. In general, only the Tokyo War Crimes Tribunals by the Charter of the 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 for the Far East is known as the Far East War Crimes Trials, but in reality, most of the death penalty and punishment were made at individual and domestic war tribunals held in each 9 Countries. Compared to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of Nuremberg and its subsequent trials, the Far East 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 was led by the United States, which caused quite a few problems with the emperor and so-called 731 units. In Korea, the two countries were liberated from the postwar international order, not from the victorious or defeated countries, and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and the Korean War left little participation in the postwar process and the formation of postwar international order. As the classic case after Japan`s surrender, civilian and military, forced labor victims and sex slaves should be considered his Japanese nationality be punished for war crimes and any compensation or compensation. Given its own values in the Far East Tribunals, the Soviet Union"s Khabarovsk and the individual Chinese war crimes tribunal"s punishment of Japanese war criminals is regarded as valuable in establishing justice. In addition, the killing of civilians, forcing prisoners to work, and conducting experiments on human life have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and human rights regulations. Cruel penalties for brutal war crimes have the net function of preventing war crimes. War crimes should be applied the Principle of “Non-Applicability of Statutory Limitations to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 KCI등재

        전쟁책임과 점령기 일본문학 -다케다 다이준의 「심판」이 말하지 않은 것-

        송인선 ( In Sun So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9 No.-

        다케다 다이준(武田泰淳)의 『심판(審判)」(1947)은 일본의 전범재판이 진행중이던 시기에 집필되었다. 이 소설은 ‘지로(二郞)’라는 일본병사가 중국에서 저지른 전쟁범죄와 그에 따른 죄의자각, 책임의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일본문단에서는 가해자 일본군의 자화상과 전쟁책임의 문제를 비교적 이른 시기에 착실하게 추구한 작품으로 평가받아 왔다. 하지만 본 논문은 『심판」 이 그 시기 보기 드물 정도의 깊은 성찰을 보인 작품이었다는 점에 동의하면서도, 현재의 시각으로 보았을 때 ‘지로’의 치열한 내적 탐구의 계기와, 죄책의 자각이라는 주제의식에 이르는 과정에, 실은 매우 핵심적인 사항들이 결락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따라서 이 소설을 사법적 차원만이 아니라 도덕적 차원의 전쟁책임 논의에 비추어, 작품의 공백과 ‘지로’의 한계라는 관점에서 재독하였다. 소설 속에서도 ‘지로’의 심판은 사법적인 제재로 귀결되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인 차원의 자기처벌을 수용하는 것으로 그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로’가 저지른 두 번의 민간인 사살은 단지 피해자와 가해자 사이의 국적의 차이가 총격의 유일한 동기라고 할 만큼 무의미한 살인이었다. 특히 첫 번째 사살은 국가의 명령계통에 따라 행해진 것이었기에 일본이 일으킨 침략전쟁과 전쟁범죄에 대해 ‘비(非)일본인’이 추궁해야 할 전쟁책임의 문제를 보다 근본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국민으로서 성실하게 징병의 의무에 응한 ‘지로’가 그 성실의 결과 양민 살상이라는 범죄를 저지르게 되는 이 소설은, ‘지로’의 배후에놓인 국가적 책임의 계통구조를 상기시키고, 동시에 엄연히 그 구조의 일부로 작용하는 말단병사의 정치적.도덕적 책임의 엄중함도 함께 일깨울 수 있는 플롯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심판」은 명령계통을 거슬러 올라가 책임의 근원지를 드러내거나 암시하지 않았고, 지로 자신의 가해 의식도 별반 드러내지 않았다. ‘지로’의 희박한 가해자의식은 ‘전시하’라는 예외적 상황 속에서 자신의 배후에 놓인 국가의 명령계통에 책임의 상당 부분을 전가하고 있기 때문일 텐데, 현실의 도쿄재판에서 ‘천황’이 빠졌듯이, 소설 속에서도 최고책임자와 말단의 연결고리는 공백으로 남아있다. 또한 『심판」은 전쟁책임을 다루면서도 고통에 찬 ‘타자’의 호소와 항의의 목소리를 결락하고 있다. 지로는 자신의 전쟁범죄와 그 범죄를 약혼녀에게 고백한 행동까지도 본인의 의지와 결단에 의한 것이었다고 얘기함으로써 스스로를 ‘책임질 주체’, ‘사죄할 주체’로서 정립하고 있 다. 그러나 많은 이들이 강조하듯 ‘책임(Responsibility)’을 ‘타자에 대한 응답(Response) 가능성’이라고 보거나, 레비나스(Emmanuel Levinas)처럼 ‘주체’를 ‘타자’에 대한 윤리적 책임을 통해서 비로소 성립하는 개념으로 본다면, 지로가 전쟁책임을 받아들이는 경로에는 ‘타자(=피해당사자)에 대한 윤리적 책임성’으로서 존재하는 ‘주체’의 모습은 희박하다. 전쟁의 최고책임자, ‘타자’, 가해의식 등 『심판」이 말하지 않은 것들은 패전 이후 지금까지 현실 속에서 전개되어 온 일본의 전쟁책임 논의에서도 거의 침묵으로 일관되거나 가려진 부분과 겹치는데, 그런 점에서 『심판」은 오히려 말하지 않은 ‘공백’들을 통해서, 패전 70주년에도 여전히 현재진행형인 동아시아에서의 전쟁책임 문제를 진지하게 들여다보게 하는 소설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Simpan’ by Takeda Taijun (1947) deals with the issues of war crime committed in China by a Japanese soldier Jiro, according realization of crime and responsibility and it has been considered as a piece of literary work that pursued the issue of self-portrait of perpetrator Japanese solider and responsibility of war at a relatively early period. Although this paper shares the opinion that ‘Trials’ was a piece of literary work that showed moral introspection rare during the period, this paper focused on the fact that it lacked very core matters from today’s perspective during the process of arriving at the cause of Jiro``s intensive internal exploration and thematic consciousness of realization of responsibility for a crime. Accordingly, it interpreted this novel once again from a perspective of gap of the literarywork and Jiro``s limitation in light of the discussion on responsibility of war not only from judicial level but also from moral level. Jiro’s act of killing civilians by shooting twice was a meaningless act of murder and the only motive for shooting was the difference of nationality between the victim and perpetrator. The first killing more fundamentally contains the issue of responsibility of war that should be interrogated by ‘non-Japanese’ for the war of invasion and war crimes committed by Japan since the killing was committed according to the chain of command of the state. This novel in which Jiro that faithfully responded to the draft obligation as a citizen ends up committing a crime of civilian killing as a result of such faithfulness has a plot that reminds of the chain structure of national responsibility that lies behind Jiro, as well as enlightening the severity of the political & moral responsibility of a low-ranking solider that acts as a part of such structure. However, ‘Trials’ neither reveal or imply the root of responsibility by tracing back to chain of command nor particularly reveal the consciousness of perpetrator of Jiro. It``s because Jiro``s insufficient consciousness of perpetrator is shifting a significant part of his responsibility to the national chain of command that lies behind him in an exceptional situation of wartime. Accordingly, connecting link between the chief and lowest persons of responsibility remains in vacuum in the novel just as the Japanese emperor was not included in Tokyo Trials. In addition, Trials omits the painful appeal of ‘the other’ and voice of protest even while dealing with responsibility of war. Jiro who says that his war crime and act of confessing his crime to his fiancee also resulted from his will and determination appears as establishing himself as ‘subject to take responsibility’ and ‘subject to apologize’. If ‘responsibility’ is seen as ‘the possibility of response to the other’ as emphasized by many people or subject is seen as a concept that is established only upon moral responsibility on the other as Emmanuel Levinas, the appearance of ‘subject’ that exists as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is lacking in the way Jiro accepts his responsibility of war. The untold things by Trials such as the chief person responsible for war, the other and consciousness of wrongdoing are consistently silenced or overlap with concealed areas in the discussions on Japan’s responsibility of war that have unfolded since the defeat. In that sense, Trials is a novel that makes readers seriously look into the issue of Japan’s responsibility of war in East Asia not only immediately following the defeat but also currently through the untold ‘vacuu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