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상의 마음공부(마음의 스쿼트)로서 절 명상에 대한 연구 : 낮춤과 세움의 몸짓을 중심으로

        조성훈(Jo Seong-H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7

        본고는 절이 지닌 몸짓의 의미를 밝혀 절 명상이 일상의 마음공부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절은 문화적으로 전통 의례나 종교 의식에서 사용되는 몸짓으로 여겨졌다. 그동안 절에 대한 인식은 하강의 움직임인 ‘낮춤의 몸짓’에 집중한 경향이 있고, 이는 절이 지닌 의례적 성격을 잘 설명한다. 하지만 절의 동작은 하강의 움직임에만 머물지 않고 상승의 움직임인 ‘세움의 몸짓’을 통해 완성된다. 한 번의절은 낮춤과 세움이 하나의 몸짓으로 이어져서 완성되는 동작이다. 그런 점에서 절은 기존의 낮춤의 몸짓 외에도상승의 움직임인 세움의 몸짓에 담긴 의미를 함께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는 절이라는 동작을 낮춤의 몸짓(불교의空)과 세움의 몸짓(유교의 立身)으로 해체하여 바라보고 이를 통해 절이 전통 의례나 종교 의식을 넘어 몸으로 하는 마음공부라는 점을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절 명상은 ‘마음의 스쿼트’라고 볼 수 있다. 스쿼트는 운동의 영역에서 몸을 낮추고 다시 세우는 동작을 통해 몸의 근육을 강화시켜 건강한 신체를 갖도록 돕는다. 절 명상은 ‘낮춤’과 ‘세움’이라는 몸짓의 특성을 함께 공유한다는 점에서 마음의 스쿼트라 부를 수 있고, 마음의 스쿼트는 기존의 스쿼트가 몸의 근육을 강화한다는 측면과 비교할 때 마음근육을 강화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근육이라는 것은 몸이 지닌 힘을 나타내는것처럼, 마음의 힘을 상징적으로 설명하는 방법으로 ‘마음근육’이라는 개념을 사용할 수 있다. ‘마음근육’ 또는 ‘마음의 힘’이라는 것은 다양한 해석이 가능할 텐데, 기존의 절 명상에 대한 연구에서 밝혀진 여러 효과를 살펴보면‘마음근육’이 강화된다는 점을 충분히 밝힐 수 있다. 결론적으로 낮춤과 세움의 몸짓으로 절을 해체하여 해석해 볼때 절 명상은 일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마음공부의 방법이 될 수 있다. This paper reveals the meaning of the bowing movement(momjit) and suggests that bowing meditation can be used as a daily mindful practice. Culturally, bowing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 gesture used in traditional ceremonies and religious rituals. Meanwhile, the recognition of bowing focuses on the momjit of lowering , which is a descending movement. Bowing s ceremonial aspect is effectively explained in this way. However, the bowing movement is not limited to descending; it is completed by the momjit of uprightness , the action of ascending. A single bow is an action that is done by lowering and uprightening as one momjit. In this regard, in addition to the momjit of lowering, it is vital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momjit of uprightness, which is an ascending movement. This helps in the deconstruction of the bowing movement as a gesture of lowering and uprightness. This serves to illustrate that bowing is more than just a traditional ritual or religious ceremony; it may also be a mindful bodily practice. From this point of view, bowing meditation can be viewed as a squat of the mind . Squats assist you maintain a healthy body by strengthening your muscles as you lower and rise in the area of exercise. Bowing meditation can be compared to a mind squat since it shares the same features as momjit in terms of lowering and uprightness , and the mind squat strengthens the mind muscles rather than the body muscles. However, in this case, the term mind muscle can be used to symbolically convey the mind s power, much like the word muscle communicates the body s power in body language. Of course, other interpretations are available depending on how you accept the terms mind muscle and mind power , but looking at the numerous benefits reported in bowing meditation studies, it is clear that the mind muscle is strengthened. In conclusion, when deconstructing and interpreting the momjit of lowering and uprightness, bowing meditation is a form of mindful practice that can be applied to everyday life.

      • KCI등재후보

        제4장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정치철학을 통해 본 공직윤리 연구 -『목민심서』를 중심으로-

        정희태 한국민족사상학회 2010 민족사상 Vol.4 No.2

        본 연구는 다산 정약용의 정치철학에 바탕을 둔 그의 공직윤리에 관한 글이다. 다산의 공직윤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직윤리와 관련하여 다산이 저술한 다양한 저서들에 대한 검토와 분석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산의 저서들 중 공직윤리의 전반에 대해 비교적 상세하게 설명해 놓은 [목민심서]를 중심으로 그의 공직윤리에 대한 관점과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산이 살았던 조선 후기는 국가적 차원에서 볼 때, 말기적 증세가 분출하던 대혼돈의 시기였다. 국가 질서와 권위의 붕괴는 공직의 기강을 약화시켜 관리들은 탐욕을 추구하고 백성을 수탈하였다. 공직 경험을 통해 백성의 고통을 목격한 다산은 그의 정치철학에 토대하여 목민관의 윤리를 담은 [목민심서]를 저술하였다. 이러한 [목민심서]는 목민관이 부임해서 해관하기까지 공직자로서 갖추어야 할 자세와 처신 그리고 마음가짐에 대한 상세한 매뉴얼이다. 사실 공직자의 임무와 자세는 과거나 현재에도 크게 달라질 것이 없다. 그러기에 [목민심서]의 내용은 현대 사회에도 여전히 수용해야할 가치를 지닌다. In this thesis, I investigated Dasan's political philosophy and Public servant ethic discussed in his Mokminsimseo. Dasan's views of public servant ethic developed on the bases of his political philosophy. The public servant ethic mean public servants must keep ethical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in his government affairs. According to Dasan's view, public servants always should service devotedly for the people. And then, This study deals with three problems in relation to public servant ethic of Dasan. First, What characters exist in various background of Dasan's age, relating public servant ethic of Dasan? Second, What kind of Books exist related to governing the people in the past and Dasan' age? Third, What is the point of public servant ethic show up Dasan's Mokminsimseo? As a result of study, Dasan's opinion may be summed up in the following few words. First, public servants should know their own capacity and lot. Second, public servants should be incorruptible and integrity and uprightness. Third, in all cases, public servants must love the people. In conclusion, Dasan insisted that public servants should do ethical conduct and love the people at all times. Accordingly, the public servant ethic of Dasan keep an ideal image that transcend the times.

      • KCI등재

        기행문학과 관광스토리텔링-강화도 심도기행(沁都紀行)을 중심으로-

        송영민,강준수 한국관광학회 2014 관광학연구 Vol.38 No.9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present the strategy of public relation based on storytelling by analyzing Goh, Jae-hyung's Trip to Simdo. The primary attraction of rural tourism of local culture in Kang-wha area is the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e, so the paper focused on cultural and historic experiences in the advertising strategy to stimulate tour need. Trip to Simdo is a typical travel literature including Kang-wha‘s tradition and information. Therefore, the paper tried to analyze Trip to Simdo as four forms of categories, loyalty, chastity, knowledge, and uprightness. It also investigated tradition and culture resources of Kang-wha area through Trip to Simdo. Because Trip to Simdo, the text of the paper, has received high reputation as the source of local culture in Kang-wha area. To attract tourists' attention, the paper presented a storytelling model based on Trip to Simdo, while at the same time analyzing detailed categories. In conclusion, it is needed to be developed various events and storytelling about loyalty-chastityknowledge- uprightness to attract continuous travelers' attention. 스토리텔링을 통한 홍보 효과는 단순히 관광지 차원의 홍보를 넘어서 전체적인 문화유산의 발굴을 통한 문화관광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따라서 스토리텔링의 소재를 발굴하기 위해서는 그 지역의 특성과 정체성을 살릴 수 있으면서 관광객들과 정서적 일체감과 공감대를 형성시킬 수 있는 소재 위주로 서사구조화 할 때 홍보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고는 강화지역을 효과적으로 소개할 수 있고, 살아 있는 생생한 문화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고재형 선생의 심도기행이라는 기행문학을 통해서 관광객들에게 홍보 효과와 더불어 정서적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심도기행을 충(忠), 열(烈), 지(知), 청(淸)의 범주로 나누어 분석을 하고 그에 따른 스토리텔링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로써, 심도기행의 내용은 강화도 일대 기행을 통해서 현대의 관광객들과 같은 입장에서 이 지역을 소개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며 기행문학 측면에서 강화도의 홍보 전략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기녀가사<SUB>妓女歌辭</SUB>의 내면 의식과 태도 고찰

        김정석(金正錫) 한국국학진흥원 2015 국학연구 Vol.0 No.28

        조선시대에 널리 향유되었던 문학의 역사적 갈래 중에서 장편 서사가사는 인생의 거의 모든 영역, 즉 자연 · 사회 · 역사 · 지리 · 기행 등 인간사를 소재로 하여 창작되었다. 흔히 모순적 존재라고 일컫는 기녀는 조선사회에서 숫자로 보나 역할로 보나 무시할 수 없는 사회적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음악 · 무용 · 문학 등의 문화적 기여는 다른 어떤 집단보다도 월등했으나, 그녀들에 대해 학술적으로 연구할 만한 자료는 많지 않다. 따라서 작품 내용과 관련된 기녀妓女의 생애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는 미흡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 현실 상황이었다. 그런데 정병설에 의해 『나는 기생이다 - 『소수록』 읽기』라는 일종의 장편기녀서사가사 문학작품 연구서가 단행본으로 발간돼 이 분야연구의 지평을 넓혀 주었다. 본 논문은 그 단행본 속에 수록된 원제 『(撰) 영(海營) 명긔(名妓) 명션이라』 라는 작품을 통하여 작가인 명선의 내면 의식과 삶의 태도를 고찰하였다. 내면 의식 측면으로는 인간적 각성 의식, 순천자 의식, 자존 의식, 그리움과 한恨의 극치로, 세상에 대한 삶의 태도 측면으로는 파격과 자조, 세태 탄식, 절효 그리고 욕망의 표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19C 중후반에 창작된 것으로 보이는 이 작품은 조선시대에 대한 막연한 선입관의 일부를 바꾸기에 충분하였다. 특히 하층신분이자 그것도 여성인 기녀(작가 명선)의 내면 의식과 태도는 그간 우리가 일반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던 점과 확연히 차이가 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이 작품은 선행 문학의 역사적 갈래(장르)들과의 활발한 교류가 있었음이 파악돼, 작가의 지적 수준을 가늠하는 데도 기여할 수 있어 당시 여성 작가 연구에도 그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Of various literary genres that prevailed in Joseon Dynasty, the full-length narrative gasa took as its subject matters the almost entire gamut of human affairs ranging from nature, to society, history, geography and travel. Frequently dubbed a contradictory figure, the courtesan, with its number and role, accounted for an unignorable portion of Joseon society. Although courtesans made superior contributions in cultural disciplines such as music, dance, and literature, there exist no significant amount of materials treating them that should invite academic research. Therefore, it was previously inevitable that any in-depth study on a courtesan’s life in relation to her text would be only insufficiently done. The horizon was broadened for the research in this area, however, as Jeong Byeong-seol published I Am A Gisaeng: Reading Sosurok, a study of full-length narrative gasa by courtesans as literary works. This thesis examines the inner consciousness and outlook on life of Myeongseon, the writer of Chan haeyeong myeonggi yeongsheon ira (“Written by Myeongseon, famed courtesan of Haeyeong”) included in the book. The study finds in the category of inner consciousness the human awareness, the heaven-obeying sentiment, self-respect, undisguised desire, and the extreme longing and han (‘sorrowful regrets’), and in the category of outlook on life lamentation of the times, self-derision, the extraordinary, and uprightness. The work, presumably written in mid-19th Century, is impressive enough to change some of the unfounded preconceptions of Joseon period. Particularly the inner consciousness and outlook demonstrated by the writer who not just belonged to a lowly social class but was also a woman as well as a courtesa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perched in our common understanding. Moreover, since this work turns out to have had lively exchange with the historical genres of the preceding literature and can thereby help determine the writer"s intellectual level, it should be of value in studying the contemporary women writers.

      • KCI등재

        기녀가사妓女歌辭의 내면의식과 태도고찰 - 「찬(撰)영(海營)명긔(名妓)명션이라」를 중심으로

        김정석 한국국학진흥원 2015 국학연구 Vol.0 No.28

        Of various literary genres that prevailed in Joseon Dynasty, the full-length narrative gasa took as its subject matters the almost entire gamut of human affairs ranging from nature, to society, history, geography and travel. Frequently dubbed a contradictory figure, the courtesan, with its number and role, accounted for an unignorable portion of Joseon society. Although courtesans made superior contributions in cultural disciplines such as music, dance, and literature, there exist no significant amount of materials treating them that should invite academic research. Therefore, it was previously inevitable that any in-depth study on a courtesan’s life in relation to her text would be only insufficiently done. The horizon was broadened for the research in this area, however, as Jeong Byeong-seol published I Am A Gisaeng: Reading Sosurok, a study of full-length narrative gasa by courtesans as literary works. This thesis examines the inner consciousness and outlook on life of Myeongseon, the writer of Chan haeyeong myeonggi myeongsheon ira (“Written by Myeongseon, famed courtesan of Haeyeong”) included in the book. The study finds in the category of inner consciousness the human awareness, the heaven-obeying sentiment, self-respect, undisguised desire, and the extreme longing and han (‘sorrowful regrets’), and in the category of outlook on life lamentation of the times, self-derision, the extraordinary, and uprightness. The work, presumably written in mid-19th Century, is impressive enough to change some of the unfounded preconceptions of Joseon period. Particularly the inner consciousness and outlook demonstrated by the writer who not just belonged to a lowly social class but was also a woman as well as a courtesa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perched in our common understanding. Moreover, since this work turns out to have had lively exchange with the historical genres of the preceding literature and can thereby help determine the writer's intellectual level, it should be of value in studying the contemporary women writers. Key words : full-length ginyŏ narrative gasa, Sosurok(소수록), human awareness, heaven-obeying sentiment, love-lorn heartbreak, sporadic heartbreak, self-respect, lamentation of the times, self-derision, the extraordinary, uprightness. 조선시대에 널리 향유되었던 문학의 역사적 갈래 중에서 장편 서사가사는 인생의 거의 모든 영역, 즉 자연‧사회‧역사‧지리‧기행 등 인간사를 소재로 하여 창작되었다. 흔히 모순적 존재라고 일컫는 기녀는 조선사회에서 숫자로 보나 역할로 보나 무시할 수 없는 사회적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음악‧무용‧문학 등의 문화적 기여는 다른 어떤 집단보다도 월등했으나, 그녀들에 대해 학술적으로 연구할 만한 자료는 많지 않다. 따라서 작품 내용과 관련된 기녀妓女의 생애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는 미흡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 현실 상황이었다. 그런데 정병설에 의해 『나는 기생이다 ―「소수록」읽기』라는 일종의 장편기녀서사가사 문학작품 연구서가 단행본으로 발간돼 이 분야 연구의 지평을 넓혀 주었다. 본 논문은 그 단행본 속에 수록된 원제 「(撰)영(海營)명긔(名妓)명션이라」라는 작품을 통하여 작가인 명선의 내면 의식과 삶의 태도를 고찰하였다. 내면 의식 측면으로는 인간적 각성 의식, 순천자 의식, 자존 의식, 그리움과 한恨의 극치로, 세상에 대한 삶의 태도 측면으로는 파격과 자조, 세태 탄식, 절효 그리고 욕망의 표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19C 중후반에 창작된 것으로 보이는 이 작품은 조선시대에 대한 막연한 선입관의 일부를 바꾸기에 충분하였다. 특히 하층신분이자 그것도 여성인 기녀(작가 명선)의 내면 의식과 태도는 그간 우리가 일반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던 점과 확연히 차이가 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이 작품은 선행 문학의 역사적 갈래(장르)들과의 활발한 교류가 있었음이 파악돼, 작가의 지적 수준을 가늠하는 데도 기여할 수 있어 당시 여성 작가 연구에도 그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 원불교 마음공부에서 ‘세움(立)’의 의미

        조성훈(Jo, Seong-Hun)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2020 마음공부 Vol.1 No.-

        원불교 마음공부의 핵심은 대체로 일상수행의 요법 에 담겨져 있다. 특히 일상수행의 요법 1 2 3조는 ‘경계’를 대하여 정(定)과 혜(慧)와 계(戒)를 세우는 원불교 특유의 마음공부를 제시한다. 정 혜 계의 ‘세움(立)’은혜능이 『육조단경』에서 밝힌 ‘불립(不立)’에 대한 안티테제로서 소태산이 불법을 계승하는 가운데 자신의 철학으로 새롭게 정립한 것이다. 이를 통해 ‘경계’에 대한 ‘세움’은 원불교 마음공부 방법의 중요한 원리가 되어 다양한 마음공부가 가능토록 했다. 이러한 마음공부 방법론은 대체로 삼학을 중심으로 한다. 논자는 ‘세움(立)’의 사상이 삼학 수행에만 머물지 않고 사은 신앙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는 입(立)이라는 문자가 가진 뜻을 인류학적으로 바라보면서 시작된다. ‘땅 위에 서 있는 존재’에서 근원적인 의미를 찾는 것이다. 땅은 원불교 사상에서 은혜에 해당하며, 사람이 ‘스스로 세우는 것(自立)’은 땅을 통해야만 가능하다. 이것이 ‘세움’의 근원적인 뜻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세움’은 원불교 사상에서 삼학 수행과 사은 신앙을 관통하는 보편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소태산이 안티테제로 제시한 ‘세움’은 수행과 신앙을 아우르는 마음공부의 원리가 될 수 있다. The essence of mindful practice(마음공부) in Won Buddhism is primarily contained in The Essential Dharmas of Daily Practice. Its articles 1, 2, and 3 present the unique way of mind practice in Won Buddhism, which uprights Samadhi(定), Wisdom(慧), and Precept(戒) of Original Nature encountering sensory conditions. The way of uprightness(立) against sensory conditions as an antithesis of Non-uprightness(不立) in the Platform Sutra by Huineng, the 6th Patriarch of Chan tradition is not only a succession of traditional Chan Buddhism but also a newly established philosophy by Sotaesan, the Founder of Won Buddhism. The method by the uprightness against sensory conditions is a core principle of mind study in Won Buddhism, allowing various types of mind study possible. The methodology of this type of mind study mainly focuses on The Threefold Study in Won Buddhism. This paper intends to reveal that the idea of uprightness could be applied not only to the practice by The Threefold Study but also to the faith by The Fourfold Grace. It begins by anthropologically looking at the meaning of the word ‘立(uprightness).’ The Chinese character ‘立’ depicts the being on the earth. Won Buddhism regards the earth as grace. Human beings are possible to upright themselves only by the support of the earth. This is the fundamental meaning of ‘uprightness.’ Considering this point, uprightness has universality over the practice by The Threefold Study and the faith by The Fourfold Grace in Won Buddhism. Therefore, uprightness, as an antithesis suggested by Sotaesan, can be a principle of mind study that encompasses both the practice and the faith.

      • KCI등재

        유가(儒家)의 간쟁론(諫諍論) 전개(展開)에 관한 고찰(考察)

        趙南旭 ( Cho Nam-uk ) 한국유교학회 201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2 No.-

        근래 모 방송사에서는 유교 소개의 특집을 방영하는 서두에서 유가의 효는 부모의 부정에 대해서도 순종하는 것으로만 소개하여 오해를 낳게 한 일이 있었다. 실제 『논어』에서는 아비의 부정행위를 사직당국에 고발하는 것에 반대하는 입장에서 정직을 말하는 공자의 발언이 전한다. 그 내재적 의미를 깊이 생각하지 않으면, 집밖에 알리지 않으면서 아비의 부정을 묵인하고 순종하는 것이 정직함이요 효도인 것으로 이해하기 쉽다. 그러나 그것은 곧 사회적 정의의 가치추구와 상충되는 모순을 낳는다. 유가에서는 개인과 가정 및 사회 국가의 경계를 따라 도덕적 가치관을 달리 말하는 경우는 없다. 그렇다면 그러한 공자의 발언은 어떻게 이해되어야 할 것인가? 이것은 경전에서 두로 언급되는 간쟁의 이론을 주목하여 해결될 수 있다. 諫이란 아랫사람이 윗사람의 잘못을 지적하여 고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자는 효행론에서 ‘幾諫’을 말했을 뿐만 아니라 ‘爭子’의 역할을 중시하였다. 또 『書經』에서는 “임금이 간언을 따르면 성스럽게 된다.[侯從諫則聖]”고 하였으니, 성군의 경지에 이르기 위해서도 신하의 간쟁은 긴요한 것으로 보았던 것이다. 맹자와 순자도 그와 같은 성격의 간쟁론을 부단히 전개하였으며 유현들은 그 실천에 남달리 노력했고, 나아가 조선의 유교국가에서는 司諫院과 같은 기구를 설치하여 간쟁 활동을 정식으로 수용하는 형태를 취했다. 유가에서는 부자와 군신 관계에서 공경과 순응의 태도를 중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윗분에 대하여 시비를 논하는 간쟁의 모습이 중시된 이유는 무엇일까? 이 답으로서는, 인간이란 바르고 정직하게 살아야 한다는 신념과 더불어 진리 공유에의 사명감이 매우 높았다는 사실을 들 수 있다. 간쟁은 현재에서 미래를 보며 더욱 바람직한 방향의 실천적 대안을 제시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간쟁의 전개는 삶의 현장에서 정의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요, 구성원들로 하여금 도덕적 긴장감 속에 상호 보완의 화목한 분위기를 누릴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와 같은 간쟁이 발전적인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우선 상대에 대한 존경심과 신뢰성이 견지되어야 하며 특히 諫者에게는 정당성을 담보할 높은 지혜가 요구되고 聽者에게는 간언을 기꺼이 수용할 관용적 태도가 요구된다. 이러한 모습은 오늘날 우리가 추구하는 소통의 확장과 공정한 사회 구현의 기반을 확충하는 데에 적극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The duke of Sheh[葉公] informed Confucius(孔子), saying, 'Among us here there are those who may be styled upright in their conduct. If their father have stolen a sheep, they will bear witness to the fact.' Confucius said, 'Among us, in our part of the country those who are upright are different from this. The father conceals the misconduct of the son, and the son conceals the misconduct of the father. Uprightness is to be found in this.' In the view point of Confucius, they must take all remonstrance for the maintaining of uprightness in their home life. Therefore Confucius said as follows. 'In serving his parents, a son may remonstrate with them but gently, and when he sees that they do not incline to follow his advice, he shows an increased degree of reverence, but dos not abandon his purpose.' The Confucian expostulation depend on the human dignity, benevolence, and social justice. So, the way of direct remonstrance in a soft tone is attached importance to the filial son and the faithful subject. And to be really effective, they must be able to take part in the dispensation of justice. Especially, the parents and the monarchs must not be repressive in dealing with their subordinates.

      • KCI등재

        새로 발굴한 고소설〈雲水誌〉연구

        곽정식(Kwak Jung-Sik) 한국문학회 2007 韓國文學論叢 Vol.4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formative process, the narrative expansion, the character"s figuration and the writer"s consciousness of Unsoochi(雲水誌) which is excavated recently as a korean classical novel and introduced into ascientific treatise for the first time. First of all, Unsoochi(雲水誌) was created as a korean classical novel by the material of MumokWangChongchungnok(武穆王精忠錄) which was translated on 1760, as a translation of TaesongJunghungTongsyokYeonui(大宋中興通俗演義) and the time of creation is presumed to be the late 18th century and the mid-19th century. Secondarily, The stem story is the struggle and the vengeance of traitors and men of loyalty and uprightness in Unsoochi(雲水誌), which is arranged beforehand by the highest of the heavenly gods of Taoism. In addition, several subsidiary characters enter the stage and plait forming the relationship of male and female, scattering of a family and so forth on. Especially the evil deeds of traitors bring about the struggle and the interest. The third, the character"s group, appeared on Unsoochi(雲水誌) are divided into as a man of loyalty and uprightness and a traitor in the large. and subsidiary characters help them. A man of loyalty and uprightness is descrived as a figure to be faithful to Confucianism. The figuration of men of loyalty and uprightness and the triumph of Confucianism are the central axis in Unsoochi(雲水誌), but the impracticable fantasy is appeared throughout the work. and the consciousness intending to the general and the premier dominates the work, also the consciousness intending to a scholar in retirement and a Taoist hermit with supernatural powers are appeared everywhere.

      • KCI등재

        『논어(論語)』의 ‘직(直)’ -‘직궁(直躬)’ 이야기와 정의(justice)의 딜레마?-

        김시천 한국유교학회 201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7

        The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classics often reflects the conflict of reality. One such example is the controversy related to the ‘zhi(直)’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China, Confucius’s ‘zhi’ seems to have been understood as a discussion related to a dilemma of filial piety and social justice. The saying of Confucius, seemingly defending the son who concealed the father’s theft, seems to be so interpretable. However, if we take a comprehensive look at the “anecdote of Zigong(直躬),” which appears in various literatures, it is less likely. I pointed out in this paper that the word ‘zhi’ has at least three concepts and the meaning is not simple. Secondly, the “anecdote of Zigong(直躬),” is appeared in various literatures besides the Analects, and can be mainly divided into two transmissions. In the one line of the Analects, Zhuangzi, and Huainanzi, there are the discourse, in which was discussed as the matters of uprightness(直) or truthworthiness(信). The other line is the Annals of Lü Buwei and Han Feizi, where we find a discussion that can be seen as a dilemma of the filial and justice. In this way, we see that todays the view of the dilemma of filial piety and social justice is based on the legalist interpretation rather than the Confucians. In addition, the “anecdote of Zigong” of the Analects may be a story that reflects the reality where human emotions, morals, and law coexist. In addition, the anecdote can be read as a story that shows the process of combining ritual forms and emotional elements. Similarly, even if we interpret the story of Zigong as a debate involving filial piety and justice, the two may not necessarily be contradictory concepts. For from the Confucian vision of society or a modern point of view, a just society can mean a society where filial piety is recommended or better for the practice of filial piety. Indeed, Korean scholarly translators and commentators find no way of interpreting the “anecdote of Zigong” as a dilemma between filial piety and social justice. Perhaps this reflects the reality of China and the reality of Korea. We can see from this that the interpretation and controversy of ‘classics’ sometimes reflects the problem of the reality in which interpreters live rather than the meaning of the classic itself. In that sense, the difference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anecdote of Zigong might be seen as a testament to the difference in social reality between China and Korea. 전통 고전의 해석은 종종 현실의 갈등을 반영하곤 한다. 그러한 사례 가운데 하나가 『논어(論語)』의 ‘직’(直)과 관련된 논쟁이다. 최근 중국에서 공자의 ‘직’은 효와 사회정의와 딜레마를 보여주는 논의로 이해되어 온 듯하다. 겉으로 보기에는 아버지의 도둑질을 숨겨 준 자식을 옹호한 것처럼 보이는 공자의 이야기는 그렇게 해석될 여지가 있어 보인다. 그러나 여러 문헌에 등장하는 ‘직궁 이야기’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면, 오히려 그럴 여지는 줄어든다. 나는 이 논문에서 『논어』의 ‘직’이 적어도 세 가지 개념을 가지며, 의미가 단순하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둘째로 ‘직궁 이야기’는 『논어』 이외에도 여러 문헌에 등장하며, 주로 두 계열로 나눌 수 있다. 『논어』 계열에는 『장자(莊子)』와 『회남자(淮南子)』가 있는데, 주로 ‘직’(直)이 ‘신’(信)의 문제로 논의된다. 다른 하나는 『여씨춘추(呂氏春秋)』와 『한비자(韓非子)』인데, 여기서 우리는 ‘효’와 ‘충’의 딜레마로 볼 수 있는 논의를 발견하게 된다. 이렇게 볼 때 오늘날 효와 사회정의의 딜레마로 보는 시각은, 유가적이이기보다 오히려 법가적(法家的) 해석에 기반해 있음을 알 수 있다. 『논어』의 ‘직궁 이야기’는 오히려 인간의 감정, 도덕, 법이 복합적으로 공존하는 현실을 반영하는 이야기일 수 있다. 또한 『논어』의 ‘직궁 이야기’는 효가 의례적 형식과 감정적 요소가 결합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이야기로도 읽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논어』의 직궁 이야기를 효와 정의가 관련되는 논의로 해석한다 해도, 양자가 반드시 상호모순되는 개념이 아닐 수도 있다. 왜냐하면 유가적(儒家的) 사회관이나 현대적 관점에서 볼 때, 정의로운 사회는 효가 권장되거나 아니면 효를 실천하기에 더 좋은 사회를 의미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우리 학계의 『논어』 번역자와 주석자들은 ‘직궁 이야기’를 효와 사회정의의 딜레마로 해석하는 경우를 찾아볼 수 없다. 어쩌면 이것은 중국의 현실과 한국의 현실을 반영하는 문제일 수도 있다. 우리는 이를 통해 ‘고전’에 대한 해석과 논쟁이 때때로, 고전 자체의 의미를 반영하기보다 해석자들이 살아가는 현실의 문제를 반영하기도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논어』 직 해석의 차이는 중국과 한국의 사회 현실의 차이를 보여주는 하나의 증거로 볼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