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 인식과 여성에 대한 폭력 - 하성란 · 조경란의 소설을 중심으로 -

        유진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5 No.-

        The study in terms of feminist geography and aimed at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against women. For this purpose, in Cho Kyung-ran’s novel “The French Optical Shop,” “As Strange as Heaven” and Ha Sung-ran’s novel “The Bad Dream” and “The Baby Fingers,” I analyzed the gendering implications of the space where female violence occurs, and looked at how th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the space caused by the gender relate to violence against women. Space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social spatiality where are condensed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including genders, classes, and races, and this makes it political and ideological.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space is not just a difference of experience, but the difference in political and ideological components inherent in the society. For this reason, it is an important task of our time to focus on the political nature and ideology of society through the phenomena that took place there, rather than simply looking at space as a physical construct. First, I looked at the workplace to reveal the relevance of violence women to the gender implication. Next, I looked at the taxi which is public space along with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pace. Finally, I looked at home, which was generally perceived as a place of protection, a place of comfort, through a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spatial understanding. Due to hierarchical order in the public domain, we could find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workplace. This difference in perception also contributes to violence against women, which has been perpetrated mainly by those who do not consider women to be coworkers and think of women as sexual objects. Nextly, public space can be a place of fear and fear for women, unlike men who freely use public places and enjoy freedom of passage. The fear and anxiety felt by women taking late-night taxis was created by women’s prior experience, which showed that events in society were perceived as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for women, making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ublic space. And we can see that violence in the public space is also the root of our society’s wrong sense of sexuality, which sees women as sexual objects. Finally, the domestic violence against women makes them realize that home is never a safe place and rather a place of violence. Violence against women in home occurred mostly in the absence of male guardians, in which case, the absence of guardians means the public use of possession to intruders. Just as the perception of space can be approached as a matter of violence against women, violence against women can reduce violence against women from a more fundamental problem. 이 연구에서는 젠더 지리학의 관점에서 공간과 여성 폭력의 상관성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조경란의 단편소설 「불란서 안경원」, 「천국처럼 낯선」과 하성란의 단편소설 「악몽」, 「새끼손가락」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이 발생하는 공간의 젠더 함의를 분석하고, 공간에 대한 이해의 차이가 여성에 대한 폭력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가를 살펴보았다. 공간은 젠더와 계급 등의 다양한 사회관계가 응축되어 나타나는 사회 공간으로서의 성격을 지니며, 이로 인해 정치와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받는다. 공간에 대한 젠더 인식의 차이는 단순한 경험만의 차이가 아니며 그 사회에 내재된 정치적이며 이데올로기적 구성물의 차이가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런 이유로 공간을 단순히 물리적인 구성물로서 보는 것이 아닌 그곳에서 일어난 현상들을 통해 사회의 정치성과 이데올로기를 밝히는 것이 우리시대의 중요한 과제이다. 여성에 대한 폭력이 발생하는 공간의 젠더 함의와 여성에 대한 폭력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먼저, 직장이라는 공간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공공의 공간인 택시에서 발생하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공간 인식에 대한 젠더 차이와 함께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일반적으로 보호의 공간, 편안한 공간으로 인식되던 집에서 발생하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공간 이해에 대한 젠더 차이를 통해 알아보았다. 공적 영역에서의 위계화 된 질서로 인해 직장이라는 공간의 인식에서 젠더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여성 폭력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이는 주로 여성을 동료라고 생각하지 않고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생각하는 이들에 의해 여성에 대한 폭력이 행해졌다. 이러한 기저에는 남성중심의 이데올로기가 작동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공공의 공간에 대한 인식의 젠더 차이는 자유롭게 공공장소를 이용하고 통행의 자유를 누리는 남성과는 달리 공공장소는 여성에게는 두려움과 공포의 장소가 되기도 한다. 밤늦은 시간 택시를 타는 여성이 느끼는 공포와 불안은 여성의 선험적 경험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사회 사건들이 여성들에게 직·간접경험으로 인식되어 공공의 공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만든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공공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폭력 또한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보는 우리 사회의 그릇된 성의식이 근원에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성이 자신의 집에서 성폭력을 당하는 사건은 여성으로 하여금 집이라는 공간이 결코 안전한 곳이 아니며 오히려 또 다른 폭력의 장소임을 인식하게 한다. 집이라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여성 폭력은 대부분 남성 보호자가 부재한 상황에서 일어났으며, 이 경우 보호자의 부재는 침입자에게는 곧 소유의 공용을 의미하기도 한다. 공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여성에 대한 폭력의 문제로 접근할 수 있는 것처럼 여성에 대한 폭력은 보다 더 근원적인 문제에서부터 접근할 때야 비로소 여성에 대한 폭력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조선시대 여성글쓰기에 대한 사대부남성의 인식과 표기방식

        권정원(Kwon, Jung Wo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5 동양한문학연구 Vol.41 No.-

        조선시대 여성의 글쓰기[문학창작활동]에 대한 사대부남성들의 평가는 대체로 부정적이었다. 여성의 글쓰기, 즉 문자를 통한 욕망의 표출에 대한 부정이라면, 그것이 한문이든 언문이든 표기방식과 무관하게 평가되어야 한다. 하지만 실제의 경우는 다르다. 여성의 한문글쓰기가 ‘문학 활동 자체가 여성의 일이 아니라’는 이유로 강력하게 비난받은 것과는 달리, 여성의 언문글쓰기에 대한 제재는 거의 없었다. 이는 사대부 남성들의 한문과 언문이라는 표기방식에 대한 인식에 기인한 것이다. 한문은 중세보편문화의 상징이자, 상층 남성들의 전유물이었다. 사대부 남성들은 이를 통해 유교적 사상과 학문을 專有하였고, 이러한 문자사용 능력은 사회적 권위와 신분을 보장하는 상징이 되었다.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문과 언문이라는 이중 문자를 사용해야 했지만, 사대부남성들의 세계를 유지시키는 문자는 한문이었다. 사대부남성에게 언문은 ‘여항의 비속한 말’, ‘야비하고 상스러운 무익한 글자’이며 ‘한낱 신기한 기예’에 불과했다. 사대부남성에게 한문은 상층의 문화를 대변하는 우월한 것이었고, 언문은 하층의 문화를 드러내는 열등한 것이었다. 이러한 표기방식에 대한 인식은 성리학적 이데올로기와 맞물려 ‘남성:여성=상:하=한문:언문=우월:열등’이라는 인식을 가져왔다. 따라서 여성이 언문을 사용하여 문학 활동을 하는 것에는 거부감이 없었지만, 여성이 상층 남성의 전유물인 한문을 공유한다는 사실에 대한 불편함이 여성의 한문글쓰기에 대한 부정적 시각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러한 여성의 한문글쓰기에 대한 부정적 시각은 여성의 글쓰기 활동 자체를 제지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여성들은 한문을 안다는 사실을 드러내길 꺼렸고, 시문 창작을 하거나 문집을 발간하더라도 죽기 전에 스스로 불태우는 행위를 서슴지 않았다. 결국 사대부 남성의 여성 한문글쓰기에 대한 경계와 비판은 여성 스스로가 언문이라는 표기방식을 채택하도록 하는한 요인으로 작용했던 것이다. Gentry men's evaluation of women's writing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was negative in general. If the negative evaluation is the negation of women's writing, that is, the expression of desires through letters, women's writing should have been evaluated regardless of transcriptional methods, that is, Chinese classics or Hangul. However, it was not the case in the reality. Unlike women's Chinese classics writing that was severly criticized for the reason that ‘Literature activities per se are none of women's business’, women's Hangul writing was hardly restrained. This is due to gentry men's perception of the transcriptional methods; Chinese classics and Hangul. Chinese classics was the symbol of medieval universal culture and an exclusive property of upper class men. Gentry men exclusively owned Confucian ideas and learning through Chinese classics and the ability to use these characters became a symbol that guaranteed social authority and status. Although they had to use two characters; Chinese classics and Hangul after the creation of the Hangul by king Sejong, the characters that maintained gentry men's world were Chinese classics. To gentry men, the Hangul was just ‘an abusive language in the country’, ‘indecent words of middle class communities’ and ‘a novel art.’ To gentry men, Chinese classics was a superior thing that represented upper class' culture and Hangul was an inferior thing that revealed lower class' culture. This perception of transcriptional methods interlocked with neo-Confucian ideology to bring about the perception that men:women=top:bottom=Chinese classics:Hangul=superior:inferior. Therefore, although there was no repulsion against women's literature activities using Hangul, gentry men's inconvenience about the fact that women shared Chinese classics that was an exclusive property of upper class men appeared as negative views of women's writing in Chinese classics. These negative views of women's writing in Chinese classics acted as a factor that restrained women's writing activities perse. Women were unwilling to reveal the fact that they knew Chinese classics and even if they created poetry and prose or published a collection of works, they were unserved in burning it before they died. Eventually, gentry men's vigilance and criticism against women's writing in Chinese classics acted as a factor that made women adopt the transcriptional method termed Hangul by themselves.

      • KCI등재후보

        1950년대 여성소설의 전쟁인식과 '기억의 정치학'-강신재의 초기단편을 중심으로

        김복순 한국여성문학학회 2003 여성문학연구 Vol.10 No.-

        It makes women have a different perception on history from that of men, that women have been The Others in History. Since men have been the 'subjects' and women the others in history and society, it is unavoidable, It is another way of perceptions on world. So far, the subject of perception on history has been nation, or man. In case of Korean War, the perspectives of either ordinary people or women are excluded, Only those of nation or men are found. Kang Sin Jae did not interpret the war from the standpoint of historical events. While men describe historical events or show perceptions mainly based on historical events, women wrote her story from rather personal standpoints of view. In Kang Sin Jae's short stories, the war was described such personal things as 'neighbors running away' or 'handing out of rice". Those things were used to emphasize the tragedy of lives. Women dream of romantic love affairs even during the war, and the stories were usually ended in the message that 'humans beings are nothing but the absolute solitude existences themselves'. Such a perception is not a escape from history. Women perceive that the world is absurd and history is meaningless. This is ‘herstorical consciousness’. Women's perception on time was not lineal but personal. In that respect, it is different from that of modern times, ‘Women's way of knowing’ and ‘women's way of seeing’, could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relative self’ of Nancy Chodorow's and Carol Giligan's theory. And communication theory also emphasize the different conversation styles between men and women. Her early short stories well reflect the politics of silence and exclusion in Korean society. It was changed to anti-communism, the hegemonical ideology in South Korean society, in her novel ‘Dandelions on the Imgin River’ written in 1962, Such a change i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politics of memory. It shows us the homology between novel and society. 역사 속 타자 였던 여성의 특수한 경험은 여성들로 하여금 남성과 다른 역사인식을 갖게 하였다. '주체' 와 '타자', 지식인 엘리트와 민중, 남성과 여성의 역사인식은 다를 수밖에 없으며, 이는 총체적 인식의 부족, 당대성의 결여 등으로 타매될 것이 아니라 하나의 세계인식방법으로 자리매김 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역사해석 내지 인식의 주체는 국가 내지 민족이었으며, 대체로 남성과 동일시되어 왔다. 한국전쟁에 관한 한 민중, 여성의 관점은 완전히 배제되어 있으며, 오로지 국가, 반공의 관점만 있다. 강신재는 전쟁을 '사건' 중심으로 해석하지 않았다. 남성 작가의 소설이 통상 사건사. 정치사중심의 거대사적 접근 및 인식을 드러낸다면, 여성소설은 대개 개인-가족 일상 중심이다. 민중 여성 계열에서 전쟁은 이웃사람들이 피난 가는 소리 쌀배급 으로 인식되었고, 삶의 비극성을 표면화시키는 매개로 작용한다. 실존의식 계열에서는 전쟁을 매개로 낭만적 사랑을 추구하지만 인간은 결국 절대고독자라는 실존의식으로 귀결되었다. 강신재 초기 단편은 역사 속 타자의 인식방법을 강조해 드러냄으로써 비판성을 획득하며, 여성서사의 새로운 전망을 보여 준다. 여성의 시간인식은 근대의 시간관인 직선적 시간관과 다르게 나타났다. 사건 중심이 아니라 개인-가족-일상 중심의 비사건적, 비직선적 시간이다. 이러한 차아는 낸시 초도로우와 캐를 길리건이 말한 관계적 자아 와, 여성의 인식방법 (women's way of knowing, women's way of seeing), 남녀 대화방식의 차이를 강조하는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원용하여 설명할 수 있었다. 강신재 초기 단편은 침묵과 배제의 기억의 정치학을 잘 보여주여, 초기 단편에서 1960년대의 장편 「임진강의 민들레」에 이어지는 과정은 서술자의 시각, 등장인물들의 발언을 통해 반공주의시각이 이 사회에 확실히 정착했음을 반증해 준다. 이러한 변모는 남한의 공식 역사에서 기억의정치학이 작동되는 전개과정과 정확히 일치한다. 소설과 사회의 상동성(homology)이다.

      • KCI등재

        근대 유학자 김복한의 여성 인식 양상과 그 의미

        김기림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Kim Bok-han’s perceptions of women who lived in the enlightened period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ir meanings. So In this article, I tried to clarify the pattern of women’s awareness by examining women’s articles written by Kim Bok-han. According to the study, he praised the virtuous woman who is faithful to her parents and thrives on a family, emphasised on daily life of filial piety and he told women judging the times and demanding good judgment. Kim Bok-han judged that the spread of Western thought at the time made Korea a barbarian, in order to protect Joseon, he tried to strengthen the existing Confucian ethics. His perception of women implies this situation. Therefore his perception of women limited in that it overlaps with traditional Confucian women’s perception. However, i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women’s view, which emphasizes the virtuous woman who dies with her husband and excludes women’s interest in society. In this sense, his perception of women responds to social change at that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an aspect of female perception in the enlightened period and in the future, I will examine women’s perceptions more closely to embody the women’s topographic maps that existed in the enlightened period. 이 글의 목적은 개화기 및 일제 강점기에 살았던 김복한의 여성에 대한 인식 내용을 살피고 그 의미를 살피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에 그가 여성에 대해 쓴 글을 중심으로 그 속에 담긴 여성 인식들을 살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그는 시부모에게 효도하며 가문을 번창하게 하는 열녀를 칭송했고, 효의 일상성을 강조하고, 여성이 시대 상황을 잘 판단하여 처신하는 판단력을 요구했다. 김복한은 당시 서양 사상 확산이 조선을 오랑캐화 한다고 판단했고, 조선을 지키기 위해 기존의 유교 윤리를 강화하고자 했다. 그의 여성 인식은 이러한 상황을 내포하고 있다. 그리하여 전통적인 유교적 여성 인식과 중첩되는 면이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남편 따라 죽는 열녀를 중시하고, 사회에 대한 여성 관심을 배제했던 기존의 여성관과는 차이를 보인다. 이는 당시 사회 변화에 부응하는 면도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개화기 여성 인식의 한 면모를 보여주며 향후 여성 인식을 더 면밀하게 고찰하여 개화기에 존재했던 여성 인식 지형도를 구체화하고자 한다.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차별인식, 사회관계망, 사회문화적 적응 간의 구조방정식 모형연구 : 종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효진 ( Shin Hyo Jin ),손신 ( Son Shin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6 복음과 선교 Vol.36 No.-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dis crimination perception, social network, and the social cultural adjust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other importan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religion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ose three variables in this study. Two sixty married immigrant women residing in Kyung-Gi Do, Seoul, Daegu were surveyed. There are four research questions: the first question is to find whether discrimination perception negatively influences the social network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e second question analyzes whether social network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cultural adjust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e third question is to find whether discrimination percep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social cultural adjust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e last question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religion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iscrimination perception, social network, and social cultural adjust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T-test, ANOVA,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research questions. The findings reveal that discrimination perception influences the social cultural adjust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Social network has a positive association with social cultural adjustment and social network has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perception and social cultural adjustment. The moderating effect of religion was also examined which means that immigrant women involved in religious activities showed wider social network range, lower discrimination perception against them, and higher level of social cultural adjustment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Based on the finding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were discussed in married immigrant women`s social cultural adjustment.

      • KCI등재

        중년기 성인 남녀의 성공, 실패, 미래성취의식: 전업주부, 취업주부와 그들의 남편을 중심으로

        박영신,김의철,한기혜 한국인간발달학회 2011 人間發達硏究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success, failure and future aspiration among middle-aged men and women. A total of 1,666 respondents, consisting of 833 women (housewives=404, working women=421, no response=8) and their spouse (n=833) complet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first two auth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most proud achievement, housewives listed harmonious family, husbands listed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 and working women listed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 followed by harmonious family and occupation. Second, as for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heir success, both men and women listed self-regulation, followed by family environment. with housewives reporting family environment to a greater degree. Third, as for the most painful failure experience, women listed failure to self-regulate, none, academic failure and financial difficulties, and men listed failure to self-regulate, failure at work, none and financial difficulties. More men listed failure at work than women. Working women were more likely to list “none” than housewives, but they were more likely to list failure to self-regulate, similar to men. Fourth, as for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failure, women listed failure to self-regulate, none, personality problem, family environment, and men listed failure to self-regulate, none, interpersonal relations, personality problem, and a lack of ability. Thus, women were more likely than men to attribute family environment and men were more likely than women to attribute interpersonal relations as the reason for their failure. Fifth, as for future aspiration, housewives listed harmonious family, followed by comfortable life, and working women listed harmonious family, followed by comfortable life, and successful career. Men listed harmonious family, followed successful career, and comfortable life. All three groups listed harmonious family as the important reason, but more men are likely to list successful career than women. Sixth, as for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achieving future aspiration, all three groups listed self-regulation, followed by family environment for housewives, and financial security for working women and men. Seventh, when husbands and wives were matched and compared, there were similarities in their responses in relation to perception of success, failure and future aspiration.

      • KCI등재

        19세기 중후반 서울 문단의 여성 인식 : 조면호와 박영보의 경우를 중심으로

        김용태(Kim, Yong-tai)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0 동양한문학연구 Vol.55 No.-

        19세기의 사상과 학술 그리고 문학은 보수적이고 억압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는 서양 세력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었다. 그렇지만 19세기 문학사에 부정적인 측면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여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여성에 대한 편견을 극복해 나가는 흐름이 존재하였다. 19세기 전반기에는 여성 성리학자들에 의해 ‘하늘이 인간을 낳을 때 남녀를 차별하지 않았다’는 명제가 제시되어 남성 성리학자들에게 받아들여졌다. 여성 예술가와의 진정한 결연을 고대하는 풍조도 남성 문인 사이에 유행하여, 여성을 존중하는 분위기가 조성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성과는 19세기 중반으로 계승되었다. 조면호는 시를 창작하는 과정에서 여성이 극심한 가사 노동에 시달리고 있음을 새롭게 ‘발견’하고, 남성들은 염치없게도 고마워할 줄 모른다며 통렬하게 반성을 하였다. 또 박영보는 남성이 여성보다 우월하다고 보는 인식은 아무런 자연법적인 근거가 없으며 다만 인간이 만든 문화일뿐이라는 탁견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여성에 대한 편견을 극복하는 흐름은 19세기 후반으로도 이어져서 김윤식과 김택영의 글쓰기에서도 발견된다. 그리고 19세기 말에는 북촌의 여성들이 여성 교육을 필요성을 주장하는 집단적 운동을 벌이기도 하였다. 이는 19세기 전반기부터 이어진 서울 문단의 여성 인식이 일정한 영향력을 발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oughts, scholarship, and literature of the 19th century was conservative and oppressive. This was due to fear of Western powers. However, literary history of the 19th century was not just negative. Looking at the perception of women, there was a flow of overcoming prejudice against women. In the early 19th century, female neo-Confucian scholars made a proposition that “when the heaven gave birth to human beings, there was no sexual discrimination” and male neo-Confucian scholars accepted the proposition. There was also a trend among male writers in anticipation of close exchanges with female artists in the fields of literature and art, creating an atmosphere of respect for women. This progress of perception of women continued into mid-19th century. In the process of writing poetry, Jo Myeon-ho newly recognized that only women suffered from extreme housework, and he reflected on himself severely, saying that men unashamedly did not appreciate. Also Park Young-bo suggested outstanding idea that the custom seeing men as superior has no basis in the light of natural law, and that was only human-made culture. The flow of overcoming prejudice against women continued into the late 19th century, and is found in the writings of Kim Yun-sik and Kim Taek-young. An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omen in Bukchon initiated a group movement to argue for the necessity of women s education. This can be seen as the influence of perception of women in the literary world of Seoul, which continued from the early 19th century.

      • KCI등재

        이학규 영사악부의 여성인식과 여성 형상화 양상

        김보경 우리한문학회 2024 漢文學報 Vol.50 No.-

        李學逵(1770~1835)는 김해에서 24년에 걸친 유배생활을 하면서 영남악부 (1806)와 해동악부 (1821)를 지었다. 두 악부에는 여성을 소재 또는 주제로 다룬 작품이 상당수 수록되어 있다. 본고는 이에 착안하여 色과 여성의 역사적 주체성 문제, 節 윤리, 眞情 추구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여성인식과 여성 형상화 양상을 고찰했다. 첫째, 이학규는 「장미녀」에서 여성을 ‘色’, 유혹자로 표현하고, 음란한 사화에서 여성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표명했다. 한편, 소서노·선덕여왕 등 여성 통치자, 평강공주 같은 주도적 여성 인물에 대해서는 비판 또는 주도성을 배제하는 방식으로 여성의 역사적 주체성을 부정했다. 둘째, 이학규는 박제상의 아내, 병졸의 아내 등 사화에서 남성의 충에 비견되는 여성의 節 윤리를 부각하고 교화론적 관점에서 절 이데올로기를 선양했다. 그런데 효불효 설화나 향랑 고사를 시화한 작품에서는 절에 대한 논란을 열어 놓음으로써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과 시사점을 제시했다. 셋째, 이학규는 태조의 딸, 황창랑의 어머니, 포석정의 여인들 등 역사적 격변기에 접혀져 있는 여성들을 상상하여 문학으로 불러냈다. 한편 여성들의 개체적 성격과 체험에 주목하여 여성 인물에게 문학적 생명력을 불어넣었다. 월명, 옥섬섬, 장부인, 보희·문희 자매 같은 여성이 그 예이다. 이학규의 영사악부는 여성의 역사적 주체성을 부정하고 절 이데올로기를 선양하여 보수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역사에 접혀져 있던 여성들을 불러내고, 여성의 내면과 삶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논쟁점을 열어 놓거나 개체성과 아울러 보편성을 갖는 여성 인물을 재창조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갖는다. During 24 years of exile in Gimhae, Lee Hak-gyu (1770-1835) wrote Yeongnamakbu (1806) and Haedongakbu (1821). The two akbu, a poem depicting history and customs, contain many works on women as subjects or themes.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women and the aspects of women figuration mainly based on keywords such as Saek (色) and the issue of women's historical subjectivity, chastity ethics, and pursuit of truth. First, Lee Hak-gyu described women as ‘lust’ and seducers in 「Rose Woman (薔薇女)」, and expressed his negative perception of women in obscene historical stories. In addition, he denied women's historical subjectivity by criticizing or ignoring the initiative of female rulers such as Soseono and Queen Seondeok, and leading female figures such as Princess Pyeonggang. Second, he highlighted women’s chastity ethics comparable to men’s loyalty in historical stories such as Park Je-sang’s Wife and A Soldier’s Wife, and promoted the chastity ideology from an edification perspective. However, he also suggested the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of new interpretations by allowing controversy over chastity in his works that poeticize the tales of filial piety/undutifulness and Hyangrang folklore. Third, he imagined women caught up in historical upheavals, such as Taejo’s daughter, Hwang Chang-rang’s mother, and women at Poseokjeong Pavilion, and incorporated them into literature. Focusing on the individual personalities and experiences of women, he breathed literary life into female characters. Examples are women such as Wolmyeong, Okseomseom, Mrs. Jang, and sisters Bohui and Munhui. Lee Hak-gyu’s Yeongsaakbu (akbu using historical facts as its material) shows a conservative stance by denying women's historical subjectivity and promoting chastity ideology. However, it is of significance in literary history in terms of shedding light on women hidden in history, opening up debates based on understanding of women's inner worlds and lives, and recreating female characters with individuality and universality.

      • KCI등재

        개항기부터 1919년 민족운동시기까지의 여성에 대한 기독교교육의 도전과 응전: 여성주의 기독교교육과정 관점에서의 해석과 재구성

        이주아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0 기독교교육논총 Vol.0 No.63

        기존 사회 패러다임인 가부장제의 남성중심적인 사회 구조의 해체와 재구성이 요청되고 있으나 한국 교회는 여전히 전통적 ‘정상 가족 이데올로기’와 모성 담론에 의거하여 여성을 호명하고, 여성의 역할을 이에 국한시켜 이해하려는 종교적 해석과 문화적 관습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여성의 다양한 삶의 양태와 생애사적 주기, 그리고 개별성을 고려할 때 기존의 생물학적 모성 담론으로 여성을 국한시키는 것은 여성이 주체적인 리더로서 성장하여 사회와 인류공동체에 기여하도록 돕기에 적합하지 않은 일이다. 한국 교회는 여성의 주체적 신앙 형성을 격려하는 교육과정을 새롭게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개항기 기독교 여성들의 삶에서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별 분업, 모성담론을 담고 있는 당시 개신교 신학의 도전에 대해 한국 기독교 여성들이 주체성을 확립해나가는 응전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한국 기독교 여성들은 침묵과 수용적 인식을 지나 전통 가부장제의 억압적 경험을 나누면서 이의 부당함을 느끼고 해방을 찾아가는 주관적 인식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공감적이고 관계적 공동체 안에서 절차적이고 구성적인 인식을 형성하여 신앙의 주체자로 행위할 수 있었다. 한국 교회는 100여년 전 선배 여성들이 스스로 형성했던 교육 과정을 성찰하면서 기독교 여성 교육과정을 재구성해야 한다. The dissolu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male-centered social structure is being requested, but the Korean church still call on women and understand women's roles by limiting them based on traditional 'normal family ideology' and matherhood discourse. However, considering women's various aspects of life, life cycle, and individuality, confining women to existing biological maternal discourse is not suitable to help women grow as subjective leaders and contribute to society. The Korean church needs to find a new curriculum that encourages women to form subjective beliefs. In the life of Christian women of the period of port-opening, we can examine the process of the Korean Christian women establishing the subjectivity of the challenges of Protestant theology, which included stereotypes, gender division of labor, and matherhood discourse. Korean Christian women shared the oppressive experiences of traditional patriarchy after passing silent and receptive perceptions, forming a subjective perception of their injustice and seeking liberation. And it was able to act as a subject of faith by forming a procedural and constructive awareness within a sympathetic and relational community. The Korean church should reconstruct the Christian women's curriculum by reflecting on the curriculum that women formed themselves over 100 years ago.

      • KCI등재

        무슬림 여성들의 가족 및 혼인에 대한 인식 -한국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실천적 함의-

        홍석준 역사문화학회 201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0 No.2

        This paper examine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Muslim women in contemporary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erceptions on family and marriage of Muslim migrants women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with Korean males. In this paper, I investigate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Muslim women’s identity from the development and use of adaptation and copying strategies of Muslim migrant women in rural area of Korea. For this purpose, I intend to develop and us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Muslim migrant women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with Korean male in contemporary Korea. Basically, this paper is based upon the preliminary study of the development of successful adaptation model for Muslim women in Korea. In this sense, this study can be regarded as a pilot study. In this study, I hope that this academic and practical research will contribute to develop and use practical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successful and meaningful adaptation of these Muslim women to Korea. It is obvious that the Muslim women’s identity will change in the process of international migration. Muslim women in Korea are not exception. Their identities are (re)formed and transformed in the process of adaption and conflict in the everyday lives of Muslim women in Korea. Especially, as Muslim women, their perceptions of family and marriage are always changing in the new and different cultural situations in Korea, where not so many Muslim women live in. In this paper, I explor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Muslim women in contemporary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erceptions on family and marriage of Muslim migrants women in rural area of contemporary Korea. And I try to construc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 for Muslim women to adapt successfully to Korean cultural environment. 이 글은 무슬림 여성들의 가족 및 혼인에 대한 인식을 한국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실천적 함의라는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무슬림인 한국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한국사회에의 정착과 적응을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시론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특히, 이 글에서는 한국에 국제결혼으로 이주한 무슬림 여성들의 결혼과 혼인에 대한 인식이 한국사회에 정착하여 적응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주안점을 두고 이들의 대응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는 무슬림의 정체성 문제를 무슬림 여성결혼 이주자들의 한국 사회에의 적응과 전략의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러한 접근은 날로 늘어나는 무슬림 여성들의 한국 사회에서의 생활 경험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이를 문화적 실천이라는 맥락에서 고찰함으로써 그들의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넘어 그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이라는 문화적 실천의 영역으로 확대할 수 있는 학술적 실험을 제공할 것이다. 나아가 국제결혼이민자들의 적응력을 높이는 실질적인 실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믿는다. 무슬림 여성들의 정체성은 국제이주 과정에서 항상 변화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그들의 정체성이 한국 사회와 같은 낮선 곳에 이주하여 살아갈 때 경험하는 다양한 문화적 갈등과 대립을 넘어 정착 또는 적응하는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작업은 매우 유의미한 결론을 제공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무슬림 여성들이 이주가 급증하고 있는 현재의 한국 사회의 문화적 환경을 고려할 때, 이러한 국제결혼을 통해 한국으로 이주한 무슬림 여성들의 사례 연구는 본격적인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 사회에서 살아가는 무슬림 여성 이주자들의 성공적인 적응 모델을 개발하는 데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학술적, 실천적 작업은 이슬람이라는 종교적 요소가 문화적 환경, 특히 혼인과 가족이라는 사회관계의 틀 내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사회문화적 맥락 내에서 이해할 수 있는 준거점을 제공할 것이다. 이는 문화 간 접촉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현상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지역연구 나아가 결혼이민자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환기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