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민족사상의 내용분석과 그 계승에 관한 연구

        정경환 한국민족사상학회 2022 민족사상 Vol.16 No.4

        This paper is an article that reveals the content and character of Korean national thought and analyzes the strategy of inheriting Korean national thought. There is a tendency to use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in combination. However, strictly speaking,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In other words, Korean national thought is an idea based on pure and pure thoughts of the Korean people before foreign thought was introduced. On the other hand, Korean thought refers to the absorption and acceptance of foreign thought based on Korean national thought.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from the time of its occurrence. Korean national thought can be classified into many contents and explained, but if you introduce only important contents, you can first point out anthropology. Human love is a comprehensive love. It is humanity that loves the entire human race, not just between me and you. Second, Korean national thought can be defined as harmony theory. The theory of a win-win relationship between me and you is the theory of harmony. Finally, Korean national thought can be summed up as a theory of Gyeongcheon. He defined the sky as a personality god and always acted while looking up to the sky. We should do our best to inherit Korean national thought with pride. 본 논문은 한국민족사상의 내용과 성격을 밝히고 한국민족사상을 계승하는 전략을 분석한 글이다.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은 차이가 있다. 즉 한국민족사상은 외래사조가 유입되기 전 한국민족의 순백하고 순수한 사유에 의한 사상이다. 반면 한국사상은 한국민족사상을 기초로 하여 외래사조가 흡수되어 수용된 것을 말한다. 이런 점에서 보면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은 발생시기부터 차이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한국민족사상은 많은 내용으로 분류하여 설명할 수 있지만 개략적으로 중요한 내용만 소개하면 우선 인류애론을 지적할 수 있다. 인류애는 포괄적인 사랑이다. 나와 너 간의 사랑에 국한하지 않고 인류전체를 사랑하는 것이 바로 인류애이다. 둘째, 한국민족사상은 조화론으로 규정할 수 있다. 나와 너 간의 상생적 관계론이 바로 조화론이다. 마지막으로 한국민족사상은 경천론으로 귀결지어 말할 수 있다. 하늘을 하나의 인격신으로 규정하고 늘 하늘을 우러러 보면서 행동을 하였다. 한국민족사상에 자부심을 가지고 계승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한민국정부 수립 후 안재홍의 민족통일론

        김인식 한국근현대사학회 2012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60 No.-

        In this paper, we explore An Jae-hong’s theory of national unification as a first step to investigate the national movement of the Centrist faction who were in favor of building a ‘unified democratic nation-state’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 Jae-hong recognized that the essential responsibility for the North-South division of the Korean people lied in the two power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especially in the communist Soviet Union. Therefore, the cooper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was an absolute prerequisite for the Korean unification, and contended that significant concessions by the Soviet Union were necessary in the cooperation. At the same time, he emphasized that the Republic of Korea, having been legitimately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United Nation’s resolution, set forth on the task of completing the national unification. He advanced a ‘principle of peace through strength’ and a ‘principle of democracy’s bastion’ as a way to unify the Korean people. The ‘principle of peace through strength’ was a plan where the U.S. block acquired an absolute advantage over the Soviet block in all aspects including military power, South Korea held a corresponding dominance over North Korea, and as a result the Soviet Union could be led toward a peaceful solution. ‘Strength’ in this principle meant not only for military power but also for a sense of solidarity, accompanied by political and economic strengths, among the international democratic nations. In addition, An Jae-hong suggested that international nations including the Unites States should aid and support the Republic of Korea in order for her to develop into a true ‘bastion of democracy’. The democratiz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a starting point of the ‘principle of peace through strength’ and the ‘principle of democracy’s bastion. The union of these two principles was a ‘true democracy’. An Jae-hong acknowledged that the Korean unification depended o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but he never ignored the need for Korean’s own independent efforts toward unification. He suggested that Koreans should realize their own conditions for unification internally and respond timely to changing international conditions. This at once extended to his contention that the Republic of Korea would play a leading role in Korean unification by developing into an undisputed ‘true democratic nation’ and securing her ‘political superiority’ over North Korea. The democratiz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or the establishment of a democratic government, was a premise as well as a principal means for Korean unification in his theory of national unification. In this paper, we explore An Jae-hong’s theory of national unification as a first step to investigate the national movement of the Centrist faction who were in favor of building a ‘unified democratic nation-state’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 Jae-hong recognized that the essential responsibility for the North-South division of the Korean people lied in the two power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especially in the communist Soviet Union. Therefore, the cooper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was an absolute prerequisite for the Korean unification, and contended that significant concessions by the Soviet Union were necessary in the cooperation. At the same time, he emphasized that the Republic of Korea, having been legitimately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United Nation’s resolution, set forth on the task of completing the national unification. He advanced a ‘principle of peace through strength’ and a ‘principle of democracy’s bastion’ as a way to unify the Korean people. The ‘principle of peace through strength’ was a plan where the U.S. block acquired an absolute advantage over the Soviet block in all aspects including military power, South Korea held a corresponding dominance over North Korea, and as a result the Soviet Union could be led toward a peaceful solution. ‘Strength’ in this principle meant not only for military power but also for a sense of solidarity, accompanied by political and economic strengths, among the international democratic nations. In addition, An Jae-hong suggested that international nations including the Unites States should aid and support the Republic of Korea in order for her to develop into a true ‘bastion of democracy’. The democratiz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a starting point of the ‘principle of peace through strength’ and the ‘principle of democracy’s bastion. The union of these two principles was a ‘true democracy’. An Jae-hong acknowledged that the Korean unification depended o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but he never ignored the need for Korean’s own independent efforts toward unification. He suggested that Koreans should realize their own conditions for unification internally and respond timely to changing international conditions. This at once extended to his contention that the Republic of Korea would play a leading role in Korean unification by developing into an undisputed ‘true democratic nation’ and securing her ‘political superiority’ over North Korea. The democratiz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or the establishment of a democratic government, was a premise as well as a principal means for Korean unification in his theory of national unifica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경세론에서 본 실학

        ( Seong Yun Kim ) 한국실학학회 2013 한국실학연구 Vol.0 No.26

        이 논문은 조선후기 실학의 경세론을 정치의 개념과 방법, 군주론, 왕정론, 윤리론으로 나누어 그 추이를 정리한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가 새롭게 제기한 주요 논점은 다음의 몇 가지로 압축된다. 첫째, 조선후기의 실학은 서구에 비견하자면 르네상스 및 종교개혁에서 절대왕정에 이르는 시기의 사회구성과 유사한 조선의 상황을 배경으로 나타난 유교적 인문주의의 색채를 띤 근대지향적 정치 · 사상운동이었다. 둘째, 실학 경세론의 발전 과정을 그 내용과 성격, 그리고 그것이 주로 영향을 받거나 준거(準據)로 삼은 경전이나 학술사조를 중심으로 대별하면 대체로 ① 『맹자』의 평균주의(平均主義)와 선부후교론(先富後敎論)에 주목한 단계(이이), ② 『주례』를 국가체제 재건을 위한 이론적 준거로 삼은 단계(유형원 · 이현일), ③ 제자백가나 탈성리학적인 견해들을 실질적으로 참용(參用)하면서 주자학의 경세론을 비판하고 새로운 정치이론을 구축해가는 단계(성호 · 강화학파), ④ 서구 과학이나 철학 및 청대 고증학 등을 활용하는 한편 정치적 적용을 거치면서 새로운 정치이론을 심화하는 단계(후기실학자)로 나눌 수 있다. 셋째, 실학의 연원은 공리적 사고를 기반으로 안민(安民)과 부국강병을 지향하던 두 갈래의 물길, 즉 정전제(井田制) 복구를 중심으로 하는 평균주의(平均主義) 사고와 북인계열의 국가중심의 정치적 사고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두 갈래가 한백겸(韓百謙) 등의 평양 기전(箕田) 연구를 기폭제로 하여 하나로 합쳐지면서 실학은 주자학과 구분되는 조선 나름의 개성있는 경세학으로 등장했다. 넷째, 경세론의 맥락에서 볼 때 실학의 가장 큰 특색이자 장점은 평균주의와 국가주의의 강고한 결합에 있다. 실학이 갖는 평균주의 전통은 국가주의가 갖는 전제성(專制性)을 현격히 완화킴으로써 민본적(民本的) 성향이 강한 조선의 왕정이 전제주의로 흐르지 않고 차후 국민국가로 나아갈 수 있게 할 동력으로 잠재해 있었다. 이것은 조선의 근대화가 서구와 다른 길을 걸을 수 있는 가능성을 암시하는 것으로, 국가 주도의 근대화를 거친 현재의 상황에 대해서도 새로운 성찰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실학 연구의 시의성을 높일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다섯째, 실학은 성리학이 주장하는 도덕정치론의 한계를 비판하면서 민생 복리를 실질적으로 증진시키는 것을 정치로 이해하였다. 성리학의 도덕적 보편주의에 대비되는 이러한 실학의 현실주의 · 공리주의 정치 개념은 먼저 ‘선부후교론’(先富後敎論)의 형식으로 제기되었고, 이후 정치의 개념에 대한 주희의 명제를 비판하면서 정치와 도덕을 분리해 나갔다. 여섯째, 실학은 정치의 방법에서도 예교(禮敎)를 통한 도덕적 감화를 우선하는 성리학의 입장을 비판하고, 법과 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도기일체론’(道器一體論)을 표방한 것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왕도와 패도를 절충하려는 이러한 실학의 정치방법론은 왕패병용(王覇竝用) · 왕패일도론(王覇一途論) · 관맹상제론(寬猛相濟論) · 교법일치(敎法一致) · 교법상보(敎法相補)의 형식을 통해 확산되었다. 일곱째, 조선후기에 통치체제에 대한 새로운 모색 과정에서 군주권은 그 핵심적 요소로 부각되었고, 존군론(尊君論)은 실학의 공리적 정치관이 발달함에 따라 강화되어 갔다. 존왕론에 의해 새롭게 조명된 ‘신(新)군주’의 상은 군사(君師)라는 형태로 먼저 나타났으며, 곧이어 군주가 도학의 정통을 계승했다는 ‘군주도통론’(君主道統論)이 출현하였다. 이러한 존군의 논리는 이후 군주를 태극 및 상제(上帝)에 비유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절대군주론으로 발전했다. 여덟째, 실학의 왕정론은 다원적 권력을 중앙의 국왕에게 일원화하고 정치적 정통성 또한 국왕이 독점함으로써 이른바 중개세력을 해소하고 국왕의 지배에 복종하는 동질적이고 균등한 국민을 만들어 낼 것을 지향했다는 점에서 국민국가에 선행하는 절대주의 왕정론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아홉째, 신분제를 부정했던 실학은 사회적 불평등 질서를 옹호하던 오륜의 윤리에 대신하여 『맹자』에 나타난 삼달존(三達尊)을 대안으로 제시했으나, 곧 이어 모든 신민에게 적용되는 통일된 평등 윤리로서 효제(孝悌)를 제시했다. 효제 윤리는 윤휴 등에 의해 이미 제시되었으나 이것을 정치차원에까지 확대하여 크게 선양했던 인물은 영조와 정조였다. 정조의 명덕본심설(明德本心說)을 계승한 정약용은 명덕이 효 · 제· 자(孝悌慈)임을 논증함으로써 그 인간론적 근거를 완성했다. 이 때의 효제는 신분적 · 계급적 지배의 규율로서가 아니라 평등한 개인 상호간에 호혜성 수수의 관계로 재조명된 것이므로 그것이 갖는 사회실천적 의미는 이전과 크게 달랐다. The main points of this thesis can be centered on several points as follows. First, Silhak of the post-Joseon Dynasty, if compare with Western history, was the modern-oriented political and ideological movement float a color of Confucianistic humanism. It came onto the scene in the same situation with the time of the Renaissance and absolutism. Second, Silhak`s progress can be separated as four steps: pay attention to equilibriumism of Mengtzu, make Chou li to standard referred for reconstruction of national structure, criticize orthodox Neo-Confucianism and construct new political theory, deepen new political theory with application of western science and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Third, Silhak`s origin can be finded out two waterway pointes to wealth and military strength of a nation with utilitarian thoughts : equilibriumism and nationalism. These two waterway put together, Silhak came on stage as the individualistic governing theory. Fourth, The most important distinction and merit of Silhak shall be the steady union between equilibriumism and nationalism. The driving force alive in Silhak`s tradition of equilibriumism behind Korean absolutism not let run away into despotism and will develop to the nation-state later. Fifth, Silhak criticized the bounds of Sung Confucianism`s Moral politics, asserted that politics is the seeking to increase the populace`s wealth. These new political notions evolved the ``separation of politics and morality``. Sixth, In reference to the method of politics, Silhak criticized Confucianism`s political theory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aw and institutions. Seventh, The insistence of respect monarch strengthened with Silhak`s utilitarian thoughts. These insistence of respect monarch took an absolute sovereignty theory. Eighth, Silhak`s royal regime theory had gradually taken on a character of the absolute monarchy theory. King Youngjo(英祖) and Jeongjo(正祖) presented Hyoje(孝悌) as the moral foundation for the absolute monarchy. Ninth, In the beginning Silhak presented Maengja`s Samdaljon(三達尊) instead of Oryun, soon afterwards presented Hyoje(孝悌) as the unified equality ethics. Who enhanced Hyoje(孝悌) ethics was King Youngjo(英祖) and Jeongjo(正祖). The Social practice meanning of Hyoje ethics was different from former times because it was recounted thing not the social standing domination discipline as the mutual benefits relationship between equal persons.

      • KCI등재

        栗谷의 憂患의식과 經世論의 의의

        황의동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4 No.-

        Philosophical theories Yulgok espoused and developed are generally distinguished into Sung-Confucianism and theories on governing. Yulgok defined the sixteenth century as the period of the reformation, and pursued reforms for the nation and people. He diagnosed the reality based on the apprehensive consciousness on the future of the nation and presented reform solutions for it. Yulgok’s theories on governing consist of Yangmin, which means “educating people” for their prosperous life and Kyomin, which means “educating people’s morality. Yulgok supported the freedom of speech, and establishment of national policies through open and transparent public opinions, which shows he is one of the pioneers for the modern democratic politics. Also, Yulgok asserted that people’s lives had to be improved by reducing the budget for the royal families, and that laws for underprivileged people such as children of the concubines or the lowest class had to change. These present Yulgok’s thoughts that good governing comes from interests on people. 율곡학은 성리학과 경세학으로 대별되는데, 본고는 율곡의 나라와 백성에 대한 우환의식과 그의 경세론의 현대적 의의를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율곡의 우환의식은 그의 수많은 상소문과 기타 글 속에서 일관되게 나타나 있는데, 그것은 곧 憂國愛民의식을 의미한다. 또한 율곡의 우환의식은 개혁론으로도 나타나는데, 그는 16세기를 更張期로 규정하고 치밀한 현실분석을 토대로 탁월한 개혁방안을 제시하였다. 율곡은 개혁의 당위를 당시 無實的 상황에서 찾고, 實心, 實功, 實效의 務實정신을 고취하였다. 율곡은 먼저 개혁 주체의 自己潔身을 강조하여 君德의 성취를 적극 勸勉하였고, 개혁은 너무 조급해도 안 되고 너무 느려도 안 된다고 하였다. 아울러 성공적인 개혁을 위해 言路개방을 통해 개혁의 아이디어를 널리 수집해 반영해야 한다고 하였다. 율곡의 경세론은 養民과 敎民으로 그 내용을 삼는데, 養民이 敎民보다 우선이지만, 반드시 敎民을 통해 王道가 완성된다고 보았다. 율곡의 經世論은 民本에 기초하고 있고, 정치와 행정의 목적을 ‘나라와 백성’에 두었다. 특히 그가 言路개방을 통해 公論을 형성하고, 公論을 통해 國是의 정립을 꾀한 것은 ‘민주’에로의 단초를 제공해 주고 있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 ‘得中合宜’로 이익과 정의의 조화를 주장하였는데, 이는 현대정치의 나아 갈 바를 시사해 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아울러 왕실의 예산을 줄여 백성을 위해 써야 한다든지, 당시 신분적 차별을 받았던 庶孼, 賤民의 仕路許通과 신분상승의 길을 제시한 것은 民本에 기초한 그의 정치관을 잘 말해 주는 것이다.

      • KCI등재

        레거시미디어와 청와대 국민청원제도의 공중의제 대응방식 및 실효성에 관한 연구: 의미연결망분석 및 연결망군집분석을 통해

        남경덕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 No.6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antecedent and causation of the formation process of media agenda and public agenda. With the use of big data, it is essential to statistically verify the ‘reversed agenda setting’ theory suggested in 2006, which deals with the role change of legacy media by comparing the ‘agenda setting theory’ suggested in 1972. As President Moon Jae In’s period ends, this research aims to transform petitions collected from the ‘National Petition Program’ into a data The selected basic structure of this analysis were agendas that were originally not or were poorly addressed by legacy media, but re-handled through the ‘National Petition Program’. Through the process, the agendas were defined into the ‘reversed agenda setting’ process to draw the result of data collected from the petitions, and articles through UClnet, SNA, and CONCOR. According to the research, when the ‘poorly addressed agendas’ developed into public agendas, gaining attention through the ‘National Petition Program’, were rehandled in legacy media. In this process, the research also found out that there is an existing difference in the releases and actual agendas caused by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legacy media. The result statistically proved the ‘reversed agenda setting’ theory raised by Yonghwan Lee (2006) and proved the efficiency of the ‘National Petition Program’. While the conflicts between groups are getting severe due to the media clustering and hate speeches, as we are living in the era of COVID, I hope this research to be analyzed as the chance to reveal how efficiently nations are accepting the public agenda platform led by the government and the importance of ‘National Petition Program’. 본 연구는 미디어의제와 공중의제 형성과정의 선행 및 인과관계를 고찰하는 연구로, 1972년 의제설정이론(agenda-setting theory)을 토대로 2006년 제시된 레거시미디어(언론)의 의제 선정 역할 변화를 다룬 역의제설정이론(reversed agenda-setting)을 빅데이터를 이용해 검증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나아가 문재인정부의 임기가 끝남에 따라 ‘국민청원제도’의 주요 청원 내용을 데이터로 풀어냄으로써 본 제도의 의의 및 실효성을 고찰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분석의 기본구조는 레거시미디어에서 다루지 않았거나, 미비하게 다뤄진 의제 중 국민청원제도를 통해 다시 한번 활발하게 다뤄진 청원(의제)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 과정에서 국민이 발화한 의제가 다시 레거시미디어에서 주요의제로 다뤄지는 양상을 ‘역의제설정’ 과정으로 정의하고 관련 청원의 내용, 뉴스 기사를 수집해, UCInet를 이용 SNA(의미연결망분석)와 CONCOR(연결망군집분석)를 통해 분석 및 결과 도출하였다. 추가로 각 레거시미디어사의 정파성에 따른 보도내용에 차이가 있는지 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4대 주요 언론사의 보도내용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레거시미디어에서 미비하게 다뤄졌던 의제들이 국민청원제도를 통해 재차 화제(동의)를 얻어 공중의제로 발전되었을 때, 레거시미디어 역시 재차 의제로 선정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이 과정에서 레거시미디어 정파성에 따라 보도 내용의 차이가 있음을 역시 확인하였다. 해당 결과를 통해 김성태, 이용환(2006)의 연구에서 주장된 ‘레거시 미디어의 역의제설정’ 현상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고 그 매개체로써 ‘국민청원제도’가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코로나 시대를 거치며 미디어 군집화 현상 및 집단 갈등이 어느 때보다 심각해진 지금, 정부 주도의 공식적인 의제 발화플랫폼이 국민의 공중의제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수용하고 있는지 볼 수 있는 연구이자 국민 의제의 중요성을 알리는 작은 계기로서 연구의 결과가 해석되길 바라는 바이다.

      • KCI등재

        중화민국 삼민주의 문예론의 출현과 의미 - 미술론을 중심으로 -

        이보연 ( Yi Boyou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8 동양예술 Vol.38 No.-

        본고는 1930년대부터 50년대 말까지 중화민국 국민정부에 의해 추진돼온 삼민주의 문예정책과 그 이론을 토대로 중국의 우익미술이론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국민 정부는 우파집권 시기, 쑨원(孫文)의 삼민주의에 대해 유생론(唯生論), 역행철학(力行哲學) 등 우파식 해석체계를 마련하고, 그에 따라 삼민주의, 민족주의, 민족본위, 항전건국, 민생주의와 민주로 이어지는 문예정책 노선을 추진해 갔다. 또한 이러한 사상 및 정책적 모색은 1940년대 이후 「우리에게 필요한 문예정책」(1942)과 「삼민주의문예론」(1953)이라는 두 편의 글을 통해 삼민주의 문예론으로 종합 수립되었다. 특히 후자에서 장다오판(張道藩)은 ‘삼민주의사실주의’라는 개념을 통해 ‘사실주의의 종합’이라는 창작론을 제기함으로써, 사실상 타이완 미술계에서 사실주의(Realism) 미술의 전개를 저지하고, 이를 통해 국가 이념 및 체제에 순응적인 문예계 양성과 운영을 시도했다. This study is about the right-wing theory of art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icy of literature and culture that stood on the basis of the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pursued by the Nat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China from the 1930s to 1950s, and the theory underlying this policy. During the period of ruling by rightists, the National Government laid the groundwork for interpreting Sun Yat Sen’s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from the perspective of right-wing ideas. In that regard, the government developed such ideologies as vitalism, “Deathbed Teachings of the Premier,” and the philosophy of Li-xing (practice with earnestness). The government then pursued a policy of literature and art that started its course in the era of the Three Principle of the People, followed by nationalism, national standards, the “War of Resistance and Nation-Building,” “Principle of the People's Livelihood” and ultimately democracy. Such an ideological and political pursuit culminated in the theory of literature and art on the basis of the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since the 1940s. The idea was represented in two articles: The Policy of Literature and Art That We Need (1942) and The Theory of Literature and Art Based on the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1953). In the latter of the works cited above, Zhang Daofan introduced a theory of creation called “A Synthesis of Realism,” which has its basis in the concept “Realism of the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With the aforesaid theory of creation, Zhang attempted to put a halt to the realist movement in the Taiwanese literature and art circle and foster them into a group more acquiescent to the ideology and system of the state.

      • KCI등재

        교원 참여 관점에서의 국가 교육거버넌스 개선 방안 탐색 연구: Likert 관리체제이론을 중심으로

        황정훈(Hwang, Jungh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1

        본 연구는 Likert (1976)의 관리체제이론을 중심으로 하여 현 교육지배구조에 대한 현장교원의 인식을 분석하고, 교원 참여 관점에서 국가 교육거버넌스 개선 방향에 시사점을 주기 위한 실천 지향적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설명 설계 방식의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 교육지배구조에 대한 현직 초·중등교원의 인식은 부정적이었다. 둘째, 현 국가 교육지배구조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초등교사들의 인식이 중등교사들보다 상대적으로 더 부정적이었다. 셋째, 현직 교원들이 인식하는 교육부·교육청에 대한 신뢰도, 의사소통 수준, 교육정책 결정 권한 수준이 국가 교육지배구조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학사는 단위학교와 교육청 간의 링킹핀(Linking Pin)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었다. 다섯째, 교원 참여적 관점에서의 국가 교육지배구조의 개선 및 교육거버넌스 구축을 위해서는 현행 구조의 개혁과 더불어 출범을 앞둔 국가교육위원회를 통해 가능하다고 보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기존 교육행정 기관의 구조 개선을 통해 교사 출신 전문직이 링킹핀 역할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거버넌스 차원에서 현장 교원과의 새로운 통로를 개설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상급교육행정기관과 교사 모두 인식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국가교육위원회 운영방안의 개선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urrent educational governance structure, focusing on Likert"s (1976) management system theory, to give implications to the direction of improving national educational governance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 participati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teachers on the current national educational governance structure was negative. Second,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relatively negative than that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trust about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institutions, the level of communication, and the level of authority to make educational polic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national educational governance. Fourth, school commissioner were not properly performing the role of linking pins between unit schools and offices of education. Fifth, in order to improve the educational governance and establish educational governance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 participation, it was considered possible through the National Board of Education and reform of the structu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professionals from teachers can be faithful to the role of linking pins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existing education administration institutions. Second, a plan to open a new channel with field teachers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governance. Third, both education administration institutions and teachers should change their awareness. Four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peration plan of the National Board of Education.

      • 임베디드 보드 환경에서의 딥러닝 기반 선박 안전 시스템에 관한 연구

        전호석(Ho-Seok Jeon),송현학(Hyun-hak Song),이성주(Sung-Ju Lee),임태호(Tae-Ho Im)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2

        본 논문은 소형 선박의 해양사고를 줄이기 위하여 임베디드 보드 환경에서의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주변 위험 상황을 딥러닝 및 영상처리로 예측하는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대형선박에 탑재되는 선박 충돌방지시스템 및 항해용 레이더 등의 고도화된 장비의 역할을 카메라 영상 기반으로 대체하여, 소형 선박에 저비용으로 안전 시스템을 적용하고자 한다. 딥러닝으로 선박과 구명조끼착용 여부를 학습 시켜 검출하고 인식된 결과를 영상처리를 통하여 위험도를 판단하며, 위험 상황 시 인식된 객체를 붉게 표시하고 음성으로 안내하며,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을 시청각으로 제공한다.

      • KCI등재

        해방정국기 민족문화 재건 논의의 내용과 성격

        한상도(Han Sang-Do) 한국사학회 2008 史學硏究 Vol.- No.89

        해방정국기의 최우선 과제는 자주적인 민족국가 건설과 민족문화의 재건이었다. 민족문화 재건을 위해서는 일제 식민잔재와 봉건적 잔재의 극복이 우선적으로 요구되었다. 만일 식민잔재의 청산이 그 자체로서 최종목표였더라면, 민족문화의 재건은 배타적이고 국수적인 모습을 드러냈을 것이다. 그러나 전통문화의 소중함을 재인식하는 바탕 위에서 세계문화를 받아들임으로써, 식민잔재 청산 논리에 도사리고 있는 배타적이고 국수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하였다. 한 걸음 나아가 민족문화가 세계문화 차원에서 재건됨으로써, 국제사회에서도 위상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제정치 환경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일이 세계문화의 일원이 되는 관건임을 깨달았던 것이다. 또 재건될 민족문화는 일부 계급 및 계층의 전유물이 아니라, 개방적이고 대중적인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그러기에 민족문화 재건운동이 국가적ㆍ사회적 합의를 토대로 하여, 조직적ㆍ중장기적으로 추진되길 기대하였다. 하지만 식민잔재 청산 작업이 채 끝나기도 전에, 냉전체제의 현실이 덮쳤다. 이성적인 접근을 통한 과거사 정리 작업은 불가능해졌고, 민족문화의 재건 또한 비전을 상실했다. 민족문화 재건운동 또한 국제정치적 역학관계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던 것이다. 민족문화 재건을 위한 논의와 노력이 결실 맺지 못한 한계는 분단체제의 고착과 맞물려서, 민족문화 재건에 대한 우려를 심화시켰다. 자유민주주의와 공산주의 체제라는 융합할 수 없는 세계관 속에서 우리 글과 말의 편차는 더욱 커졌고, 예술ㆍ문화 등 제방면에 있어서 이질화 또한 급속도로 진행되었다. 민족문화 재건 논의는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는 것이다. It was the founding of the independent nation and the reconstruction of national culture that were the most urgent task in the years of US military governance. It was required ahead of all for rehabilitation of national culture, to overcome vestiges of Japanese colonization and of feudalism. The Reconstruction of national culture would have been the exclusive and extremely nationalistic, If the final object was to liquidate the vestiges of colonization. It was, however, expected to surmount cliquism and ultra nationalism, harbored in the theory of elimination of colonial remnants, through comprehending world culture on the ground of rediscovering the value of tradition. Furthermore, It was emphasized to secure international position by restoring national culture to be world culture. Cultivating ability for the flexible international political environment must have been recognized with great importance, to be a portion of world culture. Also, national culture, which would be revived, was perceived not to be solely possessed to some classes, but be public and open. Accordingly, movement for restoration of the national culture was hoped to be pushed on methodically with national? social accord, in the long term. By the way the founding of the independent nation footing stroke the realities even before the end of the clearance of colonization. It came to be impossible to do liquidation of bygones in rational approach, and brought about the lost of vision for reviving national culture besides. That means, the movement for restoration of national culture could not be free from the theory of power in international politics.

      • KCI등재

        삼균주의 立論의 定則과 발전 단계론

        김인식 숭실사학회 2023 숭실사학 Vol.- No.51

        The Principle of Three Equalities(Sam Kyun chuui) is the synthesis of Cho SoAng's theory of national movement. It is containing that the reality of Japaneseimperial aggression, a ploy for national independence, the Argument of StateFormation after liberation and a plan to make the world peaceful. In the process ofcreating and completing such a system of the Sam Kyun chuui, a rule is identified. The Sam Kyun chuui has always begun to strengthen the Korean ProvisionalGovernment and its ruling party,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This is closelyrelated to the theoretical system of the Sam Kyun chuui. The theory to get the country back and the theory for establishing a countryform the foundation and superstructure of the Sam Kyun chuui, respectively. Toexplain it further more, the ‘theory of National Revolution’ forms the foundation, andthe ideal of ‘Three Equalities(Sam Kyun)’ forms the superstructure. The theory ofNational Revolution again consists of ‘the one-party system(Party-State System)’,based on of the ‘National Unique Party(Idangchiguk)’, and the ‘imperative supportplan on Provisional Government’ that demands the dominance of ProvisionalGovernment. In The Decl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of Korea(1919), the initial stage of theSam Kyun chuui is confirmed. But the concept of ‘the organize a positive party’wasn’t formed at that time. Since 1922, Cho So Ang has suggested the ideal typeabout the independence party to strengthen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concept of ‘the organize a positive party’ here for the first time. When the KoreanIndependence Party was founded in January 1930, the Sam Kyun chuui became theparty principle. As a result, the ‘National Unique Party’ and ‘Imperative support planon Provisional Government’ became the basis of the Sam Kyun chuui. And fanally,the framework of the Sam Kyun chuui was completed. The 1930s was a time that the Sam Kyun chuui were advocated internally and externally. In November 1941,the Provisional Goverment proclaimed the Konkukgangryeong(Principles and Plansfor National Reconstruction). The Sam Kyun chuui was recognizwd as the ‘bestaxiom’ to build a contry in the Konkukgangryeong. In this way, the Sam Kyunchuui has moved to the stage of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