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교육사 연구에서의 신문화사의 의의

        이원재 한국교육사학회 2005 한국교육사학 Vol.27 No.1

        This thesis is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the new cultural historical approach in studying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It was commenced not only to reflect on ourselves but to find out the exit, since the field of history of education has been in the crisis situation that the subject 'History of Education' was excluded from the required courses of teachers colleges recently. Examining the bibliography of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we can see that they have attached too much importance to studying system of education and thoughts of great educators in past. In short, there were no stories about students, especially their thoughts and actions. So people came to regard 'History of Education' as a boring and unimportant subject. And now, we need to apply new approach to studying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and the new cultural historical approach is the very solution since it orients the lives of people. The new cultural history has such spectrums as microhistory, Alltagsgeschichte, historical anthropology. Anyway, the new approach is expected to revive the realities of education in the past and we will know much more about past education than ever before. And then we will understand our present education and be able to improve the conditions of our education. In addition, the subject 'History of Education' will come to stand on a pedestal. At the same time, we are to know the new cultural historical approach is cure-all for the crisis above mentioned. Nevertheless, it is no doubt that it is the only alternative for now.

      • KCI등재

        斗山이 指向했던 文化人類學의 始延: 文化領域說과 基層文化論

        전경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민족문화논총 Vol.43 No.-

        This paper aims solely at the late Professor Kim Taek-kyu(Doosan, his pen name) in terms of the history of Korean anthropology. Kim is the founder of the department of cultural anthropology at Youngnam University. The question for this paper started with his conversation with the author one year before he died at 1999. His master degree was bestowed by his thesis on "Shamanistic Literature"(1957) begun with the word of "anthropology". After finishing his master he moved to Tokyo University for one year as a research fellow. His renowned ethnography known as Hahoe ethnography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research method employed by Tokyo University. Kim's research references are almost always relied upon Japanese literatures. Finally he invented a concept of "basic culture area" as a research hypothesis for his lifelong project of the cyclical rituals(rites of intensification) of the Korean agriculture. The basic culture area comes from on the one hand "basic culture" inherited from German folklore through Japanese literature and on the another hand "culture area" from American culture historians like Clark Wissler through again Japanese scholars. One more interesting aspect of his starting point to meet with anthropology seems possibly to be related with Mr. Lee Seok-rak who was a key member of Kore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right after liberation of 1945. 본고는 문화인류학자 두산 김택규 교수의 학문적 역정과 그가 이룬 학문의 이론적 정향의 계보에 대한 학사적 검토의 결과이다. 1957년 “무교문학”이란 제목의 석사학위 논문에서부터 인류학에 관한 논의를 주로 하고 있는 김택규의 문화인류학 역정은 그후 일본의 레퍼런스를 만나면서 본격적인 인류학적 업적을 축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의 하회민속지는 한국학의 대표적인 업적으로 손꼽히고 있는데, 그 민속지의 방법론이 동경대학의 일본지역성연구의 방법론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가 평생 업적으로 만들어낸 한국의 농경세시의례는 기층문화영역론이란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이 이론의 원류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독일민속학으로부터 일본에 습득된 “기층문화”라는 개념과 미국 문화사학파에서 비롯되어 일본으로 수입된 문화영역설이 습합된 것이 두산이 만든 기층문화영역론이란 것이라는 점을 고증하였다. 두산의 인류학 역정이 시작하는 시점에 조선인류학회의 주역이었던 이석락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밝힌 것도 본고의 작업이 얻은 소득이다.

      • KCI등재

        Insight into Korean History and Education

        Noriko Sato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13 No.2

        Our project, “Teaching Korean History in English,” includes both research, and teaching which was offered to both Korean and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t Yonsei University, Wonju Campus. This paper is focused on one of the lecture topics in our module, “Japan’s advance on Korea,”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and relates the intensive intercommunication that I, as a course instructor, had with the students, when they organized an in-class discussion on the topic. One of the goals in our course is to encourage students to learn different versions of Korean history, and produce historical knowledge for interpreting and acting upon the world from a wider perspective. As subjects of history, these students involve themselves in historical production by analyzing the text and expressing their opinions, which are their own historical narratives. My experimental study suggests that their social position and experience affect their relationship to the past, and influence the structure of their historical accounts. Teaching Korean history in English seems to play a distinctive role in providing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compare and analyze the views provided by scholars who have different social and academic backgrounds.

      • KCI등재

        한국교육사 연구에서 문화인류학적 지평 도입의 의의

        이원재 ( Won Jae Lee ) 한국교육사학회 2014 한국교육사학 Vol.36 No.3

        본 연구는 한국교육사 연구에서 문화인류학적 지평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다루었다. 공시적(共時的) 접근을 기본으로 했던 문화인류학은 이것만으로는 현재의 문화구조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문화에 대한 통시적(通時的) 연구가 병행되어야 문화에 대한 완전한 이해가 가능하다고 함으로써 역사적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게 되었다. 한국교육사 연구에서 이와 같은 문화인류학의 지평을 도입할 필요가 있는 것은 공시적 연구를 통해 현재의 교육문화의 특징을 규명하면 이것을 가설 삼아 지난날의 교육문화를 통시적으로 탐구하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한국 교육문화 구조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을 통해 한국교육사 연구는 현재의 교육문화와 과거 교육문화와의 연결고리를 찾을 수가 있게 됨으로써 지금의 우리 교육문화를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현재의 교육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그 동안 한국교육사 분야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이 일정 부분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erspective of cultural anthropology in studying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It was commenced to find out the solutions, since the field of history of education has been in the crisis situation that the subject ‘History of Education’ was excluded from the required courses of teachers colleges recently. Applying the perspective of cultural anthropology to studying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we can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ulture of our times by means of a synchronic method. And on the basis of this, we can identify the similar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ulture through a diachronic method in the traditional societies. After all, we are to know that the traits of educational culture of now and then are almost same. And then we will understand our present education well and we can improve the conditions of our education.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the subject ‘History of Education’ will be appreciated.

      • "Money is the Filial Child. But, at the same time, it is also the Enemy!": Korean Shamanic Rituals for Luck and Fortune

        박준환 서강대학교 종교연구소 2012 Journal of Korean Religions Vol.3 No.2

        In the world of Korean shamanism, there is a particular god, called taegam, which is allegedly famous for its love of money and its abundance of greed for material wealth. During the shamanic ritual of chaesu-kut, the rites for good fortune and luck, this god is popularly worshipped as the Deity of Wealth and is typically symbolized by money placed all over its face and spirit costumes. Nonetheless, as money has the two sides of heads and tails, taegam also has two very different faces—so-taegam and taegam. This article explores the ambiguity of the two taegam gods, focusing on the symbolic action of money-offerings and how its meaning is tak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itual actors, in the hope of shedding light on the place of Korea's traditional popular religion of shamanism in today's transformed urban landscape. By discussing the semantics of "money is the filial child" (a remark made by so-taegam) and "money is the enemy" (as remarked by taegam), statements I often heard during my fieldwork in Seoul, I suggest that the ambivalent symbolic nature of taegam should be seen as an indispensible vehicle for understanding ritual life, as well as everyday life, of urban Korean people since it is closely related to both normative orientations and the contradictory aspects of the material culture of contemporary urbanites inhabiting the borderless, globalized, and fluctuating modern capitalist market. This conclusion is reached partly with reference to existing sociological theories of money and anthropological inquiries into the ambivalent aspects of taegam.

      • KCI등재후보

        여성구술사를 통한 한국개신교문화 형성과정 연구 - 개신교 여성 전봉선을 중심으로 -

        장성진 ( Chang Sung-jin ) 한국여성사학회 2008 여성과 역사 Vol.- No.9

        이 논문은 한국 개신교 문화형성을 역사적으로 연구하고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성 구술사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이에 여성 리더십을 중심으로 구술 자료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기존 문서자료의 객관적 지원을 받아 다양한 시각의 시도로 역사에서 `젠더화된 여성주체`를 발견하고 역사의 행위자로서의 `젠더행하기(doing gender)`를 실제화를 하기 위한 연구 표본들을 찾아내고 이론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그 실질적인 예로, `전봉선` (1909~1986)이라는 평범한 개신교 여성의 이야기를 통해 개신교 문화형성에 대한 여성 네트워크 중심적 형성을 주장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역사적으로 한국 개신교 문화상황과 현 발전 상태를 분석하는데, 초기 개신교 선교 상황이라는 역사적 사건만을 분석하기 보다는 여성중심의 친족관계를 분석하고 문화상황적 측면에서 접근하는 연구관점이 중요하다는 점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여성 구술사 방법론은 첫째, 숨겨진 여성들의 이야기를 발굴해내는데 중요한 역사적 방법론이며, 둘째, 역사적 관점을 사회 및 문화방면으로 넓게 확장할 수 있으며, 셋째, 기존의 역사방법론과 비교하여 다양한 인물에 대한 연구 및 시대상의 풍부한 해석 등을 가능하게 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used by the oral historiography of women in that historically researched and wrote the formation of Korean Protestant Culture. Accordingly, I deeply investigated in the interview-based data and collected the literature-based data in feminist perspective. In the process, it seems to me that I find out ` the gendered self by various views of history, and research models to realise `doing gender` through the practical doing of the self as an active person. In the respect, I studied a case of a woman, Ms. Bongsun Chun (1909-1986) who was an ordinary Protestant woman. Owing to her story and positive leadership, I insist on the importance of female network leadership in the formation of Protestant Culture. In other words, it is much important that not only historical approaches but also cultural approaches of early Protestant mission situation support a method for surveying the relations of female kinships in the research of Korean Protestant culture. Therefore, the oral historiography of women is, firstly, a vital way of history to discover the hidden stories of women. Secondly, it makes researchers extend historical views to socio-cultural areas. Finally, it can be led to effective studies of diverse persons and rich interpretation of the periods comparing the existing historiography.

      • KCI등재

        공동체의 경제학 (Ⅱ) - 공동체사회와 시장경제사회의 발생사적ㆍ이론적 고찰 : 공동체의 경제학 (Ⅱ)

        주종환(Chu Chong Hwan) 한국사회경제학회 2006 사회경제평론 Vol.- No.27

        시장경제는 인류가 존재하는 한 앞으로도 영원히 존속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그것은 체제와는 무관한 성질의 것이다. ‘화폐무용론’은 이런 점에서 부정된다. 공동체 안에는 운명공동체로서 동족의식과 ‘공감(sympathy)’ 내지 사랑의 원리가 지배한다. 그 밑바닥에는 ‘증여’의 원리가 자리하고 있다. 이것을 ‘공동체적 교환(communal exchange)’의 원리라고 부른다. 이에 대해 이해관계의 대립 속에서 이루어지는 교환은 ‘투쟁적 교환(contested exchange)’이다. 현실의 경제사회는 위 양자의 변증법적 통일물이다. 이 이론을 발전시키면 신맑스주의적 종합(Neo-Marxian Synthesis)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것은 개인주의적 신자유주의 지배 아래 있는 현재의 남한이 공동체원리에 따라 움직이는 북한과 더불어 같은 민족으로서 화해와 협력의 접점을 모색하고 평화통일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는 의미를 아울러 가질 수 있다고 본다. The market economy may continue to exist as far as the human being exists. In this sense, the market economy has no bearing to differences of the economic system. This implies the rejection of the thesis advocating ‘the demise of money’. Within the commune, the notion of a family partnership based on Sympathy or Love dominates, under which the principles of ‘Gift’ are also dominant. This mode of relationship may be called ‘Communal Exchange’, while the exchange conducted in antagonism is called ‘contested exchange’. All the economic systems prevailing world-wide these days a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a dialectic unity of the above two elements. This new paradigm may lead to a Neo-Marxian Synthesis which is able to substitute and supplement Neo-liberalistic economics. Furthermore, this new paradigm is expected to lead to a basis for the assimilation of different antagonistic theories for a peaceful corpo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of Korea.

      • KCI등재

        특집 근대전환기 개념의 운동과 변주 : 계몽기 문화 개념의 운동성과 사회이론

        김현주 ( Hyun Joo Kim ) 한림과학원 2015 개념과 소통 Vol.0 No.15

        이 논문의 목적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한국에서 ‘문화’의 운동성과 사회이 론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때 운동이란 물리적 이동과 의미의 변화 모두를 포함한다. 연구 대상으로 삼은 주요 자료는 『대조선독립협회회보』·『대한자강회월보』 등 정치단체의 회보, 『태극학보』·『대한학회월보』·『서북학회월보』 등 일본 유학생 및 지식인들의 학회지, 중등학교 학생 대상의 종합잡지인 『소년』, 정부와 민간단체가 발간한 『국민소학독본』·『고등소학독본』·『초등소학』·『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신찬 초등소학』 등 교과서이다. 일간신문과 신소설 등 대중 서사물도 일부 검토했다. 1890년대 말에서 1900년대 말까지의 기간은 문치교화(文治敎化)라는 유교의 통치이념을 표현한 고전적 의미의 ‘문화’와 civilization의 번역어인 문명(개화)의 동의어로서의 ‘문화’ 그리고 culture / Kultur의 번역어인 ‘문화’가 함께 사용된 최초의 시기라는 특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세 가지 문화 개념을 ‘잔여적인것(the residual)’, ‘지배적인 것(the dominant)’ 그리고 ‘부상하는 것(the emergent)’ 이라는 세 범주로 나누어 분석했다. 이와 같은 운동적 범주로 문화 개념에 접근 함으로써 이른바 ‘계몽기’의 학술 및 교육의 장에서 역사적으로 변화하는 다양한 요소가 드러내고 있던 역동적인 상호관계를 드러내고자 했다. 본론에서는 우선 1890년대 후반에 유학생에 의해 수용된 civilization의 번역어인 문명(개화)의 동의어로서의 문화가, 1900년대 후반에 정치적인 잡지나 유학생들의 학술지를 벗어나 학생용 교과서로도 진입하던 정황을 살폈다. 이로써 계몽기에 문화의 일반적 의미는 ‘문명’과 유사했으며, 이러한 의미의 문화가 공인된 지배적 지식이 되어 갔음을 확인했다. 마찬가지로 1890년대 말에 학생용 교과서에 등장한 고전적인 의미의 문화는 1900년대 후반에 한국을 비롯한 한자문화권의 ‘과거’를 설명하는 맥락 안에 정착하였지만, 유학생들의 학술지에서는 그 잔여적인 의미가 중도적이고 공인된 사회질서(도덕) 안에 통합될 가능성과 함께 지배적인 문명=문화 개념에 대해 대안적 성향을 띠는 의미체계나 가치관을 구성할 가능성도 보이고 있었다. 다른 한편 유학생들에 의해 culture / Kultur의 개념이 수용되면서 문화의 의미장이 더욱 복합적이 되고 있었다는 점도 확인했다. 즉 사회나 민족, 개인 같은 개념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주체화 기획과 연계·연동하면서 ‘문화’는 사회학/ 인류학의 문화 개념이나 철학적 문화 개념을 포함하게 되었다. 따라서 1910년대 이후 문화 개념의 전개를 추적하는 연구에서는 민족이나 사회, 개인 같은 개념에 내재된 문제들이 문화 개념에 전가된 맥락 또는 문화 개념이 지닌 추상성이나 한계로 말미암아 민족이나 사회, 개인 같은 개념이 떠안게 된 문제들을 제대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했다. This thesis analyzes the complex changes in the concept of ‘文化,’ from the lat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ies in Korea. This movements can be characterized as follows:1) 文化as the classical context for expressing the ruling principle of Confucianism;2) 文化as a synonym for 文明(開化), theword used to translate ‘Civilization’;and 3) 文化used as a translation for ‘Culture /Kultur,’ for the first time. These three concepts of ‘文化’ experi- enced a shift in their media usage as they interacted with each other through mutual syntheses and acquisitions. In this thesis they are classified for analysis as the ‘residual,’ ‘dominant,’ and ‘emergent’ concepts, an approach which aims to reveal their dynamic interactions with the various historical changes in the academic and educational fields which took place during the Korean Enlightenment. ‘文化’ as a translation for ‘Civilization’ became the officially sanctioned usage through a process whereby 文化as a synonym for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during the 1900s moved from political magazines and academic journals read by students studying abroad into textbooks intended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Moreover, the field ofmeaning of ‘文化’ grew more complex as it came to encompass both theresidual concept of ‘文化’ and the emergent concept of ‘文化’. Thus, although the classical concept of ‘文化’ to express the ruling principle of Confucianism was officially established as a conventional factor in the relatively conservative field of education, the concept of ‘文化’ was also capable of constituting an alternative system of meaning or value which could then be integrated into the broader system of the general andofficially accepted social order. Subsequently, as the major concepts of modern social theories, such as society, the individual, the nation, etc., emerged, 文化happened to include the concept of Kultur/Culture. In studying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s represented by 文化since the 1910s, it is essential to recognize the limitations which arise from its abstract character, and the way in which these affect the understanding of matters intrinsic or imputed to the concepts of ‘Society,’ ‘the Individual,’ etc.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