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반안정재 개량토의 토사 비탈면 현장 적용성 평가

        이강일(Kang-Il Lee),박성백(Seong-Bak Park),최민주(Min-Ju Choi) 한국지반신소재학회 2021 한국지반신소재학회 논문집 Vol.20 No.1

        본 연구는 제지 플라이애시 지반안정재를 활용하여 개량토 토사 비탈면의 현장 적용을 통한 안정화 방법을 연구하였다. 개량토에 요구되는 목표강도는 500kPa이며 토사 비탈면을 개량후 식생이 발아하기 위한 압축강도는 1,000kPa 이하이다. 이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현장에서 반입된 시료를 가지고 표층개량의 주원료인 지반안정재와 혼합하여 배합설계를 거처 강도시험 및 투수시험 그리고 식생 발아시험 등 다양한 시험을 실시 하였다. 그리고 개량토로 시공된 비탈면에 대한 기존 압축시험 결과를 분석한 후 개량토의 지반정수를 제안하였다. 또한 개량토의 비탈면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붕괴된 비탈면에 대하여 현장 시공을 실시하여 개량토의 표층부 보강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보강 전에는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했지만 개량토로 보강한 이후 안전율은 강우 지속시간 48시간까지 최소 안전율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장 개량토의 압축강도는 설계치인 점착력 200kPa 이상을 확보하고 토양경도계 시험 결과도 규정 값인 18~23mm 이내로 확인되어 개량토 비탈면의 경우 강우에 저항성이 증대되고 표층부의 식물생육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studies the stabilization method for improved soil sloped through the on-site application of Paper Flyash ground stabilizers. The target strength required for improved soil is 500 kPa,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for the slope surface needs to be less than 1,000 kPa after the improvement in order to plant vegetation. To meet this condition, we mixed soil from the site and the ground stabilization material, which is the main material for surface improvement material, performed mixing design and conducted various tests including strength test, permeability test and plantation test. After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compression test on improved soil slope, we proposed soil constants for the improved soil. In order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improved soil on the slope, the site construction was carried out on the collapsed slope and the reinforcement evaluation of the surface of the improvement soil was conducted. The stability was not secured before the reinforcement, but the test shows after the reinforcement with improved soil, the safety rate is secured up to 48 hours during the raining period. In additi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improved soil at the site was secured at more than 200 kPa adhesion as planned, and the soil hardness test result was also found to be within the specified value of 18-23 mm, which increased the resistance to rainfall and ability to grow plant on the surface for improved soil.

      • KCI등재

        그린잔디의 생육이 그린스피드에 미치는 영향

        권일우,이동희,최병만,태현숙,신동현 한국잔디학회 2011 Weed & Turfgrass Science Vol.25 No.2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hange of green speed according to growth of grass, for this, the method of effective green management for improvement of green speed was searched by investigating green density, soil moisture, surface hardness, and mowing height every day for 6 months. As the result of the study,reliability between, green density, soil moisture, surface hardness, mowing height and green speed were measured to be respectively 0.4742, 0.5690, 0.4632, 0.2806, i.e. soil moisture is considered as the factor which affects green speed the most. Therefore, it will be an advantageous environment to maintain soil moisture a little bit low to improve green speed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disrupt the growth of green. In case of green density, it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to get a fast green speed when obtaining enough density during May~June, the most vigorous growth period and at the same time green up period. Surface hardness was confirmed that management work as rolling is a considerably effective method to increase hardness. However, rolling gives high stress to the green, combining another management work as regular hilling could be a good alternative. Reliability of green preview and green speed was 0.2806, lower than soil moisture or surface hardness. Through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management of mowing height to be low less than 3.00 mm is helpful to improve green speed,timely, and it is advantageous to manage green speed when adjusting mowing height during the vigorous growth period of bent grass. However, considering the range of mowing height was not various, being 2.9~3.4 mm,henceforth research on investigation of green speed at more various mowing heights would be necessary. Consequently, except mowing height, other three factors, i.e. green density, soil moisture and surface hardness were investigated to have considerable level of reliability on green speed, and it is considered that each factor affects green speed respectively according to green condition and time. Accordingly, in order for the manager to maintain high speed all year round, intensive care for each factor per time unit considering green growth condition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본 연구는 잔디 생육에 따른 그린스피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실제 골프장그린의 잔디밀도, 토양수분, 표면경도, 예고를 6개월 동안 매일 조사함으로써 그린스피드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그린관리 방법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잔디밀도, 토양수분, 표면경도 그리고 잔디예고와 그린스피드 사이의 신뢰도는 각각 0.4742, 0.5690,0.4632, 0.2806로 측정되어 토양수분이 그린스피드에 가장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 사료된다. 따라서, 잔디 생육에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라면 토양수분을 조금 낮게 유지하는 것이 그린스피드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한 환경이 될 것이다. 잔디밀도의 경우 그린업 시기이며 가장 활발한 생육기인 5~6월에 충분한 밀도를 확보할 경우 빠른 그린스피드를 내는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표면경도는 롤링과 같은 관리 작업을 통해 경도를 높이는 것이 상당히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롤링은잔디에 높은 스트레스를 주는 작업이므로 정기적인 배토작업을 병행하는 관리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겠다. 그린예고와 그린스피드 신뢰도는 0.2806으로 토양수분이나 표면 경도에 비해 낮았다. 본 결과를 통해, 예고를 3.0 mm 이하로 낮게 관리하는 것은 그린스피드 향상에 도움이 되며, 시기적으로는 벤트그래스의 생육이 왕성한 시기에 예고를 조절하여 그린스피드를 관리하는 것이 유리하다는점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예고의 범위가 2.9~3.4 mm로다양하지 못했던 상황을 고려하여 향후 좀 더 다양한 예고에서 그린스피드를 조사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잔디예고를 제외한 다른 세 가지 요소 잔디밀도, 토양수분, 표면경도는 그린스피드와 상당 수준의신뢰도는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잔디의 상태와 시기에 따라 각 요소가 독립적으로 그린스피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관리자가 연중 높은 그린스피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시기별로 잔디생육 상태를 고려해 각 요소별로 집중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산림(山林)의 입지환경인자(立地環境因子)가 표층토양(表層土壤)의 조공극율(粗孔隙率)에 미치는 영향인자(影響因子) 분석(分析)(II) - 활엽수림(闊葉樹林)을 중심(中心)으로 -

        정용호,박재현,김경하,윤호중,Jeong, Yongho,Park, Jae Hyeon,Kim, Kyong Ha,Youn, Ho Joong 한국산림과학회 200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0 No.4

        산림의 수원함양기능 지표인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율(粗孔隙率)(pF2.7) 에 영향하는 입지환경인자를 밝히기 위해 1994년 3월부터 10월까지 전국의 활엽수림 표본조사구를 대상으로 업지, 토양, 임분환경인자 등 총 15인자에 대하여 spss/pc+를 이용하여 상관 분석하였다.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에 영향을 미치는 수고, 하층식생 피복도, 토양의 유기물함량비 3개 인자가 유의한 정(正)의 상관관계를, 표층토양의 견밀도가 1% 수준에서 유의한 부(負)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Stepwise를 이용한 다중회귀분석결과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에 영향하는 인자는 표층토양의 견밀도, 토양의 유기물함량비 2개 인자이었다. 활엽수림의 수원함양기능 증진을 위한 시업은 표층토양의 조공극 발달이 촉진되도록 하층식생 피복도가 30%에서 80%를 유지하도록 실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influencing site factors of the mesopore ratio on a pore geometry of surface soil in deciduous stands as an index of the water retention capacity. Fifteen factors including site conditions and soil properties were analyzed by spss/pc+ for the data collected during March to October of 1994.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esopore ratio(pF2.7) on the surface soil were as follows; tree height, under vegetation coverage and organic matter contents of soil. And influencing factor on the ratio of mesopore in the soil surface was correlated with surface soil hardness shows high negative significance. Also,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for mesopore ratios of surface soil hardness, organic matter contents of soils show high significance($R^2=0.84$). In deciduous stands, it is effective in promoting development on the ratio of mesopore that forest practice for enhancing of the water resource retention capacity should be carried out when the under vegetation coverage rates of stands are maintained from 30 to 80 percentages.

      • KCI등재

        USGA 지반에 조성된 주요 한지형 잔디의 뿌리생장과 토양물리성의 상관관계 분석

        김경남 한국잔디학회 2019 Weed & Turfgrass Science Vol.8 No.2

        The management of soil physical properties is one of the most basic knowledge in cultural practice for sports turfgrass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This study was initia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root growth of major cool-season turfgrasses (CSG) and soil physical properties which were established on United States Golf Association (USGA) soil profile. Turfgrass entries were comprised of 3 blends and 3 mixtures from Kentucky bluegrass (KB), perennial ryegrass (PR), and tall fescue (TF). In 2-year establishment of CSG, differences were significantly observed with soil surface hardness and water infiltration rate. The highest value of soil surface hardness was associated with KB and lowest with TF. Other entries such as PR and Mixtures I (KB:PR=40:60), II (KB:PR:TF=25:25:50) and III (KB:PR=30:70) were intermediate between KB and TF, depending on turfgrass species and mixing ratio. There were also great variations in infiltration rate. KB showed the fastest speed, being 1,960 mm·h-1. But PR had the lowest rate of 1,435 mm·h-1, being 26.7% slower in water infiltration speed, as compared with KB. TF was ranked between KB and PR with a rate of 1,890 mm·h-1. As for CSG mixtures, the higher the KB, the faster the infiltration rate, while the higher the PR, the slower the rate. Differences in soil surface hardness and infiltration rate were considered to result from growth habit and root growth characteristics.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rooting growth development demonstrated significant negative values on soil surface hardness (r=-0.595) and water infiltration rate (r=-0.611). These results indicated soil surface hardness and water infiltration rate were related with rooting characteristics and would be important factors to consider for the proper desig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in sports turf field. 본 연구는 USGA 지반에서 주요 한지형 잔디의 표면경도 및 투수속도 차이와 이들 요인과 뿌리생장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해서 천연잔디구장의 설계, 시공 및 관리에 활용하고자 시작하였다. 본 실험결과 한지형 초종별 표면경도 및 투수속도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USGA 지반에서 표면경도는 켄터키 블루그래스>퍼레니얼 라이그래스>톨 페스큐 순서로 나타났으며, 켄터키 블루그래스,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톨 페스큐를 혼합 파종한 혼합구 I (KB:PR=40:60), II (KB:PR:TF=25:25:50), III (KB:PR=30:70)의 표면경도는 초종 및 혼합비율에 따라 표면경도가 가장 높았던 켄터키 블루그래스와 가장 낮은 톨 페스큐 사이로 나타났다. 투수성능이 가장 양호한 초종은 켄터키 블루그래스로 시간당 투수속도가 1,960 mm·h-1 이었으며, 반대로 가장 불량한 초종은 1,435 mm·h-1인 퍼레니얼 라이그래스로 켄터키 블루그래스에 비해 26.7% 정도 느리게 나타났다. 톨 페스큐의 시간당 투수속도는 1,890 mm·h-1로 켄터키 블루그래스와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사이로 나타났다. 혼합구의 투수속도는 켄터키 블루그래스 초종이 많이 혼합될수록 빨랐으며, 반대로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의 비율이 높을수록 투수속도가 느리게 나타났다. 처리구간 표면경도 및 투수속도 차이는 초종간 생육형 및 뿌리생육 특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잔디뿌리발달과 표면경도 및 투수속도간의 상관분석 결과 각각 r=-0.595 및 r=-0.611로 나타났다. 즉 한지형 잔디의 뿌리발달이 왕성할수록 표면경도 및 투수속도는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