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박지영,손영우 한국감성과학회 2018 감성과학 Vol.21 No.2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vidual's subjective social status on meaning of work. We hypothesized that individual's subjective social status, defined as the respect and influence an individual has at her/his workplace, would promote meaning of work. Further, we hypothesized that individual's subjective social status would be more highly associated with meaning of work based on her/his occupation's subjective social status. Using two experimental studies, we found that individual's subjective social status increased meaning of work in American (Experiment 1) and South Korean working adults (Experiment 2). Participant's meaning of work was more influenced by individual subjective social status than occupation subjective social status (Experiment 1). Also, the results from Experiment 2 indicated that objective social status within an organization (i.e., rank) moderated the effects of individual subjective social status on meaning of work, such that the beneficial effects of individual subjective social status on meaning of work were found only for participants with low objective social status. In contrast, meaning of work in participants with high objective social status did not vary depending on subjective social statu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study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주관적 사회적 지위를 한 개인이나 조직이 갖는 존경과 영향력으로 정의하고,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일의 의미를 높게 지각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또,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는 개인이 속한 직종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보다 일의 의미 향상에 더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측하였고 두 개의 실험을 통해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 미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와 직종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실험 2에서는 한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해당 가설을 반복 검증하고, 조직 내 객관적 사회적 지위인 계급에 따라 조직 내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과 미국 직장인 모두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일의 의미를 높게 인식했다. 또,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는 직종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보다 일의 의미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실험 1). 실험 2에서 객관적 사회적 지위인 계급에 따라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객관적 사회적 지위가 낮은 경우에는 개인이 조직 내에서 존경을 받고 영향력이 있다고 생각할수록 일의 의미가 향상되었지만, 객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은 경우에는 조직 내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한계와 미래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직무성과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LMX와 CWX의 매개효과

        양동민,심덕섭 한국기업경영학회 2021 기업경영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직무성과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함께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직무성과,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LMX(Leader-Member Exchange)와 CWX(Coworker Exchange)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 검증을 위해 국내 소재 기업 303명의 종업원 설문자료를 활용하였다. 실증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는 직무성과 및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LMX는 사회경제적 지위와 직무 성과, 사회경제적 지위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CWX는 사회경제적 지위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한편, 사회경제적 지위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re are conflict among social class due to social injustice and polarization. Though many previous researchers have tried to examine these kinds of phenomenon through socioeconomic status. they have focused on o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Unlike o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pproach of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can explain more fluently employees’ attitude and performance in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est the effects of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on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we attemp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LMX and CWX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nd job performance, and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prior research, we derives following hypotheses. H1: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LMX. H2: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CWX. H3: LMX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job performance. H4: LMX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H5: CWX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job performance. H6: CWX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H7: LMX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nd job performance. H8: LMX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9: CWX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nd job performance. H10: CWX will mediate 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examine the proposed hypotheses in this study, we have collected 311 data from employees in eight organizations, after process of excluding unanswered items questionnaires, 303 employees data is used for analysis finally. We examined the H1, H2, H3, H4, H5, and H6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H7, H8, H9, and H10).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LMX. 2)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WX. 3) LMX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job performance. 4) LMX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5) CWX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job performance. 6) CWX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7) LMX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job performance. 8) LMX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9) CWX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job performance. 10) CWX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and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지각된 직무요구가 주관적 건강상태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WUYUNTUGALAGE(WUYUNTUGALAGE ),이충훈(Chunghun Lee) 대한관광경영학회 2023 觀光硏究 Vol.38 No.2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 승무원이 지각한 심리적, 물리적 직무요구가 승무원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승무원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구축하는데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특히, 직무요구로 인해 이직률이 높아지는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지각된 직무요구가 주관적 건강상태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급변하는 경쟁환경 속에서 항공사가 지향해야 하는 방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항공사 재직 승무원 대상으로 지각된 심리적, 물리적 직무요구가 주관적 건강상태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건강상태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이와 같은 영향 관계를 검정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 모델로 요인 간 인과적 영향 관계를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 항공사 승무원의 지각된 심리적, 물리적 직무요구는 승무원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정하였다. 또한 항공사 승무원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주관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심리적, 물리적 직무요구가 주관적 건강상태를 경유하여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주관적 건강상태가 간접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나 주관적 건강상태의 중요성을 해석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승무원의 지각된 직무요구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승무원의 직무만족도를 높여 구체적인 항공사 경영전략 구축 및 경쟁력 향상 방안을 제시하여 인적자원 관리의 중요함을 제시한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job demands perceived by airline cabin crew 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flight attendants. did In particular, by examining the effect of perceived job demands of airline cabin crew, whose turnover rate increases due to job demands, on their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irection airlines should pursue in a rapidly changing competitive environment.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erceived psychological and physical job demands o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effect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n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health status among flight attendants. In order to test such an effect relationship, the causal effect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was tested with the SPSS Process Macro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tested that the perceived psychological and physical job demands of flight attendant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flight attendan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flight attend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subjective health status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and physical job demands on subjective well-being via subjective health status, suggesting empirical grounds for interpreting the importance of subjective health status.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by examining the effect of flight attendants' perceived job demands on subjective well-being, ultimately increasing flight attendants' job satisfaction, and suggesting specific airline management strategies and ways to improve competitiveness.

      • KCI등재

        중고령자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의 종단분석

        유재남 한국노인복지학회 2015 노인복지연구 Vol.0 No.68

        This study aims to examine longitudinally trajectory of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old aged.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itial subjective health status on the slope of life satisfaction and the effect of initial life satisfaction on the slope of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aim is also to identify how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trajectory has been influenced by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factors. The panel data dawn from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of National Pension Service was used and a latent growth curv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people aged more than 55 years old. The analysis showed that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the slope of initial life satisfaction are negatively correlated. The slope of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hose subjective health status is high increases more slowly than that of others. And the slope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people whose initial life satisfaction is high increases more slowly than that of others. In this study, it was identified that the effect of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factors as a control variable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trajectory has similarity with the results of the existing cross-sectional studies but it is not the sam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is important for middle-old adults’ active lives. Based on this, political and soci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본 연구는 중고령자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궤적을 종단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중고령자 주관적 건강상태 초기값이 삶의 만족도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삶의 만족도 초기값이 주관적 건강상태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궤적에 대한 인구학적 요인과 사회경제학적 요인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분석자료는 국민연금공단의 국민노후보장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였고 55세 이상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의 초기값과 변화율의 종단적 관계는 상호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주관적 건강상태 초기값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 변화율이 천천히 증가하며, 삶의 만족도 초기값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 변화율이 천천히 증가하는 것이다. 또한 인구․사회경제학적 요인은 삶의 만족도와 주관적 건강상태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기존의 횡단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와 유사한 것도 있으나 상이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 활기찬 중고령기를 위해 주관적 건강상태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가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从内涵到地位:中国环境法上“个人”义理之展开

        Chen Jingtao,Fu Jiesi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22 국제법무 Vol.14 No.2

        The analysis of the meaning and concept of “Individual” provisions can be explained from three aspects: the pragmatic connotation, the constitution of the legal subject and the status of legal subject, which is helpful to clarify some problems in the theoretical research of environmental legal subject. First, in pragmatic connotation, “individual” is in line with unit. It implies that environmental legal subject is consisted with single and complex social members, then the subjective status of individuals in law can be initially demonstrated, which is one of the two categories of subjects. In “Everything/Anything...Individual” context, the word “individual” include all citizens, regardless of the legal status of the individual in the specific legal relationship. At the same time, the scope of “individual” reflects the extensiveness and hierarchy. With regulation and legal provision needs, when “individual” comes to specific legal relationships, it generally indicates different meanings, showing diversity and dynamic in scope and subject. If “individual” is separated with “everything/anything” and the context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such as unit in environmental basic law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acts, it will be useless. As an environmental legal subject, “individual” in environmental law also implies the basic nature, elements and starting point of the legal subject. “Individual” is a component of the organizational body like the unit, and also a component of the legal subject in environmental theory, legislation or practice, including the public, the state, human beings and future generations. Secondly, “individual” as the legal subject in environmental legislation, can be understood and originated from the process that human in natural science meaning are transferred into human in environmental legal subject meaning. In environmental law, “individual” reflects its social-natural attribute. The natural attribute of human, the dependence of individuals on the social community, and state promote it to enter the environmental legal relationship and depend on environmental public domain. Therefore, the natural “individual” also has the status of environmental citizens. In this regard, we can explain and construct theoretically with the help of ecological man, ecological citizen and civil subject constitution theory. The theory of ecological man is people’s awakening and reflection on the ecological elements of human’s nature-social existence, and they realiz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is a symbolic relationship, and that human and nature can coexist harmoniously only with mutual benefits. Ecological citizen theory enables ecological human to enter into the public domain and the field of legal norms from the fields of morality, ethnics and philosophy, from the emergence of intangible ecological responsibility so that the beautiful vision of ecology can be taken roots through legal norms. The analysis of the “individual” legal subject in environmental law can also be carried out from the two aspects of human’s inner will and external behaviors following the path of civil law and the constituent elements of civil subject, namely the right capacity and the behavior capacity. For environmental legislation, due to the obvious character of administrative enforcement and obligations, “individual” willingness are not much reflected regardless of specific regulations in public participation and civil rights provisions. As a qualification and legal subject, “individual” behavioral capacity are always illustrated by comparing with organizational body like units. However, its substantive nature, consisted of subject expressive capacity, consumption capacity, produce and trade capacity, technological capacity, information produce and disseminate capacity is highlighted by legislators, therefore individual have different status with unit. Th...

      • KCI등재

        중년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요인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차년도 자료(2013-2016) 활용

        박미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6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health status of middle - aged women aged 40-60 years and to provide nursing care for improving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middle-aged women. Data were stratification sampling by sex and age, utilized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3-2016), and reflected a weight. The variable were age, economic statel, sleep time per day, time spent sitting per day, subjective body recognition, the degree of perceived stress. Result are as follows: The higher the age, the worse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less the economic activity, the less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The more perceived stress was, the less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was. The more that the subjective body perception is closer to obesity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poor. The higher the degree of perceived stress in everyday, the bett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subjects'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the degree of perceived stress, the subjective body recognition, age and job state among the various health-related factors. Also, It is required to find the factors affecting stress, age, subjective body recognition and to provide care for middle-age women of at that time. 본 연구는 만 40-60세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의 영향 요인을 확인하고, 추후 중년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 향상을 위한 간호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의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차년도 자료(2013-2016)를 이용하여 성별과 연령으로 2차 층화추출 하였고 가중치가 적용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변수로는 연령, 경제활동상태, 하루평균 수면시간, 하루동안 앉아 있는 시간, 주관적 체형인식, 스트레스 인지정도로 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연령이 높을수록 좋지 않았으며, 경제활동을 하고 있지 않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는 좋지 않았다. 주관적 체형인식이 비만에 가깝다고 인지할수록 주관적 건강상태는 좋지 않았다. 스트레스 인지 정도가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는 좋지 않았다. 주관적 건강상태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트레스 인지정도(β= -.233)이였고, 그 다음으로는 주관적 체형인지(β= .184), 연령(β= .081), 직업유무(β= .070)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주관적 건강상태의 향상을 위해서 중년여성의 연령과 직업유무에 따른 스트레스 감소와 주관적 체형인지 증가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마련이 요구되며, 이를 도와줄 수 있는 간호제공이 필요하다.

      • KCI등재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요인

        박미라(Mee ra Park),양현주(Hyun Joo Ya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0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the influence factors on subjective health status of youth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preparation of the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youth.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3-2016) was used. and the varialbe were sex, age, type of high school, sleep time per day, time spent sitting per day, subjective body recognition, the degree of perceived stress in everyday, smoking experience and drinking experience. The data were stratified with age from 12 to 19 years old and the weighted data were used. Result are as follows: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better than female in male youth. The subjective body recognition is slim, the bett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more perceived stress was, the less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was.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better than drinking experience in no drinking experience. Factors influencing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subjects were the usual stress perception and subjective body shape, the degree of perceived stress in everyday(β = -.187)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llowed by subjective body recognition(β = .184).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rogram that lowers the usual stress level and increases the subjective body type.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고,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 향상을 도모하는 중재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차 년도 자료(2013-2016)를 이용하였으며, 성별, 연령, 고등학교 유형 등의 일반적 특성과 하루 평균 수면시간, 하루 동안 앉아서 보낸 시간, 주관적 체형인식, 평소 스트레스 인지정도, 흡연경험, 음주경험 등의 변수를 활용하였다. 자료는 만 12세~19세의 연령으로 층화 추출하였고 가중치가 적용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음주경험은 없는 경우가 있는 경우보다, 날씬하다고 인식할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다고 인식한 반면, 평소 인지하는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는 좋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평소 스트레스 인지정도와 주관적 체형인지였고, 평소 스트레스 인지정도(β= -.187)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주관적 체형인지(β= .184)가 그 다음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 향상을 위해서는 평소 스트레스 인지정도는 낮추고 주관적 체형인지는 증가시키는 프로그램 마련이 요구된다.

      • KCI등재

        교과교육학의 학문 위상과 현 단계 도전 과업

        박인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6 교과교육학연구 Vol.10 No.1

        이 글은 교과교육학이 하나의 '학문'으로서 온전한 위상을 확보하고, 지식 사회의 선도적 가치를 생산하는 학문 영역으로 명실상부하게 발전해 가려면 어떤 문제 의식과 도전 전망을 가져야 할 것인지를 교과교육학 분야 학문 공동체에 제기해 보기 위한 글이다. 현재의 교과교육학은 여러 가지 도전을 받고 있다. 1) 학문이라기보다는 기능과 처방의 수준에 머무는 것이라는 인식 2) 학문으로서의 이론 체계를 구비하지 못하고 있는 점 3) 연구방법론의 정합성에서 취약한 점 4) 연구 범주의 생산적 분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첨, 5) 다른 학문 분야와의 상호작용이 약한 점 6) 학문으로서의 고유성과 수요 창출이 미약한 점 등이다. 교과교육학은 학문으로서의 본격적인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 자신을 상위 인지하고 독자적인 학문으로서의 자기 결정성을 구축하는 체제와 토양을 길러야 한다. 따라서 교육현상을 단순 추수하는 데 그치지 말고, 교과교육의 지형 자체를 스스로 결정하고, 교과교육학의 토대를 재설정함으로써, 현재의 교과교육학에 대한 인식론을 넘어서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학적 노력이 필요하다. 먼저 장기적인 관점에서 교과교육학의 이론 연구 분야가 정립되어야 한다. 이는 물론 새로운 연구 범주 확장과 기존 연구 범주를 재개념화 해 나감으로써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교과교육학이 타 분야 학문과의 학제성을 넓히고 상호작용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이는 교과교육학의 고유성과 보편성이 상호 긴장력 있게 확충되는 방향의 노력을 요청할 것이다. 교과교육학은 교과의 실제적인 힘(원심력과 구성력)을 학문사회와 교육사회에서 동시에 길러야 한다. This paper aimed to propose a desirable statu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to the community of scholars studying subject matter education. And this paper aimed to became an issue and propose the perspective to establish the scientific perfectnes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at current stage. At present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is challenged in many-side as followings. 1) Lack of understanding : tendency to recognize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kill of treatment not science 2) Defect of theoretical system as a science 3) Unreliability of methodology 4) Unspecialized categories of research 5) Insufficiency of interaction with other sciences 6) Be weak in originating new learning demands It is necessary to intensity the scientific identity, self-determination and self-conquest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to raise its academic status. In order to overcome the fixed idea about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 diverse of approaches oriented new understanding are needed as followings Theoretical study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as an approved formal research area. And we should develop new domain of study and re-conceptualize existing domain of study in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It is necessary to enlarge inter-disciplinary activity and enforce interaction with other science under the initiative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And in order to establish the academic status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keep both universality and distinctiveness as a science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In short it is important to build up the power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through creating demand in both learning society and academic society.

      • KCI등재후보

        VDT 취급근로자의 신체적 자각증상과 정신사회적 안녕상태의 관련성

        고상백,차봉석,장세진,박창식 大韓産業醫學會 1996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8 No.3

        이 연구는 VDT 취급근로자들의 신체적 자각증상의 실태와 신체적 자각증상과 정신사회적 안녕수준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강원도 W시 및 K시에 근무하는 여자 전화 교환원 8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구대상의 평균연령은 37.7세 (표준편차 3.1세) 였으며 결혼 상태는 기혼자가 81명(91%)으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2. 연령별, 지역별 VDT자각 증상수준과 정신사회적 안녕수준간에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VDT 자각증상은 어깨, 목, 등, 팔, 손(손가락), 허리 하지 등 7개 부위에 대해 근골격계 증상을 조사하였는데, 조사대상자 중 어깨 98.9%, 목 91.2%, 손 89.9%, 팔 88.9%, 등 87.8%, 하지 85.6%의 증상을 호소하여 대다수의 대상자에게서 높은 자각증상 수준을 보였다. 4. 부위별 자각증상 수준에 따른 정신사회적 안녕수준을 비교한 결과 어깨, 목, 팔, 손, 하지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등 허리 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개 부위의 총 자각증상을 정신사회적 안녕수준과 비교한 결과 VDT자각 증상이 높을수록 낮은 정신사회적 안녕수준을 (P<0.01)보였다. 5. VDT관련 증상 및 일상생활 불편도와 현재의 정신사회적 안녕수준간의 상관분석결과, 불편척도가 가장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등을 제외한 다리, 팔, 목 어깨, 허리, 손 등의 순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6. 정신사회적 안녕수준에 미치는 제 변수들의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해 불편척도, 각 부위별 자각증상을 독립변수로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불편척도와 하지의 자각증상이 회귀식에 투입되었고 설명력은 40%였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symptoms and the psychosocial well-being status of VDT operators. The study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9 female telephone operators in Korea Telecom. The mean age of study subjects was 37.7 (s.d; 3.1), and 91% of them were the married and 9% were the single. The mean values of psychosocial well-being status by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f the 89 operators, 98.9% felt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s in shoulder, 91.2% in neck, 89.9% in hand, 89.9% in lowback, 88.9% in arm, 87.8% in back, and 85.6% in leg, respectively. The mean scores of the psychosocial well-being status by three categories of subjective symptoms were significant in shoulder, neck, arm, hand, and leg, but were not significant in back and lowback. Correlations between the subjective symptoms and the psychosocial well-being status were significant in discomfort scale, leg, arm, neck, shoulder, lowback, and hand, but were not significant in back.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independent variables (age, discomfort, and subjective symptoms) contributed to explaining the psychosocial well-being status. Discomfort and the subjective symptoms in leg were a correlate of the psychosocial well-being statu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체형만족, 주관적체형, 비만스트레스가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정향진(Jeong, Hyang-Jin)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4학년 간호대학생의 체형만족, 주관적 체형, 비만스트레스와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주관적 건강상태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여 간호대학생의 건강생활 실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일 지역 내 2곳 대학의 4학년 간호대학생 2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분석은 SPS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s, ANOVA, 카이제곱 검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는 비만스트레스(r=-.299, p<.001), 주관적 체형(r=-.299, p<.001), 체형만족도(r=-.263, p<.001), 평균학점(r=.174, p<.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주관적 건강상태의 주요 영향요인은 비만스트레스(β=-.22, p=.002), 주관적 체형(β=-.12, p=.024), 평균학점(β=-.14, p=.03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본 연구 모형의 설명력은 12.9% 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건강상태의 인식 향상을 통한 건강생활 습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체형인식과 비만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성적향상 및 건강생활 유지를 위한 중재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body figure, subjective body shape, obesity stres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4th grad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y living program by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to subjective health statu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performed to 232, 4th grad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f two college in one area.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tests, ANOVA, chi-squar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software. This study showed that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besity stress(β=-.22, p=.002), subjective body shape(r=-.299, p<.001), body shape satisfaction(r=-.263, p<.001), academic achievement(r=.174, p<.01).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obesity stress(β=-.22, p=.002), subjective body shape(β=-.12, p=.024) and academic achievement(β=-.14, p=.031). This model explained 12.9% in subjective health statu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ventions and programs to improve subjective health status, to teach the right knowledge about body shape, to reduce the obesity stress, to improve the academic ability and to maintain a healthy lifestyle of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