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고대청동시저연구(韓國古代靑銅匙箸硏究) -고려시대(高麗時代)-

        정의도 ( Eui Do Ju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7 石堂論叢 Vol.0 No.38

        우리나라는 식탁에서 숟가락과 젓가락을 동시에 사용하는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 최근에 발굴조사된 고려시대의 분묘에서 출토되는 숟가락과 젓가락은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를 지역별로 나누어 고찰한 결과 고려시대의 숟가락은 11세기 말경부터 분묘 내에 부장되기 시작하여 고려시대 말에서 조선시대 전기까지 이어진다. 숟가락은 자루와 술부의 특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술부는 타원형과 유엽형으로 나누어지고 자루는 연미형, 능형, 연봉형, 약시형 등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숟가락은 뚜렷한 시기구분이 없이 동시대에 사용되고 있는데 숟가락과 젓가락이 세트로 출토되는 무덤의 부장품은 비교적 풍부하다. 또한 숟가락의 폭과 길이의 비율은 고려 전기 숟가락은 0.5:1에 가깝고 고려 후기 숟가락은 0.3:1에 가까워져 세장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한편 숟가락이 고려시대의 무덤에 부장되게 된 것은 11세기 말을 지나 12세기에 이르면서 요·금·원나라 등 북방과의 교류가 증가하면서 장법의 변화가 일어나 숟가락을 부장하게 된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숟가락을 부장하는 풍습이 전국적으로 확장되는 것은 당시까지는 채식 위주였던 식단이 육류를 많이 섭취하게 되는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원나라가 고려를 지배하면서 고려인들의 육류 섭취는 더욱 늘어났고 이에 따른 요·금·원나라에는 고려와 동일한 형태의 청동숟가락의 선호도 더욱 증가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고려시대의 분묘에서 출토되는 젓가락의 양은 숟가락에 비하면 그 빈도수가 대단히 낮은데 그 배경에는 숟가락에 비하여 젓가락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던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숟가락과 젓가락에 대한 연구는 우리나라의 식탁의 정체성을 밝힐 수 있는 아주 중요한 고고학적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전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숟가락만으로 지정된 문화재가 한 점도 없다는 것은 반성하여야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 In Korea we keep up the tradition of using spoon and chopsticks at the same time on the table. Looking at the lately studied results, Goryeo(高麗) period`s tombs with spoons and chopsticks were distributed all around the country. The result that the investigate dividing into district shows that Goryeo period`s spoons were buried in tombs from the end of 11th century and maintained to the early part of Joseon(朝鮮) period. The spoons can be divided by some distinguishing features of a handle and head. Head has two kinds like an oval style and a willow`s leaf style. The handle can be divided a swallow-tailed style, a diamond shaped style, a lotus bud style and heart shaped things attached style. Those spoons were using at the same period without distinctive time division, the set of spoon and chopsticks as a grave goods were comparatively rich. Compared to the ratio of width and length of spoon, the spoon of early stage of Goryeo is 0.5:1 and the late stage is 0.3:1 which means that spoons are getting thinner and longer. On the other hand, the reason that spoons were buried in Goryeo period`s tombs, through the end of 11th century to the 12th century, were the change of funeral service being influenced by interchange with a northern country like Liao(遼)·Jin(金)·Yuan(元) Dynasty. The customs of burying spoons were expended all the country. It reflected that people`s menu was changed from living on vegetables to eating some meats. Especially when Yuan Dynasty ruled Goryeo, Goryeo people took more meats. So the Goryeo people` preference of same shapes of Liao·Jin·Yuan Dynasty`s bronze spoons was increased. Amount of Chopsticks excavated in Goryeo period were fewer than spoons, because eating and drinking culture showed that chopsticks were less used than spoons. Although the study of spoons and chopsticks is very important archeological materials to reveal the identity of korean table setting, we have to reconsider that any studies about only spoons were not performed and not assigned as a cultural properties up to now.

      • KCI등재

        武寧王陵 出土 靑銅匙箸硏究

        정의도(Jung, Eui-Do) 한국고대학회 2009 先史와 古代 Vol.30 No.-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유물 가운데 청동시저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출토 상황과 제작지에 대한 고찰, 그리고 우리나라 최초의 청동시저에 대한 성격과 의의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3점의 청동숟가락과 2벌의 청동젓가락 가운데 청동발 내부에서 출토된 한 점은 중국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이고 나머지 연도 입구와 현실 입구에서 발견된 청동시저 2벌은 중국에서 제작된 것을 본으로 하여 백제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았다. 그것은 청동시저 2벌의 청동 소재가 다른 한 점과는 판연히 다르고 제작수법을 살펴보아도 술부와 자루의 형태, 두께, 그리고 자루의 양단을 따라 시문한 수법도 아직은 초보 단계를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었다. 왕비의 관에서 출토된 숟가락이 중국에서 제작되었다고 본 것은 나머지 청동시저 2벌의 본이 되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리고 거의 같은 형태의 것이 무령왕릉의 축조시기와 꼭 부합하는 것은 아니지만 중국의 하북 정현, 녕하 고원, 그리고 강서 남창에서 발견되고 있기 때문이다. 당시 중국에서도 청동시저를 부장하는 예는 거의 없다시피 하고 있다면 상당한 지위의 인물이 묘주이거나 당시 황제와 관련된 유적에서 출토된다는 것은 청동숟가락이 같이 출토되는 금기나 은기와 같이 희귀한 물품 가운데 하나였기 때문일 것으로 보았다. 한편 무령왕릉에서 당시 남조에서 유행하기 시작하였던 가위를 부장하는 대신에 청동숟가락을 선택한 것은 무령왕의 죽음을 崩으로 표현한 것 같은 백제의 독자성을 배경으로 하는 것이며 이것은 장례절차에 있어서도 숟가락은 연도 입구에, 젓가락은 현실 입구에 두는 독특한 방식을 취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왕비의 관 내부에서 은장도자와 함께 동발의 내부에서 출토된 청동시저는 은장도자와 함께 왕비가 귀하게 여겼던 것을 왕비의 사후에 같이 넣어둔 것으로 보았는데 중국과 한국을 통틀어 유일한 예이므로 차후의 자료 증가를 기다려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청동시저는 삼국시대 고분에서는 가장 먼저 출토된 것으로 우리나라 식도구사 연구에 획을 긋는 것이다. 당시 주로 음식을 쪄 먹던 식탁에 새로운 식문화를 선도하게 되었으며 이어서 백제의 고분에 청동숟가락이 부장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는 것이다. This work tries to understand bronze spoons and chopsticks found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Several aspects have been discussed here such as the excavation environment, manufacture pla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y primitive bronze spoon and chopstick in Korea. Total five set (three spoons and two chopsticks) were found from this Tomb. One found from the bronze pot at the Queen's coffin seemed to be made in China, and other twos found from tomb corridor and entrance seemed to be manufactured in Baekje assembling Chinese spoon and chopstick. Those two Baekje ones are vividly different from the one found from the bronze pot and also the manufacture technique, including handle shape, thickness and decoration, is quite remained at the primitive stage. The reason of assuming the bronze spoon found from the Queen's coffin is China's one is that this one was used for the example of the other two spoon and chopstick. In the meantime, almost similar ones with this spoon were found from Jeonghyeon (Hanbook), Gowon (Nyeongha) and Namchang (Gangseo) in China, although the time periods of those areas are not perfectly lined with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Tomb. Regarding that bronze spoons and chopstick were not buried in tombs normally in China,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deceased buried with spoons and chopstick might be an important person. Also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ose bronze spoon and chopsticks were also found from the Emperor tombs. So it could be possible that bronze spoon and chopstick were one of the priceless objects of those time, like gold and silver objects. Instead of the scissors which was highly popular in Namjo, bronze spoon was chosen to bury in the Tomb of King Muryeong. Given that Baekje people described King's death as 'Bung' spoon burial can be understood in this unique cultural context. Also this uniqueness was proven again that spoon is located in the corridor while chopstick is in the entrance. It is also highly likely that silver knife and bronze spoon seemed to be the favorite items of the Queen and so those two objects were in the bronze pot, in side the Queen's coffin. This is the only example around China and Korea, so it is worth waiting further excavation result which could understand more historic background. It should be also highlighted that the bronze spoon and chopstick found from the Tomb King Muyryeong is the very first ones among the tombs of Three Kingdoms Period. This spoon and chopstick, therefore, could be the valuable object to comprehend food culture of Korea. Basically steaming was the typical way of cooking, but spoon and chopstick seemed to bring different food culture. This also led Baekje people to bury bronze spoon in their tombs.

      • KCI등재

        청동(靑銅)숟가락의 등장(登場)과 확산(擴散) : 삼국시대(三國時代)~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

        정의도 ( Eui Do Ju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8 石堂論叢 Vol.0 No.42

        청동숟가락이 출토되는 삼국시대 유적은 신라는 금관총과 황남대총과 같은 분묘로 한정되지만 백제는 무령왕릉과 신봉동고분, 표정리고분 등의 분묘와 부소산 관북리 추정 왕궁지, 왕흥사지 사리장엄구 등으로 좀 더 다양하고 형태도 세련되어 있다. 백제의 숟가락은 왕의 궁궐과 무덤, 왕이 죽은 왕자를 위한 사찰과 귀족들의 무덤에서 출토되고 있어서 청동숟가락의 사용주체가 누구였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신라와 백제의 차이는 중국과의 관계에서 수구적이었던 신라와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나라를 지키려던 백제의 의도적인 국제화에서 비롯된 차이로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백제의 숟가락이 실제 생활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신라의 숟가락과 국자는 의례용으로만 사용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경향은 황남대총에서 출토된 3점의 은제국자가 비실용적인 반면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3점의 숟가락은 북위의 숟가락과 비교하여도 전혀 손색이 없고 오히려 세련된 젓가락까지 더하여 출토되어 당시 백제의 문화수준을 잘 보여주고 있다. 고구려지역에서 출토된 숟가락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으나 안악3호분의 부엌을 그린 벽화에서 국자가 보이고 있기 때문에 발견 가능성은 없지 않다. 그러나 4세기말 축조된 각저총에 밥상을 차려놓은 그림이 있는데 아무런 식도구가 그려져 있지 않고 무용총에도 음식을 올리는 장면이 있는데 마찬가지라는 점이다. 부엌에서는 분명히 국자를 그리고 있는데 식탁에 숟가락을 그리지 않은 것은 무엇때문인지 알 수 없다. 신라의 수많은 고분유물 가운데 아직까지는 도제 숟가락이 발견되지 않고 있는데 신라와 이 시기까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던 고구려에서도 숟가락이 출토되지 않고 있다는 것은 충분히 검토해 보아야 할 문제이다. 특히 다량의 목제유물이 출토된 광주 신창동과 경산 임당동의 저습지유적에서 목제 주걱이나 국자는 발견되고 있으나 목제 숟가락이나 젓가락은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은 차후 식생활과 관련지어 구명하여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통일신라에 들어서면 삼국시대의 상황과는 달리 경주지역을 비롯하여 대구, 창녕, 구례, 부여, 당진, 이천, 서울 등 가히 전국에서 숟가락이 발견된다. 경주안압지 출토 숟가락은 신라왕실의 숟가락 사용을 보여주는 것으로 거의 똑 같은 것이 일본 정창원에도 보관되어 있어 정창원 숟가락은 신라에서 제작된 것임을 바로 증명하는 계기가 되었고 또한 안압지를 비롯한 경주지역에서 젓가락의 출토 예는 아주 드물어 젓가락을 본격적으로 사용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경주지역에서 출토되는 숟가락 가운데 월성과 분황사에서 출토되는 것은 당시 왕실이나 왕실의 비호를 받던 불교 사찰에서 사용하던 것이며 왕경유적 출토 숟가락은 통일신라시대에 들어서면서 경주에서부터 청동숟가락의 사용이 점점 확대되어 가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에 비하여 청동숟가락의 출토량이 훨씬 적었고 사용목적도 의례용에 한정되었던 신라가 어떠한 사정으로 숟가락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는가 하는 것이다. 이것은 우선 신라가 당나라의 조력으로 삼국을 통일한 다음 당과의 교류를 증대하면서 당시 당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던 화려한 금은기의 영향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청동숟가락의 사용이 점차 확산되어 갔다고 추정해 두기로 한다. 청동숟가락의 점진적인 확산은 대구칠곡유적에서 의례용으로 출토된 숟가락과 젓가락에서 증명되는데 삼국시대 신라에서 제례용으로 쓰던 숟가락의 전통은 감은사나 화엄사 사리장엄구에 숟가락이 포함되게 되는 원인이 되었을 것이며 부소산에서 출토된 숟가락이나 황해도 평산군 평산면 산성리에서 출토된 일괄유물도 모두 제사용 도구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창녕 말흘리 퇴장유구에서 발견된 숟가락이나 국자, 당진 삼웅리, 한우물에서 발견된 통일신라의 청동숟가락은 청동숟가락의 사용이 지방으로 확산되는 것을 보여주는 한편 사찰과 관아라고 하는 사용계층의 한계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특히 서울 호암산성 한우물유적의 제2우물지에서 출토된 숟가락은 그 형식이 안압지에서 출토된 형식을 계승하는 것으로 지방의 관리들이 사용하였던 실물이라고 생각된다. 당시까지만 하여도 청동숟가락은 상당히 귀한 것이었으므로 벼슬과 이름을 새겨 사용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청동숟가락의 두가지 성격이 결국 고려시대에 들어서면서 금나라와 요나라등 북방의 영향과 결합하면서 무덤의 부장품으로 선택되게 되는 것이 아닐까 하는 것이다. Three Kingdoms Sites where produced bronze spoon are limited to the tomb sites such as Geumgwan and Hwangnam Great Tombs of Silla Period. In the mean time, Baekje seemed to have rather various sites including Tomb of King Muryeong and Sinbongdong and Pyojeongri tomb sites and also areas of presumable Gwanbukri palace site, Sarira utilities from Wangheung temple. Bronze spoons of Baekje show clear evidence of the user and also generally they are more beautiful than other spoons from Silla. The difference between Silla and Baekje can be found from the intentional globalisation of Baekje where tried to defend themselves from the war between Silla and Goguryeo. Additionally spoons of Baekje could be used in everyday life while it is assumed that Silla spoons were only used for the ceremonial purposes. It is then proved by the spoons from Hwangnam Great Tomb and Tomb of King Muryeong. The former three silver spoons were all for the ceremony whereas the later ones were well refined and practically usable compared to Northern Wee Kingdom of China and so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ose spoons were all well reflected great culture of Baekje. There are no Goguryeo spoons found so far but there is a painting of scoop in the mural of Anak No 3. Tomb, so I am looking forward to finding Goguryeo spoons in the near future. However, it should be highlighted here that there were no ceramic spoons found ever from sites of Silla and Goguryeo, given that there are number of cases of those spoons from China. Since the Unified Silla, all areas in Korea such as Daegu, Changnyeong, Gurye, Buyeo, Dangjin, Icheon, and Seoul produced bronze spoons. Particularly the spoon from Anapji in Gyeongju is the one for the royal Silla Kingdom and also it is exactly the same with the spoon in the Jeongchang Temple, Japan. Therefore the spoon from Anapji proved that the one in Japan was actually made in Silla most likely. Interestingly there is no archaeological findings of chopsticks in Gyeongju areas so it can be concluded that people in those days were rarely used chopsticks. The spoons from Gyeongju areas, particularly from Weolseong and Bunhwang Temple are for the Royal Family or Royal Temple. So it is possible that the tendency of the spoon findings from the temple and palace shows that spoons were generally used for everyday life in those days. Diffusion of the bronze spoons can be detected since Unified Silla tried to increase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with Tang(唐) China after their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Unified Silla influenced from the culture of Gold and Silver of Dang China and this made the diffusion of the bronze spoon in Unified Silla when Hanhwa policy (mimic Chinese culture) of King Gyeongdeok overhauled in the middle of 8th century. Increase of usages is also proved by ceremonial spoon and chopsticks found from Daegu Chilgok site. Ceremonial spoons from Silla could be a reason of spoons finding in Sarira utilities of Hwaeum Temple and Gameun Temple. Then it is highly likely that spoons from Busosan and burial goods of Pyeongsangun, Hwanghaedo are all divided into ceremonial tools. Hoard goods of Malheulri, Changnyeong, which include dipper and spoon, and bronze spoon of Unified Silla from Samungri, Dangjin suggest that spoon usages were diffused into the local areas and also users may have a certain class identification. And also spoon found from the 2nd well of Hoam fortress, Seoul has a unique type which is dedicated to the one from Anapji, and it can be presumed that local officials were practically used this spoon. In Goryeo period, these two characteristics of bronze spoons were finally met with the culture of Jin(金) and Liao(遼) Kingdoms of China and then they were chosen for the burial goods in the tombs.

      • KCI등재후보

        靑銅숟가락의 登場과 擴散 - 三國時代~統一新羅時代 -

        정의도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08 石堂論叢 Vol.0 No.42

        청동숟가락이 출토되는 삼국시대 유적은 신라는 금관총과 황남대총과 같은 분묘로 한정되지만 백제는 무령왕릉과 신봉동고분, 표정리고분 등의 분묘와 부소산 관북리 추정 왕궁지, 왕흥사지 사리장엄구 등으로 좀 더 다양하고 형태도 세련되어 있다. 백제의 숟가락은 왕의 궁궐과 무덤, 왕이 죽은 왕자를 위한 사찰과 귀족들의 무덤에서 출토되고 있어서 청동숟가락의 사용주체가 누구였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신라와 백제의 차이는 중국과의 관계에서 수구적이었던 신라와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나라를 지키려던 백제의 의도적인 국제화에서 비롯된 차이로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백제의 숟가락이 실제 생활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신라의 숟가락과 국자는 의례용으로만 사용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경향은 황남대총에서 출토된 3점의 은제국자가 비실용적인 반면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3점의 숟가락은 북위의 숟가락과 비교하여도 전혀 손색이 없고 오히려 세련된 젓가락까지 더하여 출토되어 당시 백제의 문화수준을 잘 보여주고 있다. 고구려지역에서 출토된 숟가락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으나 안악3호분의 부엌을 그린 벽화에서 국자가 보이고 있기 때문에 발견 가능성은 없지 않다. 그러나 4세기말 축조된 각저총에 밥상을 차려놓은 그림이 있는데 아무런 식도구가 그려져 있지 않고 무용총에도 음식을 올리는 장면이 있는데 마찬가지라는 점이다. 부엌에서는 분명히 국자를 그리고 있는데 식탁에 숟가락을 그리지 않은 것은 무엇때문인지 알 수 없다. 신라의 수많은 고분유물 가운데 아직까지는 도제 숟가락이 발견되지 않고 있는데 신라와 이 시기까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던 고구려에서도 숟가락이 출토되지 않고 있다는 것은 충분히 검토해 보아야 할 문제이다. 특히 다량의 목제유물이 출토된 광주 신창동과 경산 임당동의 저습지유적에서 목제 주걱이나 국자는 발견되고 있으나 목제 숟가락이나 젓가락은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은 차후 식생활과 관련지어 구명하여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통일신라에 들어서면 삼국시대의 상황과는 달리 경주지역을 비롯하여 대구, 창녕, 구례, 부여, 당진, 이천, 서울 등 가히 전국에서 숟가락이 발견된다. 경주안압지 출토 숟가락은 신라왕실의 숟가락 사용을 보여주는 것으로 거의 똑 같은 것이 일본 정창원에도 보관되어 있어 정창원 숟가락은 신라에서 제작된 것임을 바로 증명하는 계기가 되었고 또한 안압지를 비롯한 경주지역에서 젓가락의 출토 예는 아주 드물어 젓가락을 본격적으로 사용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경주지역에서 출토되는 숟가락 가운데 월성과 분황사에서 출토되는 것은 당시 왕실이나 왕실의 비호를 받던 불교 사찰에서 사용하던 것이며 왕경유적 출토 숟가락은 통일신라시대에 들어서면서 경주에서부터 청동숟가락의 사용이 점점 확대되어 가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에 비하여 청동숟가락의 출토량이 훨씬 적었고 사용목적도 의례용에 한정되었던 신라가 어떠한 사정으로 숟가락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는가 하는 것이다. 이것은 우선 신라가 당나라의 조력으로 삼국을 통일한 다음 당과의 교류를 증대하면서 당시 당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던 화려한 금은기의 영향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청동숟가락의 사용이 점차 확산되어 갔다고 추정해 두기로 한다. 청동숟가... Three Kingdoms Sites where produced bronze spoon are limited to the tomb sites such as Geumgwan and Hwangnam Great Tombs of Silla Period. In the mean time, Baekje seemed to have rather various sites including Tomb of King Muryeong and Sinbongdong and Pyojeongri tomb sites and also areas of presumable Gwanbukri palace site, Sarira utilities from Wangheung temple. Bronze spoons of Baekje show clear evidence of the user and also generally they are more beautiful than other spoons from Silla. The difference between Silla and Baekje can be found from the intentional globalisation of Baekje where tried to defend themselves from the war between Silla and Goguryeo. Additionally spoons of Baekje could be used in everyday life while it is assumed that Silla spoons were only used for the ceremonial purposes. It is then proved by the spoons from Hwangnam Great Tomb and Tomb of King Muryeong. The former three silver spoons were all for the ceremony whereas the later ones were well refined and practically usable compared to Northern Wee Kingdom of China and so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ose spoons were all well reflected great culture of Baekje. There are no Goguryeo spoons found so far but there is a painting of scoop in the mural of Anak No 3. Tomb, so I am looking forward to finding Goguryeo spoons in the near future. However, it should be highlighted here that there were no ceramic spoons found ever from sites of Silla and Goguryeo, given that there are number of cases of those spoons from China. Since the Unified Silla, all areas in Korea such as Daegu, Changnyeong, Gurye, Buyeo, Dangjin, Icheon, and Seoul produced bronze spoons. Particularly the spoon from Anapji in Gyeongju is the one for the royal Silla Kingdom and also it is exactly the same with the spoon in the Jeongchang Temple, Japan. Therefore the spoon from Anapji proved that the one in Japan was actually made in Silla most likely. Interestingly there is no archaeological findings of chopsticks in Gyeongju areas so it can be concluded that people in those days were rarely used chopsticks. The spoons from Gyeongju areas, particularly from Weolseong and Bunhwang Temple are for the Royal Family or Royal Temple. So it is possible that the tendency of the spoon findings from the temple and palace shows that spoons were generally used for everyday life in those days. Diffusion of the bronze spoons can be detected since Unified Silla tried to increase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with Tang(唐) China after their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Unified Silla influenced from the culture of Gold and Silver of Dang China and this made the diffusion of the bronze spoon in Unified Silla when Hanhwa policy (mimic Chinese culture) of King Gyeongdeok overhauled in the middle of 8th century. Increase of usages is also proved by ceremonial spoon and chopsticks found from Daegu Chilgok site. Ceremonial spoons from Silla could be a reason of spoons finding in Sarira utilities of Hwaeum Temple and Gameun Temple. Then it is highly likely that spoons from Busosan and burial goods of Pyeongsangun, Hwanghaedo are all divided into ceremonial tools. Hoard goods of Malheulri, Changnyeong, which include dipper and spoon, and bronze spoon of Unified Silla from Samungri, Dangjin suggest that spoon usages were diffused into the local areas and also users may have a certain class identification. And also spoon found from the 2nd well of Hoam fortress, Seoul has a unique type which is dedicated to the one from Anapji, and it can be presumed that local officials were practically used this spoon. In Goryeo period, these two characteristics of bronze spoons were finally met with the culture of Jin(金) and Liao(遼) Kingdoms of China and then they were chosen for the burial goods in the tombs.

      • KCI등재

        A Novel Integrated Spoon-chopsticks Mechanism for a Meal Assistant Robotic System

        Rongwan Chen,Seong Young Ko,Tae-Keun Kim,Jung-Hoon Hwang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22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Vol.20 No.9

        In order to help the disabled who have difficulty eating meals and to help their caretakers or family members, various types of meal assistant robots (MARs) have been developed worldwide in the last few decades. Some of them have been already commercialized. For these robotic systems, the eating utensil serves as an endeffector and plays a vital role, as it determines the type of food that MARs can handle. In addition, the eating utensils for MARs must be carefully designed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local traditional culture and food culture. Most existing MARs developed by Western society are not suitable for Asian food, including the Korean one. Asian foods include various vegetables and steamed rice, and Asian people enjoy using chopsticks as well as spoons. In this paper, a novel integrated spoon-chopsticks mechanism was proposed. The proposed mechanism was integrated to the advanced MAR as its end-effector. The proposed mechanism was designed to change eating utensils and the operation of chopsticks with a single actuator. The kinematic solution to deal with this unique mechanism was also provided in this work. The feasibilit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ystem have been verified after integrating it with MAR by a series of experiments.

      • KCI등재후보

        백제 식기(食器)의 양상과 식사문화

        정수옥(Jung, Su-Ock) 중앙문화재연구원 2015 중앙고고연구 Vol.0 No.17

        본고는 백제 한성기~웅진·사비기 식기의 양상과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당대의 식사문화를 복원해 보고자 하였다. 식기는 넓은 의미로는 먹을 것을 만드는데 필요한 기구, 먹는 장소에서 쓰는 기구와 기명도 포함된다. 또한 재질별, 용도별로 분류될 수 있는데, 재질별로는 토제, 목제, 금속 제, 유리제 등이 있으며, 용도별로 분류해 보면 배식기, 저장기, 조리기 그리고 식사 시 사용되는 식사구가 있다. 백제시기 식기의 변화는 크게는 2차에 걸친 획기로 구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차 획기로 보이는 백제 한성기에는 배류, 완류, 접시류 등 동일 기종 내에서도 세부 형태들이 다양하게 등장하고 평저에 굽이 없거나 낮은 굽이 일부 확인되는 양상을 띠는 배식기가 유행하고 있다. 즉 중국의 식기 문화가 도입되면서 중국 자기들의 영향으로 기존의 토착문화 속에서 중국 자기를 모방하면서 새롭고 다양한 기종이 융합하여 제작된 것이다. 이후 사비기에 들어서면서 중국과 고구려 식기의 영향이 더해짐으로써 2차 획기가 나타난다. 고배, 삼족기 등의 토기가 감소하고 굽이 높은 대부, 평저 양식의 식기가 유행한다. 특히 대부완은 중앙지역에서만 나타나는 고급식기류로 이는 백제 사비기 사회적 배경으로 인해 귀족층들의 선호도가 변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완은 고대 한국, 중국, 일본의 식기 중에서 중심 식기로 등장한다. 작은 완을 이용한 식사 방법은 음식의 개별 분배 방식과 관련된다고 볼 수 있으며, 匙箸를 사용하는 동아시아에 매우 적합한 형태의 식기였던 것이다. 그리고 공통적으로 좌식의 飯床문화가 보급되는데, 이는 중국의 漢代~魏晋代까지의 식사양식으로 한국과 일본의 식사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반상문화는 백제의 경우 좌식의 식사문화가 지속되고 이후 시기까지 이어지지만, 중국은 唐代부터 입식의 식 탁문화로 변화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본 연구를 통해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백제의 식기와 식사문화의 변화상을 살펴본 결과 식사 문화가 계층화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백제의 사회변화를 다양한 관점에서 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 and characteristics of the kitchenware of the Baekje Dynasty from the Hanseong to Ungjin and Sabi periods and thereby restore the contemporary dining culture. In a broad sense, tableware includes utensils and appliances needed to make food, as well as cutlery and dinnerware used to eat food. It may be classified by material and purpose. By material, it includes earthenware, woodenware, metalware, and glassware, while by purpose, it includes dispensing, storage, cooking, and eating. Meanwhile, bowls characteristically constitute major tableware in the tableware from the ancient periods of Korea, China, and Japan. This shows that the dining method using smaller bowls has to do with how food is served to individuals, thus suggesting that it was the most appropriate tableware for East Asia where people use spoon and chopsticks. And the culture with on-floor level dining table was introduced to all three countries, a dining style that prevailed from Han Dynasty through Wei and Jin Dynasties, which influenced the dining culture of Korea and Japan. As for the use of on-floor level dining table, the floor dining continued through Baekje and beyond, whereas in China it changed to the use of dining table and chairs from Tang Dynasty. The study aims to bring light on the dining culture of the Baekje Dynasty through tableware and floor dining table, which previously failed to draw attention from archeology. By focusing on the use of tableware and floor dining table, I have made it clear that the period saw the stratification of the contemporary dining culture. I expect that this thesis will serve as a method to describe social change from various perspectives.

      • KCI등재

        三國時代 匙箸의 普及과 食事方式

        오승환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19 야외고고학 Vol.0 No.34

        Eating by using spoons and chopsticks is an important feature of Korean food culture which cannot be found in other countries. However, it is still unknown when this eating method using spoons and chopsticks began and how they were used in the pas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n the eating method using spoons and chopsticks was started and investigate the food culture in those days. Spoons and chopsticks in the Korean peninsula were found for the first time during Nakrang Period but only in the tombs of royal classes. Therefore, the actual usage began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Spoons and chopsticks were excavated in Onyeo mountain fortress of Goguryeo and silver spoons were excavated in Golden Crown Tomb of Silla. These excavations indicate that spoons and chopsticks were used partially by the royal and noble families during the period of Goguryeo and Silla. Usage of spoons and chopsticks becomes prevalent in Sabi period of Baekje. This is because of brisk exchanges with China and acceptance of their food culture which used spoons and chopsticks for eating. In Baekje, it is assumed that eating method using spoons and chopsticks may have been spreaded not only to the noble families but also to subordinate officers. However, not everyone used spoons and chopsticks for eating because spoons and chopsticks excavated during the Sabi period of Baekje were limited to Buyeo areas, the capital of Baekje, and rarely found in other areas. In this sense, it is logical to assume that only royal and noble families used spoons and chopsticks during the period of Goguryeo and Silla and it was spreaded to subordinate officers during Baekje period. Eventually,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most people ate by hand instead of using spoons and chopsticks except for people of Baekje. Spoons and chopsticks were used as eating tools for the first time in ancient China. However, spoons and chopsticks were not used together from the beginning. Spoons were used for eating soup or porridge while chopsticks were used for eating other meals. Korea was also affected by China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thus spoons and chopsticks were not used together. This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spoons and chopsticks are far apart in Royal Tomb of King Muryeong. Eating method using spoons and chopsticks together was first found in Tang dynasty of China and in Goryeo dynasty of Korea. As such, spoons and chopsticks are small tools to understand the eating methods of the ancient times as well as the key words to investigate the food culture of East Asia. 오늘날 숟가락과 젓가락을 함께 사용하는 식사방식은 다른 나라에서 보기 어려운한국만의 고유한 음식문화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숟가락과 젓가락을 이용한 식사방식이 언제부터 시작되었으며, 초기의 사용방식은 어떠하였는지에 대해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이 글은 우리나라에서 숟가락과 젓가락을 이용한 식사법의 등장과 사용방식, 나아가당시의 음식문화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한반도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숟가락은 낙랑의 분묘에서 출토되지만 일부 최상층 무덤에 한정되며 아직 젓가락은 보이지 않는다. 삼국시대에는 숟가락과 젓가락이 모두 나타나며, 다양한 재질과 형식이 생활유적에서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구려는 숟가락과 젓가락이 4세기 말~5세기 초 오녀산성에서 출토되므로 늦어도 이 때부터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신라에서는 숟가락이 금관총 출토품외에 사례가 없어 사용여부가 불분명하다. 다만 젓가락은 함안 성산산성에서 다수 출토되어 6세기 후반에는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백제의 한성~웅진기 사례는 많지 않으나 사비기부터 여러 유적에서 다양한 재질과 형식이 나타난다. 이는 숟가락과 젓가락을이용한 식사방식이 일찍부터 사용된 南北朝의 여러 나라와 활발히 교류하면서 그들의 음식문화를 받아들인 데서 그 배경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 결과, 숟가락과 젓가락을 이용한 식사방식이 점차 하급관료나 그 하위계층에도 확산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고구려와 신라에서는 주로 왕실과 귀족층 위주로 숟가락이나 젓가락이 사용되지만, 백제에서는 사비기부터 점차 그 사용 계층이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숟가락과 젓가락을 이용한 식사예법이 시작된 곳은 고대 중국이지만 처음부터 숟가락과 젓가락이 함께 쓰였던 것은 아니다. 고대 중국에서 숟가락은 국물이나 죽을 뜨고, 젓가락은 국물 속의 건더기를 건지는 용도였으나, 점차 젓가락은 밥과 음식을 먹는데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시대에는 동시기의 중국과 마찬가지로 숟가락과 젓가락을 함께사용하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은 무령왕릉의 숟가락과 젓가락이 서로 다른 곳에 놓인 데다짝도 맞지 않는 데서 알 수 있다. 중국에서도 商~南北朝時代까지는 숟가락과 젓가락을한 벌로 쓰지 않았으며, 그 배치도 음식기의 측면에 세로방향으로 두었다. 唐代에 이르러숟가락과 젓가락은 지금의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한 벌을 이루어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밥상에서의 배치는 음식기 앞에 가로 방향으로 두었다. 고대 중국의 식사예법은교류가 활발하던 동시기 백제의 음식문화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무령왕릉에서는 출토맥락이나 여러 정황으로 보아 아직 숟가락과 젓가락은 한벌로 사용되지 않았으며, 그 배치도 음식기 옆에 세로 방향으로 놓였을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특징은 사비기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보듯 숟가락과 젓가락은 고대 동아시아의 음식문화와 식사예법을 이해하는데 있어 주요한 機制가 될 수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宋·遼·金·元墓 匙箸 및 鐵鋏 出土傾向- 高麗墓 副葬品과 關聯하여 -

        정의도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09 文物硏究 Vol.- No.15

        고려묘에서는 청동시저와 가위가 출토되는데 필자는 이것이 북말(요)의 영향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이번 논문에서는 이를 입증하기 위하여 중국에서 발간되는 [고고]와 [문물]에 보고된 송·요·금·원묘를 모두 정리하여 이들 묘에서 출토된 부장품 가운데 청동시저와 가위의 출토 경향을 분석하고 아울러 동전과 동경의 출토 경향을 밝혀 고려묘에서 출토되는 청동시저와 철제가위가 과연 어떤 배경에서 부장되게 되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우선 송묘~원묘까지 청동시저의 출토빈도가 가장 높은 시대는 전체 195기 가운데 21기에서 출토되어 약 11%를 상회하는 비율을 보이고 있는 요묘이다. 11%의 출토율은 자연멸실이나 훼손, 도굴 등을 감안하면 당시에 실제 부장되었을 가능성은 20% 가량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북송과 남송시대의 분묘에서는 청동시저가 모두 19점이 출토되어 빈도수가 3%에 불과하고 원묘에서도 역시 3%대에 머물러 송대 이후의 전통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이것은 요묘와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철제가위는 송묘는 11기, 원묘는 9기, 금묘 1기에 불과하고 원묘에서는 아예 출토 예가 없는데 비율로만 보면 요묘에서 높은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요묘에서는 도제로 가위의 형태를 만들어 부장한 예가 있는데 이것은 가위에 대한 요대 사람들의 특별한 인식의 결과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동전은 송묘에서는 30% 이상의 출토비를 보여주고 있지만 요묘에서는 18%에 불과하다. 금묘의 동전 출토비는 15.8% 정도지만 출토량이나 금전과 은전이 출토되는 상황은 남송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동전을 부장하는 풍습에 상당히 경도되어 있다. 그리고 원묘에서 동전은 23.5%의 비율로 확인되어 원의 문화 기저에는 송의 문화가 강하게 남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동전을 부장하는 것은 송묘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고려묘에서 출토되는 동전은 송의 영향을 배제하고 생각하기는 어렵고 고려묘에서 동전이 출토되는 배경에는 송의 영향이 지대하다고 볼 수밖에는 없을 것 같다. 동경은 송묘에서는 18%, 요묘에서는 14.3%, 금묘에서는 6.7%, 원묘에서는 15.5%로 금묘를 제외하면 거의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동전과 마찬가지로 송의 부장 양식을 요에서 받아들인 것이며 원은 그전까지 송대까지 확립된 전통이 그대로 계승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자료로 보아도 무방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이 송묘에서 보이는 동전과 동경의 부장이 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금과 원에도 계속하여 송의 전통이 이어진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고려묘에서 발견되는 동경이나 중국동전은 분명히 고려 자생의 부장풍습이 아니라 송에서 영향을 받아 시작된 것이거나 송에서 요나 금으로 전래된 풍습이 다시 고려로 전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청동숟가락은 요묘에서 가장 많이 출토되며 그 비율도 가장 높아 청동시저를 부장하는 전통은 요에서 먼저 확립되었고 고려에서 청동숟가락을 부장하게 된 것은 요의 영향이었다고 보아도 무방하지 않을까 한다. 또한 숟가락의 자루가 연미형인 것이 요묘에서만 출토되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수렵이 주된 생활이었고 시저를 늘 가지고 다니던 요에서 청동시저를 부장품에 포함시키는 전통을 확립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지 않을 ... The researcher has reported that spoons and scissors found from Goryeo tombs were influenced by Liao Dynasty, China. In order to prove the influence, this work shed light on other research journals such as [Kaogu/Archaeology/考古] and [Wenwu/Cultural Relics/文物] published from China which contain all reported artefacts found from tombs of Song, Liao, Jin and Yuan Period. Firstly the spoons and scissors from the tombs were analysed and then coins and mirrors were studies together to understand the burial tendency. Therefore this research targets to comprehend the background of the spoon and scissor burial of Goryeo Period. Those tombs from Song to Yuan Period are all 195 in its numbers and total 21 tombs (which is 11% overall) contain Bronze Spoons and they are all found from Liao Period tombs.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 number 11% reached actually over 20% given natural extinction, illegal trading, and damages. Nineteen spoons from Song (including North and South) Period were found and it only reached 3% overall, in the mean time same amount of 3% were reported from Yuan tombs. So it seemed that Song and Yuan tombs share similar culture of burying rather small amounts of spoons and this is clearly different from Liao Tombs. In case of iron scissors, eleven from Song tombs, nine from Liao, one from Jin Tombs and no scissor has been reported from Yuan tombs. So this is also showing that Liao contain rather high numbers of iron scissors. It is also interesting to point out that scissor-shape baked clay has been buried in Liao tombs and this is well proving that how Liao people treat scissor in their everyday life. To a certain extent, therefore, burial of scissors in Goryeo tombs could be influenced by Liao tombs. Coins, found more than 30% from Song tombs were only reported 18% from Liao tombs. In the mean time, Jin coins were around 15.8% but gold and silver coins were also buried together which is similar culture with South Song Dynasty. In case of Yuan tombs, more than 23.5% coins were identified and so it is highly likely that Song culture had influenced Yuan Dynasty strongly. Burial coins were definitely a tradition of Song tombs, and this is in line with Goryeo tombs' burial of coins. So this can be noted that coin burial in Goryeo period had a concrete influence from Song Dynasty, China. Mirrors, found from 18% of Song tombs, 14.3% of Liao tombs, 6.7% of Jin tombs, and 15.5% of Yuan tombs. Apart from Jin tombs, they are all similar in numbers. Therefore, the way of Song to bury mirror together inside the tomb had been inherited by Liao and until Yuan Dynasty. Given the fact that burial tendency of Song tombs has been similar to Liao tombs, Song's burial culture had influenced other Dynasties such as Jin and Yuan. In this sense, we could understand how Goryeo tombs ended up burying mirrors and Chinese coins. Using other words, Goryeo tombs highly influenced by Song and its culture. However, bronze spoons were most likely found from Liao tombs and the amounts are also high compared to other periods. So in case of the spoons, the culture of Liao seemed to have strong impact onto Goryeo tomb burials. Liao's hunting culture is main way of life and also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people of Liao always carried spoons everywhere with themselves. In this sense, Liao's burying culture of spoons with the deceased is quite normal customs. To conclude this work, it is reasonable to believe that Goryeo had close relationship with Liao, sharing and influencing food and funeral culture. This naturally led to Goryeo burying spoons to the tombs. In terms of the time scale, 11th century is the most reasonable time to accpet this culture. Presumably, early Goryeo had a tradition of regarding bronze spoon as a priceless object in relation with Unified Silla Period. This importance of bronze spoon perhaps was enhanced when Goryeo started to have a international connection with Song and Liao. Burying spoons in tombs w...

      • KCI등재

        고고자료로 본 조선시대의 젓가락 연구

        정의도 ( Jung Eui-do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6 文物硏究 Vol.- No.29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겪게 되는 가장 큰 사회적 변화는 정치 이념이 성리학 으로 바뀌었다는 것이고 성리학적 가치를 현실세계에 실현하기 위한 많은 조치 가 이어졌을 것이다. 고려시대까지 숟가락과 젓가락, 그리고 많은 양의 도자기를 부장하는 풍습은 고려시대 이래 중국 북방민족과의 교류에서 시작된 것으로 성 리학적 지배질서를 대변하는 장례서인 주자가례와 부합되지 않는 것이었다. 그렇 다고 하여도 고려시대 이래의 장속이 변화하여 새로운 장속이 정착되기까지 전 쟁과 기아 등의 상황을 합하여 조선의 개국 이후 200년이 넘게 소요되었다. 조선 후기에 들어서면 장속은 일변하여 분묘에 수저를 부장하는 경우는 거의 사라지고 백자 사발에 상평통보 한 두점이 부장품의 전부이고 그나마 아예 넣지 않는 경우도 허다하다, 그러한 장속의 변화에도 숟가락은 조선시대 전체의 밥상 을 지킨 것으로 보인다. 말하자면 장속은 변하였다고 하여도 밥과 국, 그리고 반 찬을 주로 하는 구성은 변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분묘 출토 자료로 본 조선전기 젓가락의 사용은 상당히 미미한 수준이다. 임진 왜란과 병자호란이 끝이 나고 경신대기근을 지나 18세기에 들어 영정조시기 정 국의 안정은 임란이후 조선에 유입된 새로운 음식물의 등장과 새로운 조리서의 발간, 저장음식의 발달 등 당시의 밥상을 더욱 풍부하게 하여주었을 것으로 생각 된다. 이 시기에 제작된 풍속화에 젓가락을 들고 있는 사람들이 그려지게 되는 것은 젓가락의 사용이 확산일로를 걷고 있다는 것을 증명해주는 자료로 볼 수 있다. 또한 젓가락 사용의 확대는 단언하기는 어려우나 성리학의 발달로 가례가 일반화되어 가는 것과도 무관치 않다고 생각된다. 그것은 가례에 있어 사용하는 그릇이나 도구, 음식들이 일원화되어 간다는 것으로 가례에 있어 음식을 덜거나 옮기는데 필수적인 젓가락 또한 그 사용이 일반화되어 가는 하나의 단초가 되었 을 것은 분명해 보이기 때문이다. The biggest social event during the novel Joseon Dynasty would be the introduction of the Neo-Confucianism to the social system and political ideology, and there must have been several attempts to accept the new concept in their society. The tradition of Goryeo which buried diverse objects such as spoons, chopsticks and celadon to the tombs had been commenced since Goryeo was highly involved with the Northern people in China. According to the Confucian Ritualism, however, which was main initiative of Joseon idealism of that time, the tradition of Goryeo was not in accordance with the Joseon. In the meantime, the tradition of the funeral had kept changed since Goryeo, and this took more than 200 years to settle the funeral system of Joseon. During the late Joseon, the tradition of funeral had been changed which buried less spoons or few white celadon and coins into the tombs. To a certain extent, no more burial goods were usually found in the tombs. Although the funeral system had been changed, it should be highlighted that spoons were still the main utensils of dining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the primary dining composition was still rice, soup and dishes. From the evidence found in the tombs, the usage of chopsticks of early Joseon was quite rare. After the Japanese Invasion, Manchu Invasion and Great Famine, Joseon’s cuisine from the ingredients to diet, preserving techniques and publication of new recipe had been introduced in 18th Joseon. Given the painting which was drawn in this period, people who hold chopsticks were the solid evidence that chopsticks were highly used in this period. Also it is presumed that chopsticks were developed with the normalization of auspicious confucian ceremony. During the ceremony, the utensils such as dishes, tools and foods seem to be unified which resulted the requisite use of chopsticks for the ceremony.

      • KCI등재

        조선시대 왕실의례용 숟가락과 젓가락 종류와 사용양상

        구혜인 한국국학진흥원 2022 국학연구 Vol.- No.49

        본 글은 조선시대 왕실의례중 가례, 흉례, 길례에서 사용된 숟가락과 젓가락의 종류, 형태, 용도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연구이다. 조선왕실의 수저는 일반적인 식사 도구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음식을 조리하고 옮기기 위한 용도, 망자의 치아 사이에 물리는 용도, 의물을 불태워 처리하는 용도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었고, 그 명칭과 형태도 다채로웠다. 또 재료적 측면에서, 왕실의 식사용 수저는 주로 은으로 제작되었으나 다른 용도의 수저들은 합금동이나 목재로 제작되었다. 또 수저의 유무를 기준으로, 흉례와 길례에 속하는 의례들의 종류와 성격을 구분해 볼 수 있다. 즉 흉례 중 상식과 주다례에서는 수저를 올려 놓지만 전과 제에는 수저를 진설하지 않았다. 더불어 길례에서도 속제에서는 수저를 올리지만 정제에는 수저를 진설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숟가락과 젓가락이라는 작은 기물을 통해 조선왕실 의례들의 성격을 구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저가 의례기로써 갖는 의미는 중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