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NS 요인을 통한 사회적 네트워크가 사회적 자본과 인적네트워크 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경회 ( Kim Kyung-hoe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9 사회복지경영연구 Vol.6 No.2

        이 연구는 사회적 네트워크가 사회적 자본과 인적네트워크 형성의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네트워크의 범위와 규모에 따라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인적네트워크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둘째, 사회적 네트워크의 우월한 구조적 공간 정도 위치를 확보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많은 정보의 수집과 사회적 자본을 형성할 확률이 높다. 개인과 사회는 이용 가능한 사회적 자본, 사회적 네트워크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효율적인 인적네트워크 개발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네트워크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네트워크의 규모와 범위, 연결 강도, 구조적 공간을 적절히 활용해야 한다. 사회적 신뢰가 높은 사회일수록 사회적 자본 형성이 쉽고, 사회적 신뢰가 낮은 사회일수록 사회적 자본 형성이 어렵다. 그러므로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사회적 자본과 인적네트워크 형성을 위해서는 사회적인 신뢰과 존중, 공존의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 This study is about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on social capital and human network 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nd the degree of human network may vary according to the extent and size of social networks. Second, those who secure the position of superior structural space in social networks are better than those who do not. It is likely to gather more information and form social capital. Individuals and societies can perform efficient human network development by appropriately using the available social capital and social networks. And in order to maximize social capital and social networks, the size and scope of social networks, the strength of connections, and the structural space must be properly utilized. Societies with high social trust are more likely to form social capital, and societies with low social trust are more difficult to form social capital. Therefore, in order to form social capital and human network through social networks, it is necessary to pursue the values of social trust, respect and coexistence.

      • KCI등재

        사회적협동조합의 네트워크 양상과 제도적 논리-사회학적 신제도주의를 활용하여-

        민윤경,홍경준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9 사회복지정책 Vol.46 No.4

        This study explored organizational network experienced by workers of social cooperatives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 using institutional logic of new institutionalism. This study qualitatively studied what institutional logic is involved in the network of social cooperatives and how institutional logic relates to the network form of social cooperatives. Subject to the study, 10 workers in social cooperatives engaged in various regions and various industries were interviewed in depth on the social cooperatives' business overview, network aspects and business backgroun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ntry into the social cooperative network field resulted in institutional homogenization due to the birth of social cooperatives corporation, and the newly formed organization was forced to homogenize with the “dependence logic". Mature organizations were subject to normative homomorphism by 'democratic operation’ logic and ‘regional social contribution’ logic. Second, among the social cooperative operation networks, exchanges between the internal union members were promoted under the ‘cooperative’ logic between cooperatives and self-organization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the ‘between us’ transaction network and market network by ‘union member-centered’ logic. While internal procurement was activated by ‘union-centered’ logic and ‘community’ logic, network with parent corporations was reduced under ‘self-reliance’ logic and ‘democratic operation’ logic. Third, among external networks, the ‘cooperative among cooperatives’ logic was formed in the network of collective action and advocacy, and the user network due to the reputation of social cooperatives was activated by ‘local community contribution’ logic. Fourth, conflicts over the maintenance of membership in the field of social cooperatives resulted in network congestion, which was caused by conflicts between ‘dependence’ and ‘independence’ logic.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nstitutional logic related to the network of social cooperatives was presented and measures were proposed to activate the network. 본 연구는 사회적협동조합의 네트워크 양상에 관계되는 제도적 논리들은 무엇이며, 이 제도적 논리들에 의한 사회적협동조합의 네트워크 양상들은 어떠한지를 사회학적 신제도주의를 활용해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다양한 지역과 업종에서 종사하는 사회적협동조합 실무자 10명이며, 사례자들이 속한 사회적협동조합의 사업배경과 개요, 네트워크 양상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협동조합 네트워크 장(field)으로 진입은 사회적협동조합 법인 탄생으로 인한 제도적 동형화가 나타났으며, 신생 조합들은‘의존’논리에 의한 강제적 동형화가 나타났고, 조직 전환한 조합들은 ‘민주적 운영’논리, ‘지역사회기여’논리에 의한 규범적 동형화가 작용하였다. 둘째, 사회적협동조합 운영 네트워크 중 내부 네트워크인 조합원 간 교류는 ‘협동조합 간 협동’논리에 따라 조직간 합병이 추진되었으며, ‘조합원 중심’논리에 의한 ‘우리끼리’ 거래네트워크와 시장네트워크의 대안으로서 ‘자기조직화’가 나타났다. 자금조달네트워크는 ‘조합원 중심’논리에 의해 내부 조달이 활성화된 반면, ‘자립’논리와 ‘민주적 운영’논리에 따라 모(母)법인과의 네트워크는 감소되었다. 셋째, 외부네트워크 중 제도 변화 및 옹호네트워크는 ‘협동조합간 협동’, ‘조합원 중심’논리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이용자 네트워크는 ‘지역사회기여’논리에 의해 평판을 통해 활성화되었다. 넷째, 사회적협동조합 장에서의 네트워크 정체는 ‘의존’논리와 ‘자립’논리 간 충돌로 사회적협동조합 멤버십 유지에 대한 갈등이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협동조합의 네트워크 양상과 관계되는 제도적 논리들을 제시하고 사회적협동조합의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 골프 커뮤니티 참여유형이 사회자본 및 사회관계 망에 미치는 영향

        박순문 한국골프학회 2021 골프연구 Vol.15 No.4

        [목적] 이 연구는 소셜네트워크 골프 커뮤니티 참여유형이 사회자본과 사회관계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소셜네트워크 골프 커뮤니티를 선정한 후 서울, 광주광역시, 전남지역에서 활동하는 성인 남·여 400명을 집락무선 표집법을 이용하여 표집하였다. 최종 선정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20.0 버 전을 이용하여 분석목적에 맞게 통계처리 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 첫째. 소셜네트워크 골프 커뮤니 티 참여유형은 사회자본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소셜네트워크 골프 커뮤니티 참여유형은 사회관계망 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소셜네트워크 골프 커뮤니티 참여자의 사회자본은 사회관계망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결론] 이는 골프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을 이용한 전략 수립, 또는, 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 수준 을 높이는 전략과 같은 소셜네트워크 커뮤니티 이용전략의 중요성을 주지시키고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사 용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golf community participation type on social capital and social network. [Method] After selecting the social network golf community, 400 adult males and females active in Seoul, Gwangju, and Jeollanam-do were sampled using the cluster wireless sampling method. The final se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statistical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nalysis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0.0 version, an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Result] First, social capital was partially affected by social network golf community participation type. Second, social network was partially affected by social network golf community participation type. Third, the social capital of the social network golf community participants partially affected the social network. [Conclusion] Thi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inform and utilize the importance of social network community use strategies, such as establishing a strategy using online for revitalizing golf or a strategy to increase the level of offline communication.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회 연결망 시각화에 대한 연구

        최종규(Jong Kyu Choi),지용구(Yong Gu Ji) 대한인간공학회 2010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5

        Web 2.0 has started to make a user-centered environment which users can make and share data easily. Various type of opened and participatable social network services using Web 2.0; are serviced and the researches focused on relation among Social Network Services are conducted. Social Network means the network and every relation among people, and it is made of social relations and interactions. Social network services support tools to connect user or context information, so peoples are using it to communicate each other and sharing information as a new communication method. In online environment, social network is developed easily but more complex than offline environment. Social Network Analysis is the research to clarify relation or network of people. Also Social Network Analysis can be visualized. Social Network Analysis is using widely to reveal the relation clearly, and visualized informa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helps to understand social network directly, and categorization of data makes effective information sharing in limited space. Visualization of social network in social network service also has problems. First, as time goes by social network in online environment is going to be more complex, so analysis of social network will be harder than offline environment. Second, accumulated single communication data of social network is not enough information to understand social network in online. Third, researcher can be confused of many temporary networks. To solve the problems, based on analysis of various visualized application, the social networks is visualized using timeline. In this paper, we measured user satisfaction of application using timeline. We studied visualization problem of social network in social network service, and visualized analysis using timeline. It will help to understand social network’s formation, maintain and development.

      • KCI등재

        이주민의 사회자본에 관한 연구-결혼이민자의 네트워크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은채,하진기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0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3

        Recognizing that the adjustment of marriage immigrants, which increased since the early 1990s, was not only a personal factor but also a social andnational issue, the research results were conducted to find and reveal the implications of the factors needed to lead a satisfactory life in the community where marriage immigrants lived through a survey of social capital. Here, the networks held by marriage immigrants were viewed as soci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was largely seen as private network, public net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The successful settlement in the migrated area, a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by living satisfaction levels that included a diverse level of desire and optimism for the future, belonging to the migrated community, sharing common ties with member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of marriage immigrants is a factor that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private networks. However, private networks and public networks are highly correlated, and the fact that they serve as major contributors to achieving the purpose of migration and enhancing the sense of well-being of migrant lives after the participation of marriage immigrants in the private network means that private networks are highly relevant to social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the better the private network was formed, the better it was for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more effective it was for marriage immigrantsto have a medium effect on their social satisfaction. The fact that there is a medium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on living satisfaction means that improving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network formation is significant in improving living satisfaction. It is also meaningful that we are considering various ways of setting up relationships and adapting to the multicultural era by discussing social capital and living satisfaction of marriage immigrants. 1990년대 초반부터 증가한 결혼이민자의 적응이 단순히 개인적 요인뿐만 이 아닌 사회적, 국가적 차원의 문제임을 인식하고, 결혼이민자가 정주한 지역사회에서 만족도가 높은 생활을 영위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요소들 과 사회자본과의 상관관계 조사를 통하여 찾고 이에 따른 함의를 밝히기 위한 연구결과를 담고 있다. 여기서 결혼이민자가 가진 네트워크를 사회자 본으로 보았고, 사회자본은 크게 사적 네트워크, 공적 네트워크, 사회참여로 보았다. 종속변수인 이주한 지역에서의 성공적인 정착은 이주한 지역사회 에 소속되어 구성원들과 공동의 유대를 공유하며 다양한 차원의 욕구 및 미래에 대한 낙관적 감정을 포괄하는 생활만족도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는 사적 네트워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적 네트워크와 공적 네트워크는 상관관 계가 높고, 사적 네트워크에 따른 결혼이민자의 사회참여가 이후 이주목적 달성과 이주생활의 안녕감을 높이는 주요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은 사적 네트워크가 사회참여와도 관련성이 높은 것임을 의미한다. 즉 사적 네트워 크의 형성이 잘 되어있을수록 사회참여에 유리하였으며, 결혼이민자의 사 회참여는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효과를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활만족도에 대한 사회참여의 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은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사회참여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 생활만족도에 향상에 있어 유의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과 생활만족도 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다문화시대에 접어든 지금 다양한 관계설정 방식과 적응 방식에 대한 고찰을 고민한다는 것에도 의의를 가질 수 있다.

      • 사회적 네트워크, 사회적 자본, 지식 이전 간 관계에 관한 개념적 연구

        황정희(Jung Hee Hwang) 성신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10 경영관리연구 Vol.3 No.1

        사회적 네트워크는 조직에게 지식, 자원, 시장, 또는 기술에의 접근을 제공한다. 이는 네트워크 속의 멤버쉽과 그 결과의 반복되고 지속적인 교환관계를 통해 개인과 조직의 사회적 자본이 형성되고 네트워크 구성원들에 의한 지식 이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지식 이전은 조직에 있어 점점 더 중요해 지고 있다. 또한 조직 구성원들의 조직 내부 그리고 외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의해서 형성되는, 즉 네트워크 속에 연결되어 있는 사람들 간의 네트워크 크기와 관계 강도와 같은 사회적 네트워크의 특징들은 조직 구성원들에게 사회적 자본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회적 네트워크, 사회적 자본, 지식 이전 간 관계에 대한 개념적 통합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자본 간의 관계를 고찰하고,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자본이 사회적 네트워크 구성원들 간의 지식 이전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자본에 초점을 맞추어 지식 이전과의 관계에 대한 고찰을 통해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자본이 조직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강조하는 것이다. 또한 개인의 성격이 사회적 네트워크 연구에서 동기부여제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사회적 자본 이론을 지지하고 개인 특성이 사회적 네트워크 효과에서 하는 중요한 역할을 강조하였으며,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자본, 지식이전을 통한 조직 성과를 고찰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Social network provides organizations with access to knowledge, resources, market, or technology. It makes individual and organization"s social capitals form through membership in network and repetitive and durable relationship of exchange as well as make them possible to transfer knowledge by network members. This knowledge transfer is increasingly being important in organizations. Besides,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such as network size and ties strength between people connected in networks provides organization members with social capital, which is formed by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s internal and external members of organization memb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and social capital by linking social network,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transfer, and to propose how roles social network and social capital plays in knowledge transfer. This is to emphasize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and social capital on organization performance through examination of knowledge transfer focusing on social network and social capital. In addition to, it was emphasized that personal characteristic can function with motivator in social network"s study. This study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purpose the important rol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in social network"s effect and examine organization performance through social network,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transfer.

      • Research on the Negative Influence of Mobile Social Network : A Case Study of Facebook

        Jie Sun,Hanzhi Wang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Hybrid Information Techno Vol.9 No.2

        Nowadays, the use of mobile social network has occupied a number of user's daily life. The production of social network makes the user's life richer, and dating is not limited by time and space at all. On the other side, as for the mobile social network, the negative influence result from many respects, including the users' reliance on the mobile social network, their satisfaction about the mobile social network, the users' credibility to the mobile social network, the risk of mobile social network safety and so on.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users’ attitude and behavior of Facebook mobile; collected data by questionnaires,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views; discussed the negative influence on the mobile social network; finally proposed suggestions for mobile social network. By the research, it focused on the issue of mobile social network’s negative impacts on people’s life and benefit to provide a reliable data and evidence to mobile social network, the conclusions also contribute to mobile social network study and practice in China.

      • KCI등재

        사회적 네트워크는 금융소비자의 위험선호를 증가시키는가?: 자기해석이재무적 위험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회적 네트워크의 역할 검증

        하영원 ( Young-won Ha ),김영두 ( Young Doo Kim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2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자기해석(self-construal) 및 문화의 영향을 검증해 보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자기해석(예컨대 독립적/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은 국가, 국적 혹은 지역적 구분과 같이 문화권 간 집단 수준에서 문화를 해석할 때 뿐 아니라 구성주의 혹은 상황주의적 접근을 통해 동일 문화권 내 개인 수준에서의 문화를 해석할 때에도 문화의 대용지표로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집단 수준(예컨대 동양 대 서양) 혹은 개인 수준(예컨대 자기해석)의 문화가 위험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존 연구들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동양은 서양에 비해 위험회피 수준이 높거나 위험추구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재무적 영역에서는 문화가 위험선호에 미치는 영향이 혼재되어 나타났다. 독립적 자기개념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상호의존적 자기개념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 비해 위험선호가 높게 나타난 연구가 있는 반면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을 가지고 있는 사람(혹은 동양)이 독립적 자기해석을 가지고 있는 사람(혹은 서양)에 비해 위험선호가 높게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된 바 있다. Hsee & Weber(1999)는 후자와 같은 현상을 완충(cushion)가설, 즉 사회적 네트워크가 실패에 대한 일종의 완충 역할을 수행하는데 실패했을 경우 사회적 네트워크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수가 동양이 서양에 비해 많으므로 동양이 서양에 비해 재무적 영역에서는 위험추구 현상을 보인다는 가설을 제시하였으며, 문화가 재무적 위험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네트워크가 매개하고 있음을 보여준 바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자기해석이 재무적 위험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네트워크가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보다는 상황(이익영역 혹은 손실영역)에 따라서 그리고/혹은 자기해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상이한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있음에 주목하여 이를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존 연구에서도 밝혀진 이익 보다는 손실영역에서 위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다는 현상을 검증한 것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사항이 발견되었다. 첫째, 재무적 영역(이익영역과 손실영역)과 사회적 네트워크 간에 이원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즉, 재무적 영역에 따라 사회적 네트워크가 위험선호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익영역에서는 사회적 네트워크가 재무적 위험선호에 긍정적인 영향(위험 선호 증대)을 미치지만 손실영역에서는 사회적 네트워크가 재무적 위험선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무적 영역, 사회적 네트워크 그리고 자기해석 간에 삼원상호작용이 나타났다. 특히 손실영역에서는 사회적 네트워크와 자기해석 간 상호작용이 발생하였으며, 독립적 자기해석이 강할수록 사회적 네트워크가 증가함에 따라 위험선호도는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상의 발견사항들과 관련하여 마케팅 및 소비자학 관점에서의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Recently, it has been found that self-construal, as a proxy for intra-cultural (e.g., European American vs. Asian American) and inter-cultural variations (e.g., Western vs. Easterm),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marketing, consumer behavior, and decision making. For example, it has been reported that motivation, consumer preference, attitudes toward brand extension, brand choices, new product adoption, persuasion, and negotiation were influenced by self-construal. A bulk of studies reported that Eastern people (e.g., Asian) tended to be less risk-seeking or more risk-averse than Western people (e.g., American, European) within the social domain. Within the financial domain, however, reports have shown mixed findings. Whereas some reports have shown that Asian people (e.g., Chinese individuals), or those who hav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have higher risk preferences than Western people (American individuals), or those who have independent self-construal in both gain or loss domains when considering financial decision making (Hsee & weber 1999; Mandel 2003), other research findings have demonstrated the opposite (Hamilton & Biehal 2005) or no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background and risk preference (Li, Bi, & Zhang 2009). Some researchers have insisted that because Asian people, or those wit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tend to have larger social network compared to Western people, or those with independent self-construal, this can help the decision maker in the case of a failure (called the ‘cushion hypothesis’). They, therefore, had higher risk preferences when compared to Westerners. Social network size was found to support and mediate these preferences. In this study, however, the authors proposed that social network size strengthened risk preference in the gain domain, while lessening risk preference in the loss domain. And in the loss domain, social network interacted with self-construal. That is to say, the objective of the study identified the differential role of social networ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trual and financial risk preference. Prospect theory predicts that people are generally risk-averse in the gain domain, whereas risk-seeking in the loss domain. In the gain domain, however, because people preferred implicit social support and decision makers expected to receive implicit social support from their social networks even after a failure to decision making, risk preference was strengthened with increased social network size. In the loss domain, decision makers expected to receive both implicit and explicit social support from their social networks. While European Americans were willing to receive explicit social support from their social networks, they experienced stress when facing implicit social support. Stress led self-construal to reach lower level, and when low construal level was boosted, people thoroughly investigated and dwelled on the negative aspects. Therefore, independent self-construal lessened their risk preference in the loss domain as social network increased. Whereas Korean Americans were unwilling to receive explicit social support from their social networks, they experienced low levels of stress when facing implicit social support. This means that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compared to independent self-construal, strengthened their risk preferences in the loss domain as social network size increased. Therefore, the financial domain (gain vs. loss) and/or self-construal interact in relation to social network.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llowing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First, financial domain (gain vs. loss) was found to differentially influence financial risk preference. Financial risk preference was higher in the loss domain than the gain domain. Second, social network interacted with financial domain (gain vs. loss). This means that social network was found to moderate the impact of financial domain (gain vs. loss) on financial risk preference. More specifically, social network size positively influences financial risk preference in the gain domain but not the loss domain. Third, a three-way interaction was found among three variables (financial domain, social network size, and self-construal). More specifically, social network size interacted with self- construal in the loss domain. Independent self-construal relatively decreased financial risk preferences in the loss domain as social network size increa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marketing and consumer studies.

      • 스마트폰 기반의 User Context Social Network 시스템

        이충섭(Chung - Sub Lee),서용호(Yong-Ho Seo),양태규(Tae-Kyu Ya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1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2 No.5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기반의 User Context를 이용한 Social Network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미리 설계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설정해놓은 Node 값을 스마트폰에 저장을 하고 트리구조로 만들어져 있는 Social Network 서버에 저장한 Node 값으로 접속을 한 후, 자신과 같은 상황의 사용자와 사용자들끼리 Social Network로 연결이 되는 시스템이다. 대학생이라는 특정집단이 시간표 설정을 한 후, 자신과 같은 시간에 같은 과목을 듣는 사용자들끼리 연결이 되어 서로 간에 정보를 공유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Social Network시스템과는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본 시스템은 실험을 통해 User Context Social Network 시스템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social network system based on smartphone using a user’s context. The proposed system stores information of configured node on a pre-designed database, then connects to a social network server which forms a tree structure using the stored node information. After connecting to the server, a user can share their contents with others based on his current situation in a social network. By using this system, students set their timetable for classes, then a group of students who attend the same class at the same time can shar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his is a distinct difference against the existing social network. In experiment, we evaluated the feasibilit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user context social network.

      • KCI등재

        결혼 책임주의와 싱가포르 Social Development Network의 역할과 위상

        김명희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

        이 논문은 싱가포르가 저출산 해결을 위해‘결혼장려정책’을 도입하고 실행주체인‘Social Development Network’ (사회개발네트워크)를 어떻게 활용하여 저출산 문제에 대처해왔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Social Development Network는 결혼에 대한 싱가포르의 국가 책임주의를 잘 드러내는 조직으로서 출범부터 고학력 여성의 독신 증가와 출산력 저하라는 사회현상과 맞물려 발143전해왔다. Social Development Network의 전신은‘Social Development Unit’(SDU)이며 이후에 발족한 ‘Social Development Service’(SDS)를 흡수하여 2009년 Social Development Network로 재탄생했다. 출범 시 Social Development Network는 상업적 결혼대행기관들의 도움 없이 자체적으로 회원을 모집하고 조직적인 활동을 추진해오다가 2006년부터는 민간업체들에게 데이트와 중매 서비스 활동을 위임하고 프로젝트를 지원하는데 집중해왔다. 이 논문은 문헌분석을 활용하여 싱가포르 결혼장려정책의 지원주체로서 결혼에 관한 책임주의 이론적 관점에서 출범 이후 현재에 이르는 Social Development Network의 위상과 역할을 분석하고 동일한 사회적 경험을 하고 있는 한국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This paper focuses on how Singapore has adopted the ‘Marriage Promotion Policy' for resolving the low birthrate and how it has been using the Social Development Network (SDN) to cope with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Social Development Network is an organization that shows Singapore's national stewardship to marriage, and has developed from the beginning to the social phenomenon of increasing number of highly educated women and decreasing fertility. The predecessor of Social Development Network is ‘Social Development Unit’ (SDU), absorbed the ‘Social Development Service’ (SDS) that was launched later, and reborn as Social Development Network in 2009. At its inception, Social Development Network has been recruiting and organizing its own memberships without the help of commercial marriage agencies, and since 2006 has been dedicated to delegating dating and matchmaking services to private companies and supporting projects. The purpose of this paper using literature analysis is to analyze the status and role of Social Development Network from the theoretical point of view of marital stewardship to the present, and to suggest meaningful implications for Korea which has the same social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