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형 사회음악교육기관 교육모델 개발 연구: 부천 아트밸리와 독일 ‘음악학교(Musikschule)’ 탐색을 바탕으로

        최이레,이보림 한국예술교육학회 2022 예술교육연구 Vol.20 No.3

        In this study, Korean social music education institutions, which are operated in the form of short-term projects based on cultural arts education policies, can provide sustainable music educa- tion and diverse experiences to all citizens as an independent institution. So, I would like to propose an educational model for a Korean-style social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is purpose, the German Music School (Musikschule), which shows the form of an ideal social music education in- stitution, and the Bucheon Art Valley Project, which shows the form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at makes good use of regional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and considered. Through the compar- ison of these two cases, we also propose the need for an independent form of social music education institution that can provide systematic and universalized social music education. The educational model for Korean-style social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s presented in this way is an educational model that takes into account the environment and structure of Korean so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To experience music education and activities the first is the formation of cooperative re- lationships between schools and communities, the second is the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and stable social music education, the third is a management system for the qualitative realization of so- cial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third is advanced technology. We will also propose pro- motional issues for eggplant, such as providing social music education that utilizes music.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기반으로 중·단기의 프로젝트 형태로 운영되는 우리나라 사회 음악교 육 기관이 독립된 하나의 기관으로서 모든 국민에게 지속적인 음악교육과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국형 사회음악 교육기관의 교육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이상적인 사회음악 교육기관의 형태를 보이는 독일 음악학교(Musikschule)와 지역 특색을 잘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의 형태를 보여주는 부천 아트밸 리 사업을 채택하여 고찰하였다. 이러한 두 사례의 비교를 통하여 체계적이고 보편화된 사회음악 교육을 제공 할 수 있도록 하는 독립적인 형태의 사회음악 교육기관의 필요성도 함께 제안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시되 는 한국형 사회음악 교육기관을 위한 교육모델은 우리나라 사회 교육기관의 환경과 구조를 고려한 교육모델로 서 모든 국민이 삶 속에서 음악을 향유하고 평생에 걸친 음악 교육과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먼저, 학교와 지역의 협력 관계 형성, 둘째,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사회음악 교육 확립, 셋째, 사회음악 교육기관의 질적 내실 화를 위한 관리체제, 마지막으로, 첨단 기술을 활용한 사회음악 교육의 제공과 같은 4가지의 추진과제도 함께 제안한다.

      • KCI등재

        사회효용적 측면에서의 노인교육 연구: 고등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이영선 한국성인교육학회 2011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4 No.3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blems and solutions of Elderly education (including vocational training) provided by the nation's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It used social utility analyses from the perspectives of both lecturers and students. Qualitative analytic methods were applied to this research, deriving findings as follows: a) Elderly education at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does not hav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elderly employment. b) Advanced resources at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have improved the acknowledgement and systemization of Elderly education, thus raising social awareness of elderly labor availability and encouraging volunteering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c) Elderly education cannot sufficiently contribute to social utility because the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themselves do not have enough expertise in Elderly education. This research offers the following countermeasures as viabl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a)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can enhance vocational training to improve elderly employment and provide more education to increase the elderly population’s social contribution. b) Government-funded subsidies can help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establish postgraduate programs on Elderly education as a part of lifelong education and to secure required expertise. c)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design Elderly education courses according to paradigm shifts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In addition to these solutions, this research proposes the need for further fundamental research on Elderly education in order to help the elderly population become self-sufficient and contribute socially. 본 연구는 고등교육기관에서의 노인교육과 노인들의 사회적 진출 및 역할을 교육당사자인 교․강사와 교육이수생의 시각에서 조망하여 사회효용적 측면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과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를 적용하였는바 그 분석결과는 첫째, 고등교육기관의 노인교육은 직업교육 및 재취업에 대한 기여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 되었다. 둘째, 노인교육이 인적․물적 자원이 풍부한 고등교육기관에서 실행됨으로 인하여 노인교육의 신뢰도와 체계성을 향상시켰으며, 유휴 노인인력을 활용한 자원봉사에 대한 의식을 고양하고, 사회전반의 노인인력 활용성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교육기관은 노인교육 교․강사의 전문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사회효용적 측면에서 충분한 교육적 성과를 볼 수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고등교육기관에서는 노인교육에 직업능력 상승을 위한 교육을 보완하여 노인의 재취업 기회와 사회적 역할 확대에 연계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고등교육기관에 노인교육 재정지원을 확대하여 평생교육영역 노인교육학 석사 및 박사과정을 설치해 부족한 노인교육 전문 교․강사를 확충해야 한다. 셋째, 고등교육기관에서의 노인교육은 노인의 패러다임 변화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고등교육기관에서의 노인교육이 노인의 자립능력과 사회적 역할 상승에 기여하기 위해서 노인교육에 대한 기반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평생교육전담기관의 역사적 전개 과정-법제화 과정에서의 기관 구상과 설치를 중심으로-

        전광수 한국성인교육학회 2017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0 No.2

        본 연구는 평생교육의 법제화 과정에서 기관의 구상과 설치를 중심으로 평생교육 전담 기관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평생교육법은 국가의 평생교육 진흥을 명문화하고, 국민의 학습권을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조건 정비의 법적 근거를 제공한다. 더불어 조건 정비는 시대 변화에 대응하여야 하며, 법이 지양하는 바를 실질적으로 구현하는 주체가 된다는 측면에서 평생교육기관이 어떻게 변화를 거듭해 왔는지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하지만 선행연구들은 평생교육법의 위상과 체계, 효력에 대한 연구나 법 제․개정 시기에의 의의와 쟁점에 관한 연구 등이 대부분이다. 이외에는 평생교육 전담 기관의 기능, 평생교육기관의 사례와 운영 전략 등의 연구가 있다. 즉 본 연구가 주목하고 있는 법 제정을 통해 정비하려던 평생교육기관은 어떻게 역사적으로 구상되었고 설치되어 왔는지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 자료는 수집한 법안 전문과 문헌, 신문 및 잡지, 국회 및 국무회의 회의록 등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선행연구에 인용된 이차적인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우선 법제화를 통해 정비하려던 평생교육기관의 구상과 설치는 시대적 요구와 현장의 변화, 정부와 학계의 입장 속에서 그 특성이 다양하게 변화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유형도 다양하게 구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시대 흐름 속에서 법안의 제정 목적에 따라 문맹퇴치를 위한 성인교육기관에서 문화 시설 확충을 위한 사회교육기관, 향토관, 청소년 시설, 사회교육관, 평생교육 전담 기관 등으로 진화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재는 법의 테두리 내에서 중앙과 지역으로 이어지는 전담 기관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는 평생교육 개념과 함께 유입된 평생교육 체제의 구축과도 연결되고,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앞으로는 평생교육 전담 기관의 역할을 더욱 강조될 것이다. 이를 통해서 법의 위상과 실효성이 보장됨은 물론, 국민의 실질적인 학습권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process of developing institutions in charge of lifelong education in history focusing on how to devise and install the institutions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law of lifelong education. Most of the advanced research, however, has only dealt with the status, system, or effect of the Lifelong Education Act, significance of the time for institutionalizing or revising the law, or issues related to it. Aside from that, the research has been only focused on the functions of institutions in charge of lifelong education or the cases or operational strategies of them. In fact, it is hard to find research that deals with how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have been devised and installed in history through legislation on their maintenance which this author pays attention to. This study has mainly analyzed the full text of the bills collected, literatures,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minutes gained from the With the process, this author has drawn following results: first of all, regarding how to devise and install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rough maintenance grounded on the law, they have been changed in many ways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time, changes in the field, or the positions of the government or academic circles. Also, the types have been conceived diversely. They have evolved in the forms of adults’ education institutions to eliminate illiteracy,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to expand culture facilities, county centers, adolescents’ facilities, social education centers, and lifelong education centers, and so on. In the future, centers in charge of lifelong education will have even more stressed roles. Wit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secure the status of the act effectively and also obtain the right of learning practically for the people.

      • KCI등재후보

        사회 통일교육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향 연구

        오기성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09 평화학연구 Vol.10 No.1

        Relat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has been shifting from the Cold War to an era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which directly or indirectly will influence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this change,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an social education institution have developed the direction of the diversify and specificity. In relation to this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an social education institution. For this purpose, to begin with,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The analysis institution contains a lot of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 for example, Education Center for Unification, a public body and a private organization in relation to unification education.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is paper is to provide an improvement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an social education institution, this study, first, program development and management on the basis of the core capacity, second, a conquest of a confus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third, revision of the support law of unification education, fourth, an increase and execution of the educational budget, fifth, betterment of network. 냉전으로부터 화해와 협력으로의 남북관계의 전환은 직간접적으로 통일교육에 영향을 주어 왔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사회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통일교육 또한 다양성과 전문성의 측면에서 발전해 왔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사회 통일교육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현재 사회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통일교육 실태를 민간주도의 통일교육과 공공기관 주도의 통일교육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현행 사회통일 교육 실태를 평가하고, 나아가 그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회통일교육의 발전을 위한 개선 방향으로는 기관의 핵심 역량에 따른 통일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통일교육 내용 상의 혼란 극복, 사회 통일교육 관련 통일교육 지원법의 개정, 교육예산의 증액과 효율적 활용, 통일교육 관련 네트워크의 개선 등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영유아교육기관의 사회자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이배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mediated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present alternative measures to enhance job satisfac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in G metropolitan cities and J provinces from July 13, 2020 to July 24, 2020.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udy shows that the social capit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which proves that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m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could be a determining factor in the effici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addi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as found to have a mediated effect between social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which confirms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teachers, who are the core personnel of human servi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Based on these results, alternative measures to enhance job satisfaction were suggested by reinforcing the use of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사회자본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영유아교육기관의 직무만족 제고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0년 7월 13일부터 24일까지 G광역시와 J도 지역 영유아교육기관에 재직하는 영유아교사를 총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영유아교사의 사회자본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영유아교사 간의 사회자본 형성 여부가 영유아교육기관의 효율성에 결정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영유아교사의 조직몰입은 사회자본과 직무만족 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인적 서비스의 핵심 인력인 영유아교사의 조직몰입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사회자본의 활용과 조직몰입을 강화하여 직무만족 제고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배민수의 사회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오혁진,김미향 한국평생교육학회 2014 평생교육학연구 Vol.20 No.4

        평생학습사회의 외형적 도래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회의와 비판이 점증하는 가운데, 평생학습 본연의 가치 실현을 위해서는 교육사상사적인 차원에서 위대한 업적을 남긴 사회교육자를 발굴하고 이를 통해 사회교육 실천의 원리와 사회교육자의 전문성 및 자질, 현대사회에 주는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는 연구가 요구된다. 이런 맥락에서 우리나라 현대사에서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재조명해 할 사회교육자로 배민수를 들 수 있다. 그는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의 시기에 걸쳐 민족애와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농촌교육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세계 사회교육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덴마크 그룬트비의 사상을 한국의 상황적 맥락에 적용시키고자 노력한 대표적인 인물 중의 하나이다. 배민수의 사회교육활동은 주로 교육기관을 통한 사회교육활동, 순회강연활동을 통한 사회교육활동, 사회단체를 통한 사회교육활동, 언론을 통한 사회교육활동으로 유형화된다. 그의 사회교육은 사회참여적 기독교 세계관의 구현, 세계평화주의적 사상의 구현, 서구 자본주의의 한계 극복, 공산주의의 극복, 민족주의 정신의 고수를 사상적 토대 및 지향점으로 삼았다. 또한 그는 사회교육을 현실문제 해결과 종교적 이상 구현을 위한 수단 및 도구로서 받아들였으며 실용과 의식이 결합된 교육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사실들을 통해 도출된 배민수 사회교육의 실천원리로는 지도자 양성 중심의 사회교육 실천, 공동체지향적 조직운영, 운동지향적 소규모 조직의 활용을 들 수 있으며, 사회교육자의 요건으로는 상황변화에 따른 시대적·사회적 유연성, 사회교육활동에 대한 확고한 목표의식과 사명감, 유기적 지도자로서의 리더십을 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배민수의 사회교육사상은 교육자들이 냉철한 사회분석력과 시대적 사명감, 소외계층을 위한 사랑, 공동체 의식, 그리고 전문성과 열정을 갖추어야 함을 재확인시켜주며 오늘날 건전한 평생학습사회 구현을 위해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e skepticism and criticism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have been on the rise in spite of its external advent in recent years. It is time to conduct research to excavate social educators who made great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educational thoughts, demonstrate the principles of successful practice of social education and the professionalism and qualification of social educators, and examine their meanings and limitations in modern times. In that context, one of the social educators to be actively excavated and re-illuminated in the modern history of South Korea is Pai Min-soo, who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figures that provided agricultural education actively based on love for Korean people and Christian faith during the Japanese rule and after Liberation and tried to apply the ideas of Grundtvig of Denmark, who had huge influences on the establishment of social education in the world, to the situational contexts of Korea. His social education has such ideological foundations and intention points as the implementation of Christian view of the world based on social participation, implementation of world pacifist ideology, conquest of the limitations of western capitalism, conquest of communism, social education as a tool to build Lord's Country, and adherence to the nationalist spirit. Those findings were used to find that the practice principles of his social education were the practice of social education centered around the production of leaders, emphasis on community-based interactions, pursuit of social education with reality and consciousness combined in it, and adherence to the small-sized movement-oriented principles. Based on his educational thoughts,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e requirements of social educators including the exercise of periodic and social flexibility, adherence to the intention point of social education, and exertion of leadership as an organic leader. In short, his ideology of social education reconfirms the importance of social analytical skills, periodic sense of duty, and self-sacrifice and passion in social education activities to social educators in modern society and asks them to have in-depth reflections on the instrumental utilization of education.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재사회화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조민희 ( Jo Min Hee ) 한국경찰학회 2019 한국경찰학회보 Vol.21 No.4

        3만여 명을 넘어선 북한이탈주민들의 안정적인 정착문제는 북한이 탈주민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사회 전체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사회문제이며 정책과제이다. 물론 북한이탈주민들이 정치체제와 경제구조가 다르고 문화적 격차가 심한 한국사회에 적응하고 정착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북한이탈주민들이 한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기위해서는 북한에서 학습했던 가치관에서 벗어나 하루속히 한국사회의 가치와 문화를 습득할 수 있는 재사회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바로 이 같은 시각에서 현재 북한이탈주민들에게 실시되고 있는 재사화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보다 바람직한 재사회화교육의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현재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재사회화교육은 하나원, 하나센터, 고용지원센터, 북한이탈주민 지원재단, 북한이탈주민지역협의회, 민간단체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각 기관은 다양한 재사회화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정착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재사회화이론을 개관하고 재사회화 이론적 시각에서 각 기관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재사회화교육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 같은 분석을 토대로 재사회화교육 프로그램의 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roblem of stable settlement of defectors over 30,000 is not an issue of individual defectors but an important social issue and a policy issue to be solved by the entire Korean society. However, it is not easy for North Korean defectors to adapt to and settle in Korean society, which has a political system and an economic structu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has a wide cultural gap. In order for North Korean defectors to settled in the Korean society in a stable manner, it is necessary to resocialize the values and culture of Korea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rehabilitation education and to suggest a better education for rehabilitation education. To this end, the socialization theory, the re-socialization theory, the political socialization theory, and the psycho cybernetics theory are analyzed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re - socialization education for the defectors is analyzed. Hana Won's re-socialization curriculum, Hana Center's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vocational training and re-socialization of employment centers, employment support activitie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 Foundation, support for North Korean defectors' local council, settlement support for civil organizations, and re-socialization education. Based on this analysis, the reinforcement plan of re-socialization education program and the step-by-step re-socializat ion education program were suggested as alternatives for improvement of re-socialization education and training.

      • KCI등재후보

        일제강점기(非)제도권 국악 교육 양상 고찰 -비형식교육과 사회교육의 기관 및 조직을 중심으로-

        김지원(Jiwon Kim) 한국국악교육학회 2023 국악교육 Vol.53 No.53

        전통적으로 국악의 교육은 전문 음악인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이 주를 이루었고, 시대에 따른 사회적 통념에 따라 교육의 필요성이 다르게 인식되어 각기 다른 형태의 교육 유형으로 나타났다. 일제강점기에 국악은 비제도권에서 비형식교육과 사회교육의 유형으로 교육되었다. 이들 교육의 유형은 그간 비제도권에 존재하여 국악이 체계적으로 전승 및 교육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는 연구 결과에 반(反)하여, 제도권 교육에 비견될 정도의 체계성과 전문성을 갖추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비형식교육 유형의 경우 기관에서 자체적인 학습자의 선발 기준을 두어 선별 모집하였고 국악을 주 교과목으로 삼되, 당대 사회에서 주류를 이루고 있던 서양음악까지를 포함하여 교과목을 구성하였다. 비교적 긴 기간의 교육 과정을 구성하여 기간 내에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단계별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매우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유형의 교육은 직업 활동이 가능한 전문 음악인을 양성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은 수준이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들 기관에서의 교육은 사회적으로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었으며, 졸업 및 수료 이후 음악계에서 전문성을 가진 음악인으로 활동할 수 있었다. 반면, 사회교육 유형의 국악 교육은 19세기 말 ~ 20세기에 들어 새롭게 나타난 교육 유형이다. 이는 서양음악이 유입되면서 더 이상 국악이 사회 내에서 자연스럽게 향유되지 않게 됨에 따라 국악의 전승과 보급에 대한 사회적 담론과 인식의 형성으로 인한 출현이 그 배경이다. 이에 국악의 보급과 일반 소양 함양을 목적으로 한 국악 교육이 출현하였고, 이들은 학습자 모집에 조건을 두지 않아, 불특정 다수의 일반인을 학습 대상자로 삼았으며, 국악만을 단독 교과목으로 구성하여 운영되었다.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으로 교육이 운영되어 체계성 면에서는 미비한 양상을 보임으로써 사회교육을 통한 국악교육을 이수한 학습자는 국악에 관한 전문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된 것으로 짐작되나, 이들은 국악의 학습 이후 직업 음악인이 아니더라도 각 지역의 풍류 활동에 기여했을 것으로 보인다. 본고는 스승과 제자가 1대 1의 관계를 맺는 문하생의 형태로 이루어진 대부분의 민속악 교육과 사회교육에 관한 국악교육의 양상을 보다 면밀히 분석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는 추후 연구로 남겨두고자 하며 본 연구가 미약하게나마 국악교육의 지평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길 바란다. Traditionall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as been dominated by education to cultivate professional musicians, and the need for education has been recognized differently according to social norms according to the times, resulting in different types of education.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taught as a type of non-formal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in non-institutional areas. These types of education have been confirmed to hav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skills comparable to institutional education, contrary to the research results that it has been difficult to systematically transmit and educate Korean traditional music because they have existed in non-institutional areas. In the case of non-formal education types, the institution selected and recruited its own learners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and included Western music, which was the mainstream in the contemporary society. By forming a relatively long-term curriculum and conducting step-by-step education according to the learner’s level within the period, very systematic and professional education was achieved, and this type of education was high enough to cultivate professional musicians capable of professional activities. Education at these institutions was able to be socially recognized for its professionalism, and after graduation and completion, it was able to work as a professional musician in the music industry. On the other han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hich is a type of social education, is a new type of education that emerged from the end of the 19th to the 20th century. With the influx of Western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is no longer enjoyed naturally in society, and the emergence of social discourse and awareness on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s the background. As a result,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aimed at disseminating Korean classical music and cultivating general knowledge emerged, and they did not set conditions for recruiting learners, so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ordinary people were selected for learning, and only Korean classical music was operated as a single subject. It is presumed that learners who have completed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through social education have relatively low expertise in Korean classical music because education is operated for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but they are likely to have contributed to local wind activities even if they are not professional musicians after learning Korean classical music. This paper has a limitation in that it has not been able to more closely analyze the aspec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which are made up of teachers and disciples in the form of a one-on-one relationship. This will be left as a future study, and I hope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xpanding the horiz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even if it is weak.

      • 다문화사회에서의 사회통합에 관한 사례연구: 독일 유아교육기관의 상호문화교육을 중심으로

        이현미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8 No.-

        본 연구에서는 우리보다 40년 앞서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독일에서의 사회통합 정책과 상호문화교육에 대해 살펴보았고 2000년 PISA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연구 이후, 사회통합의 새로운 동력을 찾고 모든 아동들의 동등한 출발선을 보장하기 위해 이루어진 취학 전 교육기관의 개혁, 그리고 그 과정에서의 상호문화교육 강화 정책 및 독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상호문화교육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목적은 독일의 취학 전 아동들을 위한 상호문화교육 정책과 상호문화교육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이제 막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되고 있는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시사점들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시사점들 중에서 중요한 것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문화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육기관은 일반 아동과 이주배경 아동을 위한 공동의 교육장소로서의 역할을 넘어서서 사회통합을 위한 장으로서의 역할을 확대하고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구심점이 되도록 한다. 둘째, 상호문화교육 교육과정이나 프로그램 개발 시 인위적으로 꾸며진 상황이 아니라 실제상황에서 삶에 필요한 내용을 배울 수 있도록 실제상황에서 핵심 주제를 찾고 실생활과의 연관성 하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편성한다. 셋째, 부모참여 활성화를 위하여 부모를 자원으로 인식하고 그들 자신의 상황과 자녀교육의 전문가로서 대우해 줌으로써 주체적으로 교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든다. 또한 다문화 부모들이 우리나라에서 동등한 권리를 가지고 살아갈 수 있도록 이들을 지역사회에 통합시키고 사회적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부모들의 교육역량을 강화한다. 넷째, 유아기관 종사자들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아동들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효과적인 상호문화교육을 실행할 수 있도록 단 기간의 연수가 아니라 지속적이고 내실있는 계속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아동들이 불공정과 불평등 상황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 과정에서 편견에 대한 의식화와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반 편견교육을 실시한다. This study examined social integration policies and intercultural education in Germany, which entered multicultural society 40 years earlier than ours, and reviewed the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in 2000. Then, it also reviewed the reform of preschool institutions, which was done to find a new driving force for social integration and to ensure an equal starting line for all children, the policy of strengthening mutual cultural education in the process, and the case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German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practical implications when establishing multicultural policies for preschool children, developing curriculum, or operating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hrough examining Preschool Intercultural Education Policy and the cases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Germany. The important results are as follows. 1.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at carry out intercultural education extend beyond their role as a common educational place for gener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migrant backgrounds, expanding their role as a forum for social integration and becoming the center of community networks. 2. When developing a curriculum or program for intercultural education, find key topics in real situations and organize them so that the meaning is found in relation to real life so that one can learn what they need in life, not in an artificially created situation. 3. Parents are recognized as resources for the activation of their parents' participation, and by treating them as the specialist of their own situation and their own children, the environment is created where they can participate in educational activities. And to help multicultural parents live with their equal rights in Korea, integrate them into local communities, expand social networks, and strengthen parents' educational capacity. 4. Continuous and sustained education is needed instead of short-term training so that early childhood educators can understand children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and implement effective intercultural education. 5. Instruct children to talk freely about unfair and inequitable situations and actively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In this process, anti-prejudice education is needed to help them find out how to live while being conscious of prejudice.

      • KCI등재

        社會 敎育 次元에서의 漢字·漢文 敎育의 實態와 課題

        洪性旭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4 漢字 漢文敎育 Vol.13 No.-

        ·사회교육이라 함은 다른 법률에 의한 학교교육을 제외하고 국민의 평생교육을 위한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교육활동으로 개인 또는 공동체 생활의 상황 흐름 속에서 즉각적으로 가치화되고 있는 학습을 생산하는 것이다. 이 범주에는 방송과 언론 매체를 활용한 것과 사회(평생) 교육원, 사설 학원 등의 교육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것, 학습지와 인터넷 컨텐츠를 이용한 것 등이 모두 포함되는데 다만 조직성·의도성·체계성이 미약한 우연적 교육과 무형식 교육은 제외된다. 시청각자료를 통한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를 환기시키고 그들의 주의를 집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강한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에 임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학습자의 질과 양의 폭을 넓혀서 학습의 효율화를 도모하고 학습 결과를 오래 기억할 수 있도록 하며 정확한 하고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도 한다. 이를 통해 볼 때 방송 매체를 활용한 한자·한문 교육은 사회 교육 차원의 한자·한문 목표를 성취하는 데 더없이 효과적이라 하겠다. 다만 교육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한자·한문 교육 관련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조직될 필요가 있으며, 정규 교육 과정기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경우 한문과 교육 내용 체계를 고려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짜여졌으면 한다. 평생(사회) 교육원은 많은 성인들에게 배움의 기회를 확대하여 그들의 지적·문화적 수준을 높이고, 직업적·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평생(사회) 교육원을 통해 이루어지는 한자·한문 교육 프로그램은 자격증 취득 과정에 개설된 한자(한문)지도사과정과 四書나 『古文眞寶』 등의 동양 고전을 내용으로 한 교양 강좌가 있다. 그러나 교양 강좌는 학습자의 수준이 다르고 요구 사항이 달라 체계적이고 일관되게 강의를 진행하지 못하였으며, 자격증 취득 과정은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절대 時數 부족으로 효율성에 회의를 갖게 하였다. 까닭에 명확한 교육 목표를 설정과 교육 목표를 달성을 위한 보다 체계적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私設 機關의 한자·한문 교육 프로그램은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된 것도 있고 각각의 독자적 프로그램도 있다. 체계화된 이들 프로그램은 사회 교육 차원에서의 한자·한문 교육의 역할을 비교적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몇몇 프로그램의 경우 수업 방식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는데 이를 잘 보완한다면 정규 교육의 보완 형태로 훌륭한 역할 수행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사회 교육이 시공간적 제약을 넘어 개인이나 공동체 생활 속에서 이를 필요로 하는 개인이나 집단에게 즉각적 가치로 제공되는 것이지만 정규 교과 과정의 보람이라는 현실적 상황도 도외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 까닭에 이를 교육하는 당사자나 학습하는 사람은 한문과 교과 내용체계에 대한 이해와 한자·한문 교육을 통해 이루게 될 실제적 가치를 아울러 구현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Social Education produces learning of immediate value as all kinds of organizational education activities for lifelong education under the circumstance of individual and community with the exception of school education by other laws. This category includes the use of broadcasting and mass media, lifelong education of a society, education of private institute, and the use of Learning material and contents. However, unexpected education and informal education, which are insufficient in the organization, intention, and systemization, are excluded. On the Account that learning through Audio and Video Education Aids evokes the interest of learners and attracts their attention, it encourages learning motive of leaners and leads them to the voluntary and active learning. In addition, it promotes efficiency of learning by enlarging the breadth of quality and quantity of learners, long distance memorization of learning result, and accurate thinking. In this regard,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can be said to be effective in accomplishing the goal of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Learning in terms of Social Education. Various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Education programs, offered by education broadcasting need to be systematically organized in consideration of leaners' level and interest. Especially, in case of program towards students of regular education courses, the programs, which can be complemented in the Chinese Character and Education Contents and Systems, should be establish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enlarges the opportunity of learning to many adults, enhances their intellectual and cultural level, and contributes to develop their ability in vocational and social ability. There are instructor cultivating Course of Chinese Character, opened in the License Acquirement, History Book, and Eastern Classics like 『Gu Wen Zhen Bao』 in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programs through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ociety). However, on the grounds that the level of learners and their requirements are different in Educational programs, systematic and consistent lecture is not properly processed and the absolute lack of demand for accomplishing goal in the license acquirement course makes us feel suspicious of efficiency. As a result of it, more systematic programs in order to set up the clear education goal and attain the education goal needed to be provided. Some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Education Programs are related to the regular education course, and the others are respectively independent programs. Systemized programs can be said to faithfully perform the role of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in terms of Social Education. However, in case of some programs, the possibility of revision in the Instruction Application can be found. If we complete some deficiencies, it will play a remarkable role in the supplement of regular education. Even though social education is offered to individual and groups as an immediate value for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life, going beyond the restriction of time and space, the realistic circumstance to complement the regular curriculum course cannot be overlooked. Therefore, instructors and learners who are concerned in the education should seek for the direction which can establish practical value through understanding of Chinese Writing and the system of Curriculum Contents and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