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적 자기표현으로서의 고백

        김남희 ( Kim Namhee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7 국어교육 Vol.0 No.15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elf-expression in poetic text. The importance of self-expression in Korean education is increasing, and many Korean education researches emphasize functionality and efficiency in self-expression. However, this study emphasize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growth of the learners through self-expression when we pay attention to self-expression ability in Korean education. It is because it is more important to reflect on oneself, to deepen the awareness of oneself, and to expand inside of oneself through self-expression process. Poetry is a typical self-expression genre. In the process of writing poetry, a exploration for oneself is made and the inner side of oneself is expressed by way of the exploration. And these characteristics of poetry are often expressed in the way of `confession`.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aspect of confession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elf-expression in poetry. In the process of poetic self-expression, confessions are typified by authenticity, vagueness, rationalization and disclosure. According to each type, the attitude of confession, the object and personality of self-expression, and the depth meaning of self-expression are divided. In the subsequent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design a path for self-expression of learners in poetry education, focusing on the type of self-expression.

      • KCI등재

        청소년 자아이미지 스토리텔링 표현 연구

        한지운(Han, Ji Woon),나건(Nah, Ke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자기표현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능이며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 특히 시각에 기반한 자기표현은 예술⋅디자인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시각도구를 활용한 자기표현은 본능 충족의 목적뿐만이 아닌 자기의 이해 및 타인과의 소통을 위한 도구로서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본 연구는 15세 여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미지 스토리텔링 이론과 연계한 시각적 자기표현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디자인 요소인 색채를 기반으로 한 자아이미지 스토리텔링의 특징을 연구하고 향후 교육활동 분야의 활용 가능성을 제안함에 있다. 연구방법으로 자아이미지 및 정체성 이론과 서사적 정체성 이론을 고찰하고 표현이론에 해당하는 이미지 스토리텔링을 색채 활용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실험연구는 15세 여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정성조사로 진행하였다. 정성조사를 통해 자아이미지 영역에 대한 표현 분석과정에서 이미지 스토리텔링에 적합한 자아 이미지 영역을 찾고 시각화 작업을 거쳤다. 본 연구의 범위는 시각적 자기표현 및 이미지 스토리텔링에 해당하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다. 연구결과로 시각적인 자기표현은 색채와 형태에서 단어의 서사적 확장을 통한 구체적인 설명과정을 거친다. 그 중에서 자아이미지의 시각요소인 색채는 감정의 즉각적인 시각표현 도구이고, 언어는 단어에서 스토리텔링의 서사적인 형태로 확장된다. 이는 시각디자인의 요소를 활용한 자아이미지 스토리텔링으로 연계된다. 이와 같은 시각적 자기표현은 자아정체감 형성기에 해당하는 청소년들에게 자기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에 도움을 줄 것이다. 자아이미지 요소 중에서 능력 자아이미지는 이미지 스토리텔링 형식으로의 적용에 적합한 영역임을 볼 수 있었다. 신체 자아이미지는 후속연구를 통해 보다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각디자인 요소를 활용한 청소년의 자기표현 프로그램으로 연계하여 자기표현뿐만 아니라 디자인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Self expression is the instinct that humans possess and can be expressed in various ways. Especially self expression based on vision can be found in the field of art and design. Self expression using visual tools is important not only for the purpose of fulfillment of instincts but also as important tool for understanding of one"s own and communication with others. This study is a visual self-expression study in connection with image storytelling theory for 15- year-old female adolesc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lf-expression based on colors, which is a visual design element. Also, w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self-image storytelling and suggested possibilities of future use of educational activities. Four different theories were studied for this research. Considered self-image, identity, narrative identity and image storytelling corresponds to expression theory. Especially, we focused on color expression as a design element. In the experimental study, a qualitative survey was conducted for youth aged 15 years ol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expression of self-image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we found the self-image elements suitable for the image storytelling and got the visualization work-shop. The scope of this research corresponds to visual self-expression and image storytelling, and it targets young peopl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Visual self-expression goes through specific explanations through the narrative expansion of words in color and form. Among them, color, the visual element of self image, is an instant visual expression tool of emotion. Also, the language extends from the word to the narrative form of storytelling. This is linked to the self-image storytelling using elements of visual design. Self expression, especially for young people who respond to the period of self identity development gives not only their own understanding but also communication support. Among self-image elements, self-image of one"s ability is suitable for image storytelling. The self-image of body needs to present a more concrete methodology through subsequent research.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linked to the self -expression program of youth using visual design element. This is expected to help communication through design as well as self-expression.

      • KCI등재

        개인 커뮤니티 몰입에 대한 자아표현 및 동일시의 역할

        최낙환,이창원 한국마케팅학회 2007 ASIA MARKETING JOURNAL Vol.9 No.3

        It can be explained by congruity theory as a process that consumers engage in a matching process to identify personal community that is congruent with their self-images to find the identification between the self and the personal community. Personal community cues that evoke certain images are viewed as activating similar beliefs about the self (e.g., high status). Individuals prompt a comparison process to determine whether the personal community and self-image are congruent and imagine prototypical users of the personal community and select ones that maximize similarity to their actual or desired self-concept.Identity is devided into personal identity and social identity. Consumers a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both personal identity and social identity.In this article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commitment to on-line personal community are explored by the sources of both personal identification and social identification.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aintenance expression and enhancement expression of personal self influence the level of personal identification positively and the maintenance expression and enhancement expression of social self influence the level of social identification positively. The level of both social and personal identification positively influence the commitment to on-line personal community which gives positive responses to the source enterprise that allows the cyberspace and the other benefits to be used. 기업의 충성도 높은 고객 유치 및 기업 몰입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온라인 개인 커뮤니티의 경우 개인이 미니홈피를 창조하여, 자신을 표현하고 관리하여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커뮤니티와 상호작용하면서 자신을 표현하기 때문에 온라인 개인 커뮤니티와 자아간의 연결인 동일시에 대한 연구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개인 커뮤니티 몰입에 대한 동일시의 역할과 동일시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표현의 효과를 살펴보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개인 미니홈피를 싸이월드에서 이용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검증한 결과 첫째, 개인적 실제자아 표현과 개인적 이상자아 표현은 개인적 동일시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실제자아 표현과 사회적 이상자아 표현은 사회적 동일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개인적 동일시와 사회적 동일시는 모두 온라인 개인 커뮤니티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온라인 개인 커뮤니티 몰입 수준이 높을수록 원천 기업에 대한 반응은 좋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개인적 동일시와 사회적 동일시를 높여주기 위해서 온라인 개인 커뮤니티내의 상호작용 활동 및 정보제공의 용이성과 개인의 표현력을 높여줄 아이템의 개발이 있어야만 할 것이다.

      • KCI등재

        소비자의 자기 표현과 브랜드 선호도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평가 분포 유형과 제품 유형에 관한 연구

        백육천,김경민,로호 한국소비문화학회 2023 소비문화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자기 표현이 소비자의 브랜드 선호도와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 그리고 관계가 제품 유형과 평가 분포 유형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연구하였다. 이전 연구에 따르면, 소비자가 자기를 표현하고자 하는 동기는 높은 수준과 낮은 수준으로 나누어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한편 소비자가 특정제품의 구매 혹은 서비스 이용 후 평가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평가 분포는 단봉형과 쌍봉형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이전의 연구에서는 단지 단봉형과 쌍봉형으로만 구분했지만 실제 소비자들의 소비하는 제품 유형은 기능성과 상징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소비자의 브랜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제요인의 분류 방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각 변수들이 브랜드 선호도와 어떤 구조적 연관성을 가지는지를 연구하였다. 이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모형을 구성하고 가설들을 설정하였다. 가설들은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통계적 분석으로는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사용하였다. 실험 1은 집단간 실험설계로 2(자기표현: 고/저) × 2(평가 분포 유형: 단봉/쌍봉)로 설계를 하여 연구하였다. 결과, 소비자들이 높은 자기 표현이 있을 때 단봉 분포보다는 쌍봉 분포의 브랜드 선호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반면, 소비자가 낮은 자기 표현이 있을시에는 단봉 분포의 브랜드 선호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즉, 이들간에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험 2는 2(자기표현: 고/저) × 2(제품 유형: 상징/기능)의 실험 설계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자기 표현이 높은 소비자는 상징성 제품이 기능성제품보다 브랜드 선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기 표현이 낮은 소비자들은 기능성 제품에 대한 브랜드 선호도가 더 높게 나타나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소비자의 브랜드 선호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소비자의 자기표현과 평가 분포 유형(단봉 vs. 쌍봉), 제품 유형(기능 vs. 상징)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했다는 측면에서 학문 및 실무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mainly studies the product types and evaluation distribution types that self-expression affects consumers' brand preference.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self-expression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high self-expression motivation and low self-expression motivation. The distribution types are single peak distribution and double peak distribution. Product types can be divided into functional and symbolic types.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consumer brand preferences is studied. Therefore,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 model is established first, then the hypothesis is established, and then the hypothesis is verified by experiment.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xperiment used two-way ANOVA. The design of experiment 1 was studied by an inter-group experimental design of 2(self- expression: high/low) × 2(evaluation distribution type: unimodal distribution/bimodal distribution). It is found that consumers with high self-expression have higher brand preference for bimodal distribution than unimodal distribution, while consumers with low self-expression have higher brand preference for unimodal distribution, and there is interaction. The design of experiment 2 was studied by an inter-group experimental design of 2(self- expression: high/low) × 2(product type: symbolic/functional). The results show that consumers with high self-expression have higher brand preference for symbolic products than functional products, while consumers with low self-expression have higher brand preference for functional products, and there is inter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of academic significance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xpression and evaluation distribution types, self-expression and product types, so as to improve consumers' brand preference in the marketing field.

      • KCI등재

        자기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성인의 정신역동적 미술치료사례

        김인선 한국예술치료학회 2014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억압된 무의식적 갈등이 역기능적인 가족구조로 인해 자기표현에 어려움을 가진 성인여성에게 정신역동적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기표현에 변화를 가져 오고자 하였다. 2013년 5월 10일부터 주 1회 60분씩 14회기 동안 정신역동적 치료이 론을 바탕으로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기표현 능력 향상 정도를 스크린하 기 위해서 Rakos와 Schoeder(1980)의 자기표현 평정척도(Self-Directed Assertiveness Scale)를 김성희(1980)가 우리나라의 문화적 배경에 맞게 번안하여 수정한 자기표현 척도검사와 다면적인성검사 MMPI, 그림검사KFD⋅PSCD 변화를 사전⋅사후로 검증 하였고, 매 회기별⋅단계별 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 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역동적 미술치료가 자기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성인의 자기 표현에 향상을 가져왔다. 둘째, 정신역동적 미술치료가 자기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성 인의 다면적인성검사 MMPI에 자기표현 변화를 가져왔다. 즉, 사전검사에서 높게 나 왔던 과도한 예민성과 경계심에 의한 사회적 내향성이 사후검사에서는 감소되었다. 셋째, 정신역동적 미술치료가 자기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성인의 그림검사 KFD⋅ PSCD에 자기표현 변화를 가져왔다. 즉, 사전검사에서는 자아강도가 유약하여 소극적 이고 정적인 느낌의 그림이었다면 사후검사에서는 자아 강도가 강화되어 적극적이고 역동적인 소통의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넷째, 정신역동적 미술치료가 자기표현에 어려 움이 있는 성인의 매 회기별⋅단계별 과정에 변화를 가져왔다. 초기에는 심리적으로, 신체적으로 불안과 경직이 심해 작은 목소리로 대답만 겨우 하며 매회기 눈물을 보였 다면, 말기에는 자신이 말하고 싶은 내용을 말하고 눈물을 보이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정신역동적 미술치료가 자기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성인의 프로그램 사전⋅사 후검사 검증을 통해 자기표현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pply psychodynamic art therapy to adult women who have difficulties in self-expression because of dysfunctional family structure, and make changes in self-expression. Based on psychodynamic art therapy theory,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14 sessions (60 minutes per session) once a week from May 10th, 2013. To find out self-expression ability improvement, self-expression scale into which Kim Sung Hee(1980) adapted and revised Self-Directed Assertiveness Scale by Rakos and Schoeder(1980) for Korean cultural background, MMPI, and PSCD were verified through a pre-test and a post-test, and each session and step process was analysed qualitatively. The conclusion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sychodynamic art therapy improved self-expression ability of adults with difficulty in self-expression. Second, psychodynamic art therapy brought self-expression changes to MMPI of adults with difficulty in self-expression. In other words, social introversion from excessive sensitiveness and wariness was in high level in pre-test, but decreased in post-test. Third, psychodynamic art therapy brought self-expression changes to KFD⋅PSCD of adults with difficulty in self-expression. In other words, the intensity of self was weak, inactive, and static in pre-test, while it became strong, active, and dynamic. Fourth, psychodynamic art therapy brought changes to each session and step process of adults with difficulty in self-expression. In the beginning,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 answered questions just in a low voice and even shed tears in each session, while at the end, they expressed what they want to say and did not shed tear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psychodynamic art therapy had an import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elf-expression ability through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of adults with difficulty in self-expression

      •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 및 부모-자녀 대화시간이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강현희 ( Kang Hyun-hee ),박희현 ( Park Hui-hyun ) 동신대학교 2023 창의융복합연구 Vol.1 No.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time on self-expression among adolescents. The study surveyed a total of 465 middle school student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2.0.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experiences of parentification, parent-child communication time, and self-expres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adolescents' physical parentific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roactive self-express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assive self-expression. Emotional parentification and perceived unfair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ssive self-expression and self-denial, but unfairnes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active self-expression. Parent-child communication time and its relation to self-expression revealed that both paternal and maternal communication time correlated positively with proactive self-expression and negatively with self-denial. However, maternal communication time showed a stronger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denial than paternal communication time. Secondly, exploring the impact of adolescents' experiences of parentification on self-expression, it was found that increased experiences of physical parentification led to higher levels of proactive self-expression. Conversely, greater experiences of perceived unfairness were associated with decreased proactive self-expression and increased passive self-expression and self-denial. Thirdly, in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time on self-expression, both paternal and maternal communication time had significant effects. Moreover, maternal communication time had a more pronounced impact on encouraging proactive self-expression compared to paternal communication time. This study suggests that providing appropriate opportunities for adolescents to experience physical parentification and increasing parent-child communication time can facilitate proactive self-expression among adolescents.

      • KCI등재

        인지행동통합예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임선희,원상화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1 예술심리치료연구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행동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 5, 6학년 저소득층 학생들로 7명이다.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 실험집단 설계이고, 2010년 10월부터 2011년 1월 까지 매주 2회 60분을 기준으로 15회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에 인지행동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기표현행동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7.0으로 통계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자기표현행동척도 검사의 제한점을 보완하고자 행동관찰법과 투사적 그림검사를 연구도구로 병행 사용하여 사전-사후 비교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행동척도 분석결과로 전체 자기표현점수, 행동적 자기표현, 인지적 자기표현, 정서적 자기표현, 전반적 자기표현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변화 순서에 있어서는 인지적 자기표현, 정서적 자기표현, 행동적 자기표현, 전반적 자기표현 순으로 상승한 것을 볼 수 있다. 둘째, 행동관찰 분석 결과 인지적 자기표현의 빈도수가 매회기 일관된 상승을 보였다. 셋째, HTP검사 분석 결과 자신감이 상승하고 타인과 관계하고 싶은 욕구와 자신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기대를 가지는 인지적 변화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보면 인지행동통합예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recogniz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self-expression of low-income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 elementary students- 4th, 5th, and 6th graders from low-income workers. The study designed pre-post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and from October 2010 to January 2011 twice a week were 15 times by 60 minutes. Cognitive-behavioral integrated arts program was condu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after. Self-expression Behavior Scale was used as a research tool in order to measure self-expression of the low-income children.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SPSS 17.0 as a statistical analysi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the behavioral measure of self-expression tests behavioral observation methods and picture test were used as research tool to examine pre-post comparative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by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sure of behavioral self-expression analysis points that scores of full self-expression, behavioral, cognitive and emotional self-express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s result of the behavioral measure of self-representation. We can see here that cognitive self-expression, emotional and behavioral self-expression, and general self-expression are increasing in order of change. Second, cognitive behavioral analysis observed the frequency of self-expression was a consistent rise. Third, HTP analysis tests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self-confidence rises and the desire and positive expectations about their future for the cognitive changes appeared. Looking at the findings on cognitive-behavioral therapy integrates art to improve low-income children's self-expression can be seen that the positive impact.

      • KCI등재후보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기표현과 미술표상능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하승민 ( Seung Min Ha ),고미옥 ( Mi Ok Go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1 아동복지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최근에 국제결혼의 증가로 다문화가정이 늘어남에 따라 학교현장에 새롭게 등장한 다문화가정 자녀에게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기표현능력과 미술표상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W군에 위치한 B초등학교에 다니는 한국인 아버지와 아시아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다문화가정 자녀 11명을 선정하여 2010년 5월 1일부터 2010년 9월 25일까지 매주 1회 60분씩 20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자기표현척도, 미술적 자기표현능력 평가, HTP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객관적인 연구를 위해 교사에게 행동관찰 체크리스크를 사전에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는 측정도구로 자기표현능력 펑정척도는 1980년에Rakos와 Schroeder가 수정 개발한 자기표현능력 펑정척도를 기초로 김성희(1980)가 번안하여 수정 보완한 것을 활용하였으며, 미술표상능력 평정척도는 박수미(1999)가 수정하여 개발한 미술표상능력척도를 기초로 이수진(2005)이 수정 보완한 것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기표현능력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자녀의 미술표상능력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기표현능력 발달과 미술표상능력 발달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으므로, 언어적 표현 능력이 소극적인 다문화가정 자녀에게 집단미술치료는 감정 표현을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communication Self-Expression and Art Self-Expression Abiliti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rise in international marriages has lately been concomitant with an increase in multicultural families, producing a new student group who are referred to a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eleve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attended B elementary school in w - gun, south Jeonju Province. They were born of Korean fathers and non-Korean Asian mothers. A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implemented in 20 sessions, once a week, 60 minutes each, from May 1 through September 25, 2010. Before that, they took tests on an Assertiveness Scale, an Artistic Self-expression Skills Assessment and a HTP test. In order to ensure the objectivity of this study, their teachers were asked to observe the children by utilizing a behavioral observation checklist.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ir Self-Expression was Kim-Sung hee`s(1980)` Adapted Version of Rakos & Schroeder`s(1980)` Modified Self-Expression Inventory. The other instrument used to evaluate Art Self-Expression was Lee su-jeng`s (2005)` Adapted Version of Bak su-mi`s(1999)` Modified Art Self-Expression Inventory.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group art therapy had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self expression of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2. The group art therapy had an effect on art self expression, representing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n effect on Developing Communication Self-Expression and Art Self-Expression Abilities Assessed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refore group art therapy could be said to be more effective than any other media in stirring up the emotional display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are usually unwilling to express themselves.

      • KCI등재후보

        발달지체 유아의 자기표현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김배운,공마리아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7 임상미술심리연구 Vol.7 No.2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search the changes of self-expression ability and artistic self-express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retardation along with the change of self-expression at preschool and self-expression reaction per each s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a 4 year old boy who goes to Y preschool located in D city, received pediatrician's opinion that he has a developmental problem. The research tools were self-expression ability test and self-expression improvement scale. For the self-expression ability test, self-expression rating scale, which was developed by Rakos & Schroeder(1980) and translated by Byeon Changjin and Kim Seonghee(1980), was used. For the self-expression improvement scale, the one that was by Ji Hannae(2011). Data process first, for the change of self-expression ability, pre, post and follow up self-expression ability tests were done,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For the change of artistic self-expression, pictures drawn at early, middle and late stages were evaluated with the use of the and the results were bar charts. Second, for the change of self-expression at the class, self-expression ability was divided into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elements based on pre, post and follow up reports, Third, for the change of self-expression per each session, the changes of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self-expression were compared based on CCTV recording. This study self-expression ability and artistic self-express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retardation along with the change of self-expression at preschool reaction per each session caused a positive change. 본 연구는 발달지체 유아의 자기표현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로서 발달지체 유아의 자기표현 능력 및 미술적 자기표현 변화와 어린이집 학급에서 자기표현 변화와 회기별 자기표현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소재의 Y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4세 남아이다. 연구도구는 Rakos와 Schroeder(1980)가 개발한 것을 김성희(1982)가 번안한 자기표현평정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미술적 자기표현능력의 측정을 위해서 지한내(2011)가 사용한 자기표현 향상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첫째, 자기표현능력 변화는 자기표현능력 검사를 사전ㆍ사후․추후검사를 실시하여 비교 하였으며, 미술적 자기표현의 변화는 프로그램 초기, 중기, 후기에 그린 자유화에 대해서 자기표현향상 척도를 이용해 그 결과를 막대그래프로 비교하였다. 둘째, 어린이집에서 학급생활에서의 자기표현의 변화는 담임교사의 사전․사후․추후보고를 토대로 언어적․비언어적 요소로 나누었다. 셋째, 회기별 자기표현의 변화는 CCTV 녹화와 음성녹음을 토대로 언어적․비언어적 자기표현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지체 유아는 자기표현능력 및 미술적 자기표현 점수의 향상을 보였으며, 어린이집의 학급과 회기별 과정에서도 긍정적인 자기표현의 변화를 보여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대학생 관계증진을 위한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 개발

        김인옥(Kim in 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대학생 관계증진을 위한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모집된 연구대상은 2017년 3월 충청남도 소재 A대학의 ‘교직과목을 수강하는 50명의 학생, B 대학의 상담을 신청하거나 상담 에 관심을 보인 40명의 학생, 전라북도 C 대학의 교양과목을 수강하는 62명의 학생이다. 모집된 학생을 대상으로 관계증진을 위한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 필요성에 대한 요구조사와, 자기표현에서 겪는 어려움 파악을 위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요구조사와 심층면담 자료를 토대로 관계증진을 위한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의의 목적과 내용, 구조와 형식, 진행방법을 구체화하기 위해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참여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3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첫째, 자기표현을 잘하는 사람 은 어떤 사람이라고 생각하는가? 둘째, 자기표현을 잘했던 경험은? 셋째, 자기표현을 잘하지 못했던 경험은? 넷째, 자기표현에서 배우고 싶은 기술은? 마지막으로 자기표현 프로그램 참여 후 기대하는 모습은? 과 관련된 질문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 고, 그 내용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 관계증진을 위한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자기표현 기술은 대인관계 기술을 향상시키고,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며, 다루기 힘든 사람과 상황에 대처하도록 도움을 주어 스트레스를 제어하 도록 해준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대학생 관계증진을 위한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은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for relationship improve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For achieving the study purpose, this study targeted 50 students. who attended a teaching profession course at A University in Choongcheongnam-do in March 2017, 40 students that applied for counseling or showed interested in counseling at B University, and 62 students attending a liberal arts course at C University in Jeonllabuk-do. In order to analyze the needs for a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for relationship improvement and understand the difficulties in self-expression,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 student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needs analysis and the in-depth interview, 32 students responded to have an intention to participate in a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if it is developed. To give shape to the purpose, the contents, the structure, and the form of the program for relationship improvement, some questions were asked of the students in depth.: first, what type of person do you think expresses him or herself well?, second, do you have experience in expressing yourself well?, third, do you have experience in failing in self-expression?, fourth, which techniques do you want to learn from a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and lastly, what do you expect after participating in a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a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for relationship improve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Self-expression techniques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and control stress by helping to communicate effectively and deal with people and situations that are hard to control. In this respect, it is considered that a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is required to improve relationships among university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