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전후 자기효능감, 자기불일치, 정서경험의 차이 분석

        손강숙(Shon, KangSuk),정소미(Jeong, So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전후의 자기효능감, 자기불일치, 정서경험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3년제 대학의 유아 교육과 여학생 22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2015년 2학기 교육실습을 다녀 온 학생 106명을 실험집단으로, 교육실습을 다녀오지 않은 114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여 교육실습 전과 후에 자기효능감 척도, 자기불일치 척도, 정서경험 척도를 실시하고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교육 실습 사전 점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결과, 두 집단이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실습 후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효능감, 자기불일치 중 이상적 자기, 의무적 자기, 실제적 자기와 이상적 자기의 차이, 실제적 자기와 의무적 자기의 차이, 긍정적 정서경험과 부정적 정서경험이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실험집단의 사후의 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효능감과 긍정적 정서경험이 사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의 사후의 이상적 자기와 의무적 자기, 실제적 자기와 이상적 자기의 차이, 실제적 자기와 의무적 자기의 차이, 부정적 정서가 유의미하게 낮아진 것을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 경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심리·정서적 개입에 대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differences about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iency, self-discrepancy, and emotion experience between pre and post-teaching practice. There were 220 participa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ho completed self-efficiency scale, self-discrepancy scale, and emotion experience scale. The data was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homogeneity test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it turned out that two groups were same. Second, after teaching practice, self-regulatory efficacy among self-efficiency, ideal self, ought self, differences between actual self and ideal self, differences between actual self and ought self among self-discrepancy, and emotion experienc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Third, post-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self-regulatory efficacy among self-efficiency and positive emotion experi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re-test. Moreover, ideal self, ought self, differences between actual self and ideal self, differences between actual self and ought self among self-discrepancy, and negative emo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pre-test. Finally, suggestions about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effective use of teaching practice through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경제활동 참여 고령장애인들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연구: 장애수용 및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성헌,허준수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9 장애와 고용 Vol.29 No.4

        Purpose: This research model is based on the theory of disability paradox by Sprangers and his colleagues(1999) on life satisfaction and explore at the mediated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disability acceptance on the life satisfaction by the self-respect and self-efficiency among the elderly disabled who participated in economic activities.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on 391 people who were aged 55 years or older through the second survey of the Employment Panel for the Disabled in 2017. The analysis methods of the data were to utilize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exploratory factors analysis, identification factors analysis, and structural formula models, and used the SPSS 22.0 and AMOS 22.0 statistical programs. Results: If you look at the direct effects, high self-esteem and self-efficiency are found to have a high level of disability acceptance. High self-esteem and self-efficacy have high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A high sense of self-esteem and self-efficiency have a high level of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high level of disability acceptance has been shown to have a high level of life satisfaction. Looking at indirect effects, it was shown that disability acceptance mediated the impact of self-respect and self-efficiency on the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grams that can improve self-esteem, self-efficiency, and disability acceptance utilization are required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disabled person, who participated in economic activities more effectively in the practice of welfare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연구 목적: 본 연구모형은 삶의 만족도에 대한 Sprangers와 그의 동료들(1999)의 장애역설이론에 기반을 두고, 경제활동 참여 고령장애인들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장애수용과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자는 장애인 고용패널 2차 웨이브 2차 조사를 통해 참여한 55세 이상 고령장애인 중 취업자 39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 방법으로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고, 이를 위해 SPSS 22.0 및 AMO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했다. 연구결과: 직접효과를 살펴보면,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장애수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대인관계기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수용이 높으면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장애수용은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고령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장애수용을 향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실천방안이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여행업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회복노력에 미치는 영향 -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강욱 ( Lee Kang-wook ),지명원 ( Chi Myong-won ) 한국호텔리조트학회(구 한국호텔리조트카지노산학학회) 2017 호텔리조트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service recovery effort and self-efficiency of travel agency employees, and to identify the mediated effects of self effici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ervice recovery effort. For the empirical study, 262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to test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job stress significantly influenced service recovery effort and self-efficiency of employees. Also, it is identified that service recovery effort is influenced by self-efficiency of employees. In addi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self-efficiency have a partial mediated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ervice recovery effort. From these results, we can expected that strong job stress of employees lead to weak service recovery effort and self-efficiency. Higher Self-efficiency, on the other hand, lead to more active service recovery efforts. Also, Self efficiency relieve the negative impact of job stress on service recovery effort of employees.

      • KCI등재후보

        IT분야 예비창업자의 성격5요인이 개인혁신성, 자기효능감,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신하성 한국전산회계학회 2018 電算會計硏究 Vol.16 No.1

        Previous studies on potential IT entrepreneurs are almost nil unlike the importance of IT field. Hence, the present study aimed at isolating the personality factors of IT entrepreneurs using 5 personality factors in academic aspects, and on top of that, identifying the effects of potential IT entrepreneurs' personality factors on self-efficiency, personal innov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follows: A nervous diseas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personal innovation and self-efficiency, and extrovers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fficiency. Also, open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sonal innovation, sincerity on personal innovation, affinity on self-efficiency, while personal innovation and self-effici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nervous diseases affect personal innovation the most, followed by openness. Nervous diseases also affect self-efficiency the most, followed by openness. As for the effect of personal innovation and self-efficienc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it was identified that self-efficiency affects personal innovation more than personal innov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study results will be used as useful materials in providing customized education for potential IT entrepreneur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ir personalities in the future.

      • KCI등재

        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자아존중감 및 조직 유효성에 관한 연구

        강윤숙,최윤정,박달이,김인자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0 간호행정학회지 Vol.16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fine nurses' level of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above variabl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3 nurses from two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 Korea. The data was collected by self-reported instruments: Self-leadership scale, Self-esteem scale, Job satisfaction scale, Organizational commitment scale, and Turnover intention scal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 res don u dng SPSS-PC program, Results: The average scores of variables were; self-leadership, 3,72/5,00 self-esteem, 3,76/5,00 Job satisfaction, 3,36/5.00 organizational commitment, 3.29/5.00 and turnover intentioncri 2.94/5,00, Self-leadership was dgnificantly correlated to self-esteem,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Self-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explained 52.3%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explained 43% of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s: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standardized self-leadership curriculum in the nursing school to build a foundation of self-leadership from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Educational programs are needed that promote nurses' self-leadership as regular continuing educati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ould be improved by providing programs to enhance nurses' self-esteem, educational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boost self-leadership.

      • KCI등재

        필라테스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행복감 및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최현희,곽정현 한국무예학회 2020 무예연구 Vol.14 No.1

        이 연구는 필라테스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행복감 및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경상도, 전라도 지역의 필라테스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선정된 연구대상자는 신체적 자기효능감, 심리적 행복감, 운동지속의사에 대한 설문지를 자기평가기입법(self administration method)에 의해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설문의 응답내용이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나 설문 문항 일부가 누락된 설문지 제외한 255부의 자료가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그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인 인지된 신체능력, 신체자기표현이 자아실현, 유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즐거움과 몰입요인은 인지된 신체능력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운동지속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심리적 행복감은 운동지속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요인인 자아실현, 즐거움, 유능감이 운동지속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hysical self-efficiency of pilates participants on their psychological happiness and willingness to continue workout. The sample of participants were extracted from pilates participants living in Seoul, Gyeonggi-do, Gyeongsang-do and Jeolla-do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The selected participants answered the questions in accordance with a self-administration method on physical self-efficiency, psychological happiness and willingness to continue workout. In total, 255 datum were actually used for analysis, and the findings are shown as follows. First, physical self-efficiency affected their psychological happiness. Second, physical self-efficiency had impacts on their willingness to continue workout. Third, physical self-efficiency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willingness to continue workout. To give detailed accounts, sub-factors of psychological happiness such as self-realization, delight and competence had a considerable impact on their willingness to continue workout.

      • KCI등재

        동기 및 피드백 유형이 창의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정미선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6

        The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motivation and feedback styles on creative performance. Previous research regarding the case of evaluation indicates those who have different creative self-efficacy levels are more likely to have different creativity performance. Thus, the moderating effects of creative self-efficacy were hypothesized. The study was conducted on 45 students who took liberal arts classes and tested their motivation,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creative self-efficacy after the experiment. Participant’s creative performance defined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midterm score of liberal arts classes to develop creative capacity. Experiments were designed. Independent variables (motivation, creative self-efficacy, feedback style) were manipulated with a 2 (creative self-efficacy) X 3(feedback style) between subject design. Multivariate analysis was performed and confirmed as 2 (motivation) X 2 (creative self-efficacy) and 2 (creative self-efficacy) X 3 (feedback styl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significant differed only at the stage of the ’problem find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internal motivation, and there was interaction between creative self-efficacy and internal motivation. External motivation and creative self-efficacy were interacting with each other, it was significant only on the ‘problem solving’. Creative self-efficacy is only a modulator in some processes of motivation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Second, creative self-efficacy and feedback had no interaction effect on the grades of creativity class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Creative self-efficiency did not act as a modifier to feedback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Creative self-efficiency has shown some modulating effect on motivation and creative performance, and there has been no modulating effect on feedback and creative performance. In addition, the most effective feedback for creative performance was the standards-oriented evaluation.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the class of creative capac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creative self-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동기와 피드백 유형이 교양 수업의 창의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수준이 다른 창의적 자기 효능감의 창의적 수행에서도 차이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창의적 수행에 조절효과가 있다는 가정을 하고,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는 교양수업을 듣는 4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 후에 동기, 창의적 문제해결력, 창의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창의적 수행은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역량 개발을 위한 교양수업의 중간고사 성적을 사용하였다. 실험은 독립변수가 동기, 창의적 자기효능감, 피드백이었고, 2 창의적 자기효능감(높음, 낮음) X 3 피드백(규준, 정보, 자기참고)의 피험자간 설계로 이루어졌다. 분석은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2(동기) X 2 (창의적 자기효능감), 2 (창의적 자기효능감) X 3(피드백)로 확인하였다. 결과는 첫째, 내적 동기수준에 따라서 창의적 문제발견 단계에서는 차이가 있었고 창의적 효능감과 내적 동기는 상호작용이 있었다. 외적동기와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서로 상호작용하여 ‘문제해결’에만 영향을 주고 있었다. 창의적 자기 효능감은 동기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일부 과정에만 조절변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피드백은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역량 수업의 성적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없었다.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피드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조절변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 창의적 자기 효능감은 동기와 창의적 수행에 일부분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고, 피드백과 창의적 수행에는 조절효과가 없었다. 추가적으로 창의적 수행에 가장 효과적인 피드백은 규준지향평가였다. 그리고 창의적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창의역량 수업의 학업성취에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진로활동에서 자기효능감의 역할

        남혜경,이미정,김진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4

        This study explores role of self-efficiency in the career activitie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It is expected that self-efficiency would contribute to marriage immigrant women helping them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their lives spontaneously and keep on their careers. For this, it was conducted that in-depth interview with seven marriage immigrant women. Conclusion was classified into two parts as following. The conclusion is from whether marriage immigrant woman has self-efficiency in her career purpose and career barrier. First, in the conclusion of career purpose, higher self-efficiency leads to constant career fulfillment and positive self image and lower self efficiency gives rise to absence of neighboring subgoal and discontinuity or lagging of personal career. Second, in the conclusion of career barrier, higher self-efficiency person would consider career barrier as an object to get over. On the contrary, lower self-efficiency person could not find the proper strategies to deal with career barrier and conform to the barrier and give up the career.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진로활동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자기효능감이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에서 스스로 어려움을 극복하고 진로를 계속해 나가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다. 결혼이주여성 7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내용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두 부분으로 구분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 진로목적과 진로장벽에서의 자기효능감의 유무에 따른 결과이다. 첫째, 진로목적에서의 결과는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계속적인 진로를 수행하며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가지며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근접한 하위목표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개인의 진로를 계속하지 못하거나 느려질 가능성이 커진다. 둘째, 진로장벽에서의 결과는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장벽을 극복대상으로 여기며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자기효능감이 낮은 경우 진로장벽에 대처할 적절한 전략을 찾지 못하고 진로장벽에 순응하여 진로를 더 행하지 않는 결과를 보였다.

      • KCI등재

        스포츠센터 참여자들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조태은,장덕선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스포츠센터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에 위치한 스포츠센터 참여자들 중 만 20세 이상 성인남녀 272명을 대상으로 운동행동변화단계 질문지, 신체적 자기개념 질문지, 자기효능감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첫째,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 요인인 체지방/날씬함, 외모, 건강, 신체활동, 유연성, 지구력, 근력이 유지단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도 유지단계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운동행동변화단계가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준비단계에서는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 요인 중 체지방/날씬함, 신체활동, 지구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지단계에서는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 요인 중 신체활동과 근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conceptiveness and self-efficiency of the sports center. Physical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Seoul-based sports center, 272 adult men and women aged 20 and older used questionnaires for the stage of change in athletic behavior, physical self-conceptual and self-efficacy. By using SPSS WIN 21 program. First,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physical self-concepts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s in motor behavior showed that the sub-factor of physical self-conceptuality/firmity, appearance, health, physical activity, flexibility, endurance, muscle strength were high in the maintenance phase, and self-efficacy level was high in the maintenance phase. Second,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changes in motor behavior on physical self-concepts and self-efficacy showed that body fat/smoothness, physical activity, and endurance had significant effects among the sub-factors of physical self-concepts in the preparatory stage, and physical activity and muscle strength among the sub-factors of physical self-concepts in the maintenance phase.

      • KCI등재

        무용인의 소속단체 특성과 자기효능감에 따른 우울증상의 관계

        조남규 ( Cho Nam-gyu ),윤세희 ( Yune Sea-hee ) 한국무용과학회 2017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4 No.3

        본 연구는 무용인의 우울증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자기효능감과 직업의 소속 상태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논문이다. 조사는 총 143명의 무용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자기 기입 방식의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우울증상 여부에 따른 성별, 연령, 무용 수입, 교육 수준에 대하여 빈도 분석과 카이제곱검정을 수행하였다. 우울증상 여부에 따른 자기 자기효능감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표현하였고, T-검정을 수행하였다. 자기효능감과 우울증상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산점도를 그리고 관련된 예측치를 그림으로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의 감소에 따른 우울증상의 증가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기분석을 수행하였고, 오즈비와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 조사 결과, 무용인의 우울증상은 수입이 적을수록, 소속 단체가 비-국가 기관인 경우,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낮은 경우 높게 나타났다. 더욱이, 정년이 보장되지 않는 비 국가 단체나 개인 단체의 소속인 경우 자기효능감이 낮은 상태일 때 두 요인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우울증상은 급속히 늘어남을 알 수 있었다. 즉, 비-국가 기관이면서 자기효능감이 낮은 경우는 국가기관이면서 자기효능감이 높은 경우보다 약 40배 이상의 우울증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속단체의 특성과 자기효능감은 우울증상에 대해 강한 작용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용인의 우울감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 증가뿐만 아니라 소속 상태의 안정화를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하겠다 The aims of our study were to investigate whether self-efficiency value or affiliation status related to depression symptoms. We conduct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or 143 artists of dancing. Artists have high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when they experienced low income level, non-government affiliation and lower self-efficiency. Frequency analysis about gender, age, income, according to the level of education for depression and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Expressed 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s about self-efficacy, according to whether depression, and t - Carried out a test. Self-efficacy and scattered about the relationship with depressive symptoms and graphically represents a forecast that are associated. Finally,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self-efficacy symptom of depression increased availability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calculated the odds ratio and a 95 % confidence interval. Furthermore, there was synergic effect between affiliation status and self-efficiency level to risk of depression symptoms. For example, the odds of depressive symptoms in non-government affiliation and low self-efficiency dancer was were 40 times higher or more comparing to that in government affiliation and high self-efficiency dancer. Hence, both of self-efficiency level as well as affiliation status should be considered To prevent depressive sympt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