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분석

        김효남 ( Hyo Nam Kim ),박도영 ( Do Yong Park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科學敎育硏究誌 Vol.33 No.2

        과학교과서는 한국과 미국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교수 학습 자료이다. 과학교육목표와 과학교과내용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1학년과 4학년 과학 교과서 각각100 쪽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과학교육목표를 분석하였다. 1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생명 영역의 과학 내용이 분석되었다. 한국의 1학년 과학내용은 슬기로운 생활 교과서를 분석하였는데, 슬기로운 생활 교과는 과학교과와 사회교과의 통합교과이다. 미국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초등학교 교과서 중 하나인 Harcourt Science의 1학년과 4학년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과학교육목표분석체계는 과학 지식, 과학적 탐구, 과학적 태도, STS, 그리고 과학 철학과 역사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는 과학적 탐구 보다 과학 지식을 더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한국의 과학 교과서는 과학 지식 보다는 과학적 탐구를 더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는 생명 영역의 일부 주제에 대하여 한국 보다 더 어려운 내용을 다루었고, 세포나 생태계의 종류에 대해서는 여러 학년에 걸쳐 반복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Science textbook is the most frequently used teaching material in elementary schools of the United States and Korea.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the United States and Korea are analyzed to find out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characteristics of contents shown in textbooks. About 100 pages each in the first grade and fourth grade science textbooks each nations are selected randomly for educational objective analysis. Life science contents of 1st to 6th grade are analyzed from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the United States and Korea. The analyzed textbooks in Korea are `Wise life,` an integrated subject with social studies and science, and `science.` The analyz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the United States are Harcourt Science, which is one of the frequently used textbooks. The educational objective framework used includes science knowledge, scientific inquiry, scientific attitude, STS, and philosophy and history of science. The results show science textbooks of the United States emphasize scientific knowledge more than scientific inquiry. Korean science textbooks emphasize scientific inquiry more than scientific knowledg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the United States present some life science topics redundantly and expose more difficult topics than Korean.

      •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내용분석과 이에 따른 발전적 제안

        김효남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1 초등교과교육연구 Vol.35 No.-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give several suggestions for better Korean elementary science textbook by comparing Korean 4th grade second semester science textbook and American McGraw-Hill 4th grade Science textbook. ‘Various plants,’ ‘The state change of water,’ earthquake, ‘Shadow and mirror’ in Korean science textbook and plants, state change, earthquake, light in American science textbook were compared in terms of science terms, science inquiry abilities, science inquiry activities and overall textbook composition and cont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level of science terms and science inquiry abilities in Korean elementary 4th grade science textbook was lower than the level in American science textbook. The number of science inquiry activities in Korean elementary textbook was more than American science activities. Korean elementary science textbook was composed of science hands-on activities mainly with some reading materials but American elementary science textbook was composed of reading materials explaining science terms mainly and some science hands-on activities. Korean elementary science textbook must include more reading materials of science basic concepts. Details of science experimental procedures in Korean science textbook may move to ‘Experiment and Observation’ sub-textbook. The guide of textbook unit usage and organization may move to teacher’s guide. The levels of science terms and science inquiry abilities may be higher in Korean elementary science textbook.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사 교과서’의 과학의 본성(NOS) 반영 정도 분석

        주홍비,윤지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9

        Objectives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existing science textbooks do not fully reflect the nature of scienc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nature of science shown in textbooks on the history of science and effective use of it.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the ratio of reflec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reflec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igh school science history textbook was analyzed. Methods The subject of analysis was two types of high school history of science textbooks that have been tested, and the analysis frame that adequately reflects the nature of science from the viewpoint of cultivating students' scientific literacy was comparatively reviewed and selected. The selected analysis framework consisted of four areas: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area I),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area II), the 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area III), and the nature of interactions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rea IV). And each area was again composed of detailed sub-areas. Then, the analysis of the history of science textbooks was carried out in the stages of ‘analysis training in the nature of science’, ‘determining analysis units and sampling’, ‘preliminary analysis and reliability measurement’, and ‘main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textbooks on the history of science showed some differences in the reflection ratio for each area, but the four areas of the nature of science were evenly reflected. In particular, the nature of interaction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rea IV) and the 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area III) showed high reflection rates in history of science textbooks.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each sub-area constituting each area of the nature of science, it was found that the detailed sub-contents were biased. Third, in the history of science textbook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flection ratio for each area of the nature of science for each textbook unit, and finally, as a result of analysis by publisher, the two types of textbooks showed little difference in the reflection ratio by nature of science domai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n the use of history of science textbook in terms of educating the nature of science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history of science textbook reflecting the social trends of the times. 목적 기존의 과학 교과서들이 과학의 본성적 영역을 충분히 반영해 내고 있지 못하고 있는 현 실정에서, 과학사 교과서에 나타난과학의 본성적 특징과 이에 따른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사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의 반영 비율을 분석했다. 방법 분석 대상은 고등학교 과학사 검정 교과서 2종이며,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함양의 관점에서 과학의 본성 영역을 타당하게 반영하고 있는 분석틀을 비교 검토 및 선정하였다. 선정된 분석틀은 과학 지식의 본성(영역 Ⅰ), 과학 탐구의 본성(영역 Ⅱ), 과학적 사고의 본성(영역 Ⅲ), 과학과 기술 및 사회의 상호작용의 본성(영역 Ⅳ)의 네 개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영역은 세부 하위영역들로구성되어 있다. 그런 다음, ‘과학의 본성 분석 훈련’, ‘분석 단위 결정 및 표본 추출’, ‘예비 분석 및 신뢰도 측정’, ‘본 분석’의 단계로과학사 교과서의 분석을 진행했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과학사 교과서는 영역 별 반영 비율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네 개 과학의 본성 영역이 골고루 반영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학의 본성 영역 중 과학과 기술 및 사회의 상호작용의 본성(영역 Ⅳ)과 과학적 사고의 본성(영역 Ⅲ)이과학사 교과서에서 높은 반영 비율을 나타냈다. 둘째, 과학의 본성 각 영역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항목 별 분석 결과, 세부 하위 내용들이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사 교과서는 단원 별로 과학의 본성 영역 별 반영 비율에 차이가 있었고, 마지막으로출판사 별 분석 결과, 2종의 과학사 교과서는 과학의 본성 영역 별 반영 비율에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의 본성 교육 측면에서 과학사 교과서의 활용 방안 및 시대사회적 흐름을 반영한 과학사교과서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 교과서의 과학의 본성(NOS) 분석

        전영빈 ( Young Been Jeon ),이영희 ( Young Hee Lee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科學敎育硏究誌 Vol.44 No.3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통합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NOS) 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출판된 통합과학 교과서 5종 모두를 분석하였으며, 분석의 개념적 틀로는 과학적 소양 기반 4가지 영역의 과학의 본성(NOS)(Lee, 2013)을 활용하였다. 4가지 영역의 과학의 본성(NOS)은 1. 과학지식의 본성(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2. 과학적 탐구의 본성(nature of scientific inquiry), 3. 과학적 사고의 본성(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그리고 4. 과학과 기술 및 사회의 상호작용의 본성(nature of interactions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이다. 분석은 2명의 분석자가 수행하였으며, 두 분석자간의 신뢰도는 Cohen’s kappa 계수 0.83 ~ 0.96으로 비교적 높은 신뢰도 값을 나타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 교과서에서는 과학의 본성(NOS) 4가지 측면 중에서 ‘과학탐구의 본성(nature of scientific inquiry)’ 영역을 전반적으로 가장 강조하고 있었다. 이것은 통합과학 교과서 5개 출판사 전체 영역에서 ‘과학 탐구의 본성(범주 II)’의 분포가 평균 약 44 %로 나타나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 교과서는 출판사에 상관없이 ‘과학탐구의 본성(범주 II)’을 가장 강조하고 있었지만, 그 외 다른 측면의 과학의 본성(NOS) 부분은 출판사별로 다소 차이가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통합과학 교과서들은 과학적 내용과 활동을 탐구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제시하면서 출판사별로 다소 다르게 과학의 본성(NOS) 특징을 강조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 교과서에서 강조하는 과학의 본성(NOS) 측면은 4. 환경과 에너지 단원을 제외하고 모든 단원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과학의 본성(NOS) 단원별 분석 결과가 대부분의 단원에서 전체 교과서 분석 결과와 유사한 양상이었으며, 4. 환경과 에너지 단원에서만 범주 II의 ‘과학 탐구의 본성’ 영역 다음으로 ‘과학-기술-사회와 상호작용하는 과학의 본성 (STS)(범주 IV)’이 강조되고 있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 과학 교과서가 지난 교육과정에 비하여 비교적 다양하고 균형 있는 과학의 본성(NOS) 측면을 제시하고 있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인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창의력 증진을 위하여 과학적 탐구를 강조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esenta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NOS) in integrated science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five integrated science textbooks published by the revised 2015 curriculum were analyzed with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four themes of the Nature of Science (NOS) (Lee, 2013) based on scientific literacy. The four themes of the NOS are 1.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theme I), 2.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theme II), 3. 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theme III), and 4. nature of interactions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The reliability of the textbooks analysis was measured between two coders by the Cohen’s kappa and resulted in between 0,83 and 0,96, which means the results of analysis was consistent and reliabl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overall theme II,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emphasized on the integrated science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y devoting the contents over 40 % in the all five publishing companies’ textbooks. Second, while the theme II,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was emphasized on the textbooks regardless of the publishing companies, other themes of the NOS were emphasized in different portions by the publishing companies. Thus, the focus among other three themes of the NOS was presented differently by the publishing companies except that in theme II,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was most emphasized on integrated science textbooks. Third, the presentation of the NOS was identified similarly across the topics of integrated science textbooks except on topic 4. Environment and Energy. The theme IV, nature of interactions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was emphasized reasonably only in the topic of Environment and Energy of the textbooks. Finally, the presentation of the NOS in the integrated science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more balanced among the four themes of the NOS with focus on the scientific inquiry compared to the previous curriculum textbook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 4 학년 국정 과학 교과서와 검인정 과학 교과서 삽화 및 발문 비교 분석

        김수진,김용권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022 水産海洋敎育硏究 Vol.34 No.4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types of illustrations and the functions of basic science process skills in the questionnaire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for 3rd and 4th grade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science textbooks authorized by ice cream media. First, in the type of illustration and the type of illustration by subject area, both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authorized science textbooks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photography. Second, in the function of the basic science process skills shown in the questionnaire, observation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of both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authorized science textbooks. Third, in the material domain, the proportion of observation and life area was high, and the proportion of communication increased in the motion and energy domain, and in the earth and space domain. Through this study, we will present changes and flows in textbooks according to the conversion to authorized textbooks, provide basic data to effectively use accredited science textbooks reflect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effectiv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후보

        차세대 과학 교과서와 기존 과학 교과서의 STS 교육내용 비교 분석 :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현지영,박신규,김중욱,정원우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8 科學敎育硏究誌 Vol.3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된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와 차세대 과학 교과서를 STS적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STS의 내용들은 Yager의 STS 토픽과 Piel의 기준 그리고 학생들의 SATIS 활동 유형 등에 의해 분석 되었다. 연구결과, 차세대 과학 교과서는 Yager의 기준에 의한 STS 포함 비율은 20.9%로 기존 교과서의 평균인 11.3% 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STS 구성요소 분석 결과 차세대 교과서의 경우 ‘지역사회와의 관련성’(59%), ‘과학의 응용성’(18.2%), ‘실제 문제에 대한 협동 작업’(13.6%) 순이었다. 차세대 과학 교과서는 ‘지역사회와의 관련성’요소가 기존 과학 교과서 보다 증가하였고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 요소가 감소한 것이 큰 특징이다. ‘과학의 다차원성에 대한 인식’, ‘정보의 선택 및 이용에 대한 평가’ 등의 요소에 대해서는 차세대 과학 교과서는 포함되지 않은 반면에 기존 과학 교과서의 경우 낮은 비율이지만 어느 정도의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Piel의 기준에 의한 STS 주제 영역에 관한 비교 분석에서 차세대교과서는 ‘환경의 질’ 문제와 ‘우주개발과 국방’ 문제를 다루고 있는 반면 기존 교과서의 경우 ‘기술발달의 영향’, ‘천연자원’ 등을 다루고 있다. SATIS 교수-학습 활동 영역에서 차세대 과학 교과서의 주된 활동은 ‘조사 연구’, ‘모의실험’, ‘자료 분석’등이며, 기존 교과서에서는 ‘역할 놀이’, ‘연구 고안’, ‘모의실험’등의 활동은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따라서 차후 개발될 교과서에서는 ‘역할 놀이’, ‘연구 고안’, ‘모의실험’등의 활동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bout STS contents in the next generation science textbook for 10th grade according to curriculum revision 2007 and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focused on the Earth Science which were published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The contents of STS were analyzed by the STS topics of Yager(1989), Piel’s standard(1981), and student activities by SAT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same as follows: ‘The next generation science textbook’ was shown that 20.9% is STS material amount in average by Yager’s standard.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were shown that 11.3% is STS material amount in average. Based on the STS topics by Yager’s standard, most of STS content is focused on ‘Relativity with local community’, ‘Application of science’ and ‘Cooperative work on real problems’. However, there is rare contents such as ‘Multiple dimensions of science’, ‘Practice with decision-making strategies’ and ‘Evaluation concerned for getting and using information’ in the next generation science textbook. In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were shown that ‘Applicability of science’ is the highest and ‘Relativity with local community’ is the next high contents. Based on the STS topics by Piel’s standard, most of STS contents are focused on ‘Environmental quality’, ‘Space research’ and ‘National defence’ in the next generation science textbook. But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are focused on ‘Natural resources’ and ‘Technology development’. The activities were analyzed by SATIS student activities. The major categories of activities included in the next generation science textbook were ‘Investigation’, ‘Simulation’ and ‘Data analysis’. But, there were rare activities like ‘Roleplaying’, ‘Research design’ and ‘Simulation’ in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 KCI등재후보

        화학 및 과학 교과서에 기술된 읽기자료 분석 및 활용도 조사

        임미경 ( Mi Kyung Lim ),유미현 ( Mi Hyun Yoo ),남석현 ( Seok Hyun Na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科學敎育硏究誌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읽기자료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고등학교 화학Ⅰ 교과서의 읽기자료를 분석하고, 과학 교사의 과학 교과서 읽기자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제7차 교육과정 및 2009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화학Ⅰ 교과서 각 4종을 택하여 읽기자료의 수, 내용에 따른 제시 유형과 학생의 활동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중등 과학교사의 과학 교과서 읽기자료 활용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학Ⅰ 교과서의 읽기자료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제7차 화학I 교과서에서는 읽기자료의 비율이 7.9%∼17.1%로 나타났으며, 2009개정 화학I 교과서는 20.6 28.2%비율로 나타났다. 2009개정 교과서의 읽기자료 비율이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읽기자료 내용별로 분석한 결과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생활 속 과학``이 34.3%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2009개정에서는``지식의 심화보충``이 23.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생 활동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제7차 교육과정은 읽기자료 13%만이 탐구형 자료인것으로 나타났으나 2009개정에서는 35%가 탐구형자료로 나타나 학생의 탐구활동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목표가 반영되었음을 시사한다. 둘째, 과학 교과서활용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결과 67%에 해당하는 교사가 현재 과학 교과서 읽기자료를 수업에 사용하고 있으나 거의 활용하지 않는 교사도 33%나 되었다. 많은 교사들이 실생활과 관련된 통합적 교육을 위해 읽기자료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생활 속과학``읽기자료가 교과서에 좀 더 많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ading materials in 7th curriculum and 2009 revised high school chemistryⅠtextbook for identifying the problems of reading material presented in science textbooks and to investigate science teachers` recognition about utilization reading materials in science textbook. For this purpose, each four 7th curriculum and 2009 revised high school chemistryⅠtextbook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ading materials, the type of contents and the type of students` activities. In addition,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recognition about utilization reading materials in science textbook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nylizing reading materials in chemistryⅠtextbooks showed that and the rate of reading materials were presented from 7.9 to 17.1% in 7th curriculum and from 20.6 to 28.2% in 2009 revised curriculum textbook. It implies that the rate of reading materials in 2009 revised textbooks increases more than those in 7th curriculum textbook. The result of analyzing the type of contents, ``life sciences`` was the largest proportion with 34.3 % in the 7th curriculum chemistry I, but ``enrichment and supplement of knowledge`` was the largest proportion with 23.7% in 2009 revised curriculum. Analyzing the type of student activities, only 13% of the reading materials in 7th National Curriculum textbook was found to be inquiry type, but 35% of the reading materials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ppears to be inquiry type. It suggested that the curriculum objectives was reflected in the textbook. Second, investigating recognition of teachers` perceptions of utilization science textbooks, 67%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used the reading materials in their science class, but teachers who didn`t use the reading materials was almost 33%. A large number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 reading materials associated with the real-life needed for integrated education and thought that the reading materials about ``life and science`` should be included in the science textbooks.

      • KCI등재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과학 교과서의 생명과학의 이해 관련 단원의 탐구활동 분석

        한화정,심주혜,심규철 한국생물교육학회 2019 생물교육 Vol.4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the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the unit‘Understanding of Life Science’ of the life science textbooks. The textbooks were developed and published according to the 7th, 2009 revised and 2015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Types of the inquiry activity were categorized into ‘experimental observation’, ‘investigation’, ‘data interpretation’, ‘debate’, ‘science writing’, ‘reading’, and ‘simula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types of inquiry activities had been diversified as the curriculum changes. Especially, the science writing was presented newly in life scienceⅠtextbook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simulation activities are presented newly in Life ScienceⅠ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However, even though the curriculum changed, theme, type, and frequency of inquiry activities still varied with textbook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riteria for the theme, type, and frequency of exploration activities should be made at the national level and considered when developing textbooks, and the need to reorganize inquiry activities by referring to other textbooks.

      • KCI등재

        북한 고급중학교 국어문학 교과서의 과학환상소설과 한국 SF의 교과서 수록 가능성

        최애순 ( Choi Ae-soon ) 우리어문학회 2024 우리어문연구 Vol.78 No.-

        본 논문에서는 서구와의 비교보다 이미 과학환상소설을 교과서에 싣고 있는 북한의 과학환상소설을 살펴보고, 우리 교과서에서도 수록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교과서에서 문학사적인 작품이 청소년들에게 과거의 시기를 간접적으로 경험하고 이해하도록 했다면, SF는 현재 자신의 삶에서 더 나아가 ‘미래’에 대한 계획과 고민을 통해 사회 속의 개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 사료된다. SF는 자신의 현실과 미래를 낯설게 들여다보게 함으로써, 청소년에게 사고의 확장과 미래에 대한 인식 지평을 넓혀 줄 것이라 기대한다. 과학환상소설과 과학 관련 글을 이미 싣고 있는 북한 고급중학교 국어문학 교과서는 실화소설도 싣고 있어서 눈길을 끈다. 북한 고급중학교 국어문학 교과서는 과학환상소설과 실화소설을 실어서, 청소년에게 미래에 대한 낙관적인 꿈을 꾸도록 교육하고 있다. 동일선상에서 논하기에는 여러 가지 사상이나 이데올로기, 사회문화적 상황을 고려해야 하지만, 한국 국어와 문학 교과서에 한번도 장르문학이 포함된 적이 없다는 점에서 재고해 볼 만한 의미가 있다. 특히 ‘미래’를 묘사하는 SF는 미래를 살아갈 청소년에게 자신의 삶에 대한 고민과 반성을 할 계기를 마련해 준다는 점에서 교과서에 수록될 가능성에 대해 논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교과서에 수록될 가능성으로서의 SF 소설을 선택하는 전제에는 ‘청소년이 주요 인물로 등장’하되, 교과서에서 다루는 주제나 영역에 근접한 문제를 다룬 작품, 즉 기존 ‘국어 교과서에 실린 내용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F 소설 중에서 청소년이 등장하고 그들의 관심사에 주목한 작품을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또한 과거와의 연관성을 위해 식민지시기의 과학꽁트도 시도해 보려 했다. 최영희의 「안녕, 베타」, 남유하의 「로이 서비스」, 과학콩트 「라듸움」, 김초엽의 『원통 안의 소녀』 등의 SF 소설은 10대 청소년의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그들 세대가 ‘미래사회’를 고민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다고 본다. In this paper, rather than comparing science fantasy novels with the West, we will look at science fantasy novels in North Korea, which already include science fantasy novels in textbooks,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including them in our textbooks. If young people have indirectly experienced and understood past period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Korean textbooks, it is believed that SF will help them grow as individuals in society through plans and concerns about the ‘future’ in their current lives. SF is expected to help young people expand their thinking and broaden their horizons of awareness of the future by allowing them to look into their own reality and future in an unfamiliar way. North Korea's high-end middle school Korean literature textbook, which already contains science fantasy novels and science-related articles, also attracts attention because it also contains true story novels. North Korean high-end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include science fantasy novels and true story novels to educate youth to have optimistic dreams about the future. Although various ideas, ideologies, and socio-cultural situation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discuss it on the same line, it is meaningful to reconsider in that genre literature has never been included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In particular, we would like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SF depicting the ‘future’ being included in textbooks, given that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youth who will live in the future to worry and reflect on their lives. In this paper, the premise for selecting a science fiction novel as a potential material to be included in a textbook is that 'youth appears as a major character', but it is a work that deals with issues close to the topic or area covered in the textbook, that is, 'content in existing Korean textbooks and 'connectivity'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is study, among science fiction novels, works that featured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focused on their interests were selected as texts. We also tried to experiment with scientific concepts from the colonial period to connect with the past. Science fiction novels such as Choi Young-hee's Hello, Beta, Nam Yu-ha's Roy Service, the science Comte Radium, and Kim Cho-yeop's The Girl in the Cylinder arouse sympathy among teenagers and encourage their generation to think about a ‘future society.’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과 미국의 초등과학 교과서 과학 글쓰기 과제 분석

        구슬기 ( Sul Ki Koo ),박일우 ( Il Woo Park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2 초등과학교육 Vol.31 No.4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scientific writing tasks in Korean and American science textbook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ypes of posing the writing task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children`s scientific cognition,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organization and development of writing ones of each chapter and thus to propose an effective way of presenting scientific writing in science textbooks. Korean ``Science`` and ``Experiment Observation Workbook`` and Macmillan Mcgraw-Hill(MMH) Science for fourth graders were analyzed for the purpo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textbooks contain more science writing tasks per pages, and less per chapters than MMH one. Both text books provide balanced amount of science writing tasks, yet MMH especially does systematic exercises for each chapter. Second,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extbooks` scientific writing shows that both textbooks contain a significant amount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ory” writing, which reflects that the purpose of writing in science textbooks is leaning towards acquiring and verifying scientific concepts. In American textbooks, however, writings utilizing extensive cognition process and materials are also present. It is necessary for textbooks to present diverse and expressive writing assignments including personal opinions.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organization and development of science writing tasks. Science writing tasks in Korean textbooks are present independently with lesson objectives of the chapters and practices, while those in MMH are systematically developed.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systemize the textbooks` way of presenting writing tasks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By organizing the writing materials and thus developing diverse materials, and by implementing extensive cognitive process in the writing activities, textbooks will be able to contribute in attracting the students` interests and in improving their scientific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