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rt Teachers in Collaboration between Art Museum and School

        강주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8 미술교육연구논총 Vol.24 No.-

        Art museums have transformed from object-centered to visitor- centered institution in order to engage more general public. As a response to this change, art museums provides an education program as a community service to facilitate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for various audiences. Thus, art museums began to be considered as an art classroom, not just preservatory of art resources. Education department of the museum came to work closely with art teachers in the schools in order to originate, innovate, and develop museum education for students’ needs as well as museum collections. In fact, museum has a long and highly successful history of collaboration wi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Collaboration can enhance the ability of each participant and provides a unified, focused mechanism for achieving individual goals of museum and school. This paper will review the art museum/school relationship and define a teacher as an essential factor for the successful collaboration. Then, I will examine education programs of Florida State University Museum of Fine Art with some implications.

      • KCI등재

        박물관 모바일 러닝 분석에 기반한 학교 모바일 러닝 활성화 방안: 학교-박물관 연계 모바일 러닝 모형

        강인애 ( Inae Kang ),이소현 ( Sohyun Lee ),손정은 ( Jungeun Sho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1

        무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테크놀로지의 발전은 일상생활 뿐 아니라 교육 분야에도 큰 영향을 주어 모바일 러닝(mobile learning)이라는 새로운 교육환경으로 이어지고 있다. 주목할 사항은 모바일 러닝의 특성이 학교 교육환경에서보다는 오히려 비형식교육환경에 더 적합하다는 전제에 맞게, 현재 국내외 박물관에서 모바일 러닝이 활발하게 적용, 연구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및 사례분석에 기반하여 학교 모바일 러닝의 활성화 방안의 하나로 학교-박물관 연계 모바일 러닝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모바일 러닝은 모바일 기술 및 기기 활용을 전제로 이동성, 개별성, 상호작용성, 맥락성의 특징을 가진다. 박물관 모바일 러닝에서도 이러한 특징이 뚜렷이 보이는데 이를 기술적 측면과 페다고지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박물관 모바일 러닝은 BYOD의 활용과 함께 더욱 강화된 개별적 학습환경, 가상박물관과 연계한 멀티플랫폼 활용, 전시물 연계 다양한 디지털 테크놀로지 접목을 통한 참여적 학습환경 등의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박물관 모바일 러닝에서 이루어지는 특성(BYOD, 가상 박물관, 전시물)을 학교에서 적극 수용, 활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모바일 러닝, 곧 `학교-박물관 연계 모바일 러닝 모형`을 도출하였다. Mobile learning has become a new learning environment along with the advent of wireless internet and innovative mobile technologies. Noticed is that the features of mobile learning are more adaptable to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 than school setting, and in fact, both domestic and overseas museums have actively practiced mobile learning in diverse patterns and forms since early 2000s, whereas mobile learning in school has been, relatively, slow and limited in implementing due to several barriers. In this context, this study, first, conducted literature review on museum mobile learning, from which, then, presented was a school-museum collaborated mobile learning approach as a strategy for active practice of mobile learning in school. While museum mobile learning shared some features of mobility, individuality, interactivity, and contextuality with mobile learning in school, this study, however, focusing on differences, extracted three keywords of BYOD, virtual museum, and museum (digital) objects, as distinctive features of the museum mobile learning. Finally, combined with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museum mobile learning, `a school-museum collaborated mobile learning model` was proposed in this study as a framework for sustainable mobile learning in school, which is expected to overcome several challenges the school mobile learning have to deal with, and at the same time, satisfy the social needs of the Digital Age.

      • KCI등재

        플립트 뮤지엄(Flipped Museum)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강인애,장진혜,구민경 한국조형교육학회 2017 造形敎育 Vol.0 No.61

        Concerns on school-museum partnership have been practiced in many museums for a long time. Current practices of school-museum partnership, however, include several problems occurred due to the lack of systematic partnership between two organizations. Flipped museum in this study, then,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model of school-museum partnership proper for the digital age. Flipped museum, basically borrowing main factors of flipped learning( i.e., use of video or digital resources for preliminary learning), is an alternative model of school-museum collaborative learning consisted of three stages of learning (pre-learning at school, visit at museum, and post-learning at school) with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flipped museum as a new approach of school-museum partnership, this study developed a case study of the flipped museum program including two organizations(an elementary school with 20 5th graders and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nd then examined if the model can overcome the problems the current school-museum collaborative programs have confronted with. After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from observation notes of the researchers, deep interviews with teacher, curator, and the students, and their reflective journal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first, meaningfully positive learning effects from the students after their participation in the flipped museum program, and secondly, presented specific roles and requirements needed in each stage of the flipped museum program. In a word, the flipped museum can be considered useful as an alternative model of school-museum collaborative partnership utilizing th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needed in the digital age. 박물관은 전시물을 통한 풍부한 학습자원을 보유한 학교교육의 대안적 학습 공간으로 평가되었다. 이로 인해 학교․박물관 연계교육은 오래전부터 시행되어왔다. 그러나 이전 학교․박물관 연계교육은 학교와 박물관의 파트너십 부재, 학습시간의 제약으로 인해 다양한 문제점이 지적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 플립트 러닝(Flipped Learning)의 핵심적 요소를 활용하여, 학교에서의 사전학습, 박물관에서의 본 학습, 학교에서의 사후학습의 3단계를 활용한 학교‧박물관 연계교육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본 연구에서는 플립트 뮤지엄(Flipped Museum)이라 칭하면서 실지로 서울시 K초등학교 5학년 한 학급(20명)을 대상으로 하여 국립민속박물관과 연계한 사례를 개발 및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첫째, 플립트 뮤지엄 프로그램은 어떤 모습인지를 제시하고, 둘째, 본 프로그램 적용 후, 여러 질적 자료수집과 분석을 통해 이전에 학교‧박물관 연계교육이 지녔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플립트 뮤지엄은 박물관교육이 지닌 장점을 제대로 반영하면서, 진정한 의미에서 학교와 박물관간의 협력적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일본에서 지역사회 학습거점으로서 박물관의 역할 변화

        남경희(Nam, Kyong HEui),이정희(Lee, Jung Hi)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3 사회과교육 Vol.52 No.1

        일본에서 박물관과 학교와의 연계ㆍ융합은 교육기본법, 문부과학성의 박물관과 관련한 각종 심의회의 답신, 박물관법, 학습지도요령 등을 통하여 지원되면서 박물관과 학교의 쌍방향적 활동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일본의 박물관과 학교교육과의 연계ㆍ융합의 특징은 네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박물관과학교 교육과의 연계를 위한 다각적 노력 둘째, 박물관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전문화하여 다양한 층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 셋째, 학생들에게 풍부한 체험과 학습의 장을 제공하기 위하여 학교교육과정과 학교에서 필요로 하는 요소를 이해하려는 박물관 측의 노력 넷째, 학습의 장의 이원화, 교사의 다원화, 학습 교재의 다원화를 위한 학교 측의 노력이다. 이런 점에서 일본의 박물관의 역할은 첫째, 박물관의 다양한 전시물은 교재로서 ‘또 하나의 교과서’로 둘째, 학예원과 각 분야의 전문가들은 학생들에게 ‘또 한명의 선생님’으로 셋째, 박물관이라는 공간에서 학습함으로써 학습 내용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내용을 보다 깊게 이해할 수 있는 ‘또 하나의 교실’로 정리된다. 결론적으로, 일본의 박물관과 학교교육과의 연계ㆍ융합은 학습 공간과 안목을 지역과 사회로 확대한다는 점에서 지역교육력의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Collaboration and fusion between museums and school education in Japan has progressed in the direction of museums and schools with interactive activities by the assistance of the educational fundamental laws, reports about museums from MECSST’s councils and the museums laws as well as the course of study. We can summarize four factor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on and fusion between museums and school education. First, Japanese are struggling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education and museums. Second, they maintain an effort to meet the needs of various divisions by verifying and specializing museum’s programs. Third, the museums are trying to understand school curriculum and the factors needed to supply plenty of experience and the place of learning for students. Fourth, the schools attempt to dualize the place of learning as well as the diversification of teachers and learning materials. Japanese museums play three roles. First, a variety of exhibitions in the museums are the ‘other textbooks’ to be used as learning materials. Second, curators and specialists are the ‘other teachers’ for students. Third, the museums are the ‘other classrooms’ for students as places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ir interests and nice places to capture their attention. Collaboration and fusion between museums and school education in Japan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local learning competence by broadening students’ learning space with views for the local community and society.

      • KCI등재후보

        중학교 자유학기제 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학교연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정회숙(Hoisook Jeong),장광집(Kwang Chib Chang)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16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19 No.2

        2009년 개정 7차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진로탐색 교육을중요시하는 분위기가 점차 형성되고 있다. 자유학기제는청소년들의 꿈과 끼를 찾아주는 학생 참여 유형의 교육과정으로, 진로탐색 활동을 포함한 다양한 체험활동을운영하는 제도이다. 미술관은 그 개념 자체에 ‘교육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교육과 동일한 맥락을 가지고 있는데, 최근에는 미술관 그 자체로서 교육기관의 역할을 수행하기때문에 미술관의 교육적 역할과 성격이 확장되고 다변화되어 공공교육 및 평생학습의 장으로 점차 진화하고 있다. 따라서 미술관과 같은 전문적인 기관을 탐구 및 분석한 데이터를 현재 학교 미술교육 현장에 적용시켜 초중고 전반에 걸친 진로탐색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본 연구는 중학교 한 학급의 인원을 대상으로 실제적인학교연계 프로그램을 보유한 미술관 중 국립현대미술관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중등 미술 진로교육과의 연관된 맥락을 파악하고, 자유학기제 취지에 맞는 국립현대미술관의 교수-학습 및 계획 수립 방법을 분석하여 미술기관과 교육 현장의 연계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In the 7th art curriculum that was revised in 2009, atmosphere that education and career exploration are important gradually formed. Free semester system is a type of student participation training course. This particular system helps find the dreams and talents of teenaged students. Also, it operates a variety of experiential activities, including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Museum and public education has the same context that implies 'educational' of the concept itself. In recent years, in order to perform the role of an educational institution, the educational role and the diversifying personality of the museum has been extended, the museum itself is gradually evolving as an educational venue where public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takes place. therefore, the data analyzed and studied by the specialized agencies, such as the art museum, should be applied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This data will help the overall school career exploration. In this study, I analyzed a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s junior high school Free Semester System. By understanding the relevant context of the secondary art career education, for purpose of Free semester system, I want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junior high school education program cooperating with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s Junior high school education by analyzing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s planning and learning method.

      • KCI등재

        디지털 박물관 활용을 통한 학교 학습공간의 변혁적 확장

        홍혜주(Hyeju HONG),강인애(Inae KANG),이소현(Sohyun LEE) 한국조형교육학회 2019 造形敎育 Vol.0 No.69

        박물관은 전시물을 중심으로 한 탐구학습, 실생활과의 맥락적 학습, 자기주도적 학습, 협력적 학습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학교 환경에 비해 새로운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도입과 활용 면에서 앞서가고 있다. 이로 인해 이전부터 논의되어 오던 박물관과 학교 연계의 교육모형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 맞게 새롭게 진화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에 서는 혁신적 디지털 테크놀로지(예를 들어, VR, 위치기반 기술, BYOD 등)를 활용한 국내외 박물관 사례들을 살펴보고 이것 을 학교 현장에도 연계하여, 학교교육의 페다고지적 변혁과 더불어 학습공간(learning space)의 물리적(physical) 측면에 서의 변혁적 확장 방안을 모색하였다. 디지털 박물관을 통한 학교교육의 학습 공간적 확장 방안으로 첫째, 학교 학습공간 안에서 온라인 박물관과의 연계를 통한 학습공간의 확장, 둘째, 학교에서 물리적 박물관 방문을 통한 학습공간의 확장, 셋째, 온라인 박물관과 물리적 박물관의 혼합 을 통한 학습공간의 확장으로 제안하였다. 더 나아가 학습공간 측면에서 학교라는 형식교육기관의 물리적 공간을 넘어 비형 식 교육기관과의 물리적, 페다고지적으로 융합된 관계로 확장되어야 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Museum is a good place to practice inquiry-based learning using exhibits, contextual learning related with real life, self-directed learn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Beyond that, early adaption and implementation of IT use in museum education seems to be far ahead of schools. As a result, an new version of ‘museum and school partnership’ which has been practiced previously, seems proper as a model fit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first, how museums are using a variety of innovative digital technologies in educational situations and then, suggest a model for museum and school partnership by linking museum’s technologies with school environment. This, ultimately, might lead to a transformative learning environment which expands learning space in both real and digital spaces and pedagogical practices as well.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that collaboration with digital museums and school becomes a new approach in converging formal education with in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erms of physical and pedagogical expansion, which is followed by transformative learning environments suitable for the current society.

      • KCI등재

        미술관과 학교의 협업 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웩스너 센터의 페이지스를 중심으로

        김수진(Kim Su Ji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8 美術敎育論叢 Vol.3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관과 학교의 교육적인 접점을 확장시키기 위한 하나의예시로 미술관이 어떻게 미술을 가르치지 않는 학교 교사들과 협업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대표 사례로 미국 오하이오 주에 위치한 웩스너 센터에서 주관하는페이지스라는 프로그램을 연구하였다. 전통적으로 미술관 교육의 형식은 일방적인일회성 미술사 강의나 정해진 절차에 따라 미술품을 제작하는 것으로 미술관에서학교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페이지스의 경우 이와는 다르게 미술을 가르치지않는 학교 교사, 예술 강사, 미술관 에듀케이터의 협업을 통해 공연, 시각, 미디어 세장르의 예술 작품을 학생들과 깊이 있게 탐구하고 개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함께형성해나간다. 연구 방법론으로 구성주의를 기반으로 한 질적 사례 연구가 채택되었으며, 직접 관찰, 인터뷰, 비간섭적 측정을 데이터 수집 방안으로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주제적 분석에 따른 사례의 자세한 기술 및 사례의 시사점을 논하였다. 미술관 에듀케이터가 미술을 가르치지 않는 교사들과 장기간에 걸쳐 다중방문 프로그램을 위해 함께 일할 경우, 미술관 교육과 미술교과가 아닌 학교 교육과정 양쪽에 모두 도움이 되는 개별화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 및 실행할 수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사례는 미술관 교육의 가능성을 넓히는데 기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expand the possibility of relationships between art museums and schools. As a case, this study examines how an art museum works with school teachers who do not teach visual art. Pages at the Wexner Center for the Arts was chosen as a single case for this research. Traditionally, art museum education is commonly done in the styles of art history lecture or studio practices. Most of the times, they are done in single-visit programs. Pages is a multi-visit, multidisciplinary program and it is enacted through the collaboration among the museum educator, teaching artists, and school teachers who do not teach visual art. Students are prompted to deeply engage in three works of art - performing art, visual art, and media art. The program aims to individualize the program adapted to each classroom. Constructivism-based qualitative case study research was applied as a methodology. I utilized direct observation, in-depth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obtrusive measures as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 thick descriptions of the case as well as implications of the case. Ultimately, Pages has broadened the role of art museum education in relation to schools.

      • KCI등재

        국내 미술관교육 연구 현황 및 동향 탐색

        심효진,정옥희 한국조형교육학회 2014 造形敎育 Vol.0 No.52

        Comparing the history of the study of art museum education in Western countries, Korea has a short history of the study. Nonetheless, Korean art museums has made an effort to develop educational veneer according to their unique circumstances in the specific situations. In the present state, it is a appropriate time to review the historical trend of the study related to art museum education. This article investigates how the study of art museum education have conducted in Korean in order to find a developing direction toward art museum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re are three implications for a fundamental data for the direction. First, the recent trend of the study is related to the governmental policies promoting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cultivating creative human resources. Second, the creasing number of the study is influenced by the establishment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he major of art museum education. Third, the sustaining increase of the study results from people’s own initiatives as well as the governmental policies. Forth, the study subject areas are narrow through the key words of the theses and the academic articles. Finally, the most important implication is that the study of art museum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in terms of the cultural for promoting the positive changes of all visitors’ attitudes, interests and awareness of the role of art museums, as well as in the light of aesthetics and education. 서구 선진국의 미술관교육의 역사에 비해 그리 오래되지 않은 한국의 미술관교육의 발전적방향 모색을 위해 독특한 맥락과 상황에서 그간의 연구 동향을 탐색해야 할 시점이다. 이 연구는 국내 미술관교육관련 연구 동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미술관교육 연구 동향들은 최근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국가 발전의 화두로서 추진되는 문화예술교육정책에 밀접한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미술관교육관련 학위논문 수가 증가한 것은 교육대학원이 증설되고, 대학원에 미술관/박물관 관련 학과들이 생겨난 이유라고 할 수 있으며 교육과정의 개편에 따른 영향이 크다. 셋째, 학위논문에비해서 학술지 논문이 좀 더 개선방안이나 감상교육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것은 미술관 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인식이 정부의 정책적 이유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으로 국민들과 교육자들의 자발적인 노력이 있어왔다는 점이다. 넷째, 미술관교육의 기능에 대한 관점이 추출된 연구 논문 주제어 검색별 연구 분포 수를 통해 다소 협소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교교육과 연계하거나 학생들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정짓는 연구들만이아니라 사회배려대상자들, 장애인, 노인 등 교육대상자 중 문화 소외계층을 아우르는 폭 넓은대상을 위한 미술관 교육에 대한 연구들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국내의 미술관 교육 연구동향 고찰은 미술관 교육이 기존의 미학적 입장과 교육적 입장을 너머서는 문화의 긍정적인 변화의 촉매로서 관람객의 흥미, 태도, 인식 등이 문화적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 학교와 박물관 연계 활성화를 위한 이론적 분석 : STEAM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중심으로

        강인애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12 박물관교육연구 Vol.- No.8

        학교와 박물관 연계는 오래전부터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최근 교육개혁을 위한 정책으로서 제시된 STEAM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중심으로 한 두 기관간의 협력적 관계는 박물관에서의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대하여 좀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이론적 이해와 분석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각각의 정책에서 목표와 특징으로 제시한 내용을 박물관 교육의 특징과 매칭시켜 비교 분석해보았을 때, 다시 한번 박물관교육이 융합적 사고와 창의. 인성을 함양시키기에 매우 적합한 교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좀더 많은 우수한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함으로서 궁극적으로 박물관교육 담당자의 전문성 제고는 물론이고 교사와 학부모, 나아가 사회 전반에서 박물관교육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 제고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해야한다. * 교신저자 : 강인애, 경희대학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