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외선이 조사된 HM3KO세포의 멜라닌과 nitric oxide 생성에 대한 rutin의 효과

        이승연(Seung Youn Lee),김영목(Yeong Mok Kim),이재규(Jai Kyoo Lee),유수진(Su Jin Yoo),문연자(Yeun Ja Mun),우원홍(Won Hong Woo) 대한해부학회 2003 Anatomy & Cell Biology Vol.36 No.1

        자외선은 사람 피부에서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키는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ultraviolet B (UVB)에 의한 피부 색소침착에 nitric oxide (NO)가 관여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Rutin은 야채나 과일 등의 식물체에 널리 분포된 flavonoid로서, 항바이러스, 항산화효과가 보고되어 본 연구에서 UVB-유도 멜라닌 생성과 NO 생성에 대한 rutin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UVB 조사에 의하여 HM3KO세포에서 멜라닌양과 멜라닌 생성에 관련된 tyrosinase 효소의 활성이 증가되었고, rutin은 UVB에 의해 증가된 멜라닌과 tyrosinase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와 더불어 UVB 조사에 의하여 HM3KO세포에서 NO 생성이 증가되었으며, rutin은 농도 의존적으로 이를 억제하였고, UVB에 의해 감소된 세포증식을 회복시켰다. 또한 exogenous NO donor (sodium nitroprusside, SNP)에 의해서도 HM3KO세포의 멜라닌 생성이 증가되었으며, rutin은 효과적으로 이를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 rutin은 UVB 조사에 의하여 촉진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이는 rutin이 UVB에 의해 증가된 NO 생 성을 억제함으로서 부분적으로 멜라닌 생성조절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Ultraviolet (UV) radiation is the main physiological stimulus for human skin pigmentation. Recently, nitric oxide (NO) have been involved in mediation of skin pigmentation induced by UVB. Rutin, a flavonoid of vegetables and fruits, has antivir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rutin on UVB-induced melanogenesis and NO production in HM3KO cells.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UVB-irradiation stimulated melanin content and tyrosinase activity in HM3KO cells. Rutin suppressed UVB-stimulated total melanin content and tyrosinase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Additionally, we showed that UVB-irradiation stimulated NO production in HM3KO cells. Rutin also suppressed UVB-induced NO production and repaired reduction of cell proliferation by UVB. UVB stimulation of melanogenesis was mimicked by exogenous NO donor (sodium nitroprusside, SNP), and rutin effectively suppressed it. Therefore, we concluded that rutin suppressed UVB-stimulated melanogenesis and that it is involved in melanogenesis regulation partially through the suppression of UVB-induced NO production.

      • KCI등재후보

        Rutin alleviated lipopolysaccharide-induced damage in goat rumen epithelial cells

        Zhan Jinshun,Gu Zhiyong,Wang Haibo,Liu Yuhang,Wu Yanping,Huo Junhong 아세아·태평양축산학회 2024 Animal Bioscience Vol.37 No.2

        Objective: Rutin, also called vitamin P, is a flavonoids from plants. Previous studies have indicated that rutin can alleviate the injury of tissues and cells by inhibiting oxidative stress and ameliorating inflammation. There is no report on the protective effects of rutin on goat rumen epithelial cells (GRECs) at present. Hence, we investigated whether rutin can alleviate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damage in GRECs. Methods: GRECs were cultured in basal medium or basal medium containing 1 μg/mL LPS, or 1 μg/mL LPS and 20 μg/mL rutin. Six replicates were performed for each group. After 3-h culture, the GRECs were harvested to detect the relevant parameters. Results: Rutin significantly enhanced the cell activity (p<0.05) and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TEER) (p<0.01) and significantly reduced the apoptosis rate (p<0.05) of LPSinduced GRECs. Rutin significantly increased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catalase activity (p<0.01) and significantly decreased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y and reactive oxygen species and malondialdehyde (MDA) levels in LPS-induced GRECs (p<0.01). The mRNA and protein levels of interleukin 6 (IL-6), IL-1β, and C-X-C motif chemokine ligand 8 (CXCL8) and the mRNA level of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and chemokine C-C motif ligand 5 (CCL5)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LPS-induced GRECs (p<0.05 or p<0.01), while rutin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mRNA and protein levels of IL-6, TNF-α, and CXCL8 in LPS-induced GRECs (p<0.05 or p<0.01). The mRNA level of toll-like receptor 2 (TLR2), and the mRNA and protein levels of TLR4 and nuclear factor κB (NF-κB)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LPS-induced GRECs (p<0.05 or p<0.01), whereas rutin supplementation could significantly reduce the mRNA and protein levels of TLR4 (p<0.05 or p<0.01). In addition, rutin had a tendency of decreasing the protein levels of CXCL6, NF-κB, and inhibitor of nuclear factor kappa-B alpha (0.05< p<0.10). Rutin could significantly decreased interferon regulatory factor 3 mRNA expression in LPS-induced GRECs (p<0.05), whereas interferon induced protein with tetratricopeptide repeats 3 (IFIT3) and toll-interacting protein (TOLLIP) mRNA express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LPS reduced the tight junction protein zonula occludin 1 (ZO-1) level in GRECs whereas rutin enhanced it. Rutin significantly improved tight junction protein Claudin-1 mRNA expression in LPS-induced GRECs (p<0.01), but could not affect tight junction protein Occludin mRNA expression. Conclusion: Rutin alleviated LPS-induced barrier damage in GRECs by improving oxidation resistanc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which may be related to TLR/NF-κB signaling pathway inhibition.

      • Effects of Quercetin and Rutin Fe^(2+) and H_2O_2-induced Degradation of Hyaluronic Acid

        Kim, Hyun-Ho,Shin, Yong-Kyoo,Lee, Chung-Soo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연구소 1993 中央醫大誌 Vol.18 No.2

        Flavonoid는 주어진 조건에 따라 항산화 능력과 산화성 조직 손상을 자극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와 함게 생체내에서 산화성 조직 손상에 대한 그들의 작용은 분명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Fe^2+와 H_2O_2에 의한 hyaluronic acid의 변성에 나타내는 quercetin과 rutin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Fe^+2와 H_2O_2의 상호 작용에 따른 OH 생성에 대한 quercetin과 rutin의 영향을 조사 하였다. Hyaluronic acid의 점성도는 Fe^2와 H^2O^2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감소하였다. Fe^2+와 H_2O_2에 의한 hyaluronic acid의 변성은 SOD, catalase, DMSO, DABCO, DETAPAC과 EDTA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Quercetin은 유의하게 Fe^2와 H_2O_2의 변성 작용을 용량에 따라 촉진시켰으나 이에 반하여 rutin은 억제하였다. KCN에 의한 quercetin과 rutin의 산화는 ferricytochrome c의 환원을 초래하였으며, 이는 SOD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Fe^+2와 H_2O_2의 존재하에서 OH 생성은 quercetin에 의하여 촉진되었으나 rutin, DMSO와 sodium formate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quercetin과 rutin은 반응성 산소 대사물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Fe^+2와 H^2O^2에 의한 hyaluronic acid의 변성에 서로 다른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 반응에서 quercetin은 산화성 조직손상을 자극하는 물질로서 그리고 rutin은 항산화 물질로서 작용할 것으로 추정된다. Flavonoids are reported to have both antioxidant and pro-oxidant properties according to a given conditions. In addition, their actions on the oxidative tissue injuries in vivo are uncertain. In the present study, effects of flavonoids quercetin and rutin on Fe^2+ and H_2O_2-induced degradation of hyaluronic acid were investigated. Effects of quercetin and rutin on the production of hydroxyl radical from the interaction of Fe^2+ with H_2O_2 were examined. Viscosity of hyaluronic acid was effectively decreased by Fe^2+ and H_2O_2 Fe^2+ and H_2O_2 -induced degradation of hyaluronic acid was inhibited by SOD, catalase, DMSO, DABCO, DETAPAC and EDTA. Quercetin significantly promoted the dependent fashion, whereas rutin inhibited it. KCN-induced oxidations of quercetin and rutin caused the reduction of ferricytochrome c, which was inhibited by SOD. OH. production in the presence of Fe^2 and H_2O_2 was promoted by quercetin but inhibited by rutin, DMSO and sodium forma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quercetin and rutin show a different effect on the degradation of hyaluronic acid induced by Fe^2+ and H_2O_2, which is responsible for reactive oxygen species. In this reaction quercetin may act as the pro-oxidant, whereas rutin act as the anti oxidant.

      • Inhibitory Actions of Quercetin and Rutin on $Fe^{2+}-induced$ Lipid Peroxidation

        정진희,이정수,신용규,이광수,Chung, Jin-Hee,Lee, Chung-Soo,Shin, Yong-Kyoo,Lee, Kwang-Soo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logy 1991 대한약리학잡지 Vol.27 No.1

        Iron(II)에 의한 마이크로좀의 지질 과산화에 미치는 quercetin과 rutin의 억제 효과를 iron의 산화중에서 생성되는 산소 라디칼에 대한 제거 작용과 iron에 대한 킬레이트 작용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Fe^{2+}$ 단독에 의한 지질 과산화는 quercetin 또는 rutin에 의하여 용량에 따라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Fe^{2+}$의 존재하에서 ascorbate또는 NADPH에 의한 지질 과산화는 quercetin과 rutin에 의하여 거의 완전히 억제되었다. $Fe^{2+}$의 과산화 작용은 SOD와 DABCO에 의하여 억제되었고 catalase, DMSO와 mannitol에 의하여 약간 억제되었다. Quercetin과 rutin은 DETAPAC에 반응하는 $Fe^{2+}$의 산화를 억제하였고 반응초기에 유의한 킬레이트 효과를 나타내었다. Quercetin과 rutin은 효과적으로 $H_{2}O_{2}$에 의한 지질 과산화를 억제하였으며 $H_{2}O_{2}$를 분해하였다. $Fe^{2+}$의 존재하에서 $OH{\cdot}$의 생성과 U.V. 조사에 의한 $^1O_2$의 생성은 모두 quercetin과 rutin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Cd^{2+},\;Cu^{2+},\;Ni^{2+},\;Pb^{2+}$와 $Zn^{2+}$에 의한 지질 과산화는 quercetin에 의하여 거의 완전하게 억제 되었다. Quercetin과 rutin은 $Fe^{2+}$에 의한 sulfhydryl기의 손실을 유의하게 저해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scorbate와 NADPH가 있거나 없는 상태에서 $Fe^{2+}$의 과산화 작용에 대한 quercetin과 rutin의 억제 효과는 그들의 반응성 산소 대사물에 대한 제거 작용과 iron에 대한 킬레이트 작용에 기인하였을 것으로 시사된다. Inhibitory effects of quercetin and rutin on lipid peroxidation of microsomes caused by iron(II) we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he scavenging action for oxygen radicals produced during oxidation of iron and the chelating action for iron. Lipid peroxidation by $Fe^{2+}$ alone was markedly inhibited by quercetin or rutin in a dose dependent fashion. Lipid peroxidation by ascorbate or NADPH in the presence of $Fe^{2+}$ was almost completely inhibited by both quercetin and rutin. The peroxidative action of $Fe^{2+}$ was inhibited by SOD and DABCO and slightly inhibited by catalase, DMSO and mannitol. Quercetin and rutin inhibited oxidation of $Fe^{2+}$ which is responsible for DETAPAC and they showed a significant initial chelating effect. Quercetin and rutin effectively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by $H_{2}O_{2}$ and decomposed $H_{2}O_{2}$. Both $OH{\cdot}$ production in the presence of $Fe^{2+}$ and $^1O_2$ production by U.V. irradiation were inhibited by quercetin and rutin. Lipid peroxidations by $Cd^{2+},\;Cu^{2+},\;Ni^{2+},\;Pb^{2+}$ and $Zn^{2+}$ were almost completely inhibited by quercetin. Quercetin and rutin significantly prevented the loss of sulfhydryl groups by $Fe^{2+}$.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hibitory effects of quercetin and rutin on the peroxidative action of $Fe^{2+}$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scorbate and NADPH may be attributable to their scavenging action on reactive oxygen species and chelating action on iron.

      • Fe<sup>2+</sup>에 의한 지질 과산화에 있어서 Quercetin과 Rutin의 억제 작용

        정진희(Jin-Hee Chung),이정수(Chung-Soo Lee),신용규(Yong-Kyoo Shin),이광수(Kwang-Soo Lee) 대한약리학회 1991 대한약리학잡지 Vol.27 No.1

        Iron(II)에 의한 마이크로좀의 지질 과산화에 미치는 quercetin과 rutin의 억제 효과를 iron의 산화중에서 생성되는 산소 라디칼에 대한 제거 작용과 iron에 대한 킬레이트 작용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Fe<sup>2+</sup> 단독에 의한 지질 과산화는 quercetin 또는 rutin에 의하여 용량에 따라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Fe<sup>2+</sup>의 존재하에서 ascorbate또는 NADPH에 의한 지질 과산화는 quercetin과 rutin에 의하여 거의 완전히 억제되었다. Fe<sup>2+</sup>의 과산화 작용은 SOD와 DABCO에 의하여 억제되었고 catalase, DMSO와 mannitol에 의하여 약간 억제되었다. Quercetin과 rutin은 DETAPAC에 반응하는 Fe<sup>2+</sup>의 산화를 억제하였고 반응초기에 유의한 킬레이트 효과를 나타내었다. Quercetin과 rutin은 효과적으로 H<sub>2</sub>O<sub>2</sub>에 의한 지질 과산화를 억제하였으며 H<sub>2</sub>O<sub>2</sub>를 분해하였다. Fe<sup>2+</sup>의 존재하에서 OH⋅의 생성과 U.V. 조사에 의한 <sup>1</sup>O<sub>2</sub>의 생성은 모두 quercetin과 rutin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Cd<sup>2+</sup>, Cu<sup>2+</sup>, Ni<sup>2+</sup>, Pb<sup>2+</sup>와 Zn<sup>2+</sup>에 의한 지질 과산화는 quercetin에 의하여 거의 완전하게 억제 되었다. Quercetin과 rutin은 Fe<sup>2+</sup>에 의한 sulfhydryl기의 손실을 유의하게 저해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scorbate와 NADPH가 있거나 없는 상태에서 Fe<sup>2+</sup>의 과산화 작용에 대한 quercetin과 rutin의 억제 효과는 그들의 반응성 산소 대사물에 대한 제거 작용과 iron에 대한 킬레이트 작용에 기인하였을 것으로 시사된다. Inhibitory effects of quercetin and rutin on lipid peroxidation of microsomes caused by iron(II) we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he scavenging action for oxygen radicals produced during oxidation of iron and the chelating action for iron. Lipid peroxidation by Fe<sup>2+</sup> alone was markedly inhibited by quercetin or rutin in a dose dependent fashion. Lipid peroxidation by ascorbate or NADPH in the presence of Fe<sup>2+</sup> was almost completely inhibited by both quercetin and rutin. The peroxidative action of Fe<sup>2+</sup> was inhibited by SOD and DABCO and slightly inhibited by catalase, DMSO and mannitol. Quercetin and rutin inhibited oxidation of Fe<sup>2+</sup> which is responsible for DETAPAC and they showed a significant initial chelating effect. Quercetin and rutin effectively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by H<sub>2</sub>O<sub>2</sub> and decomposed H<sub>2</sub>O<sub>2</sub>. Both OH⋅ production in the presence of Fe<sup>2+</sup> and <sup>1</sup>O<sub>2</sub> production by U.V. irradiation were inhibited by quercetin and rutin. Lipid peroxidations by Cd<sup>2+</sup>, Cu<sup>2+</sup>, Ni<sup>2+</sup>, Pb<sup>2+</sup> and Zn<sup>2+</sup> were almost completely inhibited by quercetin. Quercetin and rutin significantly prevented the loss of sulfhydryl groups by Fe<sup>2+</s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hibitory effects of quercetin and rutin on the peroxidative action of Fe<sup>2+</sup>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scorbate and NADPH may be attributable to their scavenging action on reactive oxygen species and chelating action on iron.

      • KCI등재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타타리메밀싹에서 플라보노이드 추출 최적화

        신지영(Jiyoung Shin),최이슬(Iseul Choi),황진우(Jinwoo Hwang),양준호(Junho Yang),이윤형(Yoonhyeong Lee),김소이(So-i Kim),차은지(Eunji Cha),양지영(Ji-Young Yang) 한국생명과학회 2020 생명과학회지 Vol.30 No.12

        타타리메밀은 rutin, quercetin, kaempferol, myricetin 등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곡물이다. 또한, 이러한 생리활성 물질은 곡물을 발아시키고 싹으로 재배하였을 경우 증가하는 경향을 가지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반응표면분석법을 활용하여 재배한 타타리메밀싹으로부터 생리활성 물질인 플라보노이드, rutin, quercetin, myricetin의 추출 함량이 최대로 되는 최적추출조건을 도출하였다. Box-Behnken design에 따라 함량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독립변수로 추출온도(X₁, 50~70℃), 추출시간(X₂, 5~9 hr), 에탄올의 농도(X₃, 60~90%)를 설정하였고, 종속변수로는 rutin, quercetin, myricetin 각각의 함량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함량에 대한 모델식의 R²은 0.95 이상으로 유의성을 가져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적합성 결여 test에서의 p-value가 모두 0.1 이상을 나타내어 유의성이 기각되었고, 이는 모델이 추출조건을 잘 설명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최적화된 추출 방법은 추출온도 51.03℃에서 6.62시간 동안 69.16%의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었다. 최적 조건에서의 예측된 rutin, quercetin, myricetin의 함량은 각각 808.467, 193.296, 37.361 μg/ml이었다. 예상된 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최적화된 추출조건을 이용하여 10회 추출을 진행한 결과, rutin, quercetin, myricetin 함량이 각각 802.84±8.49 μg/ml, 193.76±2.80 μg/ml, 34.84±0.43 μg/ml으로 측정되었다 rutin과 quercetin는 예측치와 실험치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myricetin의 경우에는 예상된 값에 조금 미치지 못하는 값이 측정되었다. Tartary buckwheat is a grain with many flavonoids, such as rutin, quercetin, kaempferol, and myricetin. This study aimed to optimize extraction conditions to maximize the rutin, quercetin, and myricetin contents of tartary buckwheat sprout extract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 Box-Behnken design containing 15 experiments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extraction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X1, 50~70℃), extraction time (X₂, 5~9 hr), and ethanol concentration (X₃, 60~90%).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R²) for all the dependent variables (extraction temperature, extraction time, and extraction ethanol concentration) were determined to be over 0.95, indicating significance. The p-value of the model in lack of fit was over 0.1 than means, indicating that the model was well predicted.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for rutin, quercetin, and myricetin contents were obtained at X₁ = 51.03, X₂ = 6.62, and X₃ = 69.16, respectively. Under these optimal conditions, the predicted rutin, quercetin, and myricetin contents were 808.467 μg/ml, 193.296 μg/ml, and 37.360 μg/ml, respectively. For the validation of the model, ten experiments were performed and the experimental rutin and quercetin contents were measured at 802.84±8.49 μg/ml, 193.76±2.80 μg/ml, and 34.84±0.43 μg/ml,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rutin and quercetin contents were similar to the predicted contents, but the experimental myricetin content was lower than predicted.

      • KCI등재

        Enhanced skin delivery and characterization of rutin-loaded ethosomes

        Soo Nam Park,Hye Jin Lee,Hyun A Gu 한국화학공학회 2014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Vol.31 No.3

        We formulated rutin-loaded ethosomes and compared their vesicle size, loading efficiency, stability, andelasticity. In addition, an in vitro skin penetration experiment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ethosomes loaded with 0.005-0.03% rutin were stable during the four-week study period. Among them, those loadedwith 0.03% rutin showed a vesicle size (190.20±14.57 nm) and loading efficiency (73.77%±0.01%). Therefore, thein vitro skin penetration experiment was performed using 0.03% rutin-loaded ethosome. Compared to an ethanolicsolution of rutin (44.16%), rutin-loaded liposome (37.80%), and a distilled water (DW) solution of rutin (18.31%),rutin-loaded ethosome (93.31 μg; 61.30%) was superior in delivering rutin. Therefore, we suggest that ethosome loadedwith 0.03% rutin enhance the skin penetration of rutin and may be used as a drug delivery system for natural cosmeticmaterials such as flavonoids.

      • KCI등재

        칠면초로부터 고순도 Rutin 및 Narcissin의 동시 분리 및 정제

        오규연(Gyu-Yeon Oh),조은서(Eun-Seo Cho),문제학(Jae-Hak Moon),전태일(Tae-Il Jeon),조정용(Jeong-Yong Cho) 한국차학회 2022 한국차학회지 Vol.28 No.2

        칠면초(Suaeda japonica)는 적색을 띠고 강한 항산화 페놀성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기호성 및 건강기능성을 증진된 블렌딩 차 제조를 위한 유용한 후보 식품소재 중 하나이다. Rutin과 narcissin은 칠면초에 함유된 다양한 페놀성 화합물들 중 다량 성분이면서 항산화, 항염증, 항균 및 항암 활성을 발휘하므로, 칠면초 및 그첨가 블렌딩 차의 지표성분으로 활용이 기대된다. 그러나 narcissin은 rutin에 비해 극히 일부식물에 미량으로 존재하고 있어 그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칠면초 지상부로부터 고순도의 rutin과 narcissin을 동시 분리 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먼저, 건조된 칠면초분말의 열수추출물에는 rutin과narcissin이 각각 59.2 ± 1.4 mg/100 g과 171.3 ± 2.1 mg/100 g으로 함유되어 있음을 ODS-HPLC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칠면초분말(50 g)의 열수추출물에 water-saturated n-butanol를 가하여 용매분획한 다음 얻어진 용매분획물(1.05 g)을 ODS-MPLC를 이용하여 rutin (27.6 mg)과 narcissin (79.9 mg)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두 화합물의순도는 99% 이상임을 LC-MS 및 1 H-NMR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또한 그 회수율은 91% 이상이었다. 이러한 분리 방법으로 칠면초로부터 분리된 narcissin과 rutin은 다양한 생리활성 평가와 더불어 칠면초 및 그 첨가블렌딩차를 비롯한 다양한 가공품의 품질관리를 위한 지표성분으로 활용이 기대된다. Suaeda japonica is a useful candidate food material for the manufacture of blended tea due to its red color and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Rutin and narcissin are the main antioxidative flavonoids in the aerial parts of S.japonica, and these compounds have been reported to hav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bacterial, and anticancer activities. However, compar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narcissin, which is present in small amounts in several plant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isolation method to obtain rutin and narcissin simultaneously in high purity from the aerial parts of S. japonica. The rutin and narcissin contents in the hot water extract of the aerial parts of S. japonica were 59.2 ± 1.3 mg/100 g and 171.3 ± 2.1 mg/100 g, respectively, as determined by ODS-HPLC. Briefly, the dried aerial parts (50 g) of S. japonica were extracted with hot water, and the filtrate obtained was extracted with water-saturated n-butanol (BuOH). The BuOH fraction was purified by medium-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sing an octadecylsilane column. The purities of the rutin (27.6 mg) and narcissin (79.9 mg) isolated both exceeded 99% by LC-MS and 1 H-NMR analysis, and their total recoveries were estimated to be > 91%.

      • KCI등재

        내독소로 유도된 급성폐손상에서 PLA2의 억제제인 Rutin의 효과

        김성은,이영만,박원학,Kim, Seong-Eun,Lee, Young-Man,Park, Won-Hark 한국현미경학회 2004 Applied microscopy Vol.34 No.1

        급성폐손상 중 가장 심한 형태인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의 원형으로 사용되는 패혈증 모델에서 $PLA_2$의 억제제로 알려진 flavonoid 계열의 rutin이 폐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해봄으로써 ARDS의 치료제로써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 결과 각 group간 폐장의 무게는 내독소 투여군이 대조군보다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rutin을 전처리한 군은 내독소 투여군과 비교하여 폐장의 무게가 감소하였다. 또, MPO, 폐포세척액(BALF)내 단백함량과 호중구의 수를 측정한 결과, 내독소를 투여한 군은 대조군보다 증가하였으나 rutin을 전처리한 군은 현저히 감소하였고, 조직학적 및 미세구조적 관찰에서도 내독소를 투여한 군에서 나타나는 혈관주위의 부종, 폐포강내의 호중구의 축적 및 무기폐, 폐포세포의 괴사와 lamellar body의 공포화 현상과 같은 전반적인 병리학적 소견이 감소하였다. 폐장내 산소기 형성의 관찰 결과, rutin 투여군에서는 내독소 군에 비해 cerrous perhydroxide granules이 감소함으로써 rutin에 의해 산소기의 형성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내독소에 의한 급성폐손상은 호중구의 활성화에 따른 산화적 스트레스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뿐만 아니라 $PLA_2$의 억제제인 rutin을 전처리함으로써 폐장의 손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는 점은 $PLA_2$가 호중구의 활성화에 매우 중요한 인자라고 생각되며, 기존의 사용되어지고 있는 ARDS의 치료법은 효과가 크지 않으므로 본 실험 결과 입증되어진 rutin은 앞으로 ARDS의 효과적인 치료제로써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사료된다.. 반면 selenium 용액을 비강점막에 직접 도포한 i.n 실험군에서는 i.p 실험군과 같이 후각점막에서 강한 AMG 반응이 관찰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반응이 기저막내 후각실의 주행을 따라 관찰되었다.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된 후각상피에서는 AMG 과립이 지지세포의 세포 상층부에서 관찰되는 분비과립에 국한되는 소견이며, 이곳에서 관찰된 AMG은 과립(silver grains)은 원형 또는 난원형으로 그 크기는 다양하였다. 반면 세포체 하부에서 관찰된 AMG grains은 주로 용해소체위에서 밀집되어 관찰되었으며, 핵주변부 및 세포사이공간(intercellular space)에서는 AMG grains이 낱개로 구분, 관찰되었다. 한편 i.n 실험군에서 관찰된 후각점막의 전반적인 구조가 손상된 소견을 보였으며, 지지세포의 위쪽에서는 전자밀도가 높고 간상의 crystalloid structure가 다수 관찰되었고, 이들 구조에 다수의 AMG 과립이 붙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랫드 후각점막에 존재하는 zinc는 지지세포의 분비과립과 후각세포의 축삭다발인 후각실에서 관찰되었는데 이는 zinc가 후각기능과 매우 밀접한 관련있음을 시사하며, 이는 향후 후각기능과 zinc의 연관성을 연구하는데 소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믿는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후각점막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질환의 병리에서 zinc가 영위하는 신경생물학적 기능을 밝히는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과 호르몬의 주기적인 분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o보다 20%o, 30%o에 적응(適應)된 개체의 신장조직(腎臟組織)에서 더많이 발생되었다. 틸라피아의 신사구체(腎絲球體)는 담수(淡水)에서 10%o의 해수(海水)로 이주된지 14일(日) 이후에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is a kind of acute lung injury characterized by inflammatory disruption of alveolar-capillary barrier and notorious for its high mortality. Neutrophils cause cell damage through the production of free radicals, inflammatory mediators, and proteases in ARDS. $PLA_2$ might serve a primary regulatory role in the activation of neutrophils. This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effect of rutin known as $PLA_2$ inhibitor on ARDS induced by endotoxin. Endotoxin had increased lung myeloperoxidase (MPO) activity, BAL (bronchoalveolar lavage) protein content, numbers of neutrophils in BALF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rat (p<0.001). In addition, histological evidence of lung injury was correlated with neutrophil influx into alveolar space and cerrous perhydroxide granules were found in lining of endothelial cell, alveolar type I, II cells. In contrast, pretreated group of rutin had significantly decreased all of the parameters (p<0.001). These data suggest that inhibition of $PLA_2$ is one step approach that block the process of ARDS. Accordingly, we conclude that rutin can be used as the prophylactic agent for ARDS on the bases of these experimental results.

      • Rutin-Fe(III) 착화합물 형성에 대한 pH 효과

        구난숙,안승요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7 自然科學 Vol.8 No.1

        Rutin-Fe(Ⅲ) 착화합물 형성에 미치는 pH의 영향을 시험하였다. pH가 증가함에 따라 rutin-Fe(Ⅲ) 착화합물의 최대흡수파장은 2단계로 이동되었다. pH3.7∼4.2 까지는 최대흡수파장이 385nm로 일정했으며, 담록색을 띄었다. pH 4.3∼4.9 범위에서는 pH가 증가할수록 착화합물의 색이 담록색에서 암록색으로 짙어졌고, 파장도 385nm에서 399nm로 이동되었다. pH 5.0∼5.6 까지는 녹갈색의 착화합물이 형성되었으며, 최대흡수파장은 399nm였다. Rutin과 Fe(Ⅲ) 이온의 몰비도 착화합물 형성시 pH의 영향을 받았다. pH 3.6 이하에서는 몰비를 구하기 어려웠으나, pH3.7∼4.2 사이에서 1:1 착회합물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pH 4.3∼4.9에서는 1:1과 1:2 착화합물이 공존했고, pH 5.0 이상인 용액에서는 1:2 착화합물이 형성되었다. Rutin-Fe(Ⅲ) 착화합물 형성에 대한 산의 저해효과를 시험해 본 결과 구연산, 주석산,인산, 수산의 순서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The effects of pH on the formation of rutin-Fe(Ⅲ) complex were examined by spectrophotometric method. With an increase in pH(2.6-6.0), the wavelength of maximum absorption and the color of rutin-Fe(Ⅲ) complex were changed. In the pH range between 3.7 and 4.2, the wavelength of maximum absorption was shifted from 385nm to 399nm and the color was dark green. Brownish green complex, having the wavelength of maximum absorption at 399nm was formed in the pH range between 4.9 and 5.6. The molar ratios at which rutin was combined with Fe(Ⅲ) ion were influenced by pH. The molar ration of rutin to Fe(Ⅲ) was 1:1 in the pH range between 3.7 and 4.2 and 1:2 above pH 5.0. In the pH range between 4.6 and 4.9, 1:1 and 1:2 complexes were formed. Below pH 3.6, the molar ratio was not determined definitely. In addition, the inhibition effects of several acids on the rutin-Fe(Ⅲ) complex formation were observed. The most effective acid was cirtic aci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