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독을 이용한 영어 읽기-쓰기 융합 연구: 중등 영어교실

        김선영 ( Sun Young Kim ) 대한언어학회 2013 언어학 Vol.21 No.3

        Even though learner-centered approach has put an emphasis on the reading-writing integration, the role of reading in writing has been limited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in Korea. Under this situation, this study examined perspectives middle school students have on the integration of reading and writing and the effect of extensive reading on their writing development. Specifically,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xtensive reading on writing development, the study used mixed approach which applie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 in consecutive order. The participants were middle school students in local area whose school operated English classes with dividing them into three proficiency levels (from basic to advanced English clas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n the survey showed students exposed on extensive reading changed their perspective on reading-writing integration in more integrative way on the continuum as compared with those in the traditional teaching approach (i.e., intensive reading). Next, the effect of extensive reading on writing differed across writing areas. Among the four writing areas (Content Knowledge, Organization, Grammar and Spelling, and Writing Fluency), extensive reading group showed greater improvement than intensive reading one in the Content Knowledge and Writing Fluency, while the performance of the former was lower than that of the latter in the areas of Organization and Grammar and Spelling. Such result implied extensive reading might has an differential effect on students` writ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eaching contexts and writing areas.

      • KCI등재

        쓰기장애 위험학생과 일반학생의 쓰기 하위영역별 읽기 변인과의 관련성 비교

        서주영,김자경 한국특수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학연구 Vol.5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riting-reading relationship of elementary students at risk for writing disabilities. A total of 96 children(Grades 1~6) of elementary students in the region of P-city were participated. In this sample, 41 children were identified as students at risk for writing disabilities and 55 children were identified as typical students. For the purpose, we examined the writing skills-writing fluency, spelling and composition- and reading related variables-reading fluency, word identifica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n we analyzed associations between writing skills and reading related variables and influence of the reading on writ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at risk,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ll of the writing skills and reading related variables. Second, in the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at risk,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for writing fluency and spelling. Writing fluency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reading fluency and spelling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word identificatio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for composition. Third, in the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at risk, reading fluency accounted fo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writing fluency. Reading fluency and word identification accounted fo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spelling. And reading fluency accounted fo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composition. Finally, in the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at risk, reading fluency accounted fo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writing fluency and work identification accounted fo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spelling.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writing-reading relationship. And there are different reading related variables for writing skills among the groups. Our finding is useful to develop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at risk for writing disabilities.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is that we examined only reading related variables. So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include other variable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쓰기장애 위험학생과 일반학생의 쓰기 하위영역별 읽기 변인과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쓰기장애 위험학생과 일반학생을 각 학년수준별로 나누어 그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쓰기장애 위험학생의 경우 쓰기의 각 하위영역과 모든 읽기 관련 변인이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쓰기 유창성에는 읽기 유창성이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철자쓰기에는 읽기 유창성과 단어 인지가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작문에는 읽기 유창성이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저학년 일반학생의 경우 쓰기와 읽기가 부분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쓰기 유창성에는 읽기 이해가, 철자쓰기에는 단어인지가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쓰기장애 위험학생의 경우 쓰기의 각 하위영역과 읽기 관련 변인이 부분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쓰기 유창성에는 읽기 유창성이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철자쓰기에는 단어 인지가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고학년 일반학생의 경우 작문과 읽기 이해만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작문에 대해 읽기 이해가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쓰기의 각 하위영역과 읽기와의 관련성이 입증되었으며, 이러한 관련성은 쓰기장애 위험여부와 학년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쓰기장애 위험학생들에게 읽기와 관련한 효과적인 교육적 중재를 제공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English Reading-Writing Integration: An EFL College Composition Class

        ( Sun Young Kim ) 글로벌영어교육학회(구 호남영어교육학회) 2012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Vol.17 No.1

        This study explores the notion of reading-writing integration in an EFL college composition class by focusing on reading-for-writing practices that serve as a means to connect reading practices and written products. From the perspective of reading-writing integr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the reading-for-writing practices may have on proficiency in four aspects of writing (i.e., content knowledge, organization, writing fluency, and grammar and spelling) in the context of an EFL reading-to-writing class. A mixed method combining bot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was used to analyze surveys, interviews with students, reading texts, and written products. The results show that group differences in improvement in writing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or the content knowledge and organization categories, indicating reading-for-writing practices affected some aspects of composition over the course of study. Specifically, the students in the more integrative group practicing reading in connection to writing produced more written intermediate texts as input for their writing than did those in the less integrative group, helping to acquire writing proficiency in the content and organization aspects. However, a reading-writing interaction alone does not lead to the improvement in the writing fluency in a local level and grammar and spelling, suggesting the important role of writing instruction in these areas. This study argues that the reading-writing integration coupled with a traditional writing instruction should be viewed as an integral part of the teaching practices in EFL college composition classes.

      • KCI등재

        대학 글쓰기 심화과정에서 ‘인문 교양’ 중심의 ‘읽기-쓰기 연계과목’의 효과와 의의

        홍인숙(Hong, In-sook) 중앙어문학회 2012 語文論集 Vol.51 No.-

        This study aims at clarifying the effect and meaning of the reading to Writing subject ‘Reading Masterpieces and Writing’ set up at Ewha Womens University. Generally the intensified writing subject in Korean University is set up the subject of ‘Writing affiliated with major’. And the goal of ‘Writing affiliated with major’ subject is getting the form and norm of the academic writing professionally. In comparison, the purpose of the ‘Reading Masterpieces and Writing’ is deepening the culture of the students. ‘Reading Masterpieces and Writing’ has the student realize the way of thinking through the intensive reading course. This intensive reading course make the subject ‘cultural subject’ about liberal arts. Moreover this subject concentrates on practicing discussion paper and book essay. The course of these two kinds of writing have the students train suggestion for the text and the analysis of the text. Especially writing book essay can give the students the experience of introspection. To strengthen these writing course, it is most needed to attach between reading and writing, so ‘reading to write’ is the most important concept of this writing course.

      • KCI등재

        대학 기초・교양교육에서 읽기-쓰기 통합 교육의 구성과 활용 방안

        김성수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8 리터러시 연구 Vol.9 No.2

        Recently, ‘Reading (reading)’ and ‘Writing (writing)’ courses, which form the center of communication in the basic and liberal education of universities, are operated in a connected and integrated form. In addition,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is combined with ‘discussion(reading)- speaking(discussion)-writing(writing)’ combined with speaking(discussion) classes. In many universities in Korea,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are established as independent subjects, or connected and integrated forms, which serve as the basis of basic and liberal education. Considering the educational situation of ‘reading and writing’ in domestic universities, in order to introduce and operate ‘reading and writing’ courses suitable for basic and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devise contents and methods based on detailed research on them,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d implement educational support programs that can fully implement these curricula. In other words, today’s college foundation and liberal arts education, in which the importance of human education is emphasized with the rapid spread of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iscours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order to raise the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reality of the world and the human value of life, we must actively introduce and activate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methods using classical text as a universal text to inquire.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and constructs the creative class structure and use method of classical ‘reading and writing’ based on actual class structure and operation case of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and ultimately, I want to help expand it. 최근, 대학의 기초・교양교육에서 의사소통 영역의 중심을 이루는 ‘읽기(독서)’나 ‘쓰기(작문)’ 과목은 연계・통합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또한, 읽기와 쓰기 교육은 말하기(토론) 수업과 결합하여 ‘읽기(독서)-말하기(토론)-쓰기(작문)’가 통합된 과목으로 운영되기도 한다. 이제 국내의 많은 대학에서 ‘읽기’ 와 ‘말하기’와 ‘쓰기’는 학문 간 의사소통 교육의 바탕을 이루면서 독립된 과목, 또는 연계・통합된 형태로 개설되어 기초・교양교육의 중심을 이루는 교과목으로 운영되고 있다. 대학 기초・교양교육으로서 읽기와 쓰기 교육의 질적인 제고를 위해서는‘쓰기와 말하기’, ‘읽기와 쓰기’가 연계되고 통합된 교수학습 방법을 여러 각도에서 모색하고 한층 혁신해나가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글을 쓰는 과정이 언제나 그 준비 단계로서 자료 탐색과 읽기 과정을 떼어놓고 생각할 없다는 여러 연구 결과를 인용하지 않더라도, 대학에서의 읽기-쓰기 수업은초・중등 과정과 차원을 달리하여 텍스트에 대한 수준 높은 이해력 및 그에관한 창의적 내용을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실천되어야 한다. 글을 쓰는과정에서 학생들은 기본적으로 수준 높은 텍스트를 찾아 읽고, 그 텍스트 내용에서 문제를 발견하여 해결책을 논리적으로 구성하여 과제에 반영하는 능력을 갖추어야만 대학 과정에서 요구되는 학술적 글쓰기를 창의적으로 수행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대학의 ‘읽기-쓰기’에 관한 교육적 상황을 고려할 때 기초・교양교육과정에 적합한 ‘읽기-쓰기’ 강좌를 도입하여 운영하기 위해서는 이에 관한세밀한 연구에 기반을 둔 교육 내용과 방법의 고안, 그리고 이러한 교육 과정을 충분히 실천할 수 있는 교육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는 일이 중요하다. 다시 말해, 4차 산업혁명의 과학기술 담론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상황과 함께 여전히 창의적 인문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오늘의 대학기초・교양교육 현실에서 읽기와 쓰기 교육 전반의 새로운 도약과 질적 발전을 위해서는 다른 무엇보다도 세계의 현실과 삶의 인문적 가치에 대한 근본적질문을 제기하고 탐구하는 보편적 텍스트로서 고전・명저 텍스트를 활용한‘읽기-쓰기’의 통합 교수학습 방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활성화하여 실제수업 과정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이 연구는 ‘읽기-쓰기’ 의 통합 운영에 관한 수업 구성과 운영 사례를 바탕으로 ‘읽기-쓰기’ 통합교육의 구성과 활용 방안을 검토하고 모색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가능성을 확장해나가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독서 자료를 활용한 비평적 글쓰기 방안

        이순옥 ( Lee Sun O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8 韓國思想과 文化 Vol.94 No.-

        본고는 <말하기와 글쓰기> 수업의 일부인 '북 리뷰 쓰기'에 적용되었던 수업사례로, 수업에서 독서자료를 어떻게 해석하고, 분석된 자료를 기반으로 토론을 어떻게 진행할 것이며, 글쓰기를 어떻게 유도할 것인가에 대한 답을 모색했다. 본고에서 제시된 수업과정은 읽기, 토론하기, 쓰기가 연계된 한 범례로 독서자료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방법, 기존 텍스트를 기반으로 사고능력을 확장하는 방법, 비평문을 기술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수업에 적용한 독서자료는 야사르 케말의 『독사를 죽였어야 했는데』라는 문학자료와 장 지글러의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라는 비문학자료다. 자료선정기준으로 수업목적의 적합성, 수업대상자의 지적 수준, 대상자료의 특질 면을 고려했다. 독서자료는 정확하게 읽는 작업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전제 아래 읽기 단계를 축어적, 추론적, 평가적, 창의적 읽기방식으로 구분해 제시했다. 또한 비평문을 작성하기 위한 전단계로 토론과정을 제시한다. 토론을 통해 학습자는 자신의 생각을 명확하게 밝히고, 동료와 상호교섭하는 과정에서 자료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호대화원리를 바탕으로 새로운 텍스트를 구성하거나 참신한 발상, 새로운 관점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자료읽기와 토론과정의 최종단계는 실제 비평문을 쓰게 하는 것이다. 비평문의 소재는 사회 전 영역에서 제기된 문제나 현상들이 포함되겠지만 본고에서는 제시된 독서자료에서 이끌어 낼 수 있는 사회문제만 다룬다. 본 연구는 교양교육이라는 큰 틀에 큰 변화를 기대하는 거시적인 연구와는 다르나, 학습현장에서 인간과 세계에 대한 통찰력을 기를 수 있는 유용한 학습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In this study, I sought out the answer about how reading material is translated, how discussion is proceeded, and how writing is induced based on the analyzed material in the class. The case of ‘book review writing’ class which is a part of the < speaking and writing class > is applied for this study. The way how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reading material, how to expand the ability to think on the ground of the text and how to write critical writing in the class where reading, debate, writing are linked are specifically suggested in the class. ‘yilani oldurseler’, a literature book Written by yasar kemal and ‘faim dans le monde expliquee a mon fils’, a non literature book written by Jean Ziegler, are applied as reading material. Suitability for the purpose of the class, the standard of the intelligence of the students are considered as the condition of the choice of the text. Under the premise of correct reading of the text before the class , reading stages are classified to word for word reading, abstract reading, evaluation reading and creative reading. Discussion was proceeded as the previous stage for critical writing. The learner can get deep understanding in the course of mutual exchanging and expressing opinion through discussion. Also New point of view or a novel idea can be drawn out based on the mutual dialogue principle. The final stage after the material reading and discussion is to compose a critical writing. Though all the subjects of problems and phenomenon in the society might be included as the material of the critical writing, only social problem drawn out from the reading text is handled in this study. Criticism written by the students is evaluated by the mutual assessment between students and then completed with the teacher’s evaluation. In this study, I put emphasis on the fact that critical writing is substantially applicable teaching method in the class and can be utilized as a useful means to cultivate insight into human being and the whole world, even though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he far reaching research that leads to expect the change of the big frame of the liberal education.

      • KCI등재

        Exploring Reading-Writing Connections Based on Source Texts in an L2 Context

        권수옥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010 영어교육연구 Vol.22 No.1

        The current study examines reading and writing connections based on source texts in an EFL context and reveals that students’ cumulative reading experience enhances writing proficiency. Ten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taking a reading course were asked to write essays on assigned topics related to the themes of the four novels they read in the class both before (pre-reading writing) and after reading (post-reading writing) each novel. Students’ writings were graded on vocabulary, content, grammar and organization. Results based on students’ writing scores indicated that the mean scores increased significantly on the post-reading writing compared to the pre-reading writing and that the students’ post-reading scores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number of novels read increased. However, cumulative reading effect was more prominent between post-reading writings than between pre-reading writings. It is concluded that reading experience can surely benefit writing proficiency, thus, that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should be integrated in an EFL setting.

      • KCI등재

        읽기요약을 활용한 작문과정 연구

        김선영 한국언어과학회 2022 언어과학 Vol.29 No.4

        In the context of reading-writing integration, intermediate texts L2 students produce during reading-writing practices have been recognized as a key variable influencing their writing development.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role of reading-based writing cycles(i.e., reading practice-intermediate text-writing task), using ‘reading summary’ as a task bridging reading and writing. The intermediate texts produced were classified into the four categories, or ‘Copy, Near Copy, Minimal Revision, and Substantial Revision’, to analyze how students used these texts in their writing processes. The results showed that a group with high writing proficiency used intermediate texts more effectively in their writing practices than did a group with low writing proficiency. First, the high proficiency group dominated the low proficiency group in using the substantial revision category. Second, the students in the high proficiency groups engaged in two types of writing cycles; an organic writing cycle (active reading-using more intermediate texts-writing task) and a cycle skewed to reading (active reading-using less intermediate texts-writing task). Third, students producing less intermediate texts engaged in a writing cycle skewed to writing(passive reading-using less intermediate texts-writing task). This study argues that L2 practitioners should recognize the role of intermediate texts as an essential part of teaching practices; teaching how students use intermediate texts in their writing tasks.

      • KCI등재

        대학인을 위한 고전독해 및 토론 수업 방안

        이순옥(Lee Soon-Ok) 한국리터러시학회 2013 리터러시 연구 Vol.- No.6

        본고는 문학자료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를 활용하여 독서, 토론, 작문 수업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업모형을 제시한다. 즉 대학 수업과 정에서 언어 활용 능력 강화라는 측면에서 활용도가 높은 고전 텍스트를 어떻게 해독할 것인가, 해독한 텍스트를 어떻게 토론수업과 작문수업에 연계시킬 수 있는가하는 문제에 답을 찾고, 그 실제적인 과정을 모형으로 제시하여 언어활용능력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독서, 토론, 글쓰기를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통합적 수업방식은 의사소통능력의 배양 및 글쓰기 교육을 위한 기본적이고 일반적인 방법이며 교육적 효과도 높다. 본 수업모형에서는 체계나 의미면에서 통합성이 높은 문학텍스트를 활용했다. 문학텍스트는 언어 사용의 규범성과 자율성, 두 양극이 결합됨으로써 언어 표현적?내용적 조건을 충족시킨다. 문학텍스트의 언어조직 구조는 다각적인 해석이 가능하여 개인별 기대지평의 상이함을 통하여 자유로운 상상력을 발산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는 고전의 현재적 의미를 재해석할 수 있는 문학텍스트로, 글쓴이와 독자의 역동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읽기 자료이며, 다양한 논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토론 자료, 삶의 총체적 양상을 종합적으로 담고 있는 논술 자료로 적합하여 수업 자료로 선정했다. 수업은 『멋진 신세계』를 기본 자료로 활용하여 분석적 읽기 과정, 토론과정, 논술문 쓰기과정으로 구성했으며, 이들은 각자 독립적이면서 또한 유기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운용된다. 읽기 과정에서는 텍스트의 정확한 이해와 해석을 통한 글쓴이와 독자의 의사소통을 목표 삼아, 네 단계로 수업이 진행된다. 읽기의 각 단계는 글 속에 명시적으로 드러난 내용을 읽는 방법인 축어적 읽기, 텍스트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내용을 추론하며 읽는 방법인 추론적 읽기, 텍스트의 내용과 형식을 평가하며 읽는 방법인 평가적 읽기, 읽기를 통해 얻은 지식을 자신의 삶이나 사회에 적용하며 읽는 방법인 창의적 읽기로 구성된다. 네 단계 분석적 읽기가 심도 있게 원활하게 이루어질 경우, 이를 바탕으로 자유로운 토론, 깊이 있는 글쓰기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토론과정에서는 읽기 과정에서 이루어진 독해를 바탕으로 토론의 원리와 방법을 읽히고 구어적 표현능력을 배양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수업자료가 문학 텍스트라는 점을 고려해서 토론 방식은 주제토론과 피라미드토론을 단계적으로 적용했다. 또한 학습자들도 쓰기 과정에서는 문학 텍스트가 논술문의 제시문으로 선정됨으로써 문학과 논술은 상호유기적 관계일 수밖에 없다는 관점에서 문학을 통한 상상적 글쓰기와 논술을 통한 논리적 글쓰기를 통합하는 논술문 쓰기를 시도했다. 문학과 논술이 결합된 글쓰기는 정형화된 사고의 틀을 수정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도 가치가 있다. 그래서 논술문 쓰기 과정에서는 기존의 논술문이 논리적 측면에 치우쳐 문학 텍스트가 가진 장점을 제한했다는 점을 고려하여 논술문 작성에 상상적 글쓰기 요소를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즉 문학텍스트에 대한 공감적 읽기와 논쟁적 글쓰기 성격을 띤 비평적 글쓰기 형식을 결합한 즉 주관적 요소와 객관적 요소가 통합된 형태의 글쓰기를 지향했다. 수업현장에서 독서, 토론, 쓰기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교수·학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배양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본 수업형태는 읽고 토론하고, 글을 쓰는 작업이 어느 한 쪽으로 기울거나 치우치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고 그 결과 세 영역이 최상의 균형을 찾아 완벽한 정점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논리적 말하기, 논리적 글쓰기를 추구하는 만큼 문학과 논리가 조화를 이루는 이상적 접점이 명확히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이상적 가능태로서 연구자들이 끊임없이 추구해가야 할 목표로 존재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new model of teaching for reading, discussion, and composition proficiency for the university students using the literature text Brave New World by Aldous Huxley. It was found out that reading the classic text and connecting it to the discussion and composition part strengthens the ability of efficient use of language. This integrated reading was also found out as a practical model for preferable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practical language ability. Integrated Reading is a strategy that combines reading,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altogether and a very effective educational and basic tool for the improvement of the writing and communication ability. The text which is used in this study has high integrated aspects in terms of the meaning, and the system. Literature text like Brave New World by Aldous Huxley satisfies the efforts of language expression by combining the self imposed control & the normative law. It is possible for literature text to be translated in many ways and be related to produce free imagination according to different individual experiences. The book Brave New World by Aldous Huxley is a literature text that can be retranslated from the classic version to present version. It was chosen as the classic text material as it contains total aspects of living. For the reading process, the class was divided into 4 steps of reading with the aim of acquiring correct communication, reasoning, writing, and reading skill of the text. The reading steps were consisted of word for word reading step that placed great importance on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clearly revealed contents in the text, while logical reading focu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unrevealed contents in the text. The evaluated reading goaled with the contents & form while creative reading was for applying the subject of the text to one s life and society in general. When these 4 steps of reading were mastered, high level of discussion & writing would be possible. Learning the principle and ways of discussion is the aim of the colloquial cultivation of expressive ability. The way of choosing subject & pyramid discussion was adopted gradually to the class. Learners were not allowed to write separate essay but to try to write an integrated essay between imaginative writing and logical essay writing. Integrated writing was proved much more valuable in the sense that, it can correct the stereotyped way of thinking. So Integrated writing is positively accepted in logical writing as logical writing restricts imaginative side of literature text. Integrated reading combined with the critical writing makes it possible to read the text with great sympathy & imagination. Therefore, both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style of writing were strongly recommended. When the reading, discussion, and writing were done relatedly in the class, systematic and specific teaching would be possible as well as it w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university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and creative way of thinking. Each of reading, discussion and writing should not be leaned to one way process. Instead, 3 categories should be balanced and a tangential point should be suggested before reading the literature text.

      • KCI등재

        일반논문 : 대학 읽기,쓰기 통합 교육의 실제와 교육 방안 -학술적 담화 활동을 통한 방법 모색-

        김정녀 ( Jeong Nyeo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13 한민족문화연구 Vol.44 No.-

        본고는 대학의 읽기ㆍ쓰기 통합 교육이 실제 어떻게 구성ㆍ운영되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읽기와 쓰기의 연계 및 통합이 실제적인 교육 효과를 얻을 수 있으려면 어떤 교수ㆍ학습 방법으로 구성되는 것이 효율적일지 방안을 모색해본 것이다. 최근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읽기와 쓰기를 통합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방법론적 모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 대학에서는 읽기ㆍ쓰기통합 교육을 표방하며 이를 교재로 구체화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여전히‘읽기 중심의 쓰기’에 치우쳐 있고, 찬반 토론 중심의 읽기ㆍ쓰기 통합은 텍스트에 대한 제한적인 이해에 머물거나 창의적인 글쓰기로 연계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고에서 제안한 ‘학술적 담화 활동’을 통한 읽기ㆍ쓰기 통합 교육의 방안은 해당 주제에 대한 발표, 발표된 글에 대한 질의 및 토론, 논평, 심화된 글쓰기, 첨삭 및 수정고 제출의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학술 담화 공동체(학생 상호간, 교수와 학생간)와의 의사소통 활동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1) 주제와 관련한 다양한 자료를 읽고 발표문을 작성하는 단계에서는‘쓰기를 위한 읽기’ 활동이 중심이 되고, (2) 발표문에 대한 비판적 읽기를 바탕으로 질의 및 토론문을 작성하는 단계에서는 ‘읽기를 위한 쓰기’ 활동이 중심이 된다. 그리고 (3) 발표자의 발표, 토론자의 질의 및 반론, 일반청중의 논평이 진행되는 단계에서는 자신이 속한 담화 공동체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필자독자, 읽기쓰기의 유기적 관계에 대한 실제적 이해를 하게 되는 ‘읽기와 쓰기의 상호작용’ 활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학술적담화 활동은 그 자체로 비판적 ‘읽기 텍스트’가 되어 대학의 담화 공동체안에서 이루어지는 학술적 글쓰기의 속성 등과 같은 사회문화적인 맥락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4) 이후 학습자의 심화된 글쓰기 과정에서 학술적 담화 활동의 기억은 비판적 사고 작용을 하여 ‘읽기와 쓰기의 상호작용’ 활동이 연장된다. 아울러 (5) 학습자의 글쓰기 과제는 교수자가 첨삭 후 개별 상담을 거쳐 돌려주는데, 이때 학습자는 평가를 받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독자(교수자)의 의견을 반영하고, 필자인 학습자가독자가 되어 자신의 글을 비판적으로 읽고 고쳐 쓰게 되므로 ‘읽기와 쓰기의 상호작용’ 활동이 이어진다. 학술적 담화 활동은 읽기와 쓰기의 상호작용을 구체적으로 경험할 수있고, 그 결과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을 동시에 신장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 대학의 학문 담화 공동체가 지향하는 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사회문화적 맥락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학습자의 참여도, 평가와 관련하여 보완이 필요한 부분도 있으므로 이에 대한 후고를 기약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reading-writing integrated education is made of and is operated, and then to suggest the efficient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better education effect. Recently in the writing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the methodological surveys to educate integrally reading and writing are actively done research. Some universities claimed to stand for the reading-writing integrated education and found a shape this education method as a textbook. But this method was leaning ‘the writing centered reading’ and the understanding for the reading-writing integration centered debate is restricted. The reading-writing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academic discourse activity’ is the communication activity with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inter students, or teacher and students) through procedures as presentation, question, debate, logical comment, writing, and feedback, and so on. (1) Reading for writing activity: to read various materials and then to write statement. (2) Writing for reading activity: to read statement and then to write discussion paper. (3) The interaction of the reading and writing activity: to present, to question, to debate and to do feedback. Meanwhile, as the academic discourse activity itself is the reading text, this activity is helped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social-culture context as academic writing properties in university discourse community. Therefore (4) the extent of the interaction reading and writing activity: the memory of academic discourse activity in the leaner`s writing process operate as critical thinking. (5) The interaction of the reading and writing activity: after a teacher corrects the paper and has face-to-face talk for leaner`s writing homework, learners read critically their papers and correct the their writing. The academic discourse activity can make the students experienced the interaction of reading and writing. As a result, students can strength the ability of reading and writing and concretely understand the social-culture context for academic writing that academic context community of university aims for. Nevertheless, the participating degree of learners and evaluation need to make up f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