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성주의 의미의 탐색에 대한 소고: 구성주의의 재조명

        강은경 ( Kang Eun Kyu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8 初等 數學敎育 Vol.21 No.3

        수학교육학에서 구성주의는 학습이론에 있어서 핵심적인 이론이라고 할 수 있으며 구성주의에 대한 이해와 적용은 학습자 중심 수학 교수에 있어서 중요하다. 그러나 일부 초등 교사와 예비 초등 교사들은 구성주의를 편협한 시각으로 이해하고 있다. 구성주의가 수학을 흥미롭게 만드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이론으로 여기고, 수학적인 요소를 고려하지 않은 게임을 만드는 것이 그 예이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가지 유형의 구성주의, 급진적 구성주의, 비고츠키의 사회적 문화적 발달이론, 사회적 구성이론**, 사회적 구성주의가 각기 주장하는 바를 고찰하고 비교하여 구성주의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논문의 말미에 구성주의가 수학 교육에 시사하는 점이 논의 되었다. In the current era of mathematics education, constructivism is a core theory of learning. For teachers, understanding and applying constructivism to their teaching practices are crucial for student centered teaching. However, some mathematics educators understand Constructivism in a different way. For example, some future teachers view Constructivism as making mathematics ‘fun’ by creating game without considering conceptual understanding. In this paper, the original articles of Constructivism were revisited and investigated to understand and to search for their meanings. Also several types and sources of Constructivism were identified; Radical Constructivism, Vygotsky’s social-cultural theory of development, Social Constructionism, and Social Constructivism. This paper investigated arguments of the several types of Constructivism and discussed their implications for mathematics teaching.

      • KCI등재

        사이버네틱스와 급진적 구성주의에 입각한 학습모형 구안을 위한 예비 작업

        유병길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0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3 No.3

        This work describe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to a learning model based on cybernetics and radical constructivism. To achieve this purpose, main ideas of cybernetics, i.e., negative feedback, difference, self-regulation, equilibrium, and purpose-directed behavior was analysed under radical constructivism. Powers' model, which consists of hierarchically arranged negative feedback systems, is introduced into this work. This was based on the claim that living organisms behave to control perceptions. By adding the notion of scheme from the view of radical constructivism, a learning procedure, which consists of six steps, was suggested in this work.

      • KCI등재

        심의민주주의와 구성주의 : 인지적인 면에서의 관련성 Their Cognitive Relativity

        유명철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2

        심의민주주의가 주목받고 있는 최근의 추세에 맞추어 제7차 교육과정의 정치 영역에서는 고등학교 정치 교과서에서 이 내용을 다루고 있다. 그런데 고등학교 교실 현장의 정치과목 담당 교사들은 구성주의에 기초하여 학습 지도를 하고 있으면서도, 이 구성주의와 심의민주주의가 인지적인 면에서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인지적인 면에서 본 심의민주주의에 대하여 살펴보고, 다음으로 구성주의와 심의민주주의가 인지적인 면에서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때 구성주의는 급진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로 대별되고 있는 바, 이 두 가지 유형과 심의민주주의간에 인지적인 면에서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make clear the cognitiv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ive democracy and constructivism. Viewed in the intellectual aspect, deliberative democracy has undergone three phases of the cognitive process: subjective cognition, interaction, and intersubjective consensus. Radical constructivism lacks phases of interaction and intersubjective consensus and thus has no relativity with the cognitive process in deliberative democracy. On the contrary, social constructivism includes phases of interaction and intersubjective consensus and thus conforms to the cognitive process in deliberative democracy. Therefore, teaching students based on social constructivism leads to an improvement in their deliberation ability, which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establishment of deliberative democracy.

      • KCI등재후보

        인지과학적 시뮬레이션을 통한 朝鮮 性理學의 禮교육 心性모델 개발(2)

        유권종,박충식,장숙필 동양철학연구회 2004 東洋哲學硏究 Vol.39 No.-

        이 연구는 한국철학과 인공지능간의 학제간 연구의 방법을 통해서 문화와 그 문화를 공유하는 사람들의 마음의 역동적 상호관계의 틀과 내용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특히 시스템 이론에 입각하여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문화와 마음의 상호관계의 사실적 배경은 조선시대의 예문화와 그것과 상호관련 하에 구성해온 조선사람들의 마음에 관한 이론에서 찾는다. 이러한 연구를 하게 된 근본적인 동기는 한국인의 마음이 현대에도 유교적 심성을 잃지 않는 이유를 해명해야할 필요성에 기인한다. 이 연구는 현대 한국인의 유교적 심성은 조선시대부터 지속된 예문화체계와 조선시대 사람들의 마음간의 상호 인과적 상호 구성적 작용에 그 기반이 있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삼는다. 이는 일종의 근본적 구성주의의 관점인데, 이에 의하면 한국에서는 조선시대부터 예실천에 의한 심성 수양이 개인의 유교 도덕적 심성을 형성하고, 그러한 심성이 유교 예문화 체계를 재강화 재생산하는 모태가 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를 한국인의 마음에 관한 진실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한국인들이 구성해 온 마음과 그 마음에 관한 진실들은 오랜 문화 전통 속에서 구성된 실재(constructive reality)가 되는 것이다. 그러한 진은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설명했던 마음의 구조와 작용에 관한 개념과 이론 속에 존재한다. 그러한 마음의 구조와 작용에 관한 개념과 이론들을 현대적 학문에서 논의 가능한 심성모델로 개발하고, 그 모델로써 한국인의 심성이 타 문화권 사람들의 심성과 비교되는 특성을 설명하는 이론적 기반을 삼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실증적으로 보완하기 위하여 개인의 인격변화와 예문화체계의 상호관계에 관한 인지과학적 시뮬레이션의 방법을 구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검증하고자 하는 것은 유교의 예를 실천하게 되면 왜 예에 부합하는 마음이 성립되고 유지되는가 하는 점이다. 이 시뮬레이션은 일종의 사회집단과의 관계 속에서 개인의 마음이 어떻게 변화되고 구성되는가 하는 과정에 관한 문제를 모의실험하는 것이다. 이 시뮬레이션을 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조선의 이황과 이이로 대표되는 대립적인 심성이론을 통합하는 심성모델을 제작하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관점과 가정들에 입각하여 본 연구에서 다루는 내용은 다음의 네 가지이다. 첫째, 시스템 분석을 통하여 예 문화 체계의 요소들과 그것들의 상호관계와 작동 내용에 관하여 살핀다. 둘째, 특히 그 속에서 생활하는 개인들이 예 문화와 적합한 상호관계를 맺는 방식을 추정하고 그것을 모의실험한다. 셋째, 아울러 그러한 상호관계의 과정을 통해서 변화하는 사람들의 마음의 내용을 설명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유교의 예 교육으로써 구성되는 심성모델을 확정한다. 넷째, 궁극적으로 유교문화의 성숙과 개인적 인격 성취와의 관계를 논한다. Aim of this article is to develop a theory, specially due to system dynamics, that can explain the dynamic co-relation matrix of a kind of culture and its constituents minds. This article is made by an interdisciplinary study between Korean philosoph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objective setting of the co-relation between a culture and minds are related to the culture of Confucian proprieties and its constituents' minds in Chosun Dynasty. The most important motive of this study is due to the necessity to explain the fact that modern Koreans do still keep a kind of Confucian mind and heart in their daily lives. Here is an assumption that modern Korean people's minds and hearts are constructed as a result of a co-relational dynamics and co-constructive workings with the systems of Confucian proprieties that have been continuing from the early Chosun Dynasty. This assumption is rooted in a kind of radical constructivism. From this, it will be reasonable that in Korea from Chosun Dynasty, training both bodies and minds by practice of Confucian proprieties is an important way to construct persons' moral mind, and such moral minds have reproduced and consolidated more and more the system of the Confucian proprieties. From the viewpoints of the truth of Korean people's minds, this constructed minds is sure to be a reality that has been constructed during so long cultural tradition. The reality and truth can be found in the notes of many Confucian scholars of the Chosun Dynasty. They had developed so important and specific conceptions and theories to explain their constructed minds. Their conceptions and theories can be developed to a modernized mind model that can be discussed in the fields of contemporary mind sciences, and the mind model will be a theoretical ground for explaining the features of Korean people's minds in comparison with other people's minds in the other cultural area. For scientific proof of this, a cognitive scientific simulation for the mutual rela???? between personality development and system of Confucian propriety will be made and operated. The simulation tries to explain why a Confucian mind that can be coincided with Confucian proprieties will be formed by practice of Confucian proprieties for a long time. In other words, this simulation aims to explain the construction of one's personal moral mind in the inevitable relations with the social group that one belongs to. This simulation needs a general mind model which is fitted for explaining Korean minds, so a synthesized mind model that concludes Yi Whang's mind model and Yi Is one will be proposed. The important contents of this article are four as follow. The first, the elements and their co-relational working of the system of Confucian proprieties will be explained by an analysis with theory of system dynamics. The second, personal minds processes to make and develop co-relations with the system will be simulated. The third, the realities of the minds will be explained and moral mind model constructed by Confucian education with Confucian proprieties will be decided. The fourth, in the end the relation between mature of Confucian culture and personal success of one's personality.

      • KCI등재

        유교문화 전통연구에 관한 통합학문의 전망

        유권종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7 철학탐구 Vol.22 No.-

        본 연구는 동아시아의 문화 전통에 해당하는 유교의 특성과 장점올 통합 학문으로써 조망할 수 있는 길을 찾아보고자 하는 목적 하에, 통합학문의 분야와 방법음 소개하고 그들이 유교 연구에 어떠한 미래적 전망을 줄 수 있는가를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글에서는 작은 수이지만 세 가지 유형의 통합학문을 선택하여서 그들이 제시하고 있는 관점과 방법론 내지 그것을 받쳐주는 이론적 가정들을 살펴보고, 그틀이 유교 연구에 어떠한 전망을 줄 것인가 하는 점을 살펴보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통합학문은 다음 세가지이다. 첫째 생물학에 근거하여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통섭을 지향하는 사회생물학 계열, 둘째 인지과학의 계열에 속하면서 근본적 구성주의를 주장하는 학문 계열, 셋째 철학자이자 섬라학자로 일컫는 켄 윌버에 의하여 주창되는 통합적 패러다임의 유형이다. 윌슨의 통섭에 대한 연구에서는 통섭의 궁극적 지향이 자연과학적 지식에 근거한 지삭의 통일을 지향하는 것이 통섭의 본질이라는 점, 서구의 계몽주의의 지적 유산을 계승하여 인간의 앎의 능력에 대한 신뢰를 보인다는 점, 인문학보다는 자연과학을 통섭의 주축으로 삼는 점, 나아가서 생물학 내지는 물질과학의 지식을 근거로 인간의 사고와 행위에 대한 윤리적 지침까지 판단할 수 있다고 보거나 또는 그렇게 해야 한다고 보는 점을 특징으로 파악하였다. 그라고 이러한 통합의 유형은 유교 연구에 긍정적이라가보다는 부정적이거나 소극적일 수 있다는 예측을 하였다. 근본적 구성주의에 대해서는 그 담론의 참여영역이나 학자들, 인식이란 자기 구성의 과정이자 그 표출이라는 견해, 앎에 대한 앎은 곧 인간의 자신의 한계에 대한 앎이자 윤리의 근거가 된다는 점, 생물학적 사회적 구조에 대한 깨달음에 근거하는 공존의 윤리를 제안하는 점 등의 내용과, 아울러 윤리적 행위의 본질은 윤리의 노하우라는 주장 등이 주요한 고찰 내용이다. 이 담론은 인간의 인지체계의 자기구성으로부터 사회 체계의 구성에 이르기까지 기존의 서구 인문학이나 자연과학의 전통적 지식 추구의 방법 가운데 칸트, 비코 등에 연원을 둔 구성주의적 사고를 더욱 철저히 발전시켜 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그로 인하여 동아시아의 문화전통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의 관점을 세우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점이 서구의 인문학적 관점에 의한 연구로는 설명하지 못했던 유교의 특징들을 더 잘 인식할 수 있는 관점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하게 하는 것이다. 켄 윌버의 통합적 패러다임에서는 그 패러다임의 구조를 살피면서 인식의 3차원, 그것과 대응하는 3가지 안목, 홀론 내지 홀라키적 체계, 진리의 4상한, 전일성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유교 연구와 관련하여 본다면, 몇 가지 긍정적 전망을 주는 점이 발견된다. 우선 그의 홀라키적 체계는 물질과학적 지식보다는 정신적 가치나 의미, 또는 도덕적 성취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는 유교의 지향성을 학문적 연구대상으로 삼는 관점을 주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홀라키적 체계는 유교라는 문화와 그 지적 창조물들을 어디다 위치시켜야 옳은가 하는 의문을 과제로 주고 있다. 아울러 그가 과학적 지식의 엄밀성처럼 종교의 진실 성취를 검증하는 방법의 엄밀성을 강조함으로써 종교적 진실의 객관화를 꾀하는 것은 유교 연구에서도 본받아야 할 점이다. 특히 근본적 구성주의의 관점이나 켄 윌버의 통합적 패러다임은 표현에는 차이가 있더라도 양자 공히 궁극적으로는 근대 이후의 인간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과 원리 및 궁극적 지향점을 제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인류가 동서양을 막론하고 성취해온 지적 전통 특히 철학과 윤리, 종교의 가치를 인정하는 태도나 그 방식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지만, 그로부터 향후 인류가 취해야 할 개인적 집단적 삶(또는 행위)의 방향과 방식을 이끌어내고 있다. This paper, for a purpose to explain features and virtue of Confucianism with the methodologies of kinds of integrated studies, introduces fields and methods of integrated studies and inquire what perspective the integrated studies can give to studies of Confucianism. Three models of integrated studies were chosen and their viewpoints, methodologies and theoretical hypotheses were observed. The first is Edward Wilson's socio-biology which has been trying to make a consilience of natural sciences and humane studies, the second radical constructivism which originated from a kind of cognitive sciences, and the third a kind of integrated paradigm insisted by Ken Wilber. Inquisition about Wilson's consilience revealed as follow: the ultimate head of his consilience for unification of all kinds of knowledge based on the natural scientific knowledge is real nature of consilience. His conception of consilience has confidence in human intellectual capacity in the same way with Enlightenment. It gives the main role of the unification to natural science rather than to the Humanities and it takes a matter of course that guiding ethical principles must be abstracted from biology or other natural sciences. However such a way of consilience could be thought negative to the contemporary interpretation of Confucianism. Things about radical constructivism were studied as follow. Scholars who have joined the discourse of radical constructivism and their fields of research were mentioned. According to their conclusion, human cognition must be a process and expression of its self construction, and knowledge of knowledge is just knowledge of limits of human being itself and becomes basis of ethics. The members of the constructivism have suggested ethics of coexistence based on the realization of biological and social construction, and also insisted that the essence of ethical practice was not know-what but know-how of ethics. Their discourses ranging from about self-construction of cognitive system to construction of social system have been produced as a result of developing thoroughly the context of constructive thinking rooted in thinking of Kant and Vico rather than many context of seeking knowledge methods in the Western modern era. In addition they developed a new and positive viewpoint to estimate the East Asian cultural traditions, and therefore radical constructivism can be anticipated to establish a new viewpoint to recognize the real features of Confucianism that have not been explained well from the viewpoints of modern humanities of the West. About Ken Wilber's integrated paradigm, the structure of the paradigm was researched. Three dimensions of cognition and three eyes correspondent to the dimensions, his points ranging from holon to system of holarchy he devised, four quadrants of truth, the totality, etc., are details of his paradigm. It is sure that his ideas can give some positive perspective to study Confucianism. First, the system of holarchy is very inclusive because it gives a proper place of knowledge not only to natural science but also to humanities or religion. So we must discuss how to decide proper places of Confucian knowledge and culture. At the same time he insisted that objectification of religious truth is necessarily pursued as strict as the objectification of natural scientific knowledge. His insist as like this must be applied to research of Confucianism. Both of the latter two, even though each opinion is not the same, seem to suggest radical solution of problems especially about mankind occurred in the modern civilization. Even though they are not the same in attitudes or methods of acknowledgement of intellectual traditions, for example philosophy, ethics and religions on the both sides of the globe, they are the same that they established directions and styles that mankind have to adopt as their desirable lives in the future just from the traditions. Their ideas must be a new creation of traditions. Faced to these new currents of integrated studies, research of Confucian cultural tradition has to be joined to these currents and therefore they will become methods to make Confucian wisdom more affluent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haman lives. If there is no reason why we have to stick to Confucianism itself, then construction of new wisdoms that fuses wisdom of Confucianism and other great wisdoms in a context will be allowed.

      • 교과 재구성을 통한 구성주의적 교수-학습이 초등학생의 '물 속에서의 무게와 압력' 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유병길,문희숙 부산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2 科學敎育硏究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the effects of radical constructivist teaching-learning strategy using the reorganization of curriculum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 of the weight and the pressure in the water For this study, a control group(of 76 members) and an experiment group(of 39 members) were selected from sixth grade classes, respectively, in an elementary school in Busan city.Control group had traditional instruction based on the 7-th curriculum textbook, and experiment group did radical constructivist class using reorganization of curriculum Pre-test, post-test, and post-test after one month on the conception of the weight and the pressure in the water were done for both group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had many misconceptions on the weight and the pressure in the water before each treatment respectively. Second, each test score of experiment group for the weight and the pressure in the wat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fter treatment. Third, test score of experiment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in post-test and post-test after 1 month for the weight in the water. Forth, teat score of experiment group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comparison with that of control group in post-test and post-test after 1 month for the pressure in the water. 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radical constructivist teaching-learning using reorganization of curriculum are thought to be effective in elementary student's conceptual change of the weight and pressure in the water.

      • 구성주의 인식론의 이해

        홍진곤 수학교육철학연구회 2019 수학교육철학연구 Vol.1 No.1

        이 글에서는 조작적 구성주의, 급진적 구성주의, 사회적 구성주의의 세 가지 구성주의가 기초하고 있는 철학적, 인식론적 배경을 설명한다. 조작적 구성주의는 목적이 있는 주체의 능동적 활동이 수학적 인식의 출발점임을 보이며, 급진적 구성주의는 지식의 본질적 측면으로 유용성과 생장성을 강조한다. 사회적 구성주의는 개인의 수학적 인식에 언어와 사회적 상호작용이 중요한 요소임을 밝힌다. 이와 같은 인식론적 이해는 실천적이고 처방적인 수학 교수-학습 방법론의 탐색에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노하우로서의 倫理 :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인지과학과 동양철학 연구

        유권종(Yoo, Kwon-Jong)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4

        급진적 구성주의의 학문 연구를 주도했던 인물들 가운데 한 사람인 프란시스코 바렐라(1946~2001)의 강연집 『윤리적 노하우』는 동양의 전통적 가르침이 정립했던 것을 윤리적 노하우라는 관점으로 조명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의 저서는 동양철학 전공자에게 연구의 중요한 진전을 가져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있음에 틀림없는 것이다. 본 연구는 바렐라의 견해를 분석하고, 그의 관점과 연구 내용을 동양철학 연구 특히 유교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과 그 방향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순서는 인지과학의 흐름과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학문, 『윤리적 노하우』의 체계와 주요 관점, 윤리에 관한 지식의 본질, 윤리를 노하우로 보는 것이 타당한가? 동양철학 연구의 새로운 관점의 논의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동양철학연구에 적용가능한 『윤리적 노하우』의 특징적 구도를 네 가지로 파악하였다. 그 내용은 첫째 현대인의 윤리적 실천의 현실에 관한 그의 문제의식, 둘째 서구철학적 사고 내지는 초기 인지과학의 계산주의적 모델의 극복과 구성주의 모델의 확립, 셋째 존재론적 이원론의 구도를 넘어서는 생명론적 일원론의 구도로의 전환, 넷째 숙련에 의한 자기창조의 원리 등이다. One of leading members of radical constructivism on the basis of cognitive science, Francisco J. Varela's Ethical Know-how, which is a collective publication of his speeches, newly explains the Asian traditional teachings as a very useful and meaningful wisdom depending on a new conception of ethical know-how he developed. It is sure that his work gives a moment to specialist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This article is for the analysis of his ideas about the ethical know-how and at the same time for a search for possible way to apply his ideas and methodology to the studie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This study is going on with the order as follows; current stream of cognitive science and Varela's researches, the principle of Ethical Know-how and main viewpoints, the essence of knowledge of ethics, the explanary structure of Ethical Know-how, and new viewpoint of Asian philosophical studies. According to this study, his ideas and theoretical points that can be applied to the studie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are summarized as follow; his strong and consistent willingness to improve the low level practice of ethics in contemporary societies up to a higher level practice, changing the thinking model for the improvement leaving from th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or the computational style of the early cognitive science settling to radical constructivist model, establishment of the monistic principle on the basis of the life itself with rejection of the ontological dualism, and construction of autopoiesis(self-organization) by means of mastery of the know-how.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