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의 건강관리활동 유형 연구: 보호동기이론을 중심으로

        나종연 ( Rha Jong-youn ),남영운 ( Nam Youngwon ),김지혜 ( Kim Jihye ),장유정 ( Chang Youchung ),장지수 ( Jang Jisu ),엄근선 ( Eom Kunsun ),문현석 ( Moon Hyunseok ),정명훈 ( Jung Myoung Hoon ),황정은 ( Hwang Jeong-eun ),김윤재 ( Ki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3

        ‘건강한 삶’에 대한 소비자의 높은 관심이 지속됨에 따라 소비자들은 건강관리 활동을 삶의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건강관리 활동을 소비자들이 건강한 삶에 대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실천하는 일상적이고 예방적인 활동으로 정의하여, 건강관리 활동 수준을 살펴보고 이에 따라 소비자를 유형화하였다. 또한 건강관리 활동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ㆍ심리적 기제를 설명하기 위해 보호동기이론(Protection motivation theory)을 적용하여 소비자 유형을 결정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60대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06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의 건강관리 활동은 식이 활동, 보조기기 사용, 신체 활동 순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걷기, 달리기 및 자전거타기, 건강기능 식품 섭취, 식단 관리, 식사량 조절의 활동 수준이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관리 활동 수준에 따른 유형화를 실시한 결과 식이 활동, 보조기기 사용, 신체 활동의 활동 수준이 모두 높고 고소득 소비자의 비중이 높은 ‘적극적 활동형(31.4%)’, 모든 신체 활동의 수준이 높은 신체 활동 중심형(31.6%)’, 식이 활동과 건강 관련 보조기기 사용 수준이 높으며 고연령층과 기혼자 비중이 가장 높은 ‘식이 활동 중심형(18.4%)’, 모든 건강관리 활동 수준이 낮고 평균 연령이 가장 낮은 편인 ‘소극적 활동형(18.5%)’이라는 네 집단을 도출하였다. 셋째, 보호동기이론은 소비자의 건강관리 활동을 설명하는데 유의미한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인의 건강상태를 취약하게 느낄수록 적극적 활동형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반면, 건강을 잃게 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에 대해 심각하게 인식할수록 건강관리 활동에 소극적인 성향을 나타낼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관리 활동에 대한 지각된 혜택이 높아질수록 소극적 활동형 대비 신체 활동 중심과 식이 중심의 건강관리 활동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반면, 건강관리 활동에 대한 지각된 비용이 증가하면 적극적 활동형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건강관리 활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은 적극적 활동형, 신체 활동 중심형, 식이 활동 중심형을 비롯해 모든 건강관리 활동을 증가시키는 유의한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건강관리 활동에 대해 체계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보호동기이론을 통해 소비자의 건강관리 활동에 대한 인지ㆍ심리적 요인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갖는다. As a considerable interest in maintaining a healthy living has continued among consumers, health promotion activities have been recognized as an essential part of their lives. Defining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s the use of consumers’ resources, we firstly investigated the extent to which consumer engaged in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nd identified consumer segment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ir health promotion activities. In order to explain health promotion activities, we also demonstrated relationships between five components in a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and consumer segments.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from 1,063 respondents aged between 20’s and 60’s, we suggested the findings as follows. First, dietary activities are found to be the most engaged health promotion activities, followed by the use of health care devices and physical activities. In specific, walking and jogging scored the highest, followed by taking a dietary supplement, managing diet and restricting calories. Second, four consumer segments were identified:(1) highly active consumers(31.4%) who were the most engaged in every kind of health promotion activity, physically vigorous consumers(31.6%) who were the second most vigorous consumers in all physical activities, dietary adherers(18.4%) showing the highest engagement in all dietary activities, and passive consumers(18.5%) who displayed the lowest engagement in al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Lastly, demonstrating the role of a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we found perceived benefits associated with health promotion activities increases the likelihood of being physically vigorous consumers and dietary adherers, while perceived costs increase the likelihoods of being highly active consumers. Self-efficacy with respect to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re positively related with being highly active consumer, physically vigorous consumer and dietary adherers compared to passive consumers. Consumers who reported lower scores in perceived vulnerability in their healthiness are more likely to be highly engaged consumers in al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Perceived severity of the consequences of unhealthy conditions increased the likelihoods of being passive in al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This study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among consumers and underlying cognitive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health promotion activities by demonstrating a role of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 KCI등재후보

        만해 한용운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

        정경환 한국민족사상학회 2011 민족사상 Vol.5 No.4

        This thesis attends to analyse the political thought of Manhae Han Yong Woon. Until now, the studies on the political thought of Manhae are very small. To examine closely the Manhae's political thought, this writer looks into the fundamental knowledge about his view of the world. I explained concretely his historical and international view as a basic knowledge connecting the Manhae's political thought. On the basis of upper analysis, I analyses the political thought of Manhae as follows; First, the political thought of Manhae is expressed as a theory of self-determination of peoples. It is a precondition of the world peace. Secondly, the Manhae's political thought is indicated the theory of anti-imperialism. He defines a imerialism as a opposite morality and a opposite justice. Thirdly, the Manhae's political thought is regulated a theory of freedom politics. Finally, he emphasizes the theory of educational promotion. This political thoughts of Manhae are meaning of ideological guidelines lighting our peoples. 본 논문은 만해 한용운의 정치사상을 규명하고 있다. 지금까지 만해의 사상연구에 있어서 정치사상은 사실상 미답의 영역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만해의 정치사상을 제대로 살펴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의 세계관에 대한 기본인식이 필요하다. 만해의 정치사상과 관련된 기본인식으로 필자는 역사관과 국제관으로 설정하고 그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하여 규정한 그의 정치사상은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민족자결론이다. 민족자결론은 독립자존을 기초로 한 사상으로 민족자결은 평화의 근본조건이라고 그는 강조하고 있다. 둘째, 반제국주의론이다. 그는 제국주의를 반도덕 및 반정의로 규정하고 제국주의와 침략주의를 단호히 배격하고 있다. 셋째, 자유정치론을 지적할 수 있다. 자유를 기초한 정치론인 자유정치론은 평등과의 합일을 통해 미래지향적 정치론으로서의 의미를 지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그의 정치사상은 교육진흥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는 교육은 문명의 발전을 위한 전제로 인식하고 있다. 그래서 그는 민족과 국가발전을 위해 교육의 진흥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그의 정치사상은 시공간을 뛰어넘어 오늘날 아니 미래에도 우리 민족을 밝혀줄 정치사상적 지침으로서의 성격과 의미를 지니고 있다.

      • KCI등재

        청각장애인의 계획행동, 운동지속의도, 건강증진행동의 관계

        장은진 ( Eun-jin Jang ),심영균 ( Young-kyun Sim ),이석준 ( Suk-jun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8 No.1

        이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을 적용하여 청각장애인의 계획행동, 운동지속의도, 건강증진행동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각 장애인복지관에 등록된 청각장애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300명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이 중 응답의 일관성이 결여된 2부를 제외하고 298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인의 계획행동변수가 운동지속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계획행동변수(운동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력)는 운동지속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각장애인의 계획행동변수가 건강증진행동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계획행동변수의 하위요인인 주관적 규범은 건강증진행동의 하위요인인(건강관리, 대외적 관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획행동변수의 하위요인인 지각된 통제력은 건강증진행동의 하위요인인 건강증진 활동, 건강관리, 대외적 관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각장애인의 운동지속의도는 건강증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운동지속의도가 건강증진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인 건강증진 활동, 건강관리, 대외적 관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각장애인의 건강증진행동을 유발하고 강화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lanning behavior, exercise inten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by applying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For this purpose, a sample of hearing-impaired persons registered in the welfare centers and sports facilities of the nation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a sample of a total of 300 people was extracted. Among the 300 subjects, two data sets were dismissed due to inconsistencies hence a total of 298 data sets were used for analysis. Based on th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s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planning behavioral variables (exercise attitude, subjective norms, perceived control) of the hearing impaired were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movement. Second, the planning behavioral variable of the hearing impaired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Specifically, planning behavioral variables (subjective norms) have a positive effect on sub-fa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health management,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 and planning behavioral variables (perceived control) are health promotion. It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ll sub factors of behavior (health promotion activities, health care,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hips). Third, the exercise intention of the hearing impaire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Specifically, exercise inten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ll subfa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health promotion activities, health care,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hips). These results can be foun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induce and enhanc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hearing impaired.

      • KCI등재
      • KCI등재

        유통업체의 판매장려금 의존도가 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개인 중대형 상품취급소매점을 중심으로

        양주희,임채운,장명균 한국상품학회 2016 商品學硏究 Vol.34 No.5

        Sales promotion allowances(SPA) were originally a form of incentive offered by manufacturers to retailers, for the purposes of sales promotion. However, as giant chain retailers have increased in both size and power, some have engaged in unfair trade practices by maliciously using these sales promotion allowances. For this reason, the majority of studies on sales promotion allowances have their focus set solely on giant chain retailers. Drawing on power-dependence theory,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dependence by medium and large private supermarkets on sales promotion allowances, and the effect this has on relationship quality between suppliers and retailers. SPA can be accessed from dependence theory perspective due to the fact that, the greater the reliance on retail sales incentives, sales incentives to support manufacturers can grow the force is relatively. It also means that SPA could be used as a source of power that can exert a force on the distribution channel. In general, larger dependence on manufacturers of the distribution channel distributors, retailers will not be able to relatively inferior status of forces but to accommodate the needs of manufacturers in the lead force. For this investigation, the author has obtained 99 data sets from fax and personal visit record which were then analyzed using smartPLS. This study has found four following: (1) the dependence on allowances results in a positive impact on the influence by supplier, (2) the retailer's influence by supplier has a positive effect satisfaction, but (3) the influence by supplier has negative effect on trust is rejected. (4) Trust and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mmitment. Although there are some limitations, this study implies that dependence on sales promotion allowances positively affect the relationship quality between personal retailers and suppliers. 본 연구는 힘-의존 이론을 기반으로 판매장려금을 유통거래상 힘의 원천으로 보았으며, 유통업체의 판매장려금에 대한 의존도가 공급업체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중대형 개인 소매점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개인 중대형 슈퍼마켓에 직접 방문 및 Fax를 통하여 총 110개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유의한 99개의 설문지를 확보하였다. smartPLS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총 8개의 가설 중 2개가 기각되고 6개가 채택되었다. 개인 소매점의 판매장려금에 대한 의존도는 주거래 공급업체에 의한 영향력 수용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영향력 행사와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향력 수용 및 행사는 신뢰와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영향력 수용과 신뢰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뢰와 만족이 결속에 정의 영향을 미쳐, 판매장려금에 대한 개인 소매점의 의존도는 주거래 공급업체와의 관계의 질에 정의 영향을 보였다. 즉, 비록 중대형 개인 소매점의 판매장려금에 대한 의존도가 클수록 공급업체에 의한 영향력 수용이 커졌지만, 개인 소매점과 주거래 공급업체와의 관계의 질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적으로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개인 소매점과 공급업체 관계에서 판매장려금은 불공정거래의 수단이 아닌 판매촉진 및 충성도 향상 수단임을 밝히므로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국내증강현실 프로모션 체험 감정반응이 브랜드 태도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서윤,박영아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7 마케팅논집 Vol.25 No.4

        최근 증강현실이 새로운 마케팅 활동에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에도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증간현실의 기술적 관점에 초점을 두고 있는 선행연구를 한계점으로 보고 증강현실 체험을 통한 감정반응이 PAD(Pleasure, Arousal, Dominance) 차원에서 브랜드태도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조사는 2017년 3 월 22일부터 3월 26일에 걸쳐 증강현실 프로모션을 체험한 대구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실시하였으며, 총 162부의 표본이 최종 분석에 이용 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격프로모션은 지배력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고, 둘째, 부가가치프로모션은 즐거움, 환기, 지배력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기는 브랜드태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지배력은 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브랜드태도는 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증강현실 프로모션 유형에 따라 소비자의 행동을 유발하는 감정반응 요인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마케팅을 활용하는데 있어 이론적ㆍ실무적 시사점과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Recently the augmented reality has furnished the new opportunities for marketing activities and it even came with the influences on the purchase behaviors of the consumers. Under the assumption of a limitation with the precedent research focusing on the technological perspectives of the augmented reality, this research attemp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which the emotional reac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augmented reality had on the brand attitude and the intention of visit in terms of PAD (Pleasure, Arousal, Dominance). Thi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with the subjects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region of Daegu who experienced the augmented reality promotion from March 22 through March 26 and a total of 162 copies of samples was utiliz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price promotion was identified to give a positive (+) influence on dominance and, second, the added value promotion turned out to give a positive (+) influence on pleasure, arousal and dominance. Third, the arousal was identified to give a positive (+) influence on the brand attitude and, fourth, the dominance turned out to give a positive (+)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visit. Last, the brand attitude was revealed to give a positive (+)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visit. By way of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could be learned that the emotional response factors to trigger the consumer behaviors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augmented reality promotion.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utiliz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for marketing purposes.

      • KCI등재

        국내증강현실 프로모션 체험 감정반응이 브랜드 태도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서윤,박영아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7 마케팅논집 Vol.25 No.2

        Recently the augmented reality has furnished the new opportunities for marketing activities and it even came with the influences on the purchase behaviors of the consumers. Under the assumption of a limitation with the precedent research focusing on the technological perspectives of the augmented reality, this research attemp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which the emotional reac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augmented reality had on the brand attitude and the intention of visit in terms of PAD (Pleasure, Arousal, Dominance). Thi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with the subjects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region of Daegu who experienced the augmented reality promotion from March 22 through March 26 and a total of 162 copies of samples was utiliz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price promotion was identified to give a positive (+) influence on dominance and, second, the added value promotion turned out to give a positive (+) influence on pleasure, arousal and dominance. Third, the arousal was identified to give a positive (+) influence on the brand attitude and, fourth, the dominance turned out to give a positive (+)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visit. Last, the brand attitude was revealed to give a positive (+)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visit. By way of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could be learned that the emotional response factors to trigger the consumer behaviors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augmented reality promotion.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utiliz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for marketing purposes 최근 증강현실이 새로운 마케팅 활동에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에도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증간현실의 기술적 관점에 초점을 두고 있는 선행연구를 한계점으로 보고 증강현실 체험을 통한 감정반응이 PAD(Pleasure, Arousal, Dominance) 차원에서 브랜드태도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조사는 2017년 3 월 22일부터 3월 26일에 걸쳐 증강현실 프로모션을 체험한 대구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실시하였으며, 총 162부의 표본이 최종 분석에 이용 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격프로모션은 지배력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고, 둘째, 부가가치프로모션은 즐거움, 환기, 지배력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기는 브랜드태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지배력은 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브랜드태도는 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증강현실 프로모션 유형에 따라 소비자의 행동을 유발하는 감정반응 요인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마케팅을 활용하는데 있어 이론적ㆍ실무적 시사점과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여성노인의 건강증진 경험과정

        김정수(Kim Jeong-Soo) 질적연구학회 2008 질적연구 Vol.9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health promotion experience of elderly women and to help understand their health practice, and provide guidelines to developing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s. Method: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3 participants who were over 65 years old and analyzed in terms of Strauss and Corbin's (1990) grounded theory methodology. Results: The Core Category of health promotion of elderly women was identified as "exercise-oriented pursuing of health". The Process of this could be 4 stages: the stage of concern about health, the stage of enjoy on leisure life and community health center, the stage of new healthy life style, and the stage of confidence and satisfaction. Elderly women were seeking for health continuously. And. the type of participants was identified with 3 types: first type is enjoying leisure time, second type is pursuing of health, and third type is management of chronic illness. Conclusion : This study is contributed to provide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s for health promotion and developing health education in elderly women by increasing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health promotion.

      • KCI등재

        남녀관리자의 승진요인 분석

        황성수(Sung-su Hw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여성연구 Vol.92 No.1

        본 논문은 여성관리자패널조사를 활용하여 남녀관리자의 승진에 미치는 개인적인 차원의 변인을 파악하면서 동시에 승진에 미치는 변인의 차이가 남녀간에 상이한지 판별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또한 승진에 있어서 중간관리자로의 승진과 중간관리자에서 핵심간부로의 승진을 구분하여 상세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여기에 더하여 여성부하와 남성부하가 직속상사의 성별에 따라 승진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직속상사가 특정 여성이며 해당 직속상사의 부하를 성별로 나누어 분석하여야 하나, 패널조사에서 획득된 정보로는 동일한 직속상사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아 이러한 방법의 비교분석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남성승진(대상)자와 여성승진(대상)자의 두 집단을 분리하고 각각의 직속상사의 성별에 따라 승진율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승진에 있어서 하위직에서 중간관리자로의 승진(이하 1차 승진)과 중간관리자에서 핵심간부로의 승진(이하 2차 승진으로 구분)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특히 이러한 결과들을 활용하여 기존의 동일성 선호이론, 여왕벌 신드롬, 토큰효과 등이 한국의 기업 내에서 실제로 존재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세 가지로 압축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승진 이전 시점에서의 조사결과, 직장에 대한 몰입도가 높다고 응답한 여성일수록 2차 승진에서 승진할 가능성이 높아짐을 유의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는 과거 조직에 대한 충성심을 대변하던 남성중심적 사고를 2차 승진시점에서의 여성이 행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의심이 든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밝혀졌듯이 남성위주의 조직에 적응하기 위해 스스로 남성화(충성심으로 강제된 남성조직문화의 수용)되는 경향을 보이는 이른바 토큰 여성과 어느 정도 궤를 같이하지 않는가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둘째, 배우자 유무가 승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상위직급인 핵심간부로의 승진을 희망하는 여성에게 있어 ‘일가정양립’ 이 현실적이지 못함을 여과없이 보여주고 있다. 1차 승진에 있어서 남녀 모두 배우자가 있을 경우, 승진에 정(+)의 영향을 유의적으로 내보이고 있는 반면에 2차 승진에 있어서 남성의 경우는 배우자 유무가 승진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과는 달리, 여성의 경우는 배우자가 있을수록 오히려 승진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엄격하게 해석하면 핵심간부로의 승진을 희망하는 여성에게는‘결혼으로 일·가정양립을 수행해야함’이 2차 승진의 장애가 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셋째, 여성이 직속상사일 경우, 2차 승진에서의 여성부하 그룹을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승진율을 높이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는 앞서 선행연구에서 밝히고 있듯이 하위직 여성에게 있어 직속상사는 적어도 동일성 선호이론에 따라 여성의 승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이러한 결과는 남성부하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적어도 남성상사를 둔 경우보다는 여성상사를 둔 경우, 남성부하이든 여성부하이든 승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2차 승진에 있어서, 우리는 앞서 선행연구에서 밝힌 바와 같이‘여왕벌신드롬’과 유사한 경우를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2차 승진에 있어서 여성상사를 만난 남성부하는 앞서 1차 승진에 있어서와 마찬가지 로 승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성상사를 만난 여성부하는 승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명확히 여성부하의 승진에 음(-)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더라도 남성부하의 승진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동 시에 여성부하의 승진에는 관조적이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이는 엄격하게 설명할 수는 없으나 우리나라 기업에서도 어느 정도의‘여왕벌신드롬’이 존재하고 있음을 의심해볼만 하다. Using Korean Women Manager Panel, this paper examines individual factors of promotion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and the effect of the gender of immediate superior on the subordinates’ promotion. Restricted approach is employed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data. It analyze the difference of promotion rate according to the superior’s sex, distinguishing groups by subordinate’s gender and rank. It is expected to brighten the presence of the similarity-attraction, the queen bee syndrome, and the token effect in Korean companies. It illustrates that (1) the sexual difference in the factors of promotion presents, (2) the difference is varied by rank, and (3) low-rank female promotion is correspond with the similarity-attraction theory and the queen bee syndrome is observed in high-rank female promotion.

      • KCI등재

        유통업체의 판매장려금 의존도가 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양주희(Yang Joo Hee),장명균(Jang Myoung Gyun),임채운(Lim Chae un) 한국상품학회 2016 商品學硏究 Vol.34 No.4

        본 연구는 힘-의존 이론을 기반으로 판매장려금을 유통거래상 힘의 원천으로 보았으며, 유통업체의 판매장려금에 대한 의존도가 공급업체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중대형 개인 소매점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개인 중대형 슈퍼마켓에 직접 방문 및 Fax를 통하여 총 110개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유의한 99개의 설문지를 확보하였다. smartPLS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총 8개의 가설 중 2개가 기각되고 6개가 채택되었다. 개인 소매점의 판매장려금에 대한 의존도는 주거래 공급업체에 의한 영향력 수용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영향력 행사와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향력 수용 및 행사는 신뢰와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영향력 수용과 신뢰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뢰 와 만족이 결속에 정의 영향을 미쳐, 판매장려금에 대한 개인 소매점의 의존도는 주거래 공급업체와의 관계의 질에 정의 영향을 보였다. 즉, 비록 중대형 개인 소매점의 판매장려금에 대한 의존도가 클수록 공급업체에 의한 영향력 수용이 커졌지만, 개인 소매점과 주거래 공급업체와의 관계의 질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적으로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개인 소매점과 공급업체 관계에서 판매장려금은 불공정거래의 수단이 아닌 판매촉진 및 충성도 향상 수단임을 밝히므로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Sales promotion allowances(SPA) were originally a form of incentive offered by manufacturers to retailers, for the purposes of sales promotion. However, as giant chain retailers have increased in both size and power, some have engaged in unfair trade practices by maliciously using these sales promotion allowances. For this reason, the majority of studies on sales promotion allowances have their focus set solely on giant chain retailers. Drawing on power-dependence theory,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dependence by medium and large private supermarkets on sales promotion allowances, and the effect this has on relationship quality between suppliers and retailers. SPA can be accessed fromdependence theory perspective due to the fact that, the greater the reliance on retail sales incentives, sales incentives to support manufacturers can grow the force is relatively. It also means that SPA could be used as a source of power that can exert a force on the distribution channel. In general, larger dependence on manufacturers of the distribution channel distributors, retailers will not be able to relatively inferior status of forces but to accommodate the needs of manufacturers in the lead force. For this investigation, the author has obtained 99 data sets fromfax and personal visit record which were then analyzed using smartPLS. This study has found four following: (1) the dependence on allowances results in a positive impact on the influence by supplier, (2) the retailer s influence by supplier has a positive effect satisfaction, but (3) the influence by supplier has negative effect on trust is rejected. (4) Trust and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mmitment. Although there are some limitations, this study implies that dependence on sales promotion allowances positively affect the relationship quality between personal retailers and suppli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