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A Comparative Study on Three Poverty Measures

        Yoo Ji-Young,Lee Hong-Jik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7 社會科學硏究 Vol.23 No.1

        사회과학연구에 있어서 빈곤은 시간적, 공간적, 그리고 학제의 경계를 초월한 중요한 주제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이러한 주제의 중요성에 반해,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빈곤의 측정방법은 지극히 한정되어 있었다고 사료된다. 즉, 빈곤의 측정에 있어서 소득이나 빈곤율 이라는 척도에 지나치게 의존함으로 인해, 연구의 진행과정, 결과, 함의 상에서 다양성이 제약받는 듯하다. 또한, 빈곤의 다양한 측면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척도를 활용한 선행연구들이 제시한 결과는 불완전한 단정, 결론,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제언을 도출할 수 있다는 한계를 지닐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 빈곤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빈곤율(poverty rate)’, ‘빈곤격차(poverty gap)’, ‘빈곤격차제곱(squared poverty gap)’이라는 세 가지 척도를 소개하고, 이들의 특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특히, 세 가지 척도가 지니는 특성 비교에 있어서는, 미국의 대표적 인구노동관련 자료이자 빈곤통계 자료인 Current Population Survey를 이용, 이 세 가지 척도들에 의해 빈곤의 상대적 순위나 사회복지 프로그램들의 정책효과가 어떻게 차별적으로 제시될 수 있는지 실증하였다. 궁극적으로는, 본고의 논의가 보다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빈곤관련 통계치의 수집과 분석을 요청받고 있는 국내외 상황에서 새로운 빈곤관련 분석틀 구성에 제한적이나마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examines three poverty measures which can be utilized for poverty comparison or policy research. In terms of policy research, whether or how a specific policy affects poverty may depend on the particular way in which poverty is measured. Poverty measures will also determine the picture of poverty comparison among groups. However, past studies on poverty still adopt income or poverty rate as virtually the only indicator of poverty, which suggests that they have done little to publicize other dimensions of poverty. This limitation may also distort the public perception of poverty or social policies. Given these conditions, this paper investigates three poverty measures, which include poverty rate, the poverty gap and the squared poverty gap. These three measures would yield more comprehensive pictures of poverty by measuring different dimensions of poverty. This paper also presents statistical findings which are obtained from the March Current Population Survey data.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ould be that it is not safe to rely on a limited measure of poverty. Multiangulating results obtained by using multiple poverty measures will be a more secure basis for drawing conclusions than using single dimensions, especially in poverty comparison or policy research area.

      • KCI등재

        장애급여의 빈곤 완화 효과

        이선우(Sun Woo Lee) 한국사회정책학회 2010 한국사회정책 Vol.17 No.2

        이 연구에서는 장애급여의 빈곤 완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빈곤율, 빈곤갭 및 빈곤갭비율을 사용하여, 장애급여를 장애수당과 장애연금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빈곤율은 빈곤의 규모를 측정하는데 적절하며, 빈곤의 심도를 함께 측정할 수 있는 빈곤갭과 빈곤갭비율도 함께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장애급여의 빈곤 완화 효과는 빈곤율에서는 비교적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빈곤갭과 빈곤갭 비율에서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수당과 장애 연금의 빈곤 완화 효과가 차이가 나는 것은 장애급여 수급율과 장애급여 수급자의 소득계층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장애수당과 장애연금 모두 수급률이 상당히 낮아서 빈곤의 규모를 줄이는 데는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또한 빈곤의 심도를 줄이는 데는 장애수당이 장애연금보다 훨씬 더 효과적이었다. 이는 장애연금의 수급률이 매우 낮고 수급자의 소득계층이 비교적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장애수당이 저소득층에게 집중되어 지급되기 때문에 빈곤갭 비율 완화 효과가 더 컸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애인의 빈곤문제를 완화시키는 데 장애 수당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현재의 장애수당은 수급대상자가 기초생활 수급자와 차상위계층으로 제한되어 수급률이 낮고, 또 수급액도 상당히 적어서 장애인의 빈곤문제를 크게 완화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장애인의 빈곤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장애수당의 수급대상자를 확대하고 수급액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effects of disability benefits on poverty reduction using poverty rates, poverty gaps, and poverty gap rates(PGR). Poverty rates measure poverty incidence, but it is not an appropriate measure for poverty intensity. Poverty gaps and PGRs are able to measure poverty incidence and poverty intensity.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effects of disability benefits on poverty rates were much smaller than their effects on poverty gaps and PGRs. It seems to be resulted from differences in proportions of beneficiaries among the total registered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ir income classes. The effectiveness of disability allowance and disability pension on reducing poverty rates is low since the percentages of beneficiaries of disability allowance or disability pension are very low. Disability allowance is more effective on reducing PGRs than disability pension because the percentage of the beneficiaries of disability allowance is much higher than that of disability pension, and because the beneficiaries of disability allowance are lower income classes than those of disability pension. Thus it can be said that disability allowance is better targeted on low income disabled people than disability pension. As a result, disability allowance is a better scheme for reducing poverty of disabled people. However, the percentage of the beneficiaries of disability allowance is still low since the beneficiaries are very limited to people with income below 120% of the absolute poverty line. Moreover, the benefit rates of disability allowance are very low. Therefore, disability allowance is not very effective on reducing poverty problems of disabled people. It is fundamental to expand beneficiaries of disability allowance and to raise its benefit rates in order to reduce disabled people`s poverty.

      • KCI등재

        우리나라의 빈곤현황 및 정책과제 : Current Status and Policy Issues

        김미곤,김태완 한국사회보장학회 2004 사회보장연구 Vol.20 No.3

        우리나라의 경우 빈곤대책 수립의 기초자료가 되는 빈곤율 등의 빈곤관련 지수들이 연구자마다 다르게 산출되고 있다. 이는 국민들을 흔란스럽게 만들고 대책수립의 방향성을 잃게 만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빈곤정의에 부합하는 객관적인 방법으로 빈곤관련 지수들을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전반적인 빈곤관련 지수들은 1999년 정점을 달한 후 이후 약간씩 개선되다가 2003년부터 악화되고 있다. 빈곤대책으로서 가장 주요한 제도인 기초보장제도의 경우 기초보장의 사각지대가 존재하고, 상대빈곤에 대한 정책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며, 근로저하, 소득의 하향신고, 탈빈곤의 미흡, 빈곤함정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 사각지대 해소방안, 급여체계 개선, EITC 도입모형을 제시하였다. Poverty indicators are often used as basic data in making anti-poverty policy measures. However, many poverty-related indicators produced in Korea, among them poverty rates, vary from researcher to researcher, leaving the public confused and policymakers without bearings. This study, therefore, attempts to estimate poverty-related indicators in as objective a way as possible, conforming to the concept of poverty. The estimation shows that poverty-related indicators reached their peak in 1999 and slowly decreased thereafter until 2003, when they began to increase. There still remain gaps in the Basic Social Security System (BSSS), and policies on relative poverty are virtually non-existent. To make matters worse, the BSSS has many problems, including those associated with work disincentives, income underreporting, lack of poverty reduction, and poverty trap. To redress these problems, this study proposes plans to eliminate gaps, improve the benefit system, and introduce EITC. The benefit system, for example, should be reformed so that it can be more favorable to those who report their income correctly. In the case of EITC, the target group should be limited to the near poor.

      • KCI등재

        시간과 소득의 동시 빈곤에 관한 연구 - 남녀 가구주를 중심으로 -

        오혜은 ( Oh Hea Eun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7 사회복지정책 Vol.44 No.1

        소득과 시간은 유한한 자원이며, 인간다운 생활을 유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요인 중에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간 빈곤에 관한 연구는 소득 빈곤에 비해 소수에 불과하다. 특히 시간과 소득의 동시 빈곤에 관한 연구는 가구 유형을 중심으로 분석되어 성별과 같은 개인 차이에 초점을 두고 분석된 연구는 더욱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남녀 가구주를 대상으로 남성 유배우 가구주, 여성 유배우 가구주, 남성 무배우 가구주, 남성 유배우 가구주 네 집단으로 나누고, 네 집단 간에 시간 빈곤과 시간과 소득의 동시 빈곤 양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노동패널 17차년도 부가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시간 빈곤은 자유시간을 기준으로 설정하였고, FGT 지수 측정, Probit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 빈곤에 대한 FGT 지수 측정 결과 시간 빈곤율, 빈곤갭, 빈곤갭 제곱에서 비율이 높은 집단은 여성 유배우 가구주, 여성 무배우 가구주 순으로 나타나 여성 가구주가 남성 가구주에 비해 시간 빈곤에 취약함을 확인 하였다. 둘째, 소득 빈곤과 관련하여 분석하면, 소득 빈곤층에 속하는 여성 유배우 가구주의 시간 빈곤율이 가장 높아, 저소득층 여성 유배우 가구주의 경우 소득 빈곤의 고통 뿐 아니라 시간 빈곤의 고통에도 시달리는 경우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Probit 분석을 통하여 네 집단이 시간 빈곤, 소득 빈곤, 시간과 소득의 동시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지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 유배우 가구주, 여성 무배우 가구주는 시간 빈곤에 빠질 위험이 높았고, 여성 무배우 가구주는 시간과 소득의 동시 빈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Income and time are limited resources and necessities to maintain a life with dignity. Nevertheless, les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ime poverty than on income poverty. Particularly, much research on poverty of both time and income has been based on households, while little has focused on individual differences like gender.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householders in the characteristics of time poverty and poverty of both time and income. Toward this end, householder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male householders with spouse, female householders with spouse, male householders with no spouse, female householders with no spouse. also the study used the data from the Supplementary Survey of the 17th Year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Time poverty was determined by free time as the standard, and the calculation of Foster-Greer-Thorbecke (FGT) poverty indices and probit analysis were performed. The key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GT indices measurement on time poverty showed that female householders with spouse, female householders with no spouse had a higher time poverty headcount ratio, a higher time poverty gap, and a higher squared time poverty gap than male householders, verifying that female householders were more prone to time poverty than male householders; second, regarding income poverty, low-income female householders with spouse showed the highest time poverty headcount ratio, indicating that many of them were suffering not only from income poverty, but also from time poverty; finally, the probit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head of a householder`s type is a factor in income poverty, time poverty, and poverty both time and income. Its result showed that, while having a female householder with spouse, female householder with no spous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ime poverty and female householder with no spous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overty both time and income.

      • KCI등재

        노인가구의 코호트별 다차원빈곤 분석

        김순미 ( Kim Soon-mi ),조경진 ( Cho Kyung-jin ) 대한가정학회 2019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7 No.1

        This study analyzed the poverty rate by poverty dimension, correlation between multidimensional poverty, variables that affected the number of poverty dimension and the probability of the poor or not. The sample consisted of 6,361 elderly households (1,561 baby boom birth cohort, 1,793 post-liberation birth cohort, 3,007 Japanese colonial period birth cohort) taken from the 12<sup>th</sup> Korean Welfare Panel Study. First, the highest poverty rate among the baby boom birth cohort was 62.8% of employment poverty. The highest rate among the post-liberation birth cohort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birth cohort, was 82.5%, 92.3% of health poverty, respectively. Second, the highest coefficient in the baby boom birth cohort was .354 for asset poverty and relation poverty. In the remaining two cohorts, the coefficient for asset poverty and relation poverty was the highest at .268, .284, respectively. Third, the average number of poverty dimensions was 2.318 of the baby boom birth cohort, 2.921 of the post-liberation birth cohort, 3.564 of the poverty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irth cohort. Also, the poverty rate for each cohort was 20.179%, 28.779%, and 50.083%, respectively. Fourth,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all cohorts were gender, education, marital status, residence, and equalized ordinary income for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number of poverty dimensions. Additionally, age of the post-liberation birth cohort was significant, age and family number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irth cohort were significant. Significant variables in logistic analysis on the probability of poverty or not were the same as those of regression analysis.

      • Poverty and Poverty Reduction in Ethiopia

        Tegegne Gebre-Egziabher 연세대학교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10 Journal of Poverty Alleviation and International D Vol.1 No.1

        The pervasiveness and widespread nature of poverty in many developing countries has made countries to focus on poverty reduction as one of their pre-occupations. The different dimension of poverty in Ethiopia shows that it is one of the poorest countries in the world. The low level of income and calorie intake signifies the depth of poverty. Similarly, the low level of nutrition, low access to education and health compounds the problem. Trends in the different indicators of poverty, however, show that Ethiopia is in the trajectory of progress in terms of poverty reduction. In this regard, the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poverty reduction strategy papers (PRSPs) have played a role towards betterment of income, health and education. Moreover the country has implemented specific poverty reduction measures that are aimed at direct and indirect attacks of poverty. The direct attacks are those which focus on food security and rural employment creation, urban employment creation and provision of low cost housing while the indirect attacks deal with economic growth and social service provision. Ethiopia needs to strengthen its pro-poor growth policy in order to succeed in reducing poverty.

      • KCI등재

        노인빈곤과 노인의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김용태 대한변호사협회 2014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39

        Many elderly citizens of Korea live in poverty. Almost half the elderly in Koreawhich arrive at ‘unprepared’ senescence live in poverty. Poverty increases suffering of advancedage such as illness, loneliness etc. Poverty falls into several categories, for example, objectivepoverty, subjective poverty, absolute poverty, relative poverty, political poverty etc. TheConstitution of Korea expressing the poor(needy people) on “Citizens who are incapable of earninga livelihood”(Para 5 of Article 34), not only enjoins a duty on state that must protect the poor’slife, but also invests the poor with rights which demand for protect their’s life to the nation,through social fundamental rights. Namely, Constitution(Para 5 of Article 34) explicitly prescribes‘have a right’ that Citizens who are incapable of earning a livelihood shall be protected by the State. Like this, to distinguish whether he is “Citizens who are incapable of earning alivelihood”-presented on constitution Para 5 of Article 34-must serve various poverty concepts whichmentioned earlier. Finally, on the assumption objective poverty, constitution enjoins a duty on statewhich protect citizens from absolute poverty, also invests citizens with rights corresponding to it. Thesignificance is that if constitutional concept and criteria about poverty can be comprised in any way,it means that legislator who definitize concept and criteria of poverty by law is bound by constitution. Meanwhile, constitution Para 1 of Article 34 prescribes “all citizens shall be entitled to a life worthyof human beings.” This social fundamental right can be up and running for resolving poverty of theelderly, I examine concept and legal nature of one, and contents of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Act’s the minimum cost of living, National Pension Act’s old age pension, Basic Senior Pension Act’sbasic old age pension as exteriorized-legislation for the welfare of the aged for realization thisfundamental right, and critically examine each legislation for the welfare of the aged for incomesecurity for elderly. Lastly, I critically examine in constitutional aspect about legislation for the welfareof the aged for income security for elderly. 2013년 현재 대한민국 다수의 노인들은 빈곤하다. ‘준비되지 못한’ 노년기를 맞이한 우리나라노인은 절반 가까이가 빈곤층이다. 빈곤은 질병과 외로움 등 노년의 고통을 증폭시킨다. 빈곤은 객관적빈곤, 주관적 빈곤, 절대적 빈곤, 상대적 빈곤, 정책적 빈곤 등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우리 헌법은 빈곤자를 “생활능력이 없는 국민”으로 표현하면서(제34조 제5항), 국가에 대해 빈곤자의 생활을 보호해야 할 의무를 부과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기본권 등을 통하여 빈곤자가 국가를 상대로 자신의 생활을 보호해주도록 요구할 수 있는 권리도 부여하고 있다. 즉 헌법 제34조 제5항은 생활능력이 없는 국민에 대해 국가의 보호를 받을 권리가 있음을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헌법이 표현하고 있는 생활능력이 없는 국민(빈곤자)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다양한빈곤 개념들이 사용되어야 한다. 결국 헌법은 객관적 빈곤을 전제로, 절대적 빈곤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해야 할 의무를 국가에게 부담시키고, 이에 상응하는 권리를 국민에게 부여하고 있다 할 것이다. 중요한 점은 어떤 식으로든 빈곤에 대한 헌법적 개념과 기준이 구성될 수 있다면, 이는 법률로써 빈곤의개념과 기준을 구체화하는 입법자를 구속하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헌법 제34조 제1항은 “모든 국민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가진다”고 규정한다. 인간다운생활을 할 권리는 노인빈곤의 해소를 위한 기본권으로 작동될 수 있는데, 이 기본권의 개념과 법적 성격을 살펴보고, 노인의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구체화하고 있는 노인복지법제로서 ①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근거한 최저생계비제도, ② 국민연금법에 근거한 노령연금제도, ③ 기초노령연금법에 근거한 기초노령연금제도의 내용을 검토한 후, 노후 소득보장을 위한 노인복지법제 각각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노후 소득보장을 위한 노인복지법제에 대해 헌법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검토해 보았다.

      • KCI등재

        빈곤지위의 변화에 정신건강이 미치는 영향: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영향을 중심으로

        이상록 ( Sang Rok Lee ),이순아 ( Soon A Lee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0 사회복지연구 Vol.41 No.4

        빈곤에는 인적자본 및 가족구조 등의 물질적 결핍 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측면이 주요하게 관련되어 있음이 널리 제기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관련 연구성과들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빈곤층의 심리사회적 측면이 빈곤지위의 결정 및 이의 변화에 어떠한 관련성을 지니는지를 정신건강 변수들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에서는 한국복지패널 1~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우울 및 자아존중감 등의 정신건강 요인과 빈곤지위의 관계를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였는데, 주요 분석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층과 비빈곤층의 정신건강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빈곤층 내부에서 도 빈곤이 심각할수록 정신건강이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빈곤과 정신건강의 부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빈곤탈출 집단과 빈곤지속 집단의 정신건강 수준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정신건강이 빈곤지위 변화와도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빈곤경험 양상은 정신건강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정신건강수준이 양호하지 못할수록 빈곤 경험율 및 빈곤지속의 경험이 높고, 빈곤경험기간도 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들의 빈곤 탈출율은 낮은 반면 빈곤 지속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타 관련 변수들을 통제한 모델에 대한 분석에서는 정신건강이 빈곤지위 및 빈곤지위 변화에의 주요 결정 요인의 하나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빈곤지위 및 이의 변화에 정신건강의 주요한 영향을 보여주는 바로, 우리사회의 빈곤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물질적 결핍에 대한 지원에만 치중된 정책적 접근에서 벗어나 빈곤층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 및 지원이 요청됨을 정책적 함의로 시사하여 준다. The powerful association between poverty and mental health has been recognized for many decades in the Western Countries. Despite growing poverty studies, there has been little attention to the association between poverty and mental health in Korea.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effects of the mental health on the poverty status transition. In this study we draw on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from the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to estimate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respects on the poverty status transition.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there are mental health disparities between poor and non-poor classes. The mental health conditions of the poor are worse than the non-poor. Second, we find the strong correlations between the mental health and poverty status transition. Whether poor family exits poverty or not depends on the household head`s mental health. Third, poverty experienc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ental health conditions. To the mental ill-health family, the probabilities of poverty-exit are much lower and poverty duration is more long. Fourth, we find that family poverty status transitions are very significantly related with household head`s mental health from the logistic model analysi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poor mental health and the experience of poverty in Korea. They also suggest that intervention programs to enhance the mental health of the poor are needed in order to reduce the poverty problem in Korea

      • KCI등재

        Anti-Poverty Policy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U.S.A & South Korea

        Song, Moon Young 국제헌법학회 한국학회 2005 世界憲法硏究 Vol.11 No.1

        지구촌 곳곳의 인간의 세상에는 예나 지금이나 한결 같이 풀어야 할 주요 과제가 산적해 있다. 그 중에서도 시급을 요하는 가장 중요한 문제가 도사리고 있으니 그것은 다름 아닌 빈곤퇴치의 문제일 것이다. 부자나라나 빈한한 나라나 가릴 것 없이 그놈은 염치도 없이 인간들을 마구잡이로 인정사정없이 괴롭히고 있다. 그리하여 한국의 민간의 속담에는 이런 말이 떠돌고 있다.: "가난은 나랏 님도 못 말린다." 즉 국가공권력으로도 해결하기가 어려운 과제가 바로 빈곤 퇴치문제라는 의미일 것이다. 그러면 어떻게 우리는 이 숙제를 풀어야 하는가? 이 빈곤퇴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리는 선진국의 대표격인 미국과 선진국으로의 진입을 위하여 맹렬히 달려가고 있는 한국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그 해답의 실마리를 풀고자 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정책사적으로 볼 때 미국은 전통적으로 시장 자본주의에 입각하여 빈곤문제해결에 접근하고 있는데 반하여, 한국은 딱히 미국식 시장 자본주의적 접근방법 만에 의존한다기 보다는 정부주도형 접근방법도 정권에 따라서는 상당히 애용하는 소위 혼합주사형(Mixed scanning model)접근방법에 의존하여 빈곤문제해결에 임하고 있다고 본다. 국가사회의 발전도에 따라서 당연히 빈곤퇴치의 방법론도 상응한 특색을 발휘하는 것이라고 우리는 본다. 빈곤문제해결에는 편의상 두 가지 접근방법으로 정리해볼 수 있다. 즉 사회복지형 전략과 근로권장형 전략을 강구 할 수 있는데, 때와 장소에 따라서는 이들 두 전략은 혼합절충식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그 혼합의 강도는 빈곤문제를 위요한 그때 그때의 상황 변화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 미국의 경우, 공화당 정권시에는 다분히 근로복지형 전략으로 빈곤문제를 접근하는데 반하여, 민주당 정권시에는 근로복지형(Workfare straties) 전략 보다는 사회복지형(Welfare strategies)전략을 선호하여 빈곤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평가된다. 근로복지형 전략은 빈곤층의 수혜대상자들에게 무조건적 수혜위주의 복지전략으로 빈곤 문제에의 접근방법 보다는 문제해결의 핵심은 그들로 하여금 미국건국초의 청교도들의 근로정신철학 처럼 왕성한 근로정신을 고취시킴으로서 국가 전체적 경제개발에 기여토록 함으로서 근본적으로 빈곤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고 보는 입장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빈곤문제는 빈곤한 당사자 개인만의 책임으로만 돌리고 수수방관할 문제가 아니며 국가라는 공권력이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가난 문제를 해결함으로서 가난한 계층 없는 복지 사회를 이룩할 수 있다고 보는 입장이다. 여기에 공권력의 제도화인 국가의 존재이유가 있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양 접근전략은 나름대로 철학적 존립근거가 타당하고, 뿐만 아니라 제각기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음으로 어느 쪽에 의존하여 빈곤문제를 풀어야 하는 방법론의 문제는 어느 한쪽만 택하고 다른 쪽은 배제해 버리는 식의 이분론적 선택의 문제라고 보기보다는 어느 특정 국가사회가 놓여 진 상황 여건여하에 달린 문제라고 본다. 환언하면 상황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근로복지 모형과 사회복지 모형을 혼합절충식으로 융통성 있고 조화롭게 운영하는 것이 빈곤 문제해결의 관건이라고 본다. Throughout the world, historically poverty has been accepted as inevitable. As a Korean old proverb, “even the king could not solve the people’s poverty problem”. Even on an international level, little has been done to eliminate worldwide poverty. The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other industrialized nations, however, have sustained enough economic growth in the past several hundred years to eliminate mass poverty. In fact, taking account of the wealth and high standard of living in the United States, other industrialized nations, and South Korea of today, the persistence of poverty here appears bizarre and anomalous. How can there still be so much poverty in an extremely affluent nation like the United States of so much abundance? And what can be done about it? A traditional poverty solution has been income transfers. These are methods of transferring income from relatively well-to-de to relatively poor groups in society, and as a nation, we have been using such methods for a long time. Today, both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a vast array of welfare programs exists for the sole purpose of redistributing income. We know well, however, that these programs have not been entirely successful. First and foremost, the solution to the poverty problem is one of choice among several anti-poverty strategies. If a present government fails to deal with the poverty problem, for the successive government, there is nothing for it but to fall back on another strategy. For example, if the ex-government’s political failures result mainly from unwise and untimely application of anti-poverty strategy like welfare system, naturally, the following government has no way to turn to the other strategy like welfare policy. In this way, the anti-poverty policies go in the strategic circle of poverty between welfare and welfare system. For the most part, the United States has been depending on private initiated anti-poverty policy with a few exceptions, but, by contrast, in case of the South Korea, the successive governments on public initiated poverty policy with the exception of the present Noah government. Consequently, we strongly believe that an idealistic peaceful society originates in the building of the world without the poor, and that it is the very raison d’etre of a national government.

      • KCI등재

        부자들의 빈곤2 - 18세기 중반 영남 한 향촌 양반지주가의 경제생활 -

        정진영 ( Jung Jin-young ) 대구사학회 2017 대구사학 Vol.129 No.-

        이 연구는 앞서 검토하였던 16~18세기 향촌 양반지주층의 빈곤을 18세기 중엽 한 특정가문을 중심으로 다시 확인함과 아울러 이들의 ‘가난’이나 ‘빈곤’이 어디에서 원인하는 것인지, 이를 어떻게 극복ㆍ대응해 나갔는지에 대해 개괄적으로나마 살펴본 것이다. 검토 대상 가문인 대구의 경주 최씨가는 관직자도 배출했고, 중소지주 또는 그 이상의 경제적 기반을 학보 혹은 유지했으며, 특히 최흥원은 학문적으로도 크게 명성을 떨쳤다. 또한 최씨가에는 분재기와 매매명문 등과 함께 최흥원(1705~1786)이 남긴 방대한《曆中日記》등의 자료가 소장되어 있다. 최흥원의《역중일기》에는 자신뿐만 아니라 형제들과 족친들, 외가와 사돈가, 그리고 다양한 인물들의 빈곤과 관련된 내용들이 아주 빈번하게 나타난다. 빈곤의 원인은 자연재해와 많은 식구들, 그리고 봉제사 접빈객 등이었고, 곡식과 돈을 빌리거나 토지와 노비를 팔거나 관의 환곡 등을 통해 여기에 대응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것은 일방적인 것이 아니었다. 최씨가에서도 주위의 인척과 여러 사람들에게 빌려주거나 토지를 매득하는 경우가 많았다. 최씨가에서는 助祭庫와 別庫 등 다양한 문중조직을 운영하고 있었다. 이것은 물론 제사를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흉년이 계속되는 상황에서는 다만 그 본래의 기능만을 고집할 수 없었다. 최씨가에서는 여기에도 크게 의지할 수 있었다. 흉년이나 빈곤에 대한 이상과 같은 대응은 근본적인 것이 아니라 임시미봉책에 불과했다. 따라서 흉년이나 빈곤이 장기적 혹은 주기적으로 계속되는 상황에서는 점점 더 극한 상황으로 내몰릴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런 사정에서 18, 19세기를 거치면서 점차 더 많은 양반들이 경제적으로 몰락의 길을 걸을 수밖에 없었음을 충분히 짐작해 볼 수 있다. 이제 마지막으로 최씨가의 빈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남았다. 최씨가의 경우는 빈곤의 일상화라기보다는 차라리 일시적인 것이었다. ‘몰락’의 길로 내몰렸던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은 양이지만 전답의 매득과 상당한 재원을 필요로 하는 건축도 꾸준히 계속되었다. 최씨가의 빈곤은 말하자면 ‘부자들의 빈곤’인 셈이다. 가난해서가 아니라 지출이 과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빈곤은 조선 후기 향촌 양반지주가의 일반적인 모습이었다. 또한 당시의 농업경영이 자연적인 조건에 크게 제약됨으로써 안정적이지 못했음도 분명해 보인다. This study reconfirmed the poverty of the landed gentry in country villages in the 16th - 18th centuries that was reviewed in the previous study mainly based on a specific family in the mid-18th century, and generally examined where their ‘poverty’ or ‘penury’ was originated and how they coped with and responded to it. The Gyeongju Choi clan family in Daegu, the target family of the study, produced government officials and secured or maintained their financial foundation as an owner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lands or higher. In particular, the Choi family left Yeok-Joong-Il-Gi (曆中日記) written by Choi Heung-won (1705 - 1786), along with the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and trading statements. The journal Yeok-Joong-Il-Gi by Choi Heung-won frequently described the issues related to poverty in himself, brothers, relatives, relatives of his mother’s and wife’s sides and many other people. The reasons for poverty were natural disaster, the large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reception of the guests of ancestral rites, and the family handled the issue by borrowing grain and money or selling lands and slaves or using the Grain Loan System (Hwangok) of provincial government. However, these were not just unilateral measures because the Choi family also often lent lands or grain to many relatives and neighbors or purchased lands from them. Such responses to bad years or poverty were only temporary remedies rather than the fundamental solutions. Therefore, when bad years or poverty continued for a long time or occurred periodically, the gentry were forced to be placed in more extreme situations. In these circumstances, it can be assumed that more and more of the gentry had to face a financial collapse in the 18th - 19th centuries. Lastly, there is a question left about how to understand poverty of the Choi family. In this case, the family’s poverty was temporary rather than habituated poverty. Therefore, they were not forced to ‘collapse.’ The family continued to buy small farmlands and constructed buildings that required a considerable amount of finance. Poverty experienced by the Choi family was so-called ‘poverty of the rich.’ They experienced poverty because of excessive spending rather than being poor. Such poverty was commonly found in the families of the landed gentry in country villag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also considered evident that agricultural management was unstable as it was significantly limited by the natural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