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국 인간 수정 및 배아발생에 관한 법률(HFEA) 개정의 내용 및 시사점 : 보조생식에 따른 부모의 법적 확정에 관한 'part 2'를 중심으로

        김은애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09 생명윤리정책연구 Vol.3 No.2

        The regulation on the assisted reproduction using the gamete and embryo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field of the bioethics law and policy. As the assisted reproduction involving the third party as the gamete donor has been increased in Korea, 「Bioethics and Safety Act(hereafter, Bioethics Act」 has been enacted in 2005 and amended in 2008. Although the amended 「Bioethics Act」have provisions relevant to the assisted reproduction, most provisions deal with its medical procedures and the health of the egg donor. The legal parenthood is not properly addressed. In the UK, 「Human Fertilisation and Embryology Act(hereafter, HFE Act)」 has been enacted in 1990, and amended in 2008. The amended 「HFE Act」 consists of three parts. In particular, ‘part 2’ deals with the legal condition to authorize the parenthood in cases involving the assisted reproduction. Under this act, if the infertile couple(husband and wife, civil partners of each other, two persons who are living as partners in an enduring family relationship) meet the legal condition including the legal treaty as the parent in the written consent, their legal parenthood to the child who is born as the result of the assisted reproduction technology using donor’s gamete is secured. UK Human Fertilisation and Embryology Authority(hereafter, HFE Authority) provides official consent forms and the guidance in order to assure their parenthood. These consent forms and the guidance serve as the basic standard as well as the method and specific procedure to decide the legal parenthood. In ‘part 2,’ there are also the provisions that regulate posthumous reproduction and surrogacy. According to these provisions, posthumous reproduction and surrogacy, even if limited, are allowed as long as the legal condition is complied with. If the person who wants to use either of these two methods fulfills the legal condition including the legal treaty as the parent in the written consent, his or her legal parenthood to the child who is born as the result of these ways is also secured. The spectrum of the parenthood has been extended by the invention of the assisted reproduction technology using the donor’s sperm and egg. Nowadays we can store the gamete and embryos that are frozen for the later use. Accordingly the cases that need for the provision to authorize the parenthood have been augmented. Therefore, we have to exert all possible efforts to prepare the legal standard and the appropriate procedure to define the legal parenthood involving assisted reproduction technology. In this respect, the amended 「HFE Act」and the relevant forms prepared by HFE Authority will be good references to seek for the legal standard and the appropriate procedure in Korea.

      • KCI등재

        死後胞胎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일고찰

        이경희(Lee Kyung-Hui) 한국가족법학회 2007 가족법연구 Vol.21 No.3

        There is no legislation about posthumous reproduction in Korea. And the long-term effect of inevitable changes in the stucture of families and quality of relationship created by assisted reproduction are not widely discussed and have not yet become the subject of research in the social science. But this paper only concentrates on what is an adequate decision-making framework for posthumous reproduction. A traditional property model does not reflect the value of gametes and embryos to the individual concerned. Because property does not speak to the significance of genetic links, genetic continuity and potential personhood inherent in our relationship with our gametes and embryos. Therefore I propose in this paper that the interest of all parties concerned - the deceased, the widow, the child - as well as the broad social interest, must be weighed if we are to decide on the ethics of posthumous reproduction.

      • KCI등재

        생식보조의료와 사적생활상의 자기결정권

        김민규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연구 Vol.51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follow-up study of the researcher's previous research o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Recent Discussions about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nd the Subject, Dong-A Law Review, Vol.46, Feb. 2010) to find the answer to the problems regarding ART suggested in the findings of the previous study. This study examined legal principles of the formation and application of the autonomy, which is gaining more and more emphasis in personal relationship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present status of ART and some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health legislation or paternity law, with the focus on the purview of the autonomy. The findings are as follows:(1) Up to now, regarding Artificial Insemination by Donor (AID) or surrogate maternity, legal scholars have sticked to the principle of mother's right to make a decision. Underlying this argument, there lies the ideology of attaining kinship. However, the present paternity law has its own inherent breakdown of kinship of the real child. Thus,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a new formation of parents-child relationship that respects “the autonomy of life” can be accepted in the present paternity law. (2) The more important factor when making a legislation for ART is that “the welfare of the child” should not be downplayed. Since the welfare of the child can be realized through the intention of bringing up the child of the people who wants to have a child through AID or surrogate maternity or of their client, it is appropriate to map out the parents-child relationship by respecting of the autonomy.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utonomy of the parents who want to have a child on the basis of the intention of bringing up a child can be ensured when secured by “social consensus.”(3) Whether it is AID or surrogate maternity, if it is the final step of fertility treatments, it should be accepted restrictively and exceptionally considering “the intention of bringing up a child and environment (capability)” to maintain the order of reproduction and to reach a social consensus. (4) About 10 years ago,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cknowledged AID as well as surrogate maternity based on ethical guidelines for assisted reproduction and has led health legislation or paternity law. From now on, it is important to continue to try to reach a social agreement on ART. (5) Three propositions suggested in the recently submitted legislative bill seem to be moving toward a favorable direction : creating a so-called control tower in order to give medical treatments and manage ART, undertaking a review of the suitability for action with the intervention of a committee or Family Court, and keeping a stable life for the family of the beneficiary by sev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nor and the child born through assisted reproduction.

      • KCI등재

        생식보조의료와 사적생활상의 자기결정권

        金敏圭(Kim Min-Kyou)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연구 Vol.50 No.1

        이 연구는 생식보조의료 문제를 둘러싼 필자의 선행연구(생식보조의료에 대한 최근의 논의와 그 과제, 동아법학 제46호, 2010. 2)의 결과에서 제시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후속연구이다. 따라서 사적 생활관계에서 점차 중시되고 있는 "자기결정권”의 생성 및 적용법리와 생식보조의료를 둘러싼 현황 그리고 "사적 생활상의 자기결정권”이 생식보조의료에 미치는 사정범위를 중심으로 의료법제 또는 친자법제에서 고려하여야 할 요소들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종래 생식보조의료를 둘러싸고 전개하여 온 법학계의 논의는 AID 또는 대리출산 어느 경우나 母의 決定法理에 집착하여 왔다. 이와 같은 논의의 저변에는 친자관계에 대한 혈연주의의 관철이라는 이데올로기가 자리잡고 있었다. 그러나 현행 친자법 내에는 "친생자에 대한 혈연주의의 파탄”이라는 현상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현행 친자법 체제 내에 "사적 생활상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는 친자관계의 새로운 형성양상도 충분히 수용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2)생식보조의료 법제(의료법제, 친자법제 포함)를 형성함에 있어서 가장 중시할 고려 요소는 그로 인하여 탄생되는 "子의 福祉”라는 점을 경시해서는 안될 것이다. "子의 福祉”는 결국 AID 또는 대리출산 방법을 통하여 子를 가지려는 당사자 또는 의뢰인의 "양육의사”로 구체화되는 만큼, 자기결정권을 존중함으로써 父 · 母子關係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사회적 평가를 거친 양육의사를 바탕으로 子를 가지려는 부모의 자기결정권도 "사회적 합의”에 의해 담보될 때 그 합리성이 보장된다는 점은 거듭 말할 필요도 없다. (3)AID의 경우이건 대리출산의 경우이건 불임치료를 위한 최종적인 방법일 경우 "양육의사, 환경(능력)" 등을 고려하여 제한적이고 예외적인 경우에 한정적으로 인정하는 것이 "생식질서의 유지”와 "사회적 합의도출”이라는 고려요소를 충족할 수 있을 것이다. (4)AID이건 대리출산이건 대단히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대한산부인과학회에서는 이미 10여년전에 "보조생식윤리지침”에 의해 AID뿐만 아니라 대리수태의 경우까지 인정하여 의료법제와 친자법제를 선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의지는 자율적인 규범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도출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필요가 있다. (5)최근 제안된 법률안에서는 어떤 형태로건 생식보조의료를 시술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컨트롤 · 타워를 설치하는 방안, 의료보조생식행위에 대하여 위원회 또는 가정법원의 개입을 통하여 행위적합성에 대한 검증과정을 거치는 방안, 제공자와 생식보조의료출생자와의 관계를 단절함으로써 수혜자 가족의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하려는 친자법제의 제안은 일단 바람직한 방향이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follow-up study of the researcher's previous research o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ogy (Recent Discussions about Assisted Reproductive TechNoogy and the Subject, Dong-A Law Review, Vol.46, Feb. 2010) to find the answer to the problems regarding ART suggested in the findings of the previous study. This study examined legal principles of the formation and application of the autonomy, which is gaining more and more emphasis in personal relationship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present status of ART and some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health legislation or paternity law, with the focus on the purview of the autonom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Up to now, regarding Artificial Insemination by Donor (AID) or surrogate maternity, legal scholars have sticked to the principle of mother's right to make a decision. Underlying this argument, there lies the ideology of attaining kinship. However, the present paternity law has its own inherent breakdown of kinship of the real child. Thus,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a new formation of parents-child relationship that respects "the autonomy of life" can be accepted in the present paternity law. (2) The more important factor when making a legislation for ART is that "the welfare of the child" should not be downplayed. Since the welfare of the child can be realized through the intention of bringing up the child of the people who wants to have a child through AID or surrogate maternity or of their client, it is appropriate to map out the parents-child relationship by respecting of the autonomy.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utonomy of the parents who want to have a child on the basis of the intention of bringing up a child can be ensured when secured by "social consensus.” (3) Whether it is AID or surrogate maternity, if it is the final step of fertility treatments, it should be accepted restrictively and exceptionally considering "the intention of bringing up a child and environment (capability)" to maintain the order of reproduction and to reach a social consensus. (4) About 10 years ago,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cknowledged AID as well as surrogate maternity based on ethical guidelines for assisted reproduction and has led health legislation or paternity law. From now on, it is important to continue to try to reach a social agreement on ART. (5) Three propositions suggested in the recently submitted legislative bill seem to be moving toward a favorable direction : creating a so-called control tower in order to give medical treatments and manage ART, undertaking a review of the suitability for action with the intervention of a committee or Family Court, and keeping a stable life for the family of the beneficiary by sev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nor and the child born through assisted reproduction.

      • KCI등재

        보조생식기술(補助生殖技術)의 가족법적 쟁점(家族法的 爭點)에 대한 근래의 동향(動向)

        윤진수 ( Jin Su Yune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서울대학교 法學 Vol.49 No.2

        This article examines the recent trends in the family law issues arising out of the assisted reproduction technology at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 Firstly, in case of AID (artificial insemination by donor), there is an international consensus that the husband who has consented to the AID should be deemed the father of the child. However, there is a debate in recent years, whether or not the child is entitled to know her genetic father. Secondly, there is much controversy over the surrogate mother. In Korea, the prevailing opinion regards it as immoral and asserts that it should not be allowed. In case of the gestational surrogate mother, the prevailing opinion is that the woman who has delivered a child, not an ovum provider, is considered a mother. On the other hand, there are jurisdictions in which the surrogacy is allowed and an ovum provider is regarded as a mother. Thirdly, when a child was borne by way of posthumous insemination, could she be treated as the child of the sperm provider? In 2006, the Japanese Supreme Court denied it. In contrast, the UK passed Human Fertilisation and Embryology (Deceased Fathers) Act 2003, which recognized the sperm provider as the legal father of the child. It is urgent that there be a new statute to govern these legal issues. Furthermore, the new statute should fully respect the human right of procreation of those involved in the assisted reproduction.

      • KCI등재후보

        사후포태에 의하여 출생한 자의 법적지위에 관한 고찰- 미국의 Astrue v. Capato, 132 S. Ct. 2021(2012) 판결을 중심으로 -

        서종희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법학논총 Vol.27 No.1

        There is no legislations and court precedendts about posthumous reproduction, the Legal Status of Posthumously Conceived Children. However, that is a matter for social discussion and something to be thrashed out. It is the elephant in the room. In 2012, the Court issued its decision in Astrue v. Capato. In an unanimous opinion by Justice Ginsburg, the Court sided squarely with the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thus giving Chevron deference to a federal agency’s interpretation for the seventh time in the past five years. The case involved two children conceived after their father’s death using his frozen sperm; their application for Social Security survivors benefits was denied on the ground that they did not qualify as his “children” because they were not entitled to inherit from him under applicable state law. The Third Circuit reversed, holding that the undisputed biological children of a deceased wage earner and his widow are the wage earner’s “children” within the meaning of the Social Security Act.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decided unanimously that a child conceived and born after a parent’s death cannot rely solely on a genetic connection to the deceased parent in order to qualify for Social Security survivors benefits. Siding with the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s interpretation of the law, the Court held that all children, including those born via assisted reproduction technology, must either demonstrate that they would be eligible to inherit from their late parent under state law or satisfy one of the statutory alternatives to that requirement. The SSA’s interpretation was more consistent with the core purpose of the Act, which is to protect family members who depend on another family member’s income from hardship if that family member dies. To put it in a nutshell, we have to accept postmortem affiliation and inheritance of posthumously conceived children in lights of the best interest of child, the state of the national finances and the need for change of Family law. We try to be several following qualifications for this as: parent’s integrity and time limits. 동결보전정자를 제공자의 사후에 이용하는 사후생식(posthumous reproduction)을 가능케 하여, 사후포태자(posthumously conceived)라는 새로운 개념을 창출하였다. 이에 사후포태자의 법적지위(사후인지 가능성, 상속권 인정여부)가 문제된다. 일본의 경우에는 2006년 최고재판소 판결에서 사후생식을 통해 출생한 자녀의 인지청구권을 배척하였다. 그런데 국내에서는 학설상 논의가 되고 있을 뿐, 아직까지 이와 관련된 판결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국민의 다수가 암 등의 중대질병을 가지고 있고, 그에 따른 사망률이 높은 우리나라의 현실을 감안하면, 국내에서도 이러한 사후생식으로 인한 법적분쟁은 조만간 발생할 것이다. 미국에서는 이러한 사후포태자에게 미국 사회보장법상 유족급여의 수급자격이 인정될 것인지와 관련하여 많은 분쟁이 발생하였다. 그런데 사회보장법상의 유족급부금의 인정여부는 무유언상속법상의 상속권의 인정여부를 기초로 이해되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미국에서의 사후포태자의 법적지위는 무유언상속법에 의한 상속권 인정여부로 결정된다. 그런데 무유언상속법은 각 주(州)마다 다양하기 때문에 사후포태자에게 상속권이 인정될지 여부는 주마다 다를 수밖에 없다. Astrue v. Capato, 132 S. Ct. 2021(2012) 판결은 사후포태자의 유족급부금 수급자격과 관련된 사회보장법의 해석을 둘러싼 미합중국 항소재판소 간의 견해의 대립을 통일적으로 해결한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즉 연방대법원은 각 주의 무유언상속법에 따라 사회보장법상 유족급부금을 받을 수 있는 ‘자’를 정의하는 사회보장국의 입장을 추인하여 해석을 통일함으로써 무유언상속법상의 상속자격과 사회보장법상 유족급부금 수급자격을 일치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미 살펴본 것과 같이 미국은 무유언상속법에서 사후포태자의 상속에 대해서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주가 다수 존재한다. 따라서 대상판결은 사후포태자에 유족급부금의 수급자격이 있는가라고 하는 실질적인 물음을 주의 무유언상속법에 위임하여, 다수의 과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일부견해들은 통일법에 의해 각 주법의 내용을 통일하는 방법 이외에, 친자관계나 상속이 전통적으로 주의 영역이라 할지라도 사후포태자에 대한 전국적인 기준의 필요성을 이유로, 사회보장법의 개정에 의한 연방 수준에서의 통일적 대응을 제언하기도 한다. 공통적으로 망부가 생전에 동의하였고, 망부의 죽음으로부터 일정기간 내의 포태 내지 출생한 경우에 한하여 사후포태자에게도 유족급부금의 수급자격을 인정하자는 것이다. 어느 시점까지를 기한으로 정할지에 대해서는 미망인의 복상기간이나 생식보조의료에 의한 임신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할 것을 주장한다. 과학은 그 시대의 시대정신(Zeistgeist)과 과학적인 패러다임(paradigm)에 동시에 영향을 받아 다양한 모습으로 사회에 표출된다. 그러나 법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따라갈 수 없는 한계를 가진다. 요컨대 현행법에 의하면, 사후포태자는 부에 대한 인지 및 상속을 받을 수 없다. 그러나 자녀의 혈연에 관한 정보를 통해 존재의 권원에 대한 안정감을 얻을 수 있다. 자아정체성 정립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혈연부모 중 한사람을 자녀의 삶에서 친자로 인정할 기회를 완전히 박탈하는 것은 자녀의 복리를 침해하는 행위이다. 더욱이 부모와 자녀사이에 혈연 ...

      • KCI등재

        사후포태에 의하여 출생한 자의 법적지위에 관한 미국의 동향

        서종희(Seo, Jong Hee)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법학논총 Vol.27 No.1

        동결보전정자를 제공자의 사후에 이용하는 사후생식(posthumous reproduction)을 가능케 하여, 사후포태자(posthumously conceived)라는 새로운 개념을 창출하였다. 이에 사후포태자의 법적지위(사후인지 가능성, 상속권 인정여부)가 문제된다. 일본의 경우에는 2006년 최고재판소 판결에서 사후생식을 통해 출생한 자녀의 인지청구권을 배척하였다. 그런데 국내에서는 학설상 논의가 되고 있을 뿐, 아직까지 이와 관련된 판결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국민의 다수가 암 등의 중대질병을 가지고 있고, 그에 따른 사망률이 높은 우리나라의 현실을 감안하면, 국내에서도 이러한 사후생식으로 인한 법적분쟁은 조만간 발생할 것이다. 미국에서는 이러한 사후포태자에게 미국 사회보장법상 유족급여의 수급자격이 인정될 것인지와 관련하여 많은 분쟁이 발생하였다. 그런데 사회보장법상의 유족급부금의 인정여부는 무유언상속법상의 상속권의 인정여부를 기초로 이해되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미국에서의 사후포태자의 법적지위는 무유언상속법에 의한 상속권 인정여부로 결정된다. 그런데 무유언상속법은 각 주(州)마다 다양하기 때문에 사후포태자에게 상속권이 인정될지 여부는 주마다 다를 수밖에 없다. Astrue v. Capato, 132 S. Ct. 2021(2012) 판결은 사후포태자의 유족급부금 수급자격과 관련된 사회보장법의 해석을 둘러싼 미합중국 항소재판소 간의 견해의 대립을 통일적으로 해결한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즉 연방대법원은 각 주의 무유언상속법에 따라 사회보장법상 유족급부금을 받을 수 있는 ‘자’를 정의하는 사회보장국의 입장을 추인하여 해석을 통일함으로써 무유언상속법상의 상속자격과 사회보장법상 유족급부금 수급자격을 일치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미 살펴본 것과 같이 미국은 무유언상속법에서 사후포태자의 상속에 대해서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주가 다수 존재한다. 따라서 대상판결은 사후포태자에 유족급부금의 수급자격이 있는 가라고 하는 실질적인 물음을 주의 무유언상속법에 위임하여, 다수의 과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일부견해들은 통일법에 의해 각 주법의 내용을 통일하는 방법 이외에, 친자관계나 상속이 전통적으로 주의 영역이라 할지라도 사후포태자에 대한 전국적인 기준의 필요성을 이유로, 사회보장법의 개정에 의한 연방 수준에서의 통일적 대응을 제언하기도 한다. 공통적으로 망부가 생전에 동의하였고, 망부의 죽음으로부터 일정기간 내의 포태 내지 출생한 경우에 한하여 사후포태자에게도 유족급부금의 수급자격을 인정하자는 것이다. 어느 시점까지를 기한으로 정할지에 대해서는 미망인의 복상기간이나 생식보조의료에 의한 임신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할 것을 주장한다. 과학은 그 시대의 시대정신(Zeistgeist)과 과학적인 패러다임(paradigm)에 동시에 영향을 받아 다양한 모습으로 사회에 표출된다. 그러나 법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따라갈 수 없는 한계를 가진다. 요컨대 현행법에 의하면, 사후포태자는 부에 대한 인지 및 상속을 받을 수 없다. 그러나 자녀의 혈연에 관한 정보를 통해 존재의 권원에 대한 안정감을 얻을 수 있다. 자아정체성 정립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혈연부모 중 한사람을 자녀의 삶에서 친자로 인정할 기회를 완전히 박탈하는 것은 자녀의 복리를 침해하는 행위이다. 더욱이 부모와 자녀사이에 혈연관계를 넘어 부모가 되려는 진정한 의사가 있었다면, 친자관계를 부인하기 더더욱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부모가 사후 출생 및 부양에 동의하였다면, 상속을 통해서라도 그 양육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사후포태라는 본인에게는 선택의 여지가 없는 사정을 짊어지게 된 자녀의 복리를 최대한 배려하는 입법에 의해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요컨대 자녀의 사후 출생 및 부양에 대한 적극적 동의, 혈연관계의 입증, 사망 후 몇년 이내에 출생이라는 기간제한의 요소를 반영한 입법을 통해 인지청구 및 상속권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There is no legislations and court precedendts about posthumous reproduction, the Legal Status of Posthumously Conceived Children. However, that is a matter for social discussion and something to be thrashed out. It is the elephant in the room. In 2012, the Court issued its decision in Astrue v. Capato. In an unanimous opinion by Justice Ginsburg, the Court sided squarely with the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thus giving Chevron deference to a federal agency’s interpretation for the seventh time in the past five years. The case involved two children conceived after their father’s death using his frozen sperm; their application for Social Security survivors benefits was denied on the ground that they did not qualify as his “children” because they were not entitled to inherit from him under applicable state law. The Third Circuit reversed, holding that the undisputed biological children of a deceased wage earner and his widow are the wage earner’s “children” within the meaning of the Social Security Act.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decided unanimously that a child conceived and born after a parent’s death cannot rely solely on a genetic connection to the deceased parent in order to qualify for Social Security survivors benefits. Siding with the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s interpretation of the law, the Court held that all children, including those born via assisted reproduction technology, must either demonstrate that they would be eligible to inherit from their late parent under state law or satisfy one of the statutory alternatives to that requirement. The SSA’s interpretation was more consistent with the core purpose of the Act, which is to protect family members who depend on another family member’s income from hardship if that family member dies. To put it in a nutshell, we have to accept postmortem affiliation and inheritance of posthumously conceived children in lights of the best interest of child, the state of the national finances and the need for change of Family law. We try to be several following qualifications for this as: parent’s integrity and time limits.

      • KCI우수등재

        사후포태(死後胞胎)에 의한 자(子)의 출산을 둘러싼 법률문제

        김민중 ( Min Joong Kim ) 법조협회 2005 法曹 Vol.54 No.6

        인공수정이나 체외수정과 같은 인공생식기술의 발달에 의하여 사후포태를 통한 자의 출산까지 가능한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부가 암과 같은 질병에 걸린 경우에 치료과정에서 생길 불임에 대비하여 미리 정자를 정자은행에 냉동보존하면 후에 불임이 되더라도, 심지어 질병으로 인하여 졸지에 사망하게 되더라도 냉동보존된 정자를 반환받아서 부의 정자에 의한 포태·임신을 통하여 자를 출산할 수 있다. 물론 불임 후의 냉동정자에 의한 포태는 법적으로 큰 문제가 없으나, 부의 사망후의 냉동정자에 의한 포태·출산은 지금까지는 거의 논의마저 없는 여러 가지 법률문제를 야기한다. 부가 사망한 후에 그 냉동정자를 통한 포태를 의미하는 사후포태가 법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가 하는 근본적인 문제에서부터 만일 사후포태가 현실적으로 행하여져 자가 출생한다고 하면 사후포태로 태어난 자는 어떤 법적 지위를 가지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아직 국내에서는 사후포태를 규율하는 법률이나 사후포태에 따른 문제를 다룬 판례는 없으나, 가까운 장래에 얼마든지 야기될 수 있는 법률문제라고 판단된다. 사후포태로 출생한 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특별법이 없는 사정 아래에서는 현행의 민법상의 규정에 따라서 해결하지 않을 수 없다. 아마도 사후포태로 태어난 자에게 어떤 법적 지위를 인정하여야 하는가는 세 가지 서로 대립하는 이익, 즉 자의 최상의 이익, 유전적 부의 출산에 대한 권리, 사자의 유산을 합리적으로 관리하여야 할 국가의 이익을 충분히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고 본다.

      • KCI등재

        생식보조의료에 대한 최근의 논의와 그 과제

        金敏圭(Kim Min-Kyou)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東亞法學 Vol.- No.46

        In despite of being on the increase of the childbirth due to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ART), there is no legislation in Korea so far. Therefore, it is causing confusion in medical practice and in judicial judgment and moreover gradually emerged as a social problem. I've investigated the theoretical studies and judicial judgment(in Japan) about three types, namely, artificial insemination by donor(AID), surrogate pregnancy and posthumous reproduction mainly in this study, and the future subject is as follows : First, if the legal relationship of parent and children born by ART is decided on the basis of kinship(blood relationship) in the current Korean Civil Law, we should review that the biological parent-child relationship is accomplished all thorough in determining of kinship in Civil Code in Korea, whether or no. Second, if we should interpret that it is to be kept up “parturient=legal mother rule”, it is necessary to deem as legal mother whether she has an intention of bringing up children. Since it is so, we have to think over again, this rule is coincided with best welfare of children, whether or no. Third, if the decision criteria for parent-child relation due to natural reproduction parallel the rule with relationship born by ART, it is contradictory each other in natural relation and legal one. whether or no. Fourth, it is proposed the following grounds as decision criteria : called “clarity” and “uniformity” to decide on relationship of mother and child. But they are ones that didn't considered the intention of care and feeding of children. If we can not deny that the right to take children is parent's right, it is ignored ‘the autonomy in person's life design’ in consequence. Over issues are to be studied as research projects in the future.

      • KCI등재

        父의 死後生殖을 통해 태어난 子의 법적 지위에 관한 고찰

        오호철(O Ho-Cheol) 한국법학회 2007 법학연구 Vol.28 No.-

        최근 우리나라에 부의 사후 인공수정을 통하여 출산한 자에 대한 외국의 입법례와 사례가 소개되었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현실적으로 문제된 경우가 없다. 그러나 외국의 경우에는 비록 부의 사후에 냉동보존된 정자를 이용하여 子가 태어날 수 있는 사후포태를 금지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현실적으로 이를 막거나 방지할 수 없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인공수정과 관련한 의학적 기술이 상당히 높은 수준임을 감안하면 우리나라에서도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사실적ㆍ법률적 문제이다. 일본의 경우만 하더라도 사후생식과 관련한 몇 개의 판례가 있다. 따라서 현재 소개된 일본의 몇 개의 판례를 중심으로 우리 민법상 사후생식의 허용 여부 및 부와 사후생식자의 친자법적인 문제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에 어떠한 시사점을 주는지 고찰하였다. Remarkable progress of medical technology made in recent years has enabled couples, who were not able to conceive a child through sexual intercourse, to have babies through various ways of artificial reproductive technologies These diverse methods of artificial reproduc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rtificial insemination and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ificial insemination is, again, divided into artificial insemination by husband and artificial insemination by donor whil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has a method called in vitro fertilization as its one of the most typical method. This artificial reproduction has caused new legal problems. As far as parenthood law is concerned, what had only been brought up for discussion and legislated for in Korean civil law have been cases of children conceived through sexual intercourse. In other words, these regulations established when giving birth after artificial reproduction had not been predicted at all. Therefore, legal matters for children born after artificial reproduction have come to cause various issues including recognition as children born within marriage, inheritance, and : support. It is the prevalent view that children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are recognized as wedlock marriage-children, and no specific legal problems will be raised. On the other hand, if after the death of either of parents, surviving parent gives birth to a child conceived through artificial insemination using the father's sperrnfor the mother's embryo) which have been frozen and restored before the death, a new issue would be generated, that is whether or not the child born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after father's death should be presumed as own child of the father. While in Korea legislation regarding this issue is not prepared and there is no previous case on this matter yet, in Japan several cases recently started appearing. By examining Japanese cases, this study looks into what would be advisable in handling the case when a child is born after artificial reproduction after father's death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