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대학(大學)』 연구와 륙롱기(陸隴其)의 영향

        신재식 ( Shin Jae-sik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0 퇴계학논총 Vol.35 No.-

        이 논문은 조선후기 『大學』 연구를 통해 明末淸初 朱子學者 陸隴其(1630-1692) 학설 수용 사례를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육농기는 명말청초를 대표하는 주자학자로서 반주자학설에 대응하기 위해 주자학설을 검토하고 그 정설을 입증하는 실증적 연구에 착수한 인물이다. 주자학 정론화 작업을 주도하던 조선 학자들 역시 그 학설에 관심을 갖고 주자학의 기초인 『대학』 연구에 반영한 바 있다. 그러므로 육농기 大學說 수용 사례에 대한 연구는 조선후기 주자설 정론화 작업과 그 기초인 『大學』 연구에 미친 명말청초 학술의 영향력을 점검하는 유용한 단서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陸隴其의 大學說은 『四書講義困勉録』 권1 「大學」, 『松陽講義』 권1 「大學」, 『三魚堂文集』 권1 「大學答問」 등에 보인다. 그 특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주자의 『大學』 개정을 변호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大學』에 대한 주자의 정설을 보완하는 것이다. 『大學章句』는 성현의 經傳을 함부로 고쳤다는 사실로 인하여 반주자학자의 비판의 대상이 된 주자학 입문서이다. 이에 육농기가 經傳改正不可說, 知本知至說, 小學文字學說 등을 통해 『大學章句』를 변호한 바 있는데, 조선의 주자학자들은 이를 단서로 반주자학자의 비판에 대응한다. 『大學章句大全』은 주자주 학습을 보조하는 참고서이자 수험서였다. 하지만 『大全』에 수록된 일부 주석이 주자 설과 차이가 있어서 양명학설과 아울러 주자학의 대의를 오인하게 하는 문제를 일으켰다. 이에 육농기가 『大學』에 대한 여러 실증적 연구를 통해 주자주의 정설을 보완하고, 그 성과를 근거로 王守仁의 格去物欲說, 『大全』 소재 黃幹의 明德分屬說, 饒魯의 常人說, 胡炳文의 仁讓分屬說 등을 반박한 바 있는데, 조선의 주자학자들은 이를 단서로 양명학설과 대전주를 비판하며 주자의 정설을 해명한다. 그러므로 육농기 『大學』 연구의 내용과 목표, 즉 주자의 정설 해명과 이단 배척은 주자학 정론화 작업을 주도하던 조선 주자학자의 관심을 살 만한 요소가 적지 않다. 바로 이 점이 조선학계에서 육농기 대학설이 수용된 주요한 이유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ase of accepting the doctrines of Orthodox-neo-confucianism scholar Lù-lǒngqí(1630-1692) in the late Ming and the early Qing dynasties through the study of late Joseon Dynasty 『Dàxué』. Lù-lǒngqí is an Orthodox-neo-confucianism scholar who represents the late Ming and the early Qing dynasties and has led an empirical study that examines the doctrines of orthodox-neo-confucianism and proves its established theory in response to the anti-orthodox-neo-confucianism doctrines. The Chosun scholars who led the orthodox-neo-confucianism doctrines established were also interested in the doctrine and reflected it in the research of 『Dàxué』 which is the foundation of Orthodox-neo-confucianism. Therefore, I think the study on the acceptance of Lù-lǒngqí dàxué doctrines would be a useful clue to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scholars on late Ming and the early Qing dynasties in the deliberation of the late Joseon Dynasty doctrines having the influence on the work of the doctrines of orthodox-neo-confucianism established at late Joseon Dynasty and the study of its foundation 『Dàxué』. Lù-lǒngqí's dàxué doctrines can be seen in 『Sìshujiangyikunmianlu』 vol.1, 「Dàxué」, 『Songyangjiangyi』 vol.1, 「Dàxué」, 『sanyutangwenji』 Vol.1, 「Dàxué Q&A」. There are two main characteristics. One is to defend the revision of Zhu Xi's 『Dàxué』, and the other is to supplement Zhu Xi's orthodoxy about the 『Dàxué』. 『Dàxué』 sentences and phrases is a primer on orthodoxneo- confucianism that has been criticized by anti-orthodox-neo-confucianism scholars for the fact of revising the sages's works thoughtlessly. Thus Lù-lǒngqí defended 『Dàxué』 sentences and phrases through theory of against revision, doctrines of Wang Yangming, hieroglyphology etc.. The orthodox-neo-confucianism scholars in Joseon Dynasty responded to the anti scholars's criticism with the clue of the Lù-lǒngqí doctrines. 『Dàxuédaquan』 was a reference book and an examination book to assist the study of Zhu Xi's note. However, some commentaries included in the 『Daquan』 differed from Zhu Xi's note, which caused the problem of misinterpreting the cause of the original purpose of Orthodox-neo-confucianism as well as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Therefore, Lù-lǒngqí supplemented the orthodoxy of Zhu Xi's note through various empirical studies on 『Dàxué』, and based on the results, refuted Wang Sooin's, 『daquan』 huanggan's, Raolu's, Hubingwen's and so on. The Orthodox-neo-confucianism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criticized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and 『Daquan』 with clues to the doctrine of Lù-lǒngqí. and explained the orthodoxy of Zhu Xi, Therefore the contents and purposes of the Lù-lǒngqí 『Dàxué』 study, namely, the explanation of the orthodox of Zhu Xi and the exclusion of heresy has considerable elements to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Joseon orthodox-neo-confucianism scholars who led the process of making Orthodox-newo-confucianism doctrines established. This is probably the main reason for the acceptance of Lù-lqngqí's great doctrines in the Joseon dynasty academy.

      • KCI등재

        현대 러시아 영화의 정교성 재현 양상

        이희원(Lee, Hee-Wo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2 동유럽발칸연구 Vol.31 No.-

        현대 러시아 영화계에서는 러시아 정교성을 구현하는 다양한 양상의 영화들이 관측된다. 그 중 한편은 정치제도권의 열렬한 후원을 받으며 메인스트림으로 편입한 일군의 영화들로, 현 러시아 정부가 내세우는 국가통치 이념의 근간으로 정교정신을 선전하고 설파하는 영화들이다. 이 영화들에서 제시하는 ‘이념적 정교성’은 러시아 통치 권력에 대한 정당성의 근거로 활용되며, 정교정신으로 무장한 지도자와 영웅들이 러시아 국가 공동체를 지켜온 주역임을 공공연히 암시한다. 그러한 영화의 사례로 본 연구에서는 <1612년. 동란의 연대기>와 <사제>의 경우를 고찰했다. 전자가 러시아 정교에 기반한 통치력과 권좌의 상실이 가져올 수 있는 위험과 경각심을 대중들에게 일깨워주고 있다면, 후자는 현재 유대관계가 약해지고 있는 러시아 ‘서쪽’의 발틱 국가들에 대해 과거 러시아 정교회와 러시아 정신이 치른 희생과 사랑을 부각시킴으로써 러시아적 국가이념을 확장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국가주의 영화들의 시각을 비판하며 러시아 대중들의 삶 속에 뿌리내린 진정한 정교정신을 구현하고 상기시키려는 영화들도 적지 않다. 그러한 영화들로 <러시아적인 것>, <살아남은 자>, <차르>를 꼽을 수 있다. 이 영화들에서는 국가통치 기반으로서의 정교성보다는 진실한 회복의 정신으로서의 러시아 정교정신에 대해 강조하거나, 정교정신이 권력의 수단으로 악용될 경우의 위험성과 재앙에 대해 경고하며 비판적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In contemporary Russian cinema we can observe various aspects of representation of Russian Orthodoxness. The cinema includes, above all, the con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historicity of the time when it is made, because the cinema is exposing the spirit of producing time. In this respect, analysis of the film should be considered in all aspects of not only the director's idea and message, but also social and cultural context. Moreover, to appreciate Russian cinema appropriately, in advance must be understood significant meaning which contains cultural context. Most intriguingly of all, in contemporary Russian cinema the mainstream movies propagate the Orthodox spirit as a basis of ideology of Russian government. In these movies the 'ideological Orthodoxness' is made the most out of political legitimacy of administration, overtly implying that the leaders and heroes who arms with the Orthodox spirit are the driving forces in the community of Russian nations. We explained in this article by giving such films for example, like 1612. Khroniki Smutnogo Vremeni (2007) and Pop(2010). While the former alerts peoples to the crisis of powerless of the state and Orthodoxness, the latter expands in the Baltic republics the ideology of Russian government by attempting to play up the past sacrifice and love of Russian Orthodox. But in contemporary Russian cinema exist not only movies of 'National order', but also resistance films in which represent real and faithful Russian Orthodoxness. Films like Russkoe(2004), Zhivoy(2006) and Tsar (2009) may be classed as such. In these films are worthy of notice those point of views that emphasizes how important it is to restore sincere faith and the Orthodox spirit and how dangerous when religion is abused.

      • KCI등재

        金宇顒의 元史 인식과 『續資治通鑑綱目』

        이인복 한국사학사학회 2022 韓國史學史學報 Vol.- No.45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influence o f Wondae NeoConfucianism introduced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e situationoriented Hwaigwan held by intellectuals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Yuan Dynasty was recognized and positively evaluated. In Seongjongdae, there was a tendency to emphasize the legitimacy of the Confucianism of Namsongdae, and Hoanguk's Chunchuho Clan Exhibition began to attract attention. The race-oriented white crown and orthodox theory, represented by Namsongdae Juhee and Hoanguk, spread to intellectuals through King Seongjong and Jungjongdae, and based on this, Chinese history accounts such as Kim Woo-ong's Sokgangmok and Jeong-gu's History began to appear. Among them, Kim Woo-ong's Sokgangmok was compiled based on the orthodox theory, pointing out that Sang-ro's Gangmok sequel, which was mainly used as a textbook for Songwonsa Temple, was orthodox, and that the history of the Yuan Dynasty was not orthodox. Kim Woo-ong criticized the fact that Sang-ro's Gangmoksokpyeon does not conform to the ritual of the runner, and edited Sokgangmok. As the Yuan Dynasty, which was recognized as orthodox in the Gangmoksokpyeon, was not recognized as orthodox in Sokgangmok, much of the history of the Yuan Dynasty, which corresponds to Volume 12, was calculated. Sokgangmok did not recognize the legitimacy of the circle, so it was from 1293 The records until 1368 were recorded in small letters, and the national title and myoho were written, but the name of the county were written instead of the name of the county, revealing that the circle was painless. In addition to the basic sympathy of the Yuan Dynasty, such as the emperor and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the rebellion of Jaein and Wonmal was recorded in detail, emphasizing the instability of the reign because Won was not orthodox. Kim Woo-ong began the compilation of Sokgangmok in November 1591 (the 24th year of King Seonjo's reign), and completed Sokgangmok in March 1595 (the 28th year of King Seonjo's reign). However, Sokgangmok was not published for a long time after its completion and remained an abstract. In 1771, Sokgangmok was printed, and in 1808(8th year of King Sunjo), Kim Han-dong corrected the errors in the draft of Sokgangmok and published it as a woodblock. Lee Hang-ro paid attention to Sokgangmok, which does not recognize the tradition of Won, and compiled Hwagangmok, focusing on Yujunggyo and Kim Pyeongmuk. Although "Hwagangmok" did not recognize the circle as orthodox, "Sokgangmok" emphasized the distinction of Hwai and the pain of the circle by strictly revising the part that does not fit Ju-hee's "Gangmok" narrative without acknowledged the circle as orthodox.

      • KCI등재

        오징(吳澄) 도통관과 존덕성 공부론의 정주학적 특성

        홍린 대동철학회 2022 大同哲學 Vol.98 No.-

        원대 유학자 오징(吳澄)은 주희의 사전제자이지만 주륙화회 혹은 육학에 귀의했다는 평 가를 받는 인물이다. 그 근거는 그가 주희 후학들의 도문학 학풍을 비판하고 존덕성을 강 조했다는 것이다. 오징이 육구연에 대해 수차례 호의적으로 언급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이것이 그가 학파적 정체성 및 공부방법론을 변경했다는 근거가 되기는 부족하다. 그가 주희와 육 구연에 대해 논하면서 진지와 실천을 강조한 대목은 주륙화회의 대표적인 근거이지만, 이 는 전형적인 정주학적 선지후행의 구조를 견지한 것으로, 주희 후학들의 지행분리와 대비 되는 육구연의 실천적 기풍에 호감을 표시했을 뿐이다. 또한 오징이 강조한 존덕성 공부는 육구연이 비판한 정주학적 주경공부라는 점에서 존 덕성 공부를 강조했다는 것은 육학에 귀의한 근거가 될 수 없다. 오징은 표면적으로만 주 경공부를 강조했던 것이 아니라 공부의 세부항목에서도 정주학적 공부방법을 계승했다. 대표적인 것이 미발시의 정제엄숙과 이발시의 성의(誠意) 공부이다. 오징의 주경공부 중심의 존덕성공부론은 도통론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오징 의 도통론은 정주학의 그것과 완전히 일치하며, 요순으로부터 자신에게 이르는 도통의 핵 심조건으로 주경공부를 제시했다. 그는 육구연에 대한 호의적 평가에도 불구하고 도통을 논할 때는 단 한 번도 그를 포함시키지 않았다. 즉 인간의 선한 심성을 학문의 전제와 대 상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육구연을 도통의 일원이라고 인정하기는 했지만 도통의 핵심 계 승자로 인정하지는 않았던 것이다. 필자는 오징이 주경공부를 도통의 핵심조건으로 보았 다는 점과 육구연이 주경공부에 반대했다는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그가 육구연을 도통의 핵심 계승자에서 배제한 원인을 추론했다. 오징은 성학의 일원인 점과 실천적 기풍을 들어 육구연을 우호적으로 평가하고 있지만, 정주학적 주경공부론 및 이와 밀접하게 결합된 도통론을 견지했다는 점에서 학문방법론과 학파적 정체성의 측면에서 여전히 정주학을 계승하는 입장을 고수했다고 볼 수 있다. Wu Cheng was a Confucian scholar in Yuan Dynasty and a Zhu Xi’s the forth generation of disciples. However, he is generally considered to “reconciling Zhu-Lu” or “convert to Lu JiuYuan”. The basis is that he criticized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 of Zhu Xi’s disciples and emphasized honoring moral nature study. It is clear that Wu mentioned Lu positively several times, but this is insufficient to serve as the basis for changing his academic identity and study methodology. For instance, his emphasis on sincere knowledge and practice while discussing Zhu-Lu is the representative basis of “reconciling Zhu-Lu”, but this maintained the typical structure of “know first and practice it later” methodology, it is only expressing his favor for Lu’s practical spirit in contrast to Zhu’s disciples’ inconcsistency of knowledge and practice. In addition, the emphasis on honoring moral nature study cannot be a basis for “convert to Lu”, because this study emphasized by Wu is Chenghu style ZhuJing study which criticized by Lu. He did not only emphasize superficially, but also inherited the Cheng-Zhu study method in detail. Typical examples are Zhengqi-Yansu in Weifa-Shi(未發時) and Cheng-yi in Yifa-Shi(已發時). Honoring moral nature study centered on the ZhuJing study of Wu, is also closely related to his orthodox theory. It is completely consistent with orthodox theory of Cheng-Zhu school, and he suggested ZhuJing study as an essential term for Confucian orthodox. Despite his favorable assessment of Lu, he never included Lu when discussing Confucian orthodox. In other words, he agreed that Lu is a member of Confucian tradition because he made good-natured heart the premise and object of studying, but did not regard Lu as a key successor of Confucian orthodox. Considering comprehensively Wu’s regard ZhuJing study as an essential term of Confucian orthodox and Lu’s criticism about ZhuJing study, I inferred the cause of his exclusion of Lu from key successor of Confucian orthodox. Wu evaluated Lu positively becauce Lu also participated in Confucian orthodox and had practical spirit, but Wu still maintained Cheng-Zhu school’s identity and academic methodology in that he maintained ZhuJing study and Confucian orthodox theory closely related to it.

      • KCI등재

        간재 전우의 이단 비판의 기준과 근거

        김세정 ( Sea Jeong Kim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3 儒學硏究 Vol.29 No.-

        간재 전우(1841~1922)는 正學과 異學, 聖學과 異端을 나누는 기준과 異學·異端을 비판하는 근거에 대해 확고한 입장을 제시하고 있다. 正學·聖學과 異學·異端을 나누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心이 天을 근본으로 삼으면 聖人의 학문이고, 心을 근본으로 삼으면 異學이다. 둘째, 天理를 爲主로 하여 心으로 보좌하도록 하고 性을 높이고 理를 궁극적 준칙으로 삼으면 正學이지만, 心을 聖君으로 삼고 性을 낮추어서 心으로 하여금 性을 부리게 하고 자신이 믿는 心을 궁극적 準則으로 삼으면 異端이다. 셋째, 心을 배우면 異端이고 性을 배우면 正學이다. 넷째, 理와 性이 主宰한다고 보면 正學이고, 氣와 心이 主宰한다고 보면 異學이다. 다섯째, 心이 性을 높이는 것은 聖學이지만, 心이 스스로를 높이고 性을 높이지 않는 것은 異學·異端이다. 간재가 다양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지만, 이는 주자학만이 正學이고 이외의 학문들은 모두 異學·異端이라는 한마디 말로 귀결된다. 주자학의 핵심 명제인 ‘性卽理’·‘心卽氣’만이 옳고 ‘心卽理’는 그르다. 無爲의 형이상자인 天·理·性를 근본으로 삼고 이를 높이는 학문이야말로 진정한 聖學이자 正學이며, 氣인 心을 근본으로 삼고 이를 높이는 학문은 오히려 이러한 聖學을 그르치는 異端이라는 것이다. 전우가 생각하는 가장 바람직하고 올바른 학문은 性은 높여서 궁극적 준칙과 표준으로 삼고 心은 낮추어서 性을 본받고 性을 존중하고 性에 순응하도록 하는 性師心弟의 학문이다. In this paper, we want to present the solid viewpoint of Ganjae Jeon Woo (1841~1922) on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the orthodox studies(正學) from the heretical ones(異學), the study of the Saints(聖學) from the heterodoxies(異端), and on the bases for criticizing heretical studies.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orthodox studies and study of the Saints from the heterodoxies are as followed. First, the study of the Saints is the one according to which the mind(心) considers the Heaven(天) the foundation, if the mind is considered the foundation, then this study is heretical. Second, the study which understands the Heaven`s principle(天理) as the master and the mind as the assistant, enhancing the nature(性) and regarding the principle(理) as the criterion can be called the orthodox study; while the study which thinks the mind as the holy king(聖君), lowering the nature, making the mind control the nature, and considering the mind the extreme rule is heretical. Third, the study which follows and believes in the mind is heretical, the study which follows and believes in the human nature is orthodox. Fourth, the study which considers the principle and nature the masters is orthodox, while the study which considers the energy flow(氣) and mind the masters is heretical. Fifth, the study in which the mind enhances the nature is the study of the Saints, while the study in which the mind enhances itself and makes light of the nature is heterodox. Ganjae puts forth various reference points but the last conclusion is that in his viewpoint, only study of Zhu Xi can be regarded as orthodox, and any other theories are heterodox. Only the core proposition of the study of Zhu Xi according to which ``the nature is the principle, the mind is the energy flow(性卽理·心卽氣)`` is right, while the argument that ``the mind is the principle(心卽理)`` is wrong. Only the study which regards the Heaven-the principle-the nature(天·理·性) - means the static metaphysical substances - as foundations and enhances them can be called the true study of the Saint and the orthodoxy; on the contrary, the study which regards the mind - the energy flow - as the foundation and enhances it is called heterodoxy. The study about which Jeon Woo thinks as the most desirable and correct is the one according to which the nature is considered the highest criterion and the mind the lower, the mind must imitate and respect the nature as a disciple does to his master(性師心弟).

      • KCI등재

        中國 書論에 나타난 奇에 관한 연구

        조민환(Jo Min Hwa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7 道敎文化硏究 Vol.46 No.-

        본고는 중국 書論에 나타난 正과 奇[奇. 이하는 奇로]의 의미와 그 관계성을 논하되, 주로 奇가 갖는 노장철학적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논한 것이다. 동양예술에서의 奇는 어떤 것을 평가 기준으로 하느냐, 그 내용을 어떤 차원에서 이해하느냐에 따라 평가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먼저 正과 대비되는 차원에서 奇의 독자성을 인정하는 경우에는 독창성, 변화성, 기괴성, 胸中에 가득 찬 跌宕하면서도 매임이 없는 감정표현에 담긴 狂逸함, 豪放함, 자유로운 심성을 드러낼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이해되었다. 이런 점에서 意奇, 奇氣 혹은 氣奇 등을 중시하는데, 그것에는 形似나 法度에 구속되지 않는 일종의 ‘뜻을 얻으면 상을 잃어버려라[得意忘象]’라는 사유도 담겨 있다. 유가의 雅正중심주의 입장에서 볼 때 이런 奇의 독자적 측면은 상대적으로 기괴함, 추함 혹은 狂氣 등을 담은 것으로 보아 부정적으로 이해되었다. 하지만 노장적 사유에서 볼 때는 이같은 기는 작가의 자유로운 심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아 긍정적으로 이해되었다. 즉 奇에 입각한 예술창조와 예술정신은 격조 있고 優雅함을 추구하는 雅正한 예술정신이 표현해낼 수 없는 또 다른 차원의 奇拔 예술세계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처럼 기는 예술창작에서 상식적이고 고정적인 틀에서 벗어나 심령을 자유롭게 펼치고, 세속적인 것에 대한 비판정신을 담아내고, 인품과 학식이 수반된 隱逸적 삶을 지향하고, 기교의 익숙함 이후의 우연성을 꾀하고, 시대감각이 담긴 굳건한 기세 등을 담아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 그것에는 노장철학이 진하게 깔려 있다. This paper will discuss the meaning and relationship of "orthodox" and "extraordinary" in Chinese calligraphy and painting theory. Especially, I will focus on various meanings of "extraordinary thing", and it seeks to investigate the aesthetic meaning of extraordinary in calligraphy theory from the standpoint of Taoism philosophy. The evaluation was varied according to what "extraordinary thing" is based on what kind of evaluation is based on, and what it understands. First, it recognizes the uniqueness of the "extraordinary thing" in contrast to the "orthodox thing". In this case, there is a view that it is positive to express creativity, changeability, bizarreness, and free mentality. In this regard, the emphasis is on "extraordinary thing", "odd aura", etc. And it contains reasons that are not bound to similar things or laws. The unique aspect of this period was negatively understood, such as bizarreness, ugliness, or madness, when it was evaluated based on the grace and right things that Confucius said. In the case of the period to b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next orthodox, it appeared as "to take something as a extraordinary thing", "to return from a extraordinary thing to a orthodox thing", and "to give something extraordinary if it is orthodox. The reason why the "extraordinary thing" is a problem in Chinese art is that it frees the mind from the stereotypical and fixed framework and expresses the spirit of criticism of secularism. As mentioned above, Taoist philosophy is contained in the positive recognition of extraordinary in calligraphy theory.

      • KCI등재

        일반논문 : 비전 건축가로서의 키츠 전략 이해

        황병훈 ( Byeong Hoon Hwang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인문학연구 Vol.0 No.25

        「프시케의 송시」는 키츠의 수사적 전략의 양면성을 뚜렷하게 보여주는 작품이다. 키츠는 희랍 이교도와 자신의 수사적 기교들을 결합시킨 이 송시에서, 한편으로는 새로운 신을 모집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미신으로도 볼 수 있는 신을 비판하는 두 가지 작업을 추진한다. 이 논문에서는 「프시케의 송시」에 키츠의 과도한 신앙심이 그려져 있음을 밝혀내고 키츠가 “좀 더 정통적인 것을 추구”한다고 표명했던 것과 그가 작품에 투영시켜 놓은 이교도적 형태들이 어떠한 관련성을 갖고 있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키츠의 이 송시는 기독교가 세속의 형태로 위장되어 진행된 예로도 볼 수 있다. 키츠가 좀 더 정통적인 것을 추구한다고 하면서 진행한 작업은 고대 희랍의 이교도와 수사적인 결합을 이룬 것으로 투영된다. 종교에 관한 키츠의 생각은 정통이라는 것에 대한 다원론적 사고와 당시 세계에 관해 의식하게끔 유도한 텍스트들에 기반을 두어 형성된 것이다. 키츠가 신화 및 고대의 유물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여러 텍스트들을 통해서였다. 그의 전략에는 자신의 신앙심을 문서화하고 그것이 그 신앙심이 소멸하게 될 것을 예비하는 일종의 키츠의 인류학적 상상력이 담겨 있다. 이 송시를 통해 작가는 종교의 회복을 가능하게 하는 수사적 전략에 의존하는 방식과 종교 회복에 저해가 되는 수사적 전략에 의지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작업을 “좀 더 정통적”인 모습으로 완성하였다. “영혼을 만드는 골짜기”에서처럼, 그는 다원주의적 관점으로 전 세계를 조망하고 그가 찾은 요소들을 영혼의 발전이라는 비전에 통합시켰던 것이다. “Ode to Psyche” is a work which shows the ambivalence of rhetorical strategies of Keats. In his ode, he performs both his invocation and criticism of a kind of religion through his rhetorical strategies. This ode demonstrates his interest in this heathen faith nuanced with his overpiety. So this study will elaborate on how much related his intention to be "more orthodox" can be to the heathen elements. The religion demonstrated in this ode could be thought of as an example of Christianity disguised by the form of secularism. The work he declares to be of “more orthodox” reflects the rhetorical alliance with a Greek heathen goddess, Psyche. His thought on religion is the one forged by various texts which induce his pluralistic concerns about orthodoxy and the period`s consciousness. Textual mediation brings him into the world of mythology and Antiquities of Greece. His strategy shows that this ode has been built upon a foundation called a sort of his anthropological imagination to document his religious faith and anticipate its extinction. He completes this ode in the “more orthodox” way not only by relying on his rhetorical strategy which enables his restoration of religion but also by mapping out the hindrance of religious recovery. Looking over the world in the pluralistic view, he integrates all the ingredients he found as shown in “Vale of Soul-Making” and effectively builds his vision.

      • KCI등재

        조선후기 고증학(考證學)과 염약거(閻若璩)

        신재식 ( Shin Jae-sik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19 퇴계학논총 Vol.33 No.-

        이 논문은 閻若璩(1636-1704)의 考證學이 조선후기 경학에 미친 영향력을 검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조선후기 지식인은 당시 淸나라의 고증학보다는 주자학과 관련이 있는 明末淸初의 고증학에 더 큰 흥미를 느꼈다. 그 대표적 사례가 염약거의 고증학 수용이다. 염약거의 학술서는 『尙書』ㆍ『四書』 등 경전에 대한 기존의 의혹과 오해를 고증학적 연구방법으로 해명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조선 지식인은 『四庫全書簡明書目』ㆍ毛奇齡ㆍ徐乾學ㆍ魏禧 등의 저술을 통해 염약거와 그 저술의 존재를 파악하고는 청나라를 왕래하는 사신을 통해 관련 서적을 입수한다. 『尙書古文疏證』 8책ㆍ『四書釋地』 4권ㆍ『潛邱札記』 6권 등이 그것이다. 조선후기 지식인이 주목한 염약거의 고증학설은 逸書復元, 言語慣習, 文物制度, 古文僞作, 朱說批判이다. 염약거는 금본 『尙書』가 고본 『尙書』와는 그체제, 구성, 문자 등의 차이가 크다는 사실을 파악하고, 輯逸과 校勘을 통해 고본 『尙書』의 원형을 복원하고자 하였다. 염약거는 경전과 사서에 자주 등장하는 언어관습과 문물제도 등이 경전의 문구를 해석하는 단서가 된다는 점을 간파한다. 또한 염약거는 주자가 의혹한 이래로 학계의 논란이 된 『古文尙書』의 위작을 확정한 바 있는데, 조선 지식인은 주자의 정설을 지지하기 위하여 이를 수용한다. 끝으로 염약거는 여느 명말청초 학자들과 마찬가지로 유가의 실천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그 근거를 제공하는 경학 연구에 전념하는데, 특히 주자설의 실증적 오류를 비판하고 보완하는 데에 심혈을 기울인다. 조선 지식인은 대체로 염약거의 고증학설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으며, 단지 비평하거나 참고하는 수준에 머물지 않고 그것을 발전시켜 새로운 논의를 내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조선후기 염약거 고증학 수용 양상은 조선 지식인이 주자의 실증적 학문태도를 이해하고 일부 실증적 결함을 보완하여 주자학의 타당성을 입증하는 과정에서 참고하기에 적절한 학설로 인식한 사례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research the influence of yánruòqú(閻若璩)’s bibliographical study in late Chosun Dynasty(朝鮮後期). Orthodox-neo-confucianists of the Joseon Dynasty had a great interest in a bibliographical study of late Ming and the early Qing dynasties because it related to Orthodox-neo-confucianism(朱子學). Embracing yánruòqú(閻若璩)’s bibliographical study can be an example. The purpose of him study is to explain academic questions of chineses classics. Joseon’s neo-confucianists often saw scholarly tomes of late Ming and the early Qing dynasties on yánruòqú(閻若璩)’s bibliographical study, and purchased his scholarly tomes from envoys of Qing dynasties such as chángshuguwenshuzhèng (尙書古文疏證), Sìshushìdì(四書釋地), qiánqiuzhájì(潛邱札記). After researching yánruòqú's influence of late Chosun Dynasty. we can see the following facts. Excavating and restoring complete books of chineses classics based on thorough historical research. Sheding light on important clues of curation of Confucian texts such as cultural practices, languages, customs. Making up for the weak points in theoris of Orthodox-neo-confucianism through his theoris of chineses classics. Joseon’s neo-confucianists responded positively to theoris of yánruòqú(閻若璩)’s bibliographical study, and developed that.

      • KCI등재

        조선후기 지식인의 朱子說 해명과 『尙書古文疏證』의 영향

        신재식(Shin Jae-si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9 동양한문학연구 Vol.52 No.-

        본고는 明末淸初 考證學者 閻若璩(1636~1704)의 대표저술인 [尙書古文疏證]의 유입과 그에 대한 조선후기 지식인의 수용 양상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尙書古文疏證]은 儒學의 핵심 經書이면서 朱子 이래로 위작논란의 대상이 된 梅賾本 [古文尙書]에 체계적이고 실증적 방법을 적용하여 그 위작을 입증한 연구물로, 연구대상인 古文尙書 뿐만 아니라 그에 근거한 程朱學의 권위 역시 실추시킴으로써 학계에 큰 충격을 주었고, 淸나라 考證學 발전에 기여한다. 이는 조선 학계에도 전파되어 일정한 영향을 주었다. 그러므로 조선후기 염약거 고증학 수용 사례는 청나라 고증학이 조선후기 학계에 미친 영향력을 파악하는 적절한 단서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조선 지식인이 주목한 염약거의 고증은 輯逸과 校勘를 통한 원본의 복원, 언어관습과 문물제도의 고찰 등이 있다. 이는 주로 [古文尙書]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염약거는 금본 [尙書]와 고본 [尙書]의 차이가 크다는 점을 간파하고, 고본 尙書의 원형을 복구하려고 하였다. 또한 염약거는 경전과 사서에 자주 보이는 언어관습과 문물제도 등이 경전의 문구를 해석하는 단서가 된다는 점을 간파한다. 이에 조선지식인은 염약거의 고증학적 방법을 수용할 뿐 아니라 그것을 발전시켜 새로운 학 설을 내기도 한 것이다. 또한 조선 지식인은 염약거의 [古文尙書]위작설을 주자의 의혹설을 계승한 것으로 인식하고 반주자학자 모기령의 [古文尙書]진본설 비판에 활용한다. [古文尙書] 의혹설을 추종하면 성리학의 핵심근거인 古文尙書「大禹謨」의 ‘人心惟危, 道 心惟微, 惟精惟一, 允執厥中’ 16자 역시 부정된다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주자의 만년정설을 옹호하는 편이 더 낫다고 여긴 것이다. 조선 지식인은 주자학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자 주자학설에 대한 맹목적인 지지보다는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주자의 학문태도를 본받는 것이 주자학의 본질에 더 가깝다는 점을 파악한 것이다. 그 과정에서 조선 내부의 학문적 발전과 아울러 명말 청초의 실증적 학설 역시 그에 기여하였다. 실증을 통한 의리 해명, 조선 지식인의 염약거 학설 수용은 주자학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치열하게 고민한 흔적이라 할수 있다. Yánruòqú is a philologist during the late Ming and the early Qing dynasties(明末淸初). Chángshūgǔwénshūzhèng is a tome about researching Shūjīng(書經) written by Yánruòqú. Shūjīng is one of the Five Classics of Confucianism Wǔjīng(五經) and a compendium of documents which make up the oldest extant texts of Chinese history, from legendary times down to the time of Confucius. Shūjīng is of two kinds, old language(古文) or new language(今文). Orthodox-neo-confucianists(朱子學者) had some doubts about reliability of old language Shūjīng ever since Zhu Xi. The falsification of it was proved to Yánruòqú by indisputable argument. His analytical methods of research had been widely recognized by confucianists of Asia, and affected them. Therefore, to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Yánruòqú in late Joseon Dynasty is useful to explain his influence over the academic circles during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ies. After researching chángshūgǔwénshūzhèng(尙書古文疏證)’s influence during late Joseon Dynasty, we can see the following facts. First, learning analytical methods of researching Confucian texts. Second, refuting theories of anti-orthodox-neoconfucian. Third, demonstrating logical positivism theories of Zhu Xi. It became a turning point to systematically arrange the method changes of Joseon’s neoconfucian study caused by some scholar s great depth of understanding about theories of Zhu Xi in Late Joseon Dynasty. It meant that Joseon scholar s perception of Qing scholarship is related to neo-confucianism because of Joseon’s political system. It was an extension of Joseon’s neo-confucian study Chronicles.

      • 칼빈 이후 개혁파 정통주의자들의 신앙교육 : Zacharias Ursinus 와 Caspar Olevianus를 중심으로

        이현철 고신신학회 2015 고신신학 Vol.- No.17

        칼빈 이후 개혁파 정통주의자들의 신앙교육 : Zacharias Ursinus 와 Caspar Olevianus를 중심으로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