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라운의 주제분류법 연구

        곽철완 한국정보관리학회 2018 정보관리학회지 Vol.3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irst edition of Brown’s Subject Classification and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today’s library classification. For this purpose, the first edition of the Subject Classification published in 1906 was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divided into three main areas. First, SC is divided into eleven main classes and each class is subdivided into enumerated subdivisions from 000 to 999. Second, As a method of synthesizing the classification numbers, there were three methods of synthesis. There was a flexibility to insert a new classification number at the appropriate location when a new topic that does not appear in the main table appeared. Implications for classification studies can be divided into four main categories. First, SC proposed a method of classification number synthesis for composite topics, which is an innovative method that was not available in previous library classification. Second, the subject matter was explained in various aspects through the operation of auxiliary tables supporting the facets. Third, it is possible to easily insert a new topic into the classification system by using the SC that can have a flexible classification system for each library, or to use a short classification numb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ibrary collection. Fourth, it provided a directory that can be considered as access points for digital materials. 이 연구의 목적은 브라운의 주제분류법 초판을 분석하여 오늘의 분류법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06년에 발표한 주제분류법 초판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류체계의 구성에서 주제분류법의 주류는 크게 11가지로 구분되며, 각 주류는 000에서 999로 세분되어 열거식으로 나열되었다. 둘째, 분류기호 합성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다. 셋째, 새로운 주제 처리 방법으로 본표에 없는 새로운 주제가 나타나면 적절한 위치에 새로운 분류기호를 삽입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었다. 분류법 연구에 대한 시사점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이전의 분류법에는 없었던 혁신적인 방법인 복합 주제에 대한 분류기호 합성 방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패싯을 지원하는 보조표 운영을 통하여 주제를 다양한 측면에서 설명하였다. 셋째, 자관별로 유연한 분류체계를 가질 수 있도록 한 분류법으로 분류체계에 새로운 주제를 쉽게 삽입할 수 있거나 도서관 장서 규모에 따라 간략한 분류기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디지털 자료에 대한 접근점으로 고려할 수 있는 디렉토리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韓國 古代 木簡의 分類 方案

        김재홍 한국목간학회 2022 목간과 문자 Vol.- No.28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number classification of ancient Korean wooden documents by stage after being excavated from the ruins and storing them in a storage(relic storage), and classifies the types of wooden documents based on the planar conformation. Tho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search by identifying the appearance of wooden documents, and to prepare a classification standard of wooden documents. The classification plan between wooden document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number classification and type classification. The number of wooden documents is a classification that easily identifies the wooden documents with the name of wooden documents, and it is numbered step by step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wooden documents will be given numbers such as ①The location number of the excavated site, ②The number of the organization, ③The number of the report, and ④The number of national attribution number(official number goven by the country). The type classification of wooden documents set up on consideration of the planar conformation, the upper and lower(upper and lower ends), and cross-sectional shape. Considering the planar conformation of the wooden documents, it was classified into Ⅰ: elongated square type, Ⅱ: bar type, and Ⅲ: crumb type for set as a standard. 이 글은 한국 고대 목간을 대상으로 유적에서 출토된 이후 수장고에 수장하는 단계별로 번호 분류의 의미를 살피고 평면 형태를 기준으로 목간의 형식을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목간의 외형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검색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목간의 분류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목간의 분류 방안은 크게 번호 분류와 형식 분류로 나눌 수 있다. 목간의 번호는 목간의 명칭과 더불어 목간을 쉽게 파악하는 분류 방식이며, 정리하는 과정에서 단계별로 번호가 부여된다. 목간은 ①출토 위치 번호, ②정리(임시) 번호, ③보고서 번호, ④국가귀속번호 등의 번호를 부여받게 된다. 출토 위치 번호는 목간의 출토 위치와 층위를 표현한 번호로서 학문적인 자료로서의 지위를 부여 받는다. 목간의 최종적인 번호는 소장 기관의 수장번호를 반영하는 국가귀속번호이며, 목간의 번호 분류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 목간의 형식 분류는 평면 형태와 상·하단 형태, 단면 형태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먼저 목간의 평면 형태를 고려하여 Ⅰ: 장방형, Ⅱ: 봉형, Ⅲ: 부스러기로 분류할 수 있다. Ⅰ: 장방형의 하위 단위로 상단 형태는 알파벳 대문자, 하단 형태는 알파벳 소문자로 세분할 수 있으며, Ⅱ: 봉형의 하위 단위는 단면 형태를 기준으로 아라비아 숫자로 표현한다. 폐기 시의 상황을 고려하여 파손은 ‘×’로 표현하여 현존 상황을 나타낸다

      • KCI등재SCOPUS

        Features, Functions and Components of a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LIS tradition for the e-Environment

        Satija, M.P.,Martinez-Avila, Daniel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 2015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3 No.4

        This paper describes qualities of a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that are commonly discussed in the LIS tradition and literature, and explains such a system’s three main functions, namely knowledge mapping, information retrieval, and shelf arrangement. In this vein, the paper states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bibliographic classifications, which broadly are subject collocation and facilitation of browsing the collection. It explains with details the components of a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ir functions. The major components are schedules, notations, and index. It also states their distinguished features, such as generalia class, form divisions, book numbers, and devices for number synthesis which are not required in a knowledge classification. It illustrates with examples from the WebDewey good examples of added features of an online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It emphasizes that institutional backup and a revision machinery are essential for a classification to survive and remain relevant in the print and e-environment.

      • KCI등재

        십진체계에 기초한 실수의 분류에 관한 연구

        정영우 대한수학교육학회 2012 수학교육학연구 Vol.22 No.2

        The efforts to represent the numbers based on the decimal system give us fundamental understanding to construct and teach the concept network on the related knowledge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In the process to represent natural numbers, integers, rational numbers, real numbers as decimal system, we will classify the extended decimal system. Moreover we will obtain the view to classify real numbers. In this paper, we will study the didactical significance of mathematical knowledge, which arise from process to represent real numbers as decimal system, starting from decimal system representation of natural numbers, and provide the theoretical base about the classification of real numbers. This study help math teachers to understand school mathematics in critical inside-measurement and provide the theore tical background of related knowledge.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 a clue to construct coherent curriculum and internal connections of related mathematical knowledge. 수를 십진체계에 기초하여 표현하려는 노력은 초․중등학교의 관련 수학 지식들에 대한 개념망 구축과 지도의의에 대한 본질적 이해를 준다. 나아가 고유한 표현의 자연수, 정수, 유리수, 실수를 십진체계로 표현하려는 과정에서 확대된 십진체계인 소수를 분류할 수 있으며, 실수 분류를 위한 하나의 관점을 얻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수의 십진체계 표현에서 출발하여 실수를 십진체계 형태로 표현하려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지식들의 교수학적 의의를 고찰하고, 실수의 분류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이러한 연구는 초·중등학교의 교사가 학교수학을 비판적 안목에서 이해하게 하며, 관련지식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다. 나아가 관련된 수학적 지식들의 내적 연결성과 일관성 있는 교육과정 구성의 단초를 제공한다.

      • KCI등재

        검사 길이와 수행등급 개수에 따른 성취수준 분류 일관도 및 정확도 연구

        강태훈(Kang, Taehoon),박찬호(Park, Chanho),김인숙(Kim, Insuk) 한국교육평가학회 2011 교육평가연구 Vol.24 No.4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검사의 길이와 수행등급의 개수가 성취수준 분류의 일관도와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며, 이를 통하여 실제 학업성취도 시험에서 개별피험자에 대한 신뢰롭고 타당한 성취수준 분류를 위하여 필요한 검사 문항의 수와 등급의 개수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2010년에 실시된 국가영어능력평가 예비시행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가장 적절한 문항반응모형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였고, 그 결과 선택된 3모수 로지스틱 모형을 사용하여 실제 검사 자료를 통하여 추정된 문항 모수를 자료-생성 모수로 이용하는 모의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시뮬레이션의 연구의 주 요인은 검사의 길이와 등급개수였다. 연구 결과, 두 요인 모두 분류 일관도와 정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검사의 길이가 길수록 그리고 성취수준 등급의 개수가 적을수록 보다 양호한 분류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est length (number of test items) and the number of performance-levels (high, intermediate, low, etc.) on classification consistency and accuracy of an achievement test. It was expected to get data-driven evidence on how the test-item numbers and performance-level numbers affec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mainly relating achievement-level classification. And it was anticipa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s regards their utility in this type of real situation. This study first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hree dichotomous item response models in order to select the best model for analyzing the data of NEAT field-test administered in 2010. After choosing one of them, a simulation study with various conditions was conducted. And the test length and performance-level number appeared to significantly influence the degrees of classification consistency and accuracy.

      • KCI등재

        호몰로지를 이용한 형태 분류 기법 제안

        한희일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8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21 No.1

        Persistence Betty numbers, which are the rank of the persistent homology, are a generalized version of the size theory widely known as a descriptor for shape analysis. They show robustness to both perturbations of the topological space that represents the object, and perturbations of the function that measures the shape properties of the object. In this paper, we present a shape matching algorithm which is based on the use of persistence Betty numbers. Experimental tests are performed with Kimia dataset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 KCI등재후보

        A STUDY ON THE q-EULER NUMBERS AND THE FERMIONIC q-INTEGRAL OF THE PRODUCT OF SEVERAL TYPE q-BERNSTEIN POLYNOMIALS ON Zp

        김태균 장전수학회 2013 Advanced Studies in Contemporary Mathematics Vol.23 No.1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some properties between q-Bernstein polynomials and q-Euler numbers by using fermionic p-adic q-integrals on Zp. From these properties, we derive some interesting identities related to the q-Euler numbers.

      • KCI등재후보

        옹기 어휘의 분화 양상 -경북 지역 ‘독류’의 명칭을 중심으로-

        안귀남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8 민족문화논총 Vol.39 No.-

        This paper tries to study differentiated aspects of Ong-gi lexical items, focused on Ong-gi producers of Gyeongbuk regions, especially Andong, Yeacheon, Euiseung, Gunwi, Yeongdeok and Uljin.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types of Dok-Dok, Hang, Hangari and Danji. The study method is based on mechanism of classification. It was firstly derived that the name of Ong-gi can basically be classified as ‘Jari’(坐) meaning a unit of Ong-gi size. Additionally, it can be classified as their locations in production cave, types of Dok and Dok edge, numbers of line, technology and method to produce, ways to use, and so on. Lastly, it was found that the study can contribute to systemize Ong-gi lexical items.

      • KCI등재

        일제강점기 李王職의 문서관리

        신명호(Shin, Myung-Ho) 부산경남사학회 2017 역사와 경계 Vol.105 No.-

        1919년에 『李王職處務規程』이 제정됨으로써 이왕직은 독자적인 문서관리 규정을 보유하게 되었다. 『李王職處務規程』은『朝鮮總督府處務規程』과 『朝鮮總督府文書取扱細則』을 참조하여 제정되었다. 이왕직의 문서는 중요도에 따라 제1종 영구문서, 제2종 25년 보존문서, 제3종 15년 보존문서, 제4종 5년 보존문서, 제5종 1년 보존문서 등 5종으로 구분되었다. 문서의 보존기간은 각 과로부터 완결문서를 인계받은 서무과의 문서담당자가 산정하였다. 이를 위해『李王職處務規程』에는 각각의 문서를 보존기간 별로 자세하게 정리해 놓았다. 한편 각각의 문서는 보존기간과 더불어 문서 주제에 따라 14門, 59目으로 類別되었다. 이 결과 서무과에서 구분, 편찬한 성책은 완결연도 별로 보존기간에 따라 제1종 성책문서, 제2종 성책문서, 제3종 성책문서, 제4종 성책문서, 제5종 성책문서 등 다섯 종류의 성책문서가 편찬되었다. 이렇게 구분, 편찬된 성책문의 첫 페이지에는 ‘文書目錄’을 첨부 하고, 성책의 표지에 일정한 표기를 하고 장정하였다. 성책이 완료된 문서는 文書台帳에 등록하고 서가에 넣어 보관하다가 보존연한이 완료되면 서무과장이 주무과장과 논의하여 폐기하였다. 결론적으로 일제강점기 이왕직의 문서관리는 조선총독부의 강력한 영향을 받으면서도 독자적인 규정을 마련함으로써 이왕직 고유의 특징을 갖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record management of the leewangjik (李王職) during the colonial period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but that had its own characteristics also. for example, the leewangjik (李王職) regulated its own task regulation in 1919. but before the proclamation of it, the record management of the leewangjik (李王職)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management regulation for public record(公文書取扱案) and th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also. the management regulation for public record(公文書取扱案) was established just for temporary in 1911. so in 1919, the task regulation for the leewangjik (李王職) was established. The record management of the leewangjik (李王職) during the colonial period was regulated in the task regulation for the leewangjik (李王職). for example, the draft style, the record number, the preservation period, the record classification were regulated in the task regulation for the leewangjik(李王職). the preservation period were classified into five sorts. it were permanent preservation, 25 years preservation, 15 years preservation, 5 years preservation, and 1 year preservation. also the record ofthe leewangjik(李王職) were classified by the record classification. In this way, the record of the leewangjik(李王職) were preserved in the library during the the preservation period. but when the preservation period finished, the leewangjik(李王職) destroyed those records. and the destroyed record were recorded in the record book

      • KCI우수등재

        How many trees in a random forest?

        박철용,Fred W. Huffer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22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33 No.2

        We propose diagnostic statistics which might assist in choosing the size of a random forest for classification. We use these statistics sequentially as we construct the forest. The statistics are computed from out-of-bag or test set votes and give an estimate of expected disagreement between the current and infinite forests. Simulation studies are provided to illustrate the performance of these statistics and to compare them with other methods for choosing the size of a random for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