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 원장(원감) 및 교사의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 연구

        황해익,최혜진,오경녀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n the kindergarten assessment at the National Level and tried to find ways of improving kindergarten assessment system. The research questions are followings: First, what is common awareness on the kindergarten assessment at the national level among kindergarten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Second, what is awareness of procedures and assessment methods on the kindergarten assessment at the national level among kindergarten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Third, what is awareness of assistance activity and use of kindergarten assessment results on the kindergarten assessment at the national level among kindergarten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1 kindergarten principals and assistant principals, 267 in-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Busan and Ulsan city. This study examined the common awareness, the process and method, assistance activity for kindergarten assessment and make use of result of kindergarten assess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l of teacher's common awareness and necessity of kindergarten assessment was higher. The kindergarten principals(assistant principals) have a stronger view than the kindergarten teachers that common awareness and necessity of kindergarten assessment in some items. Second, kindergarten principals(assistant principals) are agreement with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first aim of kindergarten assessment is 'reconsideration of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national-level'. Third, all of teacher's necessity on assistance activity was rated higher and the result of evaluation should be opened only the evaluated kindergarten. There are some difference among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awareness on the kindergarten assessment. These differences should be reflected to help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who effectively participate with kindergarten assessment. 본 연구는 유치원 평가에 대한 원장(원감) 및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이 직급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해봄으로써 유치원 평가의 주요 구성원들인 원장(원감)과 교사들이 유치원 평가에 보다 효율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돕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점들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과 울산에 소재한 유치원 원장(원감) 131명과 교사 267명을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원장(원감)과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일반적 인식, 유치원 평가의 절차 및 방법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를 위한 조력활동 및 평가 결과의 활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유치원 원장(원감)과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을 비교해 본 결과, 원장(원감) 및 교사들 간에는 입장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유치원 평가를 통해 담당하게 되는 역할 및 책임의 정도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교원들의 직급별 유치원 평가에 대한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유치원 평가에 보다 효율적으로 유치원 교원들을 참여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Integrated Approaches for National Ecosystem Assessment in South Korea

        Hyun-Ah Choi,송철호,이우균,Seongwoo Jeon,Jin Hyuk Gu 대한토목학회 2018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22 No.5

        Ecosystem services are the benefits people obtain from ecosystem functions. Ecosystem services can be quantified through anecosystem assessment. Its goal is to assess the effects of changes in the ecosystem to support human welfare. Ecosystem servicesassessment approaches support policy, decision-making, and implementation to protect biodiversity and ecosystem at national,regional and global levels. For natural resources management National Ecosystem Assessment (NEA) was recently undertaken inBelgium, Spain, France and the UK, along with other ecosystem assessments at the national level. In South Korea, sustainable use ofecosystem services has attracted the interest of a range of policy makers. Although there is a greater concern for biodiversity andecosystem services, linking ecosystems with conservation planning in South Korea remains a challenge. There is no implementation,framework or manual for NEA at the national level. Thus, this study proposes integrated assessment approaches that could be appliedfor decision-making at the national level in South Korea. This study demonstrated conceptual approaches step by step description forsupporting natural resources management at national level. The proposed approaches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cosystemservices assessment, habitat conservation, conservation planning, and decision-making at the national level.

      • KCI등재

        유치원의 국가수준 평가지표 관리에 관한 연구

        정다은(Chung, Da Eun)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미래교육학연구 Vol.24 No.1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egree of the assessment index administration for kindergarten development after the First(2008-2010) national level assessment for nationalㆍ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through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and then to extract suggestive points. The findings from the study were the utmost efforts of the both nationalㆍ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during the time when the First index of national assessment of kindergarten was enforced to get good assessment, on the other hand, the administration level of the both nationalㆍ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for the index of national assessment of kindergarten of the present has become somewhat neglectful according to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institution, in fact, Accordingly, the assessment administration system with expertise and effectiveness for kindergartens need to be established based on propriety, reliability, validity, fairness in getting administrative, financial support. 본 연구의 목적은 국ㆍ공립 및 사립 유치원을 대상으로 시행한 제 1주기(2008년∼2010년) 국가수준 평가 이후 유치원 현장에서 평가지표를 중심으로 발전을 위한 관리가 어느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교사의 인식을 통해 알아보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제 1주기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 시행 당시에는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 국ㆍ공립 및 사립 유치원 모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인 반면 평가 시행 이후 현 시점에는 국ㆍ공립 및 사립 유치원의 평가지표에 대한 관리 정도가 각 기관별 상황과 특징으로 인해 평가 시행 당시 대비 다소 소홀해진 부분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치원 평가 관리체계의 행정적ㆍ재정적 지원 내용과 방법에 대한 적절성ㆍ신뢰성ㆍ타당성ㆍ공정성 등의 면밀한 관리를 통해 전문성과 효율성이 확보된 평가 관리체계를 구축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G광역시 초등학교 교사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연구

        진상우(Sang-Woo Jin),최미정(Mi-Jung Choi),최성광(Sung-Kwang Choi)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5

        이 연구는 G광역시 초등학교 교사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G광역시 초등학교 교사 124명의 설문조사결과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교사의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 평균점수는 3.48점,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에 대한 자기평가는 3.75점으로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에 대한 자기평가 점수가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특성에 따른 인식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20학급 미만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31학급 이상의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이 높고, 연구학교 경력이 있는 집단이 연구학교 경력이 없는 집단보다 높고, 연구 및 혁신학교 경력을 모두 가지고 있는 집단이 연구 또는 혁신학교 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국가수준 교유과정에 영향을 미친 변인을 알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규모 변수가 13.1%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교사들이 교육과정 개발과정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제공될 때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이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study is aimed at finding out the perception of national-level curriculum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 Metropolitan City. For the study, the survey results of 124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city were used. According to the study, the average scor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ing national-level curriculum was 3.48 points and the self-assessment of national-level curriculum perception was 3.75, indicating that the self-assessment score was higher than that of national-level curriculum perception. Also,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erception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ers working in schools under 20 classes had higher national-level curriculum recognition than teachers working in schools over 31 classes. The group with research school experience was higher than the group without research school experience, and the group with both research and innovation school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roup without research or innovation school experience.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school size variables showed an explanatory power of 13.1%. These results suggest that awareness of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can be improved when more opportunities for teachers to access curriculum development are provided.

      • 국가 수준의 과학 지식 평가 체제 개발 : Scientific Knowledge Domain

        최병순,권재술,김찬종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8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8 No.1

        과학교육의 정책 수립과 평가 및 과학교육과정의 개편과 효율성 점검 등은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주요 선진국에서는 국가 수준 과학 학력평가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발전시켜 왔다. 우리 나라에서 그 동안 실시된 국가 수준 과학 학력평가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어 왔으며, 과학 교육 정책 수립 및 평가 그리고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자료 제공에 성공하지 못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우리 나라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지식 성취의 경향성을 파악하고 향후 주기적으로 진행되어질 국가적 차원의 평가 지표를 만들기 위한 국가 수준의 과학 지식 평가 체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과학교육전문가와 초·중·고 교사들로 연구팀을 구성하고, 교육평가 전문가들과의 협조와 자문을 통해서 국가 수준 과학지식 평가 체제의 방향과 주요 요소를 결정하였다. 또한 문항 개발을 위한 세미나와 워크숍을 통해서 평가문항개발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계획한 문항을 개발하고, 수정하였으며, 초·중·고교생 958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문항을 380개를 선정하고 수정하였다. 최종 선정한 문항은 다시 초·중·고 학생 8766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여 문항반응이론(IRT)을 이용하여 문항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가 수준 과학 지식 평가는 매년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1학년과 2학년을 대상으로 학년말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집은 다단계 유층화 표집 방법을 사용하며, 검사지는 복수형으로 개발하며 가교문항을 활용하여 검사지간 학교급간, 종단적 비교의 기초로 삼는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수준 과학지식 평가 체제를 위하여 각 모집단 별로 문제 은행에 포함시킬 80 내지 100문항씩 총 380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과 검사의 특성을 분석하여 본 결과 초등학교용 문항들은 중간 또는 중간 이하의 능력을 가진 학생들에게, 중학교용과 고등학교 1학년 용 문항들은 중간 또는 중간 이상의 능력을 가진 학생들에게, 고등학교 자연계용 문항들은 비교적 높은 능력을 가진 학생들에게 적합하였다. 개발한 문항들의 변별도는 우수하거나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서, 학생들의 과학 지식 성취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Establishing and evaluating science education policies and revising and monitoring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curriculum should be based upon the results of systematic and scientific research studies. Advanced nations have already been administering and developing national level science assessments for these purposes. The science assessments administered in Korea have been reported having many limitations and problems, and not succeeded in providing data for science education policy making and curriculum reform.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is developing national level science knowledge assessment system in order to identify longitudinal trend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science knowledge achievements. The research team consisted of science education experts and teachers from various school levels, decided the directions and major elements of national level science knowledge assessment with the consultation of educational evaluation experts. Item developing ability of the researchers was improved by seminars and workshops on national assessment in advanced nations and developing skills of writing science items. Nearly 500 items were developed and revised. Pilot test was administered with 958 students at various school levels. 380 items were selected and tested with 8766 students,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terms of item response theory. The target populations for national level science knowledge assessment are 5th-grade of elementary school, 2nd-grade of middle school, 1st and 2nd-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The proper period for the assessment is February every year. Multi-stage clustered sampling method is desirable and rotated forms are recommendable for the test format. Bridge items should be introduced to compare the results of multiple tests, and various grades. Anchor items should also be used for longitudinal interpretations of the results. The items for elementary school require low to medium abilities, for middle school and first grade of high school require medium to high abilities and for 2nd-grade of high school high abilities. The discrimination ability of the items developed is high.

      • KCI등재

        사립유치원 원장, 원감 및 교사의 유치원 평가 준비과정에 대한 연구

        최혜진 ( Hye Jin Choi ),황해익 ( Hae Ik Hwang ),오경녀 ( Kyung Nyeu Oh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교사교육연구 Vol.48 No.1

        본 연구는 2008년부터 시행된 유치원 평가가 우선 공립유치원에 먼저 실시되고 사립유치원은 2010년부터 시행되는 여건을 고려하여 사립유치원 원장, 원감 및 교사를 대상으로 유치원 평가의 준비·절차·방법·내용·조력활동 등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사립유치원의 교원들이 유치원 평가를 준비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유치원 평가 체제가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울산광역시 사립유치원 원장(원감)106명과 교사 137명을 대상으로 유치원 평가의 내용, 유치원평가 준비 및 조력활동에 대한 인식을 설문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립유치원 원장(원감)과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의 내용, 준비 및 조력활동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사립유치원 원장(원감)과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의 내용, 준비 및 조력활동에 대한 인식은 항목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인식에 대한 의견과 준비 및 조력에 대한 의견을 알아봄으로써 사립유치원 교원들의 유치원 평가 준비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ivate kindergarten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awareness on kindergarten assessment at the National Level and tried to find ways of improving kindergarten assessment syst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6 private kindergarten principals and assistant principals, 137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Busan and Ulsan city. This study examined the common awareness, the process and method, assistance activity for kindergarten assessment and make use of result of kindergarten assess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eacher`s awareness for importance of kindergarten assessment`s content and domain was most high in the part of ``appropriateness of safety management`` kindergarten principals(assistant principals) was same, The private kindergarten principals(assistant principals) have a stronger view than the kindergarten teachers that common awareness and necessity of kindergarten assessment in some items. Second, the private kindergarten principals(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have same opinion about the aim of kindergarten assessment. They thought the first aim of kindergarten assessment is ``reconsideration of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national-level``. Third, awareness of private teacher`s necessity on assistance activity was rated higher and the result of evaluation should be opened only the evaluated kindergarten There are some difference among private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private teachers` awareness on the kindergarten assessment These differences should be reflected to help private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who participate in kindergarten assessment.

      • 초등학교 교사들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연구

        진상우(Sang-Woo Jin),최미정(Mi-Jung Choi),최성광(Sung-Kwang Choi)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0 No.5

        이 연구는 G광역시 초등학교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교사들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자기평가 결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의 국가수준 교육과정 평균은 정 인식은 3.48점,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에 대한 자기평가는 3.75점으로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에 대한 자기평가 점수가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들의 특성에 따른 인식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소규모학급에 근무한다던지 연구학교나 혁신학교에 근무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평균점수가 유의하게 높아 교사들이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더 많이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될 때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이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eachers" awaren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ir percep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teachers at the G Metropolitan elementary school.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average national curriculum for primary school teachers was 3.48 points for national-level curriculum recognition, a self-assessment score for national-level curriculum recognition was 3.75, and the self-assessment score for curriculum recognition at the national level was higher than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recognition. In addition, comparing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scores for teachers working in small classes, research schools, and innovation schools, which improved awaren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when teachers had more access to the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2010-2012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나타난 중학교 수학과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

        이광상,조윤동 대한수학교육학회 2014 학교수학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ademic achievemen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roficiency levels through the in-depth analysis of mathematics test item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from 2010 to 2012,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eaching and assessing mathematics in middle schools. The results showed that 'Advanced level' students could fully understand the concept of mathematical terms and symbols as well as various mathematical properties presen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However, 'Proficient level' students tended to feel difficult to apply linear function, properties of a plane figure, and a solid figure, while 'Basic level' students seemed to have trouble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in almost all areas. Thu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mathematical misconceptions that students have and to strengthen teaching, particularly, the areas of number and ope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서 나타난 각 성취수준별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2003년 앙고프 방법을 변형하여 성취수준별 분할점수를 설정하고 그것을 기준점으로 성취수준을 구분하는 방식을 구안하여 2009년까지 활용하였다. 새 교육과정이 도입되고 전수평가 체제로 전환함으로써 새로운 기준점이 필요하게 되어 2010년에 교과별로 성취수준을 재설정하였고, 그것으로 성취수준을 산출하여 보고하고 있다. 원점수에 설정된 성취수준의 기준점을 척도점수로 변환하여 학생들을 성취도에 따라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기초학력미달로 구분한다(김경희, 김완수, 최인봉, 상경아, 김희경, 신진아 외, 2011). 학업성취 특성의 도출을 통해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2년에 걸쳐 계속 출제된 성취기준에 해당하는 문항을 심층 분석하였다. 각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을 도출한 결과, 우수학력은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용어와 기호의 의미, 수학적인 여러 가지 성질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보통학력의 경우에는 일차함수의 활용, 평면도형의 성질과 입체도형의 성질을 활용 하는 문항에 대해서는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초학력의 경우에는 거의 모든 영역에서 문제해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수학적 오개념 파악과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학습을 강화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과 학교의 특성-학교급 및 교과별 학교배경 요인을 중심으로-

        박상완,박소영,심현기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choo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levels. To this end, the data of 23,676 students from 459 middle and high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2019 NAEA were classified by school level and subject, and the overall average of students with advanced and below-basic levels was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distribution of schools at advanced and below-basic levels (we call these groups A and B, respectively) was lower in math subjects than in other subjects in both middle and high schools. We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middle schools at a below-basic level in mathematics reached 40%. Second, the proportion of national and public schools and boys' schools was higher in schools at a below-basic level. By region, the proportion of schools at a below-basic level was higher in towns and villages than in any other region. The number of students receiving basic livelihood assistance and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found to be large in schools at a below-basic level. These patterns were consistent within the school level and subject.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policy support that resolves differences in conditions between schools, provides customized student support based on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s and elaborates on school characteristic variables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본 연구는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과 학교배경 특성이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참여한 중·고등학교 전체 459개교 학생 23,676명의 자료를 토대로, 학업성취 수준 우수학력 학생과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비율이 평균 이상으로 나타나는 학교를 각각 A집단과 B집단으로 구분하고 학교급 및 교과별 이들 학교의 분포 및 학교배경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학교와 고등학교 모두 수학교과에서 A집단의 비율이 다른 과목보다 낮은 반면 B집단의 비율은 다른 과목보다 높았다. 중학교 수학교과에서 B집단의 비율은 4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배경 특성을 분석한 결과, B집단에서 국공립학교와 남학교의 비율이 높았다. 지역별로는 읍면지역에 B집단이 많았으며, B집단에서 기초생활수급 학생수, 다문화가정 학생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급과 교과별로 일관된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교간 여건 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맞춤형 학생 지원,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배경 변인의 정교화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국가수준의 유치원평가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비교: 조력활동을 중심으로

        송연숙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demand for assistance in guiding and supporting preparation procedures for kindergarten assessment at the national-lev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0 chief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in Kindergartens at Ulsan, Busan, and Kyung-N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eed of chief and in-service teacher's for assistance activities on kindergarten assessment at the national-level was rated highly. Among the kindergarten assessment areas- in which chiefs and in-service teachers expected to have lots of assistance was that of curriculum. Second, regarding their assistance activity needs -stage, frequency, person-in-charge, content, and operational style- most of the chiefs and in-service teachers hoped that the assistance activity would be provided until the assessment had been finished. Further, they hoped it would be provided whenever each kindergarten required it, and that assistance experts would visit each one to carry out diagnoses according to the assessment index(es), to provide them with prop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assessment, and to supplement any weak areas in the assistance activity. Third, the chiefs were more aware than the in-service teachers of the importance of assistance of assistants' quality. in particula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ts' quality, the relative quality of assistants, and the emotional support role among the sub-areas.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chief and in-service teachers gave a high rating to assistants' quality and emotional support role, the quality and role of the assistants will require considerable discussion. 본 연구는 국가수준의 유치원평가를 안내하고 그 준비과정을 지원하는 조력활동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U, B, K시의 유치원 원장과 교사 304명을 연구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원장과 교사 대부분은 유치원평가를 위한 조력활동의 필요성을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과정영역에서 가장 많은 조력을 원하였다. 둘째, 조력활동의 시기 및 횟수, 조력담당자, 유형 및 운영형태 등을 살펴본 결과, 원장과 교사 모두 유치원평가가 완료될 때까지 조력활동을 지원하되, 개별 유치원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각 평가영역별 전문성이 확보된 조력전문가가 유치원을 방문하여 평가지표별로 점검․진단하고 평가관련 정보나 자료를 제공해주길 원하며, 점검결과 유치원의 취약영역을 개선하고 지원해주는 조력활동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력자의 자질과 역할에 대한 인식은 원장이 교사보다 더 많은 기대치를 가지고 있으며 하위영역 중 전문적 자질과 조력관련 자질, 정서적 지원 역할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영역에서 원장과 교사 모두 높은 점수를 보여 조력자의 자질과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해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