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시대 청소년 학습자의 미디어 서사 문식성 함양을 위한 문학교육 방안 연구

        오윤주(Oh Yun 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3

        이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로의 변화 속에서 미디어 서사 문식성을 중심으로 하여 학습자의 주체적 문학 향유 역량을 기르는 문학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미디어 서사 문식성은 서사 장르의 변화 양상을 민감하게 포착하고 향유할 수 있는 역량으로, 미디어 전반에 대한 활용 능력 및 비판적 성찰 능력을 아우르는 미디어 문식성과 함께, 미디어 서사에 대해 심미적 경험을 할 수 있는 심미적 문식성을 융합적으로 이르는 개념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미디어 서사를 적극적으로 향유하는 이들을 ‘미디어 서사 향유자’로 선정하고, 이들의 향유 양상을 ‘미디어 서사 장르 역량의 적극적 획득’, ‘심미적 수용 역량 및 심미적 재구성·창조 역량의 융합’, ‘사회적 활용 가능성의 극대화’, ‘미디어 서사를 둘러싼 비판적·윤리적 차원의 작동’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고등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수업을 구안, 실천한 후 ‘생비자로서의 가능성과 한계’, ‘향유와 성찰 사이의 거리 두기’를 문제 지점으로 포착하고, 미디어 서사 문식성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new horizons of literary education to cultivate subjective literary enjoyment in learners, focusing on media narrative literacy in the transition to the digital media era. Media narrative literacy can be considered as the ability to sensitively capture and enjoy changes inside the narrative genre. This is a concept that combines media literacy and encompasses the ability to use media and critical reflection, along with aesthetic literacy that enables an aesthetic experience of the media narrative. In this study, those who actively enjoy media narratives were categorized as “media narrative enjoyers.” Their typical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to be “acquisition of media narrative genre competency”; “fusion of aesthetic acceptance capacity, aesthetic reconstruction, and creation competency”; “maximization of social applicability”; and “critical and ethical perspectives on media narrative.” Based on these factors, the study designed and implemented a class for high school learners. Through this class, the study recognized Possibility and Limitation as a Prosumer and the Gap between Enjoyment and Reflection as problem points and suggested educational methods for making these factors the main subject of the digital media era.

      • KCI등재

        미디어 시대의 문학교육 :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서사텍스트의 위상 -자막언어의 서사 미학적 기능을 중심으로-

        김중신 ( Jung Sin Kim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1 문학교육학 Vol.36 No.-

        In this article the narrative nature of caption Language in TV will be discussed. I will discuss the narrative aesthetic features of caption language. The narrative feature of caption language can be distinguished of the traditional narrative. The traditional narrative is independent of the other media. but the narrative of caption language is complemented by the other media. And the traditional narrative is the traditional teleological narrative for community`s prosperity, however the narrative of caption language is for the entertainment. In addition, the traditional narrative is created by one person, the narrative of caption language is created by a group. So it is solidarity. Discussed in this article, the narrative aesthetic features of the caption language in TV is as follows. First it is the aesthetic of pattern by ``chapter-feature``(章回性) and ``type-feature(類型性)`` oriented. Secondly, it is constantly the aesthetics of contest oriented by the composition of a binary opposition. Thirdly, it often breaks down boundaries of crew and the cast and viewers, so it shows the aesthetic of the betweenness In its final analysis, times may change, but the culture medium will be continue to exist. In the era of digital media, how to accommodate the narrative should be renewed.

      • KCI등재

        현대 패션쇼 공간에 나타나는 비선형 내러티브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김은주 ( Eunjoo Kim ),안성모 ( Seongmo Ah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6

        (연구배경 및 목적) 공간에서의 경험 확장을 위한 광범위한 미디어의 활용과 결합의 실험은 공간의 디자인 연출에 있어서 중요한 시도로 여겨진다. ‘비선형 내러티브’는 상업적, 문화적으로 의미 있는 현상으로 자리 잡고 있는 유형을 중심으로 미디어 환경의 변화를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미디어의 변화된 현상은 사회의 여러 분야 중에서도 패션 분야에서 가장 빠르고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현대의 패션쇼 공간은 내러티브 중심에서 더 나아가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무한한 가치를 인정하는 유동적인 형태로 감성, 감정, 감동의 정서를 갖는다. 이에 본 연구는 예측 불가능한 비선형의 내러티브 특성이 현대 패션쇼 공간에 적용되어 새로운 가치적 특성을 도출하고 비선형적이고 통합적인 상호작용과 공감을 위한 또 하나의 새로운 공간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우선 이론적 고찰을 통해 내러티브의 개념과 과거와 현재의 흐름을 파악하고 넬슨(Theodor Nelson)의 하이퍼텍스트의 비선형성, 상호작용성, 무경계성과, 헨리 젱킨스(Henry Jenkins)의 트랜스미디어 내러티브의 확장성, 혼성성, 서사성을 비선형 내러티브 특성으로 도출하였다. 패션쇼의 구성요소를 평면언어, 입체언어, 공간언어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6가지의 비선형 내러티브 특성이 현대 패션쇼 공간에 어떻게 적용되어 새로운 가치적 표현방법이 도출되는지를 최근 2년 이내의 각각 다른 명품 브랜드 패션쇼를 중심으로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그 결과, 현대 패션쇼 공간은 비선형의 공간, 상호작용 공간의 특성을 가지며, 현대 패션쇼 공간의 표현방법으로는 관객으로 하여금 또 다른 관련 내러티브로 이동해 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완결의 이탈적 서사성,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선택되는 무수한 비선형적인 내러티브의 요소들의 통합적 접점의 혼성성, 미디어 확장의 과정에서 관념적인 형식에 존재했던 것의 소멸이나 전통성의 부정성과 같은 가변적인 공간의 불연속적인 확장성, 공간이 경계성을 띄지 않고 관객에 의해 새로운 내러티브가 생성되어 재목적화의 무경계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표현방법은 공간분할과 동선유발, 시각적 차단 등의 기능적 측면도 내포되어 표현된다. (결론) 현대 패션쇼 공간의 비선형 내러티브는 하이퍼텍스트적이고 트랜스 미디어 내러티브적인 특성을 통해 연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현대 패션쇼 공간이 고정적인 형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미디어 기술과 예술이 결합된 혼성적인 변화를 통해 이전 보다 비선형적이고 무한하며 통합적인 상호작용적 특성을 가지고 패션쇼 공간의 또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Experimentation on the use and combination of a wide range of media to expand experiences in space is considered an important attempt in displaying the space design. The “Non-linear Narrative” allows us to understand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regarding the types that are believed to be commercially and culturally significant. The changed phenomenon of media is emerging as the fastest and most prominent aspect of fashion in various social fields. The space of modern fashion shows has some emotions such as sensitivity, feeling, and impression as a flexible shape that can interact with others and recognize infinite values, moving away from a narrative-centered position. In the light of the above, this study aimed to derive new value characteristics and to present another new direction for non-linear and integrated interaction and sympathy by applying unpredictable non-linear narrative characteristics to the space of modern fashion shows. (Method) The researcher first conducted a theoretical review of the concept of narrative and the flow of the past and present and derived Theodor Nelson’s non-linearity, interactivity, and borderlessness of hypertext and Henry Jenkins’ expandability, hybridity, and narrativity of trans-media narrative as the characteristics of non-linear narrative. The elements of fashion shows were categorized into flat, three-dimensional, and spatial languages and then analyzed using a case analysis (within the past two years) on how six non-linear narrative features are applied to the space of modern fashion shows, leading to a new value representation method that focuses on fashion shows for different luxury brand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he spaces of modern fashion show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non-linear and interactive spaces. In addition, narrativity in total defection (which encourages audiences to move on to other related narratives), hybridity of integrated points of contact in numberless non-linear narrative elements selected through interaction with audiences, discontinuous expandability of variable spaces such as the extinction of things that existed in ideological form, negativity of traditionality, and borderlessness of re-purposing through the formation of new narratives by the audiences in an unbounded space were derived as a representation method for the space of modern fashion shows. The representation method also implies functional aspects such as spatial division, induction of movement, visual interception, etc.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the non-linear narrative of the space of modern fashion shows is displayed through hypertextual and trans-media narrative characteristics.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space of modern fashion shows presents a new direction for fashion show spaces with more non-linear, infinite, and integrated interactive characteristics than ever before through a hybrid change in which various media technologies and arts have been combined out of a fixed framework.

      • KCI등재

        스토리텔링의 서사 문화와 서사표현교육론 : TV 방송 매체의 일상성을 중심으로

        김근호 ( Keun Ho Kim ) 국어교육학회 2008 國語敎育學硏究 Vol.33 No.-

        이 연구는 다매체 시대 주목받고 있는 스토리텔링의 서사 문화를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서사표현교육의 내용을 모색한다. 오늘날 다매체의 발달은 인간의 이야기 욕망이 일상에서 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TV, 라디오, 인터넷 등에서 확인되는 이야기 소통과 향유 현상은 그 증거이다. 교육은 이야기 욕망의 일상성에 주목해야 하며 이야기 욕망의 일상성을 서사교육의 한 차원으로 유목화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서사표현교육에서 매체 언어의 문제를 검토해야 한다. 지금까지의 서사교육 특히 서사표현교육 논의는 언어의 문제에 있어서 다소 제한적이다. 다매체 시대에 인간의 언어는 구어와 문어의 폐쇄적 활동을 넘어 `멀티미디어 리터러시(multimedia literacy)`가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새로운 표상의 수단인 매체 언어를 국어교육의 내용으로 적극 도입해야 한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다매체 시대에서 주목받고 있는 스토리텔링의 서사 문화를 교육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서사표현교육의 내용을 제시하였는데, <영화 대 영화>, <이야기 발전소>, <돌발영상> 등의 매체 자료를 중심으로 스토리텔링의 서사 문화를 검토했다. 이를 통해 새로운 매체 제작의 기술과 함께 참여의 미학, 그리고 매체의 자기 비평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는 교육적 관점에서 접근했던 것이며, 따라서 교육의 구도로 재개념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충분히 지닌다. 이에 따라 스토리텔링 서사 문화에 대한 서사표현교육의 내용을 `서사 텍스트 제작 중심 활동`, `소통에 대한 참여 중심 활동`, `문화 맥락의 성찰 중심 활동` 등으로 설정하였다. 물론 이 세 가지는 실현되는 과정에서 서로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 모든 문제를 가로지르는 것은 윤리적 주체이다. 이 연구에서 스토리텔링의 서사표현교육의 내용으로 특히 소통에의 참여와 문화 맥락의 성찰을 강조한 것은 교육의 근본인 윤리성 때문이다. 인간이 매체를 통해 자기를 표현하고 소통하고 그리고 성찰하는 과정에는 자기 점검이 전제되어야 한다. 즉 매체 활동에는 주체의 몰입과 거리두기가 상호 작용해야 한다. 인간이 보다 행복해지고 자유로워지는 데에 매체의 주체는 윤리적이라야 한다. 다매체 시대 스토리텔링의 서사표현교육에서 행위의 공공성과 성찰성은 강조되는 것이 마땅하다. In this paper I have investigated the narrative culture of storytelling in the multimedia age and have searche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of narrative expression. Nowadays,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helps us to actualize the narrative desire. The narrative communication and enjoyment seen in the TV, radio, Internet, etc. Education should keep an eye on the ordinariness of narrative desire, to itemiz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t. However, above all, I argued the problem of the media language in the education of narrative expression. Until now, the theoretical history of the narrative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shows the limitation in the language. Human language in the multimedia age must be the multimedia literacy beyond the oral and the written language. I investigated the narrative cultural structure of storytelling in multimedia, centering on the TV broadcasting media. I examined the `Movie vs Movie`, the `storytelling club Eyagee Baljeonso`, and the `Dolbalyeongsang(Pop-Up)`. In these material, I discovered the technical production of narrative media text, the aesthetics of participation in the narrative field, and the self criticism of the narrative media text. These can be reconceptualized into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narrative expression of multimedia. I established three edcational contents. First, the activity of focusing on producing of the narrative text. Second, the activity of focusing on participating in the narrative field. Third, the activity of focusing on reflecting of the narrative culture. These items should be harmonized with each other. But I emphasized the ethical subject of narrative expression in the multimedia age. Fundamentally, the education contains the ethics all the time. Human should follow the self-criticism in expressing, communicating, and reflecting of the narrative activity. Therefore, the education of narrative expression in the multimedia age should be based on the publicity and reflectivity of the narrative activity.

      • KCI등재

        신선서사의 뉴미디어적 재생산― ‘계룡선녀전’을 중심으로

        최진아 한국중국소설학회 2019 中國小說論叢 Vol.57 No.-

        In this paper, we discussed reproduction of Taoist hermit narrative in the new-media era, focusing on webtoons and television drama Gyeryong Sunnyeojeon.. Gyeryong Sunnyeojeon is a story of love between a Taosit fairy who has come down to the human world and a man in the human world. It was completed in 2018 in the form of a webtoon. and was broadcast in the second half of 2018 as a drama on airwaves. In this paper, we made a comparative analysis the structure of Gyeryong Sunnyeojeon' with Liexianzhuan(列仙傳) in Weijin(魏晉) era and the works of the human and god’s love(人神戀愛) type of Tang Chuan-qi(唐傳奇). Consequently, searched for the re-produced form of Chinese classical narrative in webtoons and dramas as narrative in the new-media era. Also, studied how the Korean classical narrative was reflected in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 of Gyeryong Sunnyeojeon'. Futhermore, in this paper, focused on consumers of Taoist hermit narrative. As a result, we found out that the consumers of Chinese-Korean classical narrative was male, in comparison to that, the consumers of new-media narrative was female or have a tendecy of female identity. Therefore, we have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is fact affects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aoist hermit narrative in the new-media era. 본 논문에서는 웹툰과 텔레비전 드라마인 ‘계룡선녀전’을 중심으로 뉴미디어 시대의 신선서사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계룡선녀전’은 인간세상에 내려온 선녀와 인간남성의 사랑이야기로 웹툰으로 2018년에 연재완료 되었고 뒤이어 2018년 하반기에 공중파 방송의 드라마로 방영된 작품이다. 본 논문에서는 ‘계룡선녀전’의 서사적 구조를 중국 위진남북조 시기의 《열선전》 및 당나라 전기 가운데 人神戀愛 유형의 작품과 비교분석하여 중국전통서사가 뉴미디어 시대의 서사인 웹툰, 드라마로 재생산된 형태를 탐색하였다. 또한 한국전통서사가 ‘계룡선녀전’의 내용 구성에 어떠한 방식으로 반영되었는지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한, 중 전통서사와 뉴미디어 서사 사이의 가장 변별되는 점인 신선서사의 소비자에 대해서 집중하였다. 즉 전통서사의 소비자가 남성임에 비해 뉴미디어 시대의 소비자는 여성, 혹은 여성주체적 취향임에 주목하였고 이러한 원인은 뉴미디어 시대 신선서사의 구조와 내용, 결론에 모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 KCI등재

        영화 대 영화' 형(型)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미디어 서사교육적 연구 : KBS의 「배칠수의 종횡무진」 분석을 중심으로

        김근호 한국문학교육학회 2005 문학교육학 Vol.16 No.-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ories of media narrative education and suggest the method of educational activity centered on productive narrative culture. Nowadays media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n Korean education, so the study of it is fiercely processed. But the educational content is insufficient. To work out this problem, I give attention to a narrative activity through movie, and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it. Nowadays we have the three major Korean broadcasting station. They are KBS, MBC, and SBS. All of them have the program of introducing movies on weekend. Especially, they have the `Movie vs Movie'. `Movie vs Movie' is very interesting to television audience. This corner has the same narrative format. It has four principles as follows. First, a rivalry game format. Second, a interpretative discourse centered on intertextuality. Third, a simultaneity of telling and showing in narrative. Last, a combination of narrative and criticism. These narrative systems are due to new media technology. So Korean education should have the content of media narrative activity. I think it has three levels and methods. First, the investigation of story between two movies. Second, the comparison of structural peculiarities between two narrative texts. Last, the storytelling based on the combination of interpretation and criticism about two movies. This educational activity integrates critical and creative media literacy, and activates productive narrative culture.

      • KCI등재

        한국 라디오서사의 갈래 연구

        최미진 ( Choi Mi-ji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8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40 No.-

        The radio literature in Korea had long been marginalized in literary research in a disparaged environment for creation. Noting that the theoretical approach to radio literature is almost existent,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concept and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radio narrative and categorizing the Korean narratives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1970s. Radio narrative refers to a series of stories delivered through an arrangement and rhetorical methods of the radio media. Today's narrative goes beyond the limited rhetorics found in novels and crisscrosses many kinds of media and genres to include diverse literary products and discourses dispersed in human activities. So, it can be said that radio narrative covers quite broad areas, but this study takes a close look only at artistic radio narrative. The categorization of radio narrative is based on the concept of "remediation" suggested by Jay David Bolter and Richard Grusin, focusing on the correlations between media and genres. Radio narrative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 remediation aspects of the existing narrative genres. The remediation of oral narratives include radio historical stories and radio gags, while that of technical narrative genres are radio drama, radio novel, radio essay, radio sound play and radio music play, which have some characteristics of radio drama in common or become similar to it. This means radio drama with pronounced characteristics of remediating other genres is the integral part of radio narrative. In this study, the categorization of radio drama genre is examined separately. There are more criteria to categorize radio drama, bu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a new experience between the 1950s and 1960s had a decisive impact on the establishment and the popularity of radio drama. Moreover, the remediation of diverse media and genres also has taken deep root in the U.S. broadcasters as well as many competing broadcasters. Korean radio narrative has recently shown a distinctive trend of seeking changes. Facing a competition with television and many other media, radio narrative is trying to converting itself into a "visible radio" by utilizing advanced digital technologies. At the same time, radio narrative is gaining more ground through audio book service provided by broadcasters. Therefore, reminding that radio narrative has been keeping pace with technological and social chang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more research on radio narrative.

      • KCI등재

        매체 변용 과정에서의 서사의 활용 : 〈포켓몬 GO〉와 〈해리포터: 마법사연합〉을 중심으로

        이재학(Jae-Hak Lee),김인주(Ihn-Jou Kim)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0 애니메이션연구 Vol.16 No.4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AR) 게임인 〈포켓몬 GO〉와 〈해리포터: 마법사연합〉을 원천 콘텐츠와 비교·분석하면서 콘텐츠의 매체 변용 과정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현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매체 변용과정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매체 적합도(또는 매체 친화)와 매체 적합에 영향을 미치는 원천 콘텐츠의 서사구조를 제시하였다. 콘텐츠는 기본적으로 서사구조를 내재하고 있으며, 수용자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느냐에 따라 매체 적합도가 결정된다. 상호작용의 형태에 따라 서사구조는 열린 서사와 닫힌 서사로 구분된다. 증강현실 매체는 현실에 바탕을 두는 시공간적 일상성이 중요하며, 열린 서사의 경우 적극적인 상호작용으로 매체 적합도가 높았다. 매체의 적합도가 높을수록 해당 콘텐츠의 성공확률도 높아진다. 게임에서 시작한 포켓몬 원천콘텐츠는 게임 친화적인 매체 적합도와 서사구조를 갖추고 있다. 증강현실게임 〈포켓몬 GO〉는 이러한 게임 친화적인 매체 적합도와 함께 증강현실 게임에서 중요한 특징인 열린 서사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 〈포켓몬 GO〉에서 플레이어는 일상을 중심으로 생활 서사를 능동적으로 만들어갈 수 있으며, 게임 플레이어의 일상적인 서서와 일상의 공간을 담을 수 있는 열린 서사의 특징을 갖는다. 곧, 증강현실의 의미성이 잘 활용된 것이다. 소설 『해리포터』는 기승전결이 분명하고, 정해진 배경과 고정적인 서사구조를 갖는 원천 콘텐츠의 특징에 따라, 이를 활용한 증강현실 게임 〈해리포터: 마법사연합〉은 닫힌 서사의 한계로 인해 증강현실 게임에 대한 매체 적합도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매체 특성에 맞는 친화성과 변용 매체의 서사구조에 대한 적합성 등은 콘텐츠 비즈니스 측면에서도 참고할 요인으로 여겨진다.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how the function and role of narrative influences the success of the medium in the process of media transformation.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e augmented reality (AR) game 〈Pokemon GO〉 and 〈Harry Potter: Wizards Unite〉 with the original content, looking at the phenomenon that appears centered on the process of media transformation of the cont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original content that influences the media suitability (or media friendliness) and media suitability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rocess of media transformation was suggested. Content basically has a narrative structure, and media suitability is determined by how it interacts with audiences. According to the form of interaction, the narrative structure is divided into an open narrative and a closed narrative. Also, the higher the suitability of the medium to be transformed,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success of the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AR) media, everyday life (everydayness) based on reality is important, and the success of AR content is in reflecting and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well. Therefore, in the future, content companies and companies that want to use the content should examine in detail what media characteristics the source of the content intends to use is friendly to what kind of media characteristics, and whether it has a narrative structure suitable for the transformation medium, and use it in the content business.

      • 논문 : 현대문학 ; 뉴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서사 양상과 미디어 리터러시

        최성민 ( Sung Min Choi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3 한국어와 문화 Vol.13 No.-

        언제나 ``뉴미디어``가 있었다. 한때 ``신문``도 뉴미디어였고, 심지어 ``봉화``도 뉴미디어였던 때가 있었다. 하지만 최근 ``뉴미디어``라는 어휘는 디지털 전자 기술을 기반으로 한 매체를 지칭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뉴미디어는 몇 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멀티미디어적 속성이다. 요즘의 뉴미디어들은 각각의 영역이 명확하지 않고 혼성되어 있는 성격을 띤다. 과거의 신문이나 방송도 기존의 매체들이 혼성된 형태로 등장하기 시작했지만, 지금의 뉴미디어들은 더욱 더 복합적인 미디어 환경 속에서 등장하고 사라지기를 반복하고 있다. 그 어떤 미디어도 일방적으로 지배하거나 점령하지 못하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두 번째는 미디어의 재매개 과정에서의 ``투명화`` 속성이다. 뉴미디어는 기존 미디어의 콘텐츠를 재매개하는 방식으로 발전되어 왔다. 그 과정에서 미디어 자체를 투명화하는 방식으로 미디어의 역할은 오히려 강화되었다. 근래 가상현실이나 가상세계에 대한 시도는 그 대표적인 예들이다. 세 번째는 상호텍스트적 속성이다. 서사 텍스트들은 다양한 매체로 전환되어 활용되며 소통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양상을 보이는 뉴미디어 시대에 과거의 ``문학`` 개념은 재정립될 필요가 있다. ``책``이라는 매체에 의존하지 않고도 문학적 성찰과 예술적 감수성을 교육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새로운 서사 교육의 방법도 제시될 필요가 있다. 새로운 시대의 미디어에 대한 이해를 강화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그 대안으로 주목되어야 할 것이다. It has always been New Media. The newspaper was a new media, even beacon fire was a new media. However the word ``New Media`` in these days generally means media based on digital and electronic technology. New Media has several attributes. First, they are Multi-Media. New media nowadays look hybrid and don``t have clear borders. It``s same the newspaper and broadcast come on the scene in the shape of mixture of existing media. But the circumstances are much complicated and the appearance and exit are much more rapid. This is the era no media can be fully dominant or occupy. Second, they are ``transparent`` in re-mediation process. New media has been developed by re-mediating existing media. The role of media has been reinforced to make transparent media itself. The trials for virtual reality or virtual world are good examples. Third, they have intertextuality. Narrative texts are changed in various media, utilized and communicated manifoldly. All these aspects require to reestablish the past concept of ``Literature`` in new media era. Also new educational method in narrative education is needed not to depend on only books for literary inquiry and artistic sensitivity. Media literacy education is worthy to notice to reinforce understanding for new media in new era.

      • KCI등재

        문학미디어와 문학사 연구 -가능성의 문학사와 다차원의 `문학사 디지털 웹`-

        임형택 ( Im Hyeong-taek ) 한민족문화학회 2017 한민족문화연구 Vol.57 No.-

        이 글은 `문학미디어`에 입각하여, 문학사 `서술`에 관한 부정적 인식이 팽배한 오늘날 문학사를 효과적으로 `구성`하는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단원한 맥락을 준수하는 1차원적 선형논리에 입각한 문학사 서술은 그 기본적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문학사 연구의 심화에 있어서는 한계를 드러내게 마련이다. 본래 문학연구의 대상인 텍스트들의 모본들은 다차원적이었기에, 그 종합인 문학사에는 사실상 무한정한 맥락이 놓일 수 있는데, 단지 문학사 `서술`에 의해 1차원적으로 축소되었던 까닭에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문학사 `서술`의 한계는 미디어-테크놀로지의 진화와 함께 인식돼왔고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이르러 부각되었으니, 문학사의 불가능성 기조는 1차원의 선형 질서 아래 잠재돼있던 다차원적요소들과 무한정한 맥락들이 튀어나오는 형국인 셈이다. 따라서 이 글은 문학사의 1차원적 `서술`에서 다차원적 `구성`으로의 전환을 주장하며, 그 문제제기를 불러왔던 미디어-테크놀로지, 특히 디지털 미디어에서 그 가능한 대안으로 `문학사 디지털 웹`을 제안하였다. 온축돼있는 기존의 문학사 연구 성과들은 문학사 디지털 웹의 면밀한 제작의 모태가 될 것이다. 그리고 문학사 디지털 웹을 통하여 가능성의 문학사가 참신하고 풍부하게 구성될 수 있을 텐데, 그 활용은 무엇보다도 문학교육에서 먼저 이뤄질 필요가 있다. 오늘날은 고전문학뿐 아니라 문학연구 에서 다루는 현대문학 텍스트(작품)와 문학사 역시 오늘날 문화 주체들과 유리돼 있는 실정이며, 미디어-테크놀로지의 진화와 함께 문화 생산이 점점 손쉬워지고 확대되는 시대이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is based on `Literature Media` and aims to find a way to effectively `construct` the literary history, today, where the negative perception about the `narrative` of literary history is widespread. Despite its basic necessity, the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based on one dimensional linear logic conforming to a unitary context reveals limitations in the depth of study of literary history. Since the examples of texts originally studied in literary studies were multidimensional, the syntactic literary history could have a virtually unlimited context, just because it was reduced in one dimension by literary history `narrative`. The limitations of literary history `narrative` have been recognized along with the evolution of media-technology, and it has come to the age of digital media. The impossibility of literary history is a pattern in which multidimensional elements and indefinite contexts are popped up under a linear order of one dimension. Therefore, this article argues for the transition from the one-dimensional `narrative` of literature history to the multi-dimensional `composition` and suggests `digital web history of literature` as a possible alternative in media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existing literary history studies which are temperate will be the precise production of the digital web of literature history. And, through the Digital Web of Literature History, the literary history of possibility can be made fresh and abundant, and its utilization needs to be done first of all in literature education. Today, modern literary texts and literary history, which are studied in literary studies as well as classical literatures, are also now available to cultural subjects, and are the days when cultural production is getting easier and expanded with the evolution of media-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