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셴커식 분석이론과 음악적 인지

        조성기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09 음악교육공학 Vol.- No.8

        This study aimed at shedding light on how man can better understand the music. Thus, it was examined how valid Schenkerian theory that is well-known as an tonal music analysis method is for recognizing the music by considering a variety of major cognitive theories from the gestalt perspective. In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music, Schenkerian theory is closely related to the main principles of the gestalt theory - proximity, similarity, good continuation, and common fate. And most of principles of the gestalt theory are shown in Schenkerian theory. In addition, Schenkerian theory has been proved as a very effective way for transferring musical memory into LTM(long term memory). Of course, Schenkerian theory has been mainly used for analyzing the tonal music, thus there is a limitation for analyzing a variety of musical eras. Nevertheless, Schenkerian theory is still an effective, efficient and attractive tool for understanding the tonal music based on the functional harmony. This study aimed at shedding light on how man can better understand the music. Thus, it was examined how valid Schenkerian theory that is well-known as an tonal music analysis method is for recognizing the music by considering a variety of major cognitive theories from the gestalt perspective. In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music, Schenkerian theory is closely related to the main principles of the gestalt theory - proximity, similarity, good continuation, and common fate. And most of principles of the gestalt theory are shown in Schenkerian theory. In addition, Schenkerian theory has been proved as a very effective way for transferring musical memory into LTM(long term memory). Of course, Schenkerian theory has been mainly used for analyzing the tonal music, thus there is a limitation for analyzing a variety of musical eras. Nevertheless, Schenkerian theory is still an effective, efficient and attractive tool for understanding the tonal music based on the functional harmony.

      • KCI등재

        『呂氏春秋』의 音樂論

        김용섭(Kim Yong-Seop) 새한철학회 2011 哲學論叢 Vol.66 No.4

        중국 고대철학에서 음악은 유가의 비조인 孔子에 의해 그 중요성이 인정된 이래, 儒家·墨家·道家 간에 벌어진 학문적 논의에서 핵심 주제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그리고 음악에 관한 논쟁은 秦代에 형성된 『呂氏春秋』에까지 이어졌다. 음악론 만을 놓고 볼 때, 『여씨춘추』 의 음악론은 『荀子』「樂論篇」, 「禮記」「樂記篇」과 더불어 중국 고대의 대표적인 음악론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음악의 발전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여씨춘추』 의 음악론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검토의 결과, 우리는 『여씨춘추』의 음악론이 순자의 음악론을 대체로 수용하여 성립하였지만, 단순히 수용하는 차원에 그치지 않고 나름대로의 창안을 발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여씨춘추』음악론이 이전의 음악론을 변화·발전시킨 내용으로는, 자연적 음악의 유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그 유래를 좀더 심원한 근거, 즉 '太一'에까지 소급한 점, 그리고 음악을 적절한 음악과 적절치 못한 음악으로 구분한 점, 또한 구분의 근거를 다양한 소리에서 찾은 점, 그리고 같은 음악이라 하더라도 듣는 사람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를 유발한다고 본 점 등을 지적할 수 있었다. 『여씨춘추』 음악론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이런 사실들은 다른 한편으로 『여씨춘추』 의 음악론이 유가의 계몽적 예악론과 도가의 자연적 생명론을 종합·절충하여 새로운 차원으로 승화시킨 것임을 알려준다. The music in the Chinese ancient philosophy caused essential academic controversy at Prior-Qin Period since Confucious known as the originator of Confucianism ha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music. And such an argument has been continued to Lushichunqiu which had been established during Qin period. Music theory alone makes us think that, it is considered that the music theory in Lushichunqiu along with that in Xunzi, Yuelunpian, Liji, and Yuejipian has constituted the representative music theory. The current study is concretely examined on the music theory in Lushichunqiu which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for the progress of music. Directly, although the music theory in Lushichunqiu was established with acceptance of that in Xunzi, it has been confirmed the fact that it was not a mere acceptance but an exhibition of originality. The contents which the music theory in Lushichunqiu made the previous music theory advance in the course of explanation for history of natural music were as follows: to go back to Taiyi as an origin of natural music; to distinguish the appropriate music from the inappropriate;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ppropriate music and the inappropriate by being based on a sound; to result in being in the conflict with each other depending on personal opinion. These facts were the first contents that had been made reference to in Lushichunqiu, therefore it is deliberated what the music theory in Lushichunqiu had been achieved to synthesize enlightening theory of both etiquette and music in Confucianism in addition to theory of natural life in Taoism, and consequently, the previous music theory has been elevated into the novel level.

      • KCI등재

        판소리 악조론의 보완과 확장

        김혜정 한국국악학회 2017 한국음악연구 Vol.62 No.-

        Musical tone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musical elements of pansori. In the academic circle, pansori musical tone theory is one of major areas. However, recently, there has not been much discussion on musical tone theory.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the recognition and category of pansori musical tone theory; found some issues with regard to musical tone theory; compared theories; and finally proposed what kind of research is needed to supplement and expand musical tone theory. The following are the summary of the proposition of this research. Firstly, themes and sigimsae, which have not been treated in musical tone theory, need to be studied additionally through a more objective analysis method. Second, since there are clear cases of using ‘re, mi, sol, la, do’ scale, caution is needed for writing and interpreting such pieces. Thirdly, the referents for Ujo and Pyeongjo vary from scholar to scholar that there is confusion in the use of terms. Though it is hard to say which side is correct, it would be wise to take into account the fact that existing personnel and the awareness of scholars go back more than 100 years. Fourthly, some tones such as Sullungjae need melodical approach rather than dealing with scale or modal issues. In addition, consideration needs to be made about the usefulness of considering other tones as eqaul to Ujo and Gyemyeonjo. Finally, for supplementation and expansion of pansori musical tone theory, melodical study, practical study, and formal study must come along and join in the effort. Through this, the issues in musical tone theory can be reinforced. 판소리의 중요한 음악요소의 하나로 악조를 꼽는다. 학계에서도 판소리의 악조론은 매우 중요한 분야 가운데 하나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악조론의 논의가 더 이상 나아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판소리 악조에 대한 인식과 범주에 대해 살펴보고 악조론의 쟁점을 찾아 이론을 비교한 후, 악조론의 보완과 확장을 위해 어떤 연구가 필요할 것인지 살펴보았다. 본 고에서 제안한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동안 악조론에서 다루지 못한 악상과 시김새가 더욱 객관적인 분석방법을 통해 추가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둘째, ‘레미솔라도’로 된 악조가 분명하게 사용되는 사례가 있으니 채보와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언제나 현상이 가장 실증적 증거이니 이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려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셋째, 우조와 평조의 지시 대상이 학자마다 달라서 용어의 혼란이 생기고 있다. 어느 쪽이 옳다고 보기 어렵지만 기존의 실기인들과 학자들의 인식들이 100여년 넘게 자리잡아온 부분에 대해 고려했으면 한다. 넷째, 설렁제와 같은 일부 악조는 선법의 문제보다는 선율론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 기타 악조를 우조나 계면조와 동일한 층위로 다루는 것의 효용성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일곱째, 판소리 악조론의 보완과 확장을 위해서는 선율론적 연구, 활용론적 연구, 형식론의 연구로 연계해서 확장해 나가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이를 통해 악조론의 문제들도 한층 심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 KCI등재

        플라톤의 음악론에서 본 현대무용

        임정미(JungMiLim) 한국체육학회 2013 한국체육학회지 Vol.52 No.5

        이 연구는 플라톤의 음악론이 현대무용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플라톤의 음악론에 대해서는 『국가』, 『법률』, 『티마이오스』 편에 잘 나타나 있었다. 이 연구는 플라톤의 저서를 중심으로 음악론을 살펴보았는데, 특히『티마이오스』 편에서의 음악이론은 오늘날 음악이론을 전공하는 자들에게 다양한 각도와 분석을 제시하였다. 플라톤은 하모니아론, 에토스론, 모방론의 세 가지 음악론을 만들었는데, 이 세 가지 음악론의 특징은 모두 혼을 중요시하는 이론이다. 그 결과 플라톤의 음악론은 현대무용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즉 플라톤의 하모니아론, 에토스론, 모방론은 모두 현대무용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해 주었고, 현대무용수들에게 많은 창작의 영감과 영혼의 아름다운 힘을 불러일으키는 영향을 주었다. 에토스론은 현대무용수들에게 음악이 인간에게 주는 윤리적 효과와 음악 사이에 깊은 관계를 심어주었고, 모방론은 유명한 과거의 무용수의 존재성을 자기 속으로 받아들여 내재화하고, 자기가 존재적으로 유명한 과거의 무용수와 유사해 지는 효과를 가져다주었다. 오늘날 백조의 호수, 지젤 등의 작품이 수십 년이 지나도 인기가 있는 이유가 플라톤의 음악론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ork of the Plato’s influence on music theory, take a look at two modern dance is for viewing purposes. Plato’s music theory, 『Politeia』, 『Nomoi』, 『Timaios』 appears on the side was good. This study focused on the writings of Plato looked at music theory. In particular, 『Timaios』 on the part of music theory today to those who majored in music theory and analysis presented various angles. Plato’s harmonia theory, ethos theory, mimesis theory, music theory made three kinds of theory. All the features of these three music theory a theory of the soul is important. Plato’s music theory had a huge impact on modern dance. Plato’s harmony theory, ethos theory, mimesis theory provides both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modern dance were, many creative inspiration for the modern dancers and beautiful soul that evokes the strength instilled affected. If the ethos of the modern theory of human music, dancers, giving them the ethical effects and planted a deep relationship between music gave, mimesis theory the case of the existence of the famous dancers of the past self is internalized into the accepted, Swan Lake, Giselle and even after decades of popularity reasons can be attributed music theory of Plato.

      • KCI등재

        음악적 표현성에 대한 확장된 형식의 시뮬레이션 이론

        정혜윤 ( Chung Hye-yoon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人文論叢 Vol.74 No.1

        이 글에서 필자는 코크레인의 `음악적 표현성의 시뮬레이션 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한 후 이것을 더욱 정교화하고 확장하여 좀 더 포괄적이고 설득력 있는 이론으로서 `음악적 표현성에 대한 확장된 형식의 시뮬레이션 이론`을 제안한다. 청자에게 즉각적으로 환기되는 원초적 느낌을 대상으로 하는 `낮은 수준`의 시뮬레이션에 전념하는 코크레인의 이론은 음악의 즉각적이고 국부적인 정서표현성이 인식되는 기제는 어느 정도 성공적으로 해명하는 반면 인지적으로 고차원적인 정서에 대한 음악의 표현성이 인식되는 기제는 전혀 해명하지 못한다. 또한 코크레인의 이론은 청취 시 발생하는 음악과 청자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은 채 청자를 음악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수동적인 존재자로서만 간주한다. 필자는 `높은 수준`의 시뮬레이션을 도입할 때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된다고 주장하며 코크레인의 이론에 높은 수준의 시뮬레이션을 도입함으로써 코크레인의 이론을 확장할 것을 제안한다. 궁극적으로 필자는 필자가 제안하는 `음악적 표현성에 대한 확장된 형식의 시뮬레이션 이론`이 코크레인의 이론이 갖는 문제들뿐만 아니라 음악의 정서표현성에 대한 기존의 담론들이 가지는 문제들 역시 성공적으로 극복하며 그것들이 정당하게 주목하거나 명료한 설명을 제시하는 데 실패한 기제들에 대해 더 나은 해명을 제시한다고 주장한다. In this essay, I critically examine Cochrane`s `simulation theory of musical expressivity` (2009) and then propose its expanded version as an enhanced and more comprehensive theory. While Cochrane`s theory, which commits to the `low-level` simulation that concerns the primitive feelings immediately aroused in listeners, elucidates quite successfully the mechanism underlying our recognition of the musical expressivity at the local and cognitively low level, it fails to give an account of the mechanism underlying our recognition of the musical expressivity for cognitively higher emotions which usually needs a considerable span of musical unfolding. In addition, Cochrane`s theory generally overlooks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music and listeners and sees listeners as passive beings only to respond to music immediately. I argue that these problems would be solved when we introduce the `high-level` simulation and that we should therefore expand Cochrane`s theory embracing the `high-level` simulation. Ultimately, I argue that `the expanded version of a simulation theory of musical expressivity` as I suggest overcomes successfully not only the problems in Cochrane`s theory but also those in other theories on musical expressivity providing a better account of the mechanism to which those theories fail to give due attention or to offer clarification.

      • KCI등재후보

        교육대학교 학생들을 위한 기초음악이론 교육의 개선방안

        곽현규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0 음악교육공학 Vol.- No.11

        Students of University of Education who should teach all subjects need to learn music theory essentially because it is one of important elements to understand various types of music.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for efficient basic music theory education so that students of University of Education can use them in teaching-learning sites. For this, the study analyzed current problems in order to research into the current conditions of music theory education of University of Education. The study can be used as basic materials to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apply music theory to elementary school music class. The followings are study results. 1) A motive for leaning should be given by getting students to have a clear sense of purpose to learn music theory subject. 2)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at music theory is not that different from actual music and explain music theory from musical pieces all the time. 3) The music theory subject should satisfy students' actual needs. 4) Appropriate textbooks should be used considering levels of students of University of Education. 5) Students should learn music theory through experience by learning practice as well as the knowledge of concept. 6) In order to students have recognition that music continuously develops and changes, music of various age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ime should be taught, not teaching music theory overemphasizing on one age. 음악이론은 다양한 형태의 음악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하나의 요소이므로 전 교과를 가르쳐야하는 예비 초등 교사들에게는 필수적으로 익혀야하는 교과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교육대학교 학생들이 음악과목 교수-학습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기초음악이론 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교의 음악이론 교육의 실태 조사를 통해 현 문제점을 분석했다. 이는 초등학교 음악수업에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음악이론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학생들이 스스로 음악이론 교과를 배워야겠다는 목적의식을 분명히 갖도록 학습동기를 부여해야 한다. 2) 음악이론이 실제 음악과 별개의 것이 아님을 강조하는 동시에 이를 위해 늘 악곡에서 음악이론을 설명하도록 한다. 3) 음악이론 교과는 학생들의 실제적 필요를 충족시켜야 한다. 4) 교대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적절한 교재를 사용하도록 한다. 5) 음악이론 교과가 개념 지식을 심어주는 것에서 벗어나 실기 훈련과 통합하여 교육함으로써 경험을 통하여 음악이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6) 음악이 끊임없이 발전하고 변화한다는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한 시대에 편중된 음악이론만을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의 음악에서부터 현재의 음악까지 폭넓게 안내하여야 한다. 그러나 음악이론교육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교수와 학생 모두의 인식 전환이다. 교수자는 통합이론적인 점문 교재와 차별화된 교수법을 연구하는데 힘써야하고, 학생은 끊임없이 실제 음악에 적용해보려고 노력해야 하며 지식 습득에만 안주하지 말고 이론을 통해 음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정확하게 이해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 KCI등재

        통합이론의 음악교육학적 유용성

        유정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4 음악교육공학 Vol.- No.18

        A newly integrated music theory proposed by Jae-Sung Park, a professor at Hanyang University, is a new approach to western music theory education for musicians. This educational approach has been applied to some lectures conducted through Hanyang University’s music program since 2012 and its application has resulted in the creation of a curriculum that unifies various musical theories. The approach is focused on those who major in music performance. Until now, university student musicians have been lacking sufficient knowledge of how to apply their learned theories to their performance. Therefore, performance and theory have been regarded as two distinct areas of study. The integrated music theory solves such problems and subsequently contributes to an improvement in overall quality of various music performances. The integrated music theory utilizes aspects of a variety of theories that have proved to be useful in post secondary music education. By adopting and adapting these proven theories, the integrated music theory is inherently built to aide in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musicianship and emphasizes the aesthetic musical experience. The new theory aims for a smooth transition of knowledge through by establishing and narrowing the students’ focus on small musical patterns. In addition, it accepts a macroscopic viewpoint on the music as outlined by the gestalt psychology approach and arouses students' interest by use of technologically advanced computer programs and equipment that enhance the musical experience through visual effects. The theory integrates various aesthetic viewpoints regarded as advantages in music education, suggests effective methodology, and introduces a memory enhancing strategy, resulting in a more efficient and successful transfer of musical knowledge and resulting performance ability in students. The integrated music theory for students was met with a very high level (92%) of satisfaction in a recent survey conducted among students who were beneficiaries of the approach. The theory is a very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musicians and will lead to greater student appreciation for musical theory, as opposed to aversion to it. 한양대학교 박재성 교수가 새롭게 창안한 <통합이론>(Integrated Music Theory)은 연주자를 위한 서양 음악이론 교수법이다. <통합이론>은 2012년에 최초로 한양대학교에서 강의가 개설되었고 현재까지 1,2학년 필수 과목으로 진행되고 있는 교과목이다. <통합이론>이란 음악 전반에 걸친 다양한 음악이론을 융합하여 학습하도록 구성된 연주 전공생들을 위한 교육과정이다. 많은 연주자들은 배운 이론을 자신의 연주에 적용하지 못했고, 그리하여 연주와 이론은 늘 별개로 생각되어왔다. 이런 면을 개선하여 연주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이론 교육을 시도한 것이 <통합이론>이다. <통합이론>은 음악교육학적으로 유용하다고 입증된 많은 이론들을 포함하고 있다. <통합이론>은 포괄적 음악성(Comprehensive Musicianship)을 발달시킬 수 있는 요소들이 내재되어 있고, 음악의 ‘심미적 경험(aesthetic experience)’을 강조한다. 그리고 지식의 자연스러운 전이(轉移)를 추구하며 작은 패턴을 중심으로 음악학습을 시작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형태심리학적 접근(Gestalt Psychology)에서 주장하고 있는, 음악을 거시적으로 보는 관점을 수용하며 최첨단 컴퓨터 프로그램과 기자재를 사용하여 화려한 시각적 효과를 창출하므로 학생들의 흥미 유발을 높이고 있다. 그리고 음악교육학에서 다루어지는 다양한 미학적 관점의 장점을 융합하여 효과적인 방법론을 제시하며, 기억전략을 위한 학습까지 소개되어 학생들의 학습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통합이론>은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에서도 매우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통합이론>은 연주자들에게 음악이론이 흥미 있고 유용하다는 것을 일깨워 줄 수 있는 새로운 시도이다.

      • KCI등재

        국내 음악학 전문학술지로 본 음악이론의 연구경향(2006-2015)

        최원선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7 음악이론포럼 Vol.24 No.2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인 『음악과 민족』, 『음악과 문화』, 『서양음악학』, 『음악논단』, 『음악이론연구』, 『이화음악논집』, 『音.樂.學』, 『음악이론포럼』 등 8개 국내 음악학 전문학술지를 대상으로, 음악이론의 연구경향(2006-2015)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국내 음악이론 논문들의 간행시기별 빈도 분석, 연구주제 영역 분석, 연구방법 분석, 학술지별 특징 분석 등을 통해, 음악학에서 차지하는 음악이론의 비중, 연구의 주요 흐름, 주된 연구방법 등 국내 음악이론 연구의 의미 있는 추이들에 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첫째, 8개의 음악학 전문학술지에서 음악이론 연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4.8%으로, 각 학술지 별로, 33.3%(『음악이론포럼』)에서 2.3%(『음악과 민족』)에 해당했다. 둘째, 음악이론 논 문은 각 학술지 별로 28.4%(『서양음악학』)에서 2.8%(『음악과 문화』)을 보유했다. 셋째, 지난 10년간, 음악이론의 게재 비중은 18.9%(2011년)에서 11.1%(2013년)을 보였다. 넷째, 음악이론 연 구의 주제 영역을 음악이론사적 배경에 따라 13개 분야로 구분했을 때, “음악의 의미·내러티브이 론”(17.0%)을 필두로 4개 영역에 60.2%의 연구가 집중되어 있었다. 다섯째, 음악이론의 연구방법 을 분석적, 이론적, 교수법적 고찰로 분류하였을 때, 71.0%가 분석적 고찰을 따랐다. 여섯째, 음악 이론가 3명의 연구가 전체 음악이론 연구의 23.3%를 차지했다. 일곱째, 음악이론 연구의 95.5%가 단독연구로서 진행되었다. 여덟째, 음악이론 연구의 13.1%는 연구비 지원에 따른 결과물로, 연구자 들은 『서양음악학』(30.4%)과 『음악이론연구』(30.4%)에서의 게재를 선호하였다. 음악이론의 연구경향에 관한 고찰은 음악학에서 차지하는 음악이론의 학문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이 될 뿐만 아니라, 국내 음악이론 연구의 총체적인 변화를 깊이 있게 조망하기 위한 방법이 되며, 나아가 학문의 발전적 측면에 대한 모색을 가능하게 한다. 국내에서 음악이론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학문적으로 연구하게 된 것은 오랜 역사는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결과가, 음악이론에 대한 교육의 현장이나 연구영역에 있어, 우리나라 음악이론 전공자들 및 음악이론가들에게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 마련’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제공해주길 기대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2006-2015) of music theories in eight Korean journals specializing in musicology that were registered at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hich include Music and Korea, Music and Culture, Journal of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Journal of Science and Research of Music, Ewha Music Research, Journal of Music and Theory,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and Music Theory Forum. The study thus examined meaningful progress in the research of music theories in the nation including the analysis of the publication frequency of music theory papers in the nation, research topics and areas, methodologies, characteristics by the journals, percentage of music theories in musicology, major research flows, and principal methodologi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usic theory researches accounted for 14.8% in the eight expert musicology journals with the scope of 33.3% (Music Theory Forum)~2.3% (Music and Korea) among the journals. Second, music theory papers accounted from 2.8% (Music and Culture ) to 28.4% (Journal of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in the journals. Third, the publication percentage of music theories was in the range of 18.9% (2011)~11.1% (2013) for the last ten years. Fourth, the topic areas of music theory researches were divided into 13 according to the backgrounds in the history of music theories, and the findings show that 60.2% of the researches were concentrated on four areas led by musical meaning·narrative theory (17.0%). Fifth, 71.0% of the researches followed an analytical consideration when the methodologies of music theories were categorized into analytical, theoretical, and pedagogical considerations. Sixth, researches done by three music theorists accounted for 23.3% of the entire music theory researches. Seventh, 95.5% of music theory researches were carried out as independent researches. Finally, 13.1% of music theory researches were attributed to research funds with researchers preferring Journal of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30.4%) and Journal of Music and Theory (30.4%) to publish their papers. An examination of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music theories not only serves as a means to figure out the academic status of music theories in musicology, but also helps to understand overall changes to music theory researches in the nation profoundly. Furthermore, it allows researchers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the science. In South Korea, it was only years ago that they start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usic theories and investigate them academically.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expected to hold their significance in that they offer “basic data” to propose a new research direction to music theory majors and music theorists in the n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area of research regarding music theories.

      • KCI등재

        해튼의 “음악적 제스처론”의 적용가능성과 한계 탐구: 강준일의 <클라리넷을 위한 소곡> 분석을 중심으로

        이미경 ( Mi Kyung Lee ) 세계음악학회 2013 음악과 문화 Vol.28 No.-

        This research attempts to apply Hatten`s theory of musical gestures to analysing Korean contemporary music. Hatten introduces a semiotic theory musical gesture, understood as significant energetic shaping through time, in his book Interpreting Musical Gestures, Topics, and Tropes: Mozart, Beethoven, Schubert(2004). In our gestural encounters with music, we, as a human being, can hardly force ourselves not to attent to significant energetic shaping as affective. An interpretation of musical gesture can help us to discover expressive motivations for the intricate structures and formal hierarchies in musical works. Depending on the theories of linguist D. Lidov and music practitioner A. Pierce, he created a new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the systematic nature of correlation between musical gesture and meaning. This paper focuses more on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is theory as an analysis tool for Korean contemporary music, than on the general explanation of this theory. The korean composer, Kang Joon-Il`s <A little piece for Clarinet>(1996) is selected for an appropriate sample to study. By analysing the work with gestural theory of Hatten, it is revealed that musical gestures with expressive properties can be considered as basic units of semiotic analysis for Korean contemporary music and a gestural perspective of Hatten offers insight into a composition`s integration of expression, subjectivity, musical discourse, and resulting expressive form as well. But Hatten`s theory is more appropriate to analyse the compositions with full of stylized topics which are intermingled with composer`s formal/expressive strategies of works, such as in the works of common practice period in Europe. From these interactions with style and strategies, the new meaning will emerge. Korean contemporary music, differently from western Classic and Romantic repertoires, has lack of musically stylized and so socially communicative gestural types. Futhermore, oppositionally marked affectiveness correlated with gestural types is neither one of principal characteristics of composition nor one of the ways of emerging meaning in Korean music. The process of emerging meaning in Korean musical work must be more investigated from the semiotic and cognitive scientific perspectives.

      • KCI등재

        오용록의 형성론 중 고악보 연구

        권도희 한국국악학회 2021 한국음악연구 Vol.69 No.-

        본 연구는 오용록의 고악보 연구의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오용록의 고악보 연구는 최종적으로 음악사 기술을 목표로 삼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여타 연구물과 다르다. 물론 그의 고악보 연구물들 중에는 18세기 이후 당악 양식사에 관한 연구로 간주될만한 것들이 있지만, 대부분은 음악 분석 연구였다. 이에 본고에서 는 그가 고악보를 연구할 때 제시했던 음악 분석 개념과 방법을 정리해보았다. 그는 고악보 초기에 “구조 선율”이라는 분석적 개념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악곡의 역사적 변화를 추적했다. 그러나 연구가 지속 되면서 분석 방법은 여러 단계로 보완되었고, 분석의 목표 역시 전통음악의 “형성”의 원리를 밝히는 것으로 구체화되었다. 예를 들면 그는 독립적인 음악의 형성의 단위이자 분석 단위인 “선율 세포”를 제시하고, 이를 근거로 “선율 회귀”라는 현상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고악보에 기록된 음악과 현재 연주되는 음악을 동시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그가 이러한 분석 방법을 제안했던 이유는 한국전통음악에 내재하는 음악적 집층성(集層性), 즉 시간에 따라 탄생했던 새로운 음악이 비록 완전하게 남아있지는 않지만 그 일부가 기존 악곡에 차곡차곡 누적되었던 것을 설명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그는 고악보에 기록된 음악 에 집층되어 있는 음악 형성의 흔적들을 찾고 그것이 현재의 음악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따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이와 같은 방법론은 음악사 연구로서의 고악보 분석과 거리가 있지만 향후 음악 연구에서 주목할 만하다 할 것이다. In this paper two topics concerning the study of the old musical scores and the muical analysis among the formation theories of Oh Yong-rok. The characteristic of his research is the issue of the musical history and of the music analysis are intersectional. His research on the musical scores is explained a study of Dangak style historically since the 18th century. He did not deal the old musical notion as a way of studying music history, but generally approached music analysis. In this paper I described his analysis concepts and methods he used to analyze the old musical scores. He proposed the analyzing concept of "structural melody" and traced the historical changes with it. Since then the study has supplemented several phases, he found "sound cell," a unit of independent musical formation and analysis, and proposed a phenomenon called "melodic regression" "Melodic regression" is an analytical concept that could analyze not only the music in the old musical scores but also the current music. The reason why he proposed this concept was the accumulation inheren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accumulation means musical layers of new music produced over time into musical pieces. He described the musical time as musical space under his perspective of the musical collectivity. His research on the old musical scores differs from that of others because of his unique music theory, "Formation Theory." If we understand Oh Yong-rok's "Formation Theory" only for the study of classical music, it is explained that it was a logic of the principles of composition of traditional music. Them, as the musical work is not currently produced by the theory of "Formation Theory", it is inevitable to understand his theory of formation as the musical analysing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