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를 통해 본 한국 고시가 번역의 문제 : 황진이 시조 <니언지 >를 중심으로

        임주탁(Yim Ju tak)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7 No.-

        한국 고시가 번역의 문제는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에 대한 면밀한 검토 결과를 체계적으로 통합하는 방향에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글은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가 가장 많은 작품 가운데 하나인 황진이 시조 를 통해 한국 고시가에 대한 번역 유형별 번역의 양상을 살피고 문제점과 그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고시가 번역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을 추론해 본 것이다. 번역된 텍스트는 목표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이해하고 감상하기에 충분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번역 대상 텍스트의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얼마만큼 충실하게 번역되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 대한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은 원전의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을 정확하게 번역하였다. 그에 비해 일본 식민지 시대에 이루어진 한어 번역은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원전과 전혀 달랐다. 이러한 문제점은 신위의 「소악부」에 포함된 한어 번역의 원전을 번역자가 잘못 비정하고, 원전과 한어 번역이 공통으로 함축한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데서 생겨났다. 그런데 일본 식민지 시대에 이루어진 원전 비정과 한어 번역의 결과는 이후 에 대한 해석과 번역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가 연가(love song)라는 해석이 지금까지도 널리 수용되고 있으며, 조선 시대의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국어 번역에서 일본 식민지 시대의 한어 번역과 흡사하게 시적 상황이나 언어적 맥락이 모호하거나 원전과 사뭇 다르게 번역되고 있는 데서 그러한 사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에 대한 외국어 번역은 일본 식민지 시대의 한어 번역, 원전 또는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에서와 같이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모호하거나 원전과 전혀 달랐다. 따라서 원전에 대한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과 같은 번역 수준을 보여 주는 원전에 대한 외국어 번역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외국어 번역이 기본적으로 원전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을 바탕으로 하게 마련이라는 점에서 외국어 번역이 지니는 문제점은 결국 원전 또는 조선시대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이 지니는 문제점이 거듭 표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 결과는 한국 고시가의 번역에 다음 사항들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즉, 원전 비평(textual criticism)이 충분히 이루어진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는 점, 번역 대상 텍스트와 번역된 텍스트 모두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분명해야 한다는 점, 현대 한국어 번역이 원전의 창작 상황에 부합하는 해석과 성공적인 외국어 번역에 관건이 된다는 점, 목표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번역된 텍스트에서 파악하는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재료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원전 혹은 현대 한국어 번역에서 파악하는 것과 동일한지가 번역 평가의 중요한 잣대가 된다는 점 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what is problematic, important, and needed now in translating Korean classical poetry into other target languages which contain modern foreign language, modern Korean language and old Chinese language, through comparing translated texts with their source language texts. So it deals those issues with all the renderings of a Hwang Jini's Sijo work, Have I ever, the renderings can be classified by most types of translation. The results of it are as follows; 1. Most translated lingual texts into old Chinese language (TT1-1) by three intellectuals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Korea, do not have any problem because all of them had bilingual competence and could grasp the very inner context (poetic and linguistic context) and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OT-1). 2. Most translated lingual texts into old Chinese language (TT1-2) by one or two intellectual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 have a little serious problems. The translaters did not have bilingual competence so sufficient to grasp th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only the original texts (OT-1, OT-2) but the old Chinese translation by a former intellectual, Shin Wi. In fact, OT-2 is different from OT-1, but it seemed to be the very OT of Shin Wi's rendering version of which OT was not OT-2 but OT-2. In spite of it, the result and contents of their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of OT-2 have had an nation-wide authority as the very one of OT-1 over their modern subordinates after their times. 3. We are able to grasp the sam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the two, the original (OT-1) and the translated text (TT1-1). However, researchers whose mother tongue is Korean have not translated TT1-1 into modern Korean language entirely, or mistranslated it, it is, I think, related to the fact that they could not comprehend the same inner context of meaning of the two like former intellectuals in the colonial period, intellectuals who selected OT-2 as OT of the rendering by Shin Wi. 4. All the translated texts into foreign language (TT5) have the same problems as their source language texts which were translated into modern Korean language by Korean translaters, writers, or researchers (TT2). While meeting renderings of TT5, we are not able to grasp the same inner contexts in which all the texts have their own unity of meaning as ones of the original lingual texts (OT-1). These results implies several meaningful things as follows; 1. Textual criticism about Korean classical poems has not been sufficient for us to translate them into foreign languages. 2. We need to translate all the texts, OT and TTs, into modern Korean language before studying all the renderings of them. It will let us to know whether all the texts and renderings can be acceptable not only to us but also to foreigners. 3. While evaluating if every TT is successful, we have to check if th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TT is the same one of its OT or source text because the primary goal of translation is to make readers whose mother tongue is the same one as the target language.

      • KCI등재

        현대 영미시 번역에 대하여

        김상무 한국현대영미시학회 2009 현대영미시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ssess the current state of modern British and American poems in Korean translation. Academic research on the modern British and American poets by Korean scholars began in 1945, and so far three generations of scholars have actively engaged in the studies of them and translation of their works. However, based on my examination of nearly all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quoted verse lines appearing mainly in the Studies in Modern British and American Poetry published by the Modern British and American Poetry Society of Korea between 2006 and 2008, I argue that translation endeavors by the second and third generation scholars have not yielded satisfactory results and that the senior group of scholars cannot shirk its responsibility. The problem areas in the translation include choice of words and phrases, tense adjustment, versification and punctuation as well as scene description and poetic imagining. Following a detailed discussion of inappropriate and awkward translations, I offer my own translation for comparison if need b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ssess the current state of modern British and American poems in Korean translation. Academic research on the modern British and American poets by Korean scholars began in 1945, and so far three generations of scholars have actively engaged in the studies of them and translation of their works. However, based on my examination of nearly all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quoted verse lines appearing mainly in the Studies in Modern British and American Poetry published by the Modern British and American Poetry Society of Korea between 2006 and 2008, I argue that translation endeavors by the second and third generation scholars have not yielded satisfactory results and that the senior group of scholars cannot shirk its responsibility. The problem areas in the translation include choice of words and phrases, tense adjustment, versification and punctuation as well as scene description and poetic imagining. Following a detailed discussion of inappropriate and awkward translations, I offer my own translation for comparison if need be.

      • KCI등재

        1930년대 정인보, 김소월의 전통 한시 국역(國譯) 연구

        정소연 ( Chung So-yeo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7 문학교육학 Vol.0 No.54

        본고는 20세기 초에 하나의 문학사적 현상으로 나타난 시인들의 외국시 번역, 그 중에서도 전통 한시의 국역(國譯)에 주목하고, 1930년대 한시를 국역한 시인들 중에 정인보와 김소월을 중심으로 그 양상과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정인보가 국역한 한시는 3수에 불과하지만, 고가(古歌) 및 여성 화자 위주의 한시를 행 구분 및 4음보 위주의 국역을 통해 문학담당층이 확대되는 새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면서도 전통 국어시가의 율격을 지속하고자 한다고 보았다. 전통 시대의 중심 갈래인 한시를 20세기에 누구나 읽을 수 있도록 국역(國譯)하되 국어시가사의 전통적 율격을 계승할 뿐만 아니라, 원시에 없던 일상 구어를 추가함으로써 한`시`의 국역이 오히려 구술성을 획득하는 시가(詩歌)적 지향을 보였다고 하겠다. 김소월은 1930년대에 10수의 한시를 국역하였는데, 모두 중국 당시(唐詩)로서 이별 노래가 압도적으로 많다. 일본이 동아시아 문명권의 주변부인 시대의 시이자 우리의 문화적 자부심을 고취할 수 있는 시대의 시를 국역함으로써 당시 우리 민족 모두의 정서를 대변하고 공감할 수 있는 시를 대상으로 삼았다고 할 수 있다. 이 시기 국역시는 거의 2음보격으로, 한 행이 7음절이거나, 띄어쓰기가 없이 7언절구처럼 보이는 국역시까지 있어서 시각적으로는 시(詩)로서의 정형성을, 낭독으로는 가(歌)로서의 율격을 동시에 추구하는 시가적(詩歌的) 지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원시를 읽은 독자의 반응을 표현한 수용자 중심의 국역을 보여준 점도 주목된다. 본 논의를 통해 정인보와 김소월은 전통시대 시(詩)의 중심이었던 중국 한시를 우리 `국어` `시가(詩歌)`의 전통적 율격으로 바꾸고, 새로운 시대의 문학 주체의 확장과 공감 가능한 보편적 내용으로 국역하여 20세기 한국 현대시를 모색하는 또 하나의 방안으로 삼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같은 시대 한시를 국역한 세 시인 중 한 사람인 김억의 경우를 함께 살피지 못해 차후 과제로 남긴다. This study examines the Korean language translation of traditional hansi in the 1930s, especially poets Jeong, In-bo and Kim, Sowoel. In the 20th century, Many poets had translated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hansi into Korean language. 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it started Korean language as a national public language. At that time, not only hansi but also several languages` poetry had translated into Korean. First, Jeong In-bo translated 3 Chinese ancient songs which contents are about women into Korean poetry with 4 metre each lines. It means that hansi is past representative poetry genre of male poet, but he translated into women centric Korean poetry and songs because in 20th century the subject of literature enlarges into women. Besides 4 metre rhythm is traditional rhythm of Korean poetry andd songs as like Sijo and Gasa genres. So he inherited tradition in 20<sup>th</sup> century for the search Korean new modern poetry. Second, Kim So-woel translated Chinese tradition Hansi, especially Dang dynasty`s poetry of not only famous male poets like Wang Wei, but also unknown poets and female poet, etc. Poet Kim translated into Korean poetry with 2 metre each line, sometimes 7 syllables each line without word spacing like quatrain Chinese hansi genre. It means he aimed for not only songs as a spoken literature like orality and universality but also poetry visually as a written literature. It shows that they thought Korean modern verse literature should be songs as well as poetry. And it shows continuity of literary history that hansi continues in the modern poetry, though the language is Korean.

      • KCI등재

        한국어 번역 성경의 문장 구조 및 어휘 연구

        유경민 국어사학회 2017 국어사연구 Vol.0 No.24

        본고는 공인역(公認譯) 『신약젼셔』(1906)와 『新約全書 국한문』(1906), 사역(私譯) 『奇一 新譯 新舊約全書』(1925)를 대조하여 한국어 번역 성경에서의 국한혼용문의 특징, 문장 구조의 변화, 어휘의 변화, 외래어 표기의 특징 등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성경의 장, 절 대비 DB를 통하여 번역본별로 대조하면서 문장 구조와 어휘를 살피며 1900년대 초기의 국한혼용문의 특징을 설명하였다. 같은 시기의 다른 장르의 국한혼용문을 살펴 유교경전 언해문의 특징을 보이는 문장과 현대국어 문체에 더 가까운 문체를 확인하였다. 또한 한자어화의 원리를 찾아 그 예를 제시하고, 한자어화 되지 않은 부분은 어떤 양상인지를 살폈다. 한편 공인역본보다 더 자연스러운 한국어 성경 번역문을 지향했던 게일역본의 특징이 주어와 서술어, 목적어와 서술어의 위치를 가까이 두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성경에서의 외래어 음역에 대한 고찰은 성경에 나오는 음역의 사례들이 근대 이후 외국과 교류가 많아지고 외국 문물이 급속히 쏟아져 들어올 때 한국어 안에 수많은 외래어 음역들이 사용되던 당시 성경이 외국어 음역 연구에도 좋은 기준과 보기가 될 수 있음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이와 관련된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Bible translation in Korean is a useful resource for studying the meaning and usage of words for over 120 years. In any translation of any age, the Bible ultimately translates to the same original text, so even if it is published in another translation, it basically conveys the same content. Therefore, the translated Bible is a subject of Korean history, which has appropriate conditions for the comparative study among translations either synchronically or diachronically. The reasons why Biblical sources should be treated more actively in Korean or Korean history are as follows. ① The type, meaning, and usage of words used in translations in the late 19th century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modern Bible. ② The awkward expressions in the modern Korean Bible a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translations from previous periods. ③ There is relatively lack of research on modern Korean words in Korean word research. ④ By looking at the names of people and toptnyms notations of foreign languages in the Bible, it is possible to reveal how the loanword orthography in Korea was started and settled. It is possible to reveal how the foreign language notation in Korea was started and settled by examining the notation of foreign languages ​​such as people and place names in the Bible. In the present paper, I used DB versus verse unit in order to study the change of Korean Bible Translation in Korean. It is possible to look at the changes of the sentence structure and the word order of the translations by comparing the inputted DB based on the chapter and section of the Bible. In addition, I can explain the process of settlement of modern Korean Bible by looking at the change of the notation in foreign language and the meaning words. Until now, most Korean or Korean historical studies on Korean Bible were limited to Korean Bible. However, in this paper, I targed at Korean Bibles in mixed scripts (i.e. using both native script Hangul and Chinese characters Hanja). The Korean-Chinese Bible with mixed scripts is a much more important study because it was created in a different way from the traditional Korean- Chinese mixed texts in modern Korean periods. From the first time, Korean- Chinese mixed texts were not translated from Chinese characters and Korean-Chinese mixed texts were written as their own versions; rather, it was made by converting the Korean-Hangul Bible into Chinese charact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pare various types of Korean-Chinese texts based on Bibles developed at the same tim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we can examine ① the influence of the spreads of Korean-Chinese Bible with mixed scripts on the life of Korean language and ②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dern Korean text style and the Korean-Chinese text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New Testament (1906), which was the first officially recognized translation by the Bible Society, THE KOREAN NEW TESTAMENT IN MIXED SCRIPT (1906), and 寄一新譯신구약전서 (1925), which was written by pointing out that THE NEW TESTAMENT (1906) was wrong. I targeted these bibles because they are translations that reveal the greatest difference in Korean New Testament. By contrasting the explicitly different translations, the types of Korean-Chinese mixed texts and different usage of words in bibles in the modern Korean language periods can be analyzed.

      • KCI등재

        근대계몽기 잡지의 번역과 분과학문의 형성-『조양보』와 『대한자강회월보』의 사례-

        임상석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50 No.-

        The essential task of Korean modern enlightenment era is to confront the crisis, Japanese colonization. As the spirit of the times, compathy that the traditional writing, thoughts and scholarship based on the classical language, classical Chinese must be replaced or improved with modern academic discipline based on national language, Korean is built during the era. However, to replace classical Chinese which have solid cultural tradition, the capability of national language is still insufficient. To broaden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translation in Korean-Chinese style is actively utilized and Daehanjaganghoe Monthly and Joyangbo represent aspect of translation and forming of academic discipline in the era. Especially, the latter propose the world of Dongmun(同文; the circle of same letters) which is alienated from the traditional world of their own(斯文). In Joyangbo, translation for information gathering and forming academic discipline is of greater importance than forming self-motivated arguments to confront the crisis of the era, colonization. Otherwise, in Daehanjaganghoe Monthly, forming arguments and publicizing political movements is more important than translation for information and modern academic discipline. Translation, in modern enlightenment era, influences not only information gathering but the formation of self-motivated arguments to confront the crisis at present. 한국의 근대계몽기는 식민지라는 위기에 직면한 시대였다. 고전어 한문으로 이루어진 작문, 사상, 학지는 국문으로 이루어진 근대분과학문의 세계로 대체되거나 보완되어야만 한다는 공감이 일종의 시대정신으로 설정되었다. 그러나 강고한 문화전통을 기반으로 지식의 계통과 작문의 체계가 갖추어진 한문을 대체하기에는 국문의 역량은 아직 부족했다. 국문의 내포를 확장하여 생산적인 문어로 설정하기 위하여 국한문체 번역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던 것이며, 『조양보』와 『자강회월보』는 그 실상을 잘 드러내준다. 특히 전자가 국한문체를 통해 유교전통의 사문(斯文)과 분리된 동문(同文)의 세계를 추구했다는 취지를 주목해야 한다. 이 두 잡지는 일종의 단계적 차이를 보인다. 『조양보』는 정론의 차원에서도 중요한 부분이 적지 않지만, 시사적 정보를 위한 번역이 더 중요했다. 『대한자강회월보』는 번역도 중요하지만, 정론과 정치활동의 홍보가 더욱 비중을 가지게 되었다. 『조양보』와 『자강회월보』는 번역을 통해 고전어 한문을 대체 내지 보완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후자는 이 노력을 계몽기 당대의 시대적 현안에 대응하는 정치의 차원까지 확장한 양상을 보여준다. 번역은 정보 전달의 차원을 넘어 의무교육, 실업 강화 같은 자생적 대안의 형성에까지 영향을 끼쳤던 것이다.

      • KCI등재

        20세기 시인의 전통 한시 국역

        정소연 ( Chung So-yeon ) 근역한문학회 201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1 No.-

        본고는 20세기 시인들의 전통 한시 번역 양상을 전체적으로 종합하여 정리하고 그 의미를 도출한 것으로 그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형시인 한시의 국역이 1940년대까지는 전통 국어시가의 특정 율격, 곧 음보율이나 분연체 등을 추구하다가 50년대 이후에는 당대 자유시와 크게 다르지 않는 형식으로 국역하여 도착어인 국어와 국문시가 중심의 경향을 보인다. 둘째, 1960년대 이전까지는 이별과 그리움의 내용이 주를 이루고 여성 한시를 적극적으로 국역하였다. 이는 일제강점기와 전쟁 후의 상황이라는 시대와 정서적으로 밀착되는 경향으로써 시대 반영과 치유의 의미를 갖는다. 셋째, 한시의 대중화라는 방향성을 보이는데, 절구나 율시를 더 작게 잘라 여러 연으로 내용을 나누고, 구술적 표현으로 쉽고 친근하게 하며 작가 소개나 구절 풀이 등 당대 대중독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고자 하였다. 과거 특정 사대부 남성이 즐기는 고급문학으로서의 이미지를 벗고 위항인, 상하 여성, 무명씨, 승려 등 다양한 사람들의 한시를 적극 국역함으로써 한시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문학으로 수용하고자 하였다. 넷째, 해외 당대시를 번역하는 경향 속에서 전통 한시를 국역함으로써 중세 동아시아 문명권의 한시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환기하고 민족 문학사 재인식의 기회를 마련하며 근대시의 한 자리에 한시의 자리를 마련하고 수용하는 의미를 갖는다. 다섯째, 20세기 한시 국역 양상을 시기별로 분류할 수 있는데, 1930년대까지는 한시의 전통 국어시가화, 40년대는 최대한 일대일 대응이 되는 번역시로서의 양상을 보이고, 50년대에서 60년대는 시인의 창작 자유시에 가까운 양상을 보이며 70년대 이후에는 자유시형이면서도 번역시라는 특징 역시 두드러지고 대중들에게 널리 소개하는 의도가 더 강화된다. 여섯째, 대상 한시와 관련하여 1910년대부터 20세기 내내 중국 한시, 특히 특정 시인중심의 당시(唐詩)가 적극적으로 국역된다. 한국 한시는 1930년대부터 국역되는데, 각 시대별로 고루 선정될 뿐만 아니라 상하남녀의 다양한 사람들의 한시가 국역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로써 중세 시문학의 중심이었던 한시를 한문에서 국문으로, 정형시에서 자유시로, 사대부 남성 중심에서 대중 향유의 시문학으로 수용함으로써 한시의 근대시화를 이루고자 한 시인들의 노력을 볼 수 있다. This study organizes the overall results of accepting aspects of traditional hansi by 20th poets and derives its mea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rhyme of traditional Korean poetry and songs which include foot meter, division into several stanzas and so on is pursued by translating traditional Chinese hansi into Korean until the 1940s. However, after the 1950s, hansi was translated into the Korean language in the style that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contemporary free verse's. Second, before the 1960s, the main contents of poetry translated into Korean were farewell and yearning. Also, hansi written by female writers was actively translated in those days. It shows that translated poetry was emotionally related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Korean War. It means that Korean language translation reflects its era and the poetry translated into Korean can heal people's emotion. Third, the translated poetry of hansi shows the directivity of the popularization of hansi. The contents of quatrain and regulated verses were divided into several stanzas. Its expression of orality could be easy and familiar to the public. Also, writer introduction, as well as explaining phrases, made people understand poetry easily. Originally, hansi had been the exclusive property for noblemen. However, poets tried to accept hansi as literature which everyone can enjoy by translating hansi of various authors: high-class and low-class women, the anonymous, Buddhist monk, and etc. Fourth, by translating into Korean, it evokes pride in the Chinese culture of the medieval East Asian cultural sphere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history of national literature in the tendency of translating contemporary poetry from abroad into Korean. This means setting up a place for hansi in the Korean modern poetry literature and accommodating it. Fifth, the aspects of Korean language translation in 20th can be classified into periods. hansi was translated into traditional Korean poetry and songs until the 1930s and into translated poetry as one-to-one as possible until the 1940s. Translated poetry was closer to a free verse that poets created from the 1950s to 1960s. In addition, it stood out as the characteristic of not only free verse but also translated poetry after the 1970s. In this period, the aim of introducing the translated poetry to the public strengthened. Sixth, Dang dynasty's poetry, especially certain poets wrote, was translated actively in relation to hansi being targeted. After the 1930s, Korean traditional hansi started to be translated evenly chosen regardless of its author's rank or era. As a result, we can see the crucial effort of poets to make hansi into Korean modern poetry, namely modernization of hansi by accepting hansi from the Chinese classics to the Korean language, from fixed verse to free verse and from gentry male-oriented to popular poetic literature.

      • KCI등재

        근대계몽기 잡지의 번역과 분과학문의 형성 -『조양보』와 『대한자강회월보』의 사례-

        임상석 ( Sang Seok Lim )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50 No.-

        The essential task of Korean modern enlightenment era is to confront the crisis, Japanese colonization. As the spirit of the times, compathy that the traditional writing, thoughts and scholarship based on the classical language, classical Chinese must be replaced or improved with modern academic discipline based on national language, Korean is built during the era. However, to replace classical Chinese which have solid cultural tradition, the capability of national language is still insufficient. To broaden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translation in Korean-Chinese style is actively utilized and Daehanjaganghoe Monthly and Joyangbo represent aspect of translation and forming of academic discipline in the era. Especially, the latter propose the world of Dongmun(同文; the circle of same letters) which is alienated from the traditional world of their own(斯文). In Joyangbo, translation for information gathering and forming academic discipline is of greater importance than forming self-motivated arguments to confront the crisis of the era, colonization. Otherwise, in Daehanjaganghoe Monthly, forming arguments and publicizing political movements is more important than translation for information and modern academic discipline. Translation, in modern enlightenment era, influences not only information gathering but the formation of self-motivated arguments to confront the crisis at present.

      • KCI등재후보

        철학 원전 번역을 통해 본 우리의 근현대

        김재현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4 시대와 철학 Vol.15 No.2

        이 글은 2년간에 걸쳐 진행된 한국철학사상연구회의 '철학원전번역을 통해 본 우리의 근현대'에 대한 총괄적인 정리이다 우리의 프로젝트와 관련된 전체적인 문제제기와 함께 그 성과를 개별 연구들에서 드러난 구체적 사실들에 기초해 종합적으로 제시하고, 인문학의 발전과 번역의 문제에 대한 방향제시와 함께 앞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해명해야 할 문제를 몇가지 제기하고자 한다. 1) 1차년에는 연구 시기를 19세기 후반부터 1953년 전후까지로 잡고서 다양한 자료들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동안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는 등 많은 성과가 있었다. 2차년도는 1953년부터 현재까지의 시기를 다루었는데, 한결 실증적인 해명을 할 수 있었다. 대체로 중역에서 원전번역의 질적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는 80년대로 잡을 수 있었다. 2) '번역'을 단순히 기술적이고 문헌학적인 차원에서 보지 않고 역사적, 사회철학적, 문화정치적 문제의 시각에서 보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번역자 개인의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한중일 삼국, 그 중에서도 한일관계의 사회상황과 학술제도와 관련된 국가정책적 차원 등의 맥락을 검토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 3) 일본의 근대화는 국가주도적 근대화였는데, 이때 형성된 국가의 특질은 학문집단의 동향과 긴밀한 상관관계를 가진다. 이런 측면은 메이지 정부가 서구의 다양한 서적들을 국가적 차원에서 번역하는 현상과도 긴밀한 연관성을 가진다. 반면에 근대 한국에서는 번역이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지도 알았으며 이에 대한 자의식도 매우 약했던 것 같다 구한말 서양 사상 및 과학 서적에 대한 원전 번역이 거의 없다는 것이 이를 보여 준다. 4) 우리의 경우 식민지상태에서 일본을 통해 근대적 학문이 수입된다. 이런 점에서 근대성과 식민(지)성이 어떤 관계를 맺으면서 나타나는가를 고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1910년 일본에서 식민학회(植民學會)가 탄생하면서 식민정책학이 하나의 학문으로 정착이 되고 이 과정에서 일본의 번역 용어들이 조선철학계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역사적 이해 및 반성이 필수적이다. 5) 그 동안 철학일전 번역이 충실하게 되지 못한 원인은 역사, 정치사회적 차일과 이와 연관된 제도적 차일의 문제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아직까지도 국가적, 학술제도적 차일의 체계적인 번역 정책이 미비한 것은 결정적인 문제이다. 6) 일본 번역어가 수동적으로 수용됨으로써 '생활세계의 언어'와 '체계의 언어'간에 간극이 생겨났으며, 이러한 언어적 갭 때문에 철학의 추상화가 야기되었는지도 모른다. 국내의 분야별 연극'자들 사이에서도 강호소통과 강호참조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또 다근 측면의 언어적 갭이 야기되고 있는데 이는 심각한 문제이다. 7) 학문은 텍스트의 생산과 축적, 텍스트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비판을 통한 새로운 텍스트의 생산이차는 과정을 통해 발달한다. 이런 점에서 우리의 현대 학문 역사에서 공유할 만한 텍스트를 제대로 생산해내지 못한 것은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학문공동체, 그리고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논쟁을 남을 수 있는 콘텍스트를 형성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근현대 한국철학이 처음 형성될 때 우리에게는 일본이 반세기를 거쳐 겪어야 했던 번역과정이 거의 생략되었다. 이와 함께 주체적인 한국 철학의 불가능하게 되었다. 그런데 번역은 이미 그 나름으로 주체적인 철학함이고 창조적인 해석이다. 따라서 '한국철학의 정립'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동서양을 모두 포괄하는 철학의 주요 고전 텍스트들이 전부 우리말초 번역되어야 한다. This paper's purpose is to summarize the products of the study of 'The Translation of Philosophical Texts and Modernity in Korea' accomplished by Korean association for studies of philosophical thought. 1) In the first year of the study, we have studied modern Korean philosophical texts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1953; in the second year, from 1953 to the present. 2) In attempt to understand translations, we should approach not from a philological viewpoint but from a historial, social-philosophical, cultural-political viewpoint. Therefore, Our studies have made a them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n particular, two countries' social conditions and national policies for the academic institution in modern ages. 3) In Japan, the state had leaded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nd modem Japan had made great account of the translating western books. In the contrary, modem Korea had not been interested in a translation. 4) A number of Korean translational terms of western philosophy has come from modern Japa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current Korean translational terms. 5) The causes of scanty translations in modem Korea should be understood through historical, social-political conditions. 6) As modem Korea has received Japanese translations of philosophical terms, Korean philosophical languages have estranged from languages of living world. 7) If the academic 'context' is formed among Korean academic circles, it will be possible to build up Korean translational 'texts'. The poor translation of philosophical texts will make impossible to establish the Korean philosophy. Therefore, the effort to translate philosophical texts should be increased very much.

      • KCI등재

        Western Protestant Missionaries and the Origins of Korean Language Modernization

        Ross King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5 Journal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Vol.11 No.3

        In this paper, I challenge the idea prevalent among Korean scholars of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and language reforms that Western missionaries’ linguistic research from the 1880s to 1910 had no tangible or lasting effect on the work of Korean scholars and language reforms. In particular, I examine the “missionary spelling debate of 1902–1906” and its relationship to Korea’s first official attempts at orthographic reform and language modernization: the Kungmun Yŏn’guso (National Script Research Institute, 1907–1909) and the first official Japanese colonial orthography for Korean of 1912. In both cases, the shadow of James Scarth Gale and the earlier missionary debate hangs heavy over the policy recommendations of the Korean reformers.

      • KCI등재

        Western Protestant Missionaries and the Origins of Korean Language Modernization

        Ross King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4 Journal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Vol.11 No.3

          In this paper, I challenge the idea prevalent among Korean scholars of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and language reforms that Western missionaries" linguistic research from the 1880s to 1910 had no tangible or lasting effect on the work of Korean scholars and language reforms. In particular, I examine the "missionary spelling debate of 1902-1906" and its relationship to Korea"s first official attempts at orthographic reform and language modernization: the Kungmun Y?n"guso(National Script Research Institute, 1907-1909) and the first official Japanese colonial orthography for Korean of 1912. In both cases, the shadow of James Scarth Gale and the earlier missionary debate hangs heavy over the policy recommendations of the Korean refor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