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 창의성 연구를 위한 생애사 방법론 고찰

        김형숙,문지원 한국조형교육학회 2012 造形敎育 Vol.0 No.44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life-history research, which has become a significant method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its implications as a method in art education. A life-history is a history of one's experiences and is categorized as a personal document: autobiography, biography, diary, letter and so on, for it reveals one's perspective, circumstances, and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life-history research is differentiated from the life-history itself by the reinterpretation and reorganization of a researcher based on the personal documents. In addition, life-history research simultaneously deals with the subjective aspect of one's life experience and the objective aspect of the society through the person's life. Therefore, a life-history is a method utilized not only to study one's life, but to analyze society based on one's point of view.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creativity, and diverse research methodologies of creativity. Second,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creativity and life-history research. Third, the previous study of life-history research and its research methods and processes are discussed in order to study the process of creativity development. Fourt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reativity system model by Mihaly Csikszentmihalyi,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cultural context, social context, and the individual in the creative process. Finally, this study maintains that life-history research allows a reinterpretation of social phenomena through the shift in perspective from that of the subject to that of the researcher. The life-history research method can be a new research method in art education, and the results of life-history research can suggest a new counterplan for other art education researches.

      • KCI등재

        생애사 연구의 교육심리학적 고찰

        강민수,문용린 한국인간발달학회 2007 人間發達硏究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a life-history research which has become an important research method in the educational field. Life-history is a history of one's experience which shows one's perspective, life situation and understandings of one's life. In this point of view, life-history research is another form of a personal record such as autobiography, biography, diary, letter, etc. On the other hand, life-history research is a result of a researcher's involvement, which is based on self-reflection in the case where the object is personal. This differentiates the research from other forms of personal records. This also means that life-history research is embedded in culture and history. In this study, the general meaning of life-history research, along with life-history research on curriculum, lifelong education and educational psychology were analyzed. Furthermore, a few suggestions on adopting life-history research in the educational psychology field were made according to this analysis.

      • KCI등재

        생애사 연구동향의 방법론적 검토: 세 가지 방법적 이슈를 중심으로

        이동성 ( Dong Sung Lee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3 교육인류학연구 Vol.16 No.2

        이 글은 교육 분야에서 생애사 연구의 방법론적 탐구를 확장하고, 정교화하기 위하 여 생애사 연구자의 역할, 평가준거, 그리고 글쓰기 전략 및 윤리적 쟁점이라는 세 가 지 방법적 이슈를 중심으로 생애사 연구동향을 방법론적으로 검토하였다. 구체적인 연 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러티브 면담자 혹은 1차적 해석자인 연구자는 자료수집 과정에서 참여자와 수평적인 권력관계를 형성하였다. 즉, 생애사 연구자는 일방적으로 자료를 획득하는 ``수 탈자``가 아니라, 호혜적인 ``연인``으로 볼 수 있었다. 또한, 2차적 해석자로서 연구자는 자료의 분석과 해석 작업에서 참여자의 내러티브를 재해석하는 ``이중적 내러티브 필터 혹은 ``큐레이터``로서의 역할을 하였으며, 3차적 해석자로서 연구자는 반영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맥락성, 반영성, 방법론적 헌신, 심미적 형태, 학문적 및 실천적 공헌은 ``좋은`` 생애사 연구를 가늠하기 위한 평가준거였다. 셋째, 문학적 및 예술적 글쓰기 방식과 윤리적 쟁점에 대한 고려는 생애사적 글쓰기의 중요한 전략이었다. 이 글은 생애사 연 구동향의 방법적 이슈를 검토함으로써 방법론적 정교성과 엄격성을 심화할 것이다. 또 한, 이 글은 실제적인 생애사 연구의 방법론적 딜레마와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methodologically investigate the life history research trend through three methodic issues: role of life history researcher, evaluation criteria, and writing strategies/ethical issues to broaden and elaborate methodological inquiry of life history research in education. The specific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life history researcher as a narrative interviewer or first interpreter built up horizontal power relationship with research participants in data gathering. The life history researcher as a second interpreter was not a unilateral ``robber`` but a reciprocal ``lover`` in narrative interview. Also, the life history researcher was a double narrative filter or curator who reinterpret narrative of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nd the life history researcher as third interpreter stressed reflexivity in terms of validating. Second, the criteria such as contextuality, reflexivity, methodological commitment, aesthetic form, and academic and practical commitment were evaluation criteria to appreciate ``good`` life history research. Third, artistic and literate writing style and consideration on ethical issues were prominent writing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deepen methodological delicacy and rigor through investigating methodic issues of the life history research trend. Also, this paper will be a guideline to resolve methodological dilemmas and issues in practical life history research.

      • KCI등재

        어문생활사로 본 언간과 한글고문서의 연구 방법

        백두현 국어사학회 2010 국어사연구 Vol.0 No.10

        필자는 이 논문에서 한글 편지(언간)와 한글고문서를 어문생활사적 관점에서 어떻게 연구할 수 있는지 그 방법론에 대해 논하였다. 2장에서 ‘어문생활사’와 ‘국어생활사’라는 두 용어를 비교 분석하여 각 용어가 갖는 특성을 논하였다. ‘어문생활사’를 일반적 용어로 쓰고, 지역을 명시한 ‘한국어문생활사’라는 용어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후자를 줄여 국어교육의 차원에서 ‘국어생활사’라는 용어가 적절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어문생활사의 연구 대상은 어문생활의 여러 요소 중 생활과 밀착된 요소가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어서 어문생활사의 연구 방법에 대해 논하고,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결합하여 실제적 연구에 적용할 때 어떤 양상으로 실천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3장에서는 언간과 구별되는 한글 고문서의 특성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한글 고문서에 대한 연구 절차 및 방법론을 논하였다. 한글 고문서에 대한 선행 연구 업적을 요약하고 몇몇 연구 사례에 대해 논하였다. 한글 고문서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문 편이다. 이런 상황에서 필자는 선행 연구 사례를 검토하여 앞으로의 한글 고문서의 연구 방향을 모색해 보려 하였다. 언간과 한글 고문서에 대한 국어사적 연구와 어문생활사적 연구가 앞으로 더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자료 정리와 방법론 수립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런 노력은 기존의 국어사 성과를 재창조함은 물론 한민족의 어문생활사 연구를 개척할 수 있다. A research methodology for studying Korean old letters(Eongan) and old documents was discussed in this paper from linguistic life history's point of view. In chapter 2, the two terminologies, 'linguistic life history' and 'life history of Korean language'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general cases, the 'linguistic life history' was used, however, in local-specific cases, the term 'life history of Korean language' was used. The latter, 'life history of Korean language' is suitable for the aspec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ubject of linguistic life history research should be linguistic elements those are closely related to everyday life. Then the research methodology of linguistic life history and the investigation of practical aspects the methodology's application was discussed. In chapter 3,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old documents were distinguished from Korean old letters(Eongan). A research process and a methodology on Korean old documents were developed. Achievements of several selected previous studies on Korean old documents were summarized and examined. Now there are a few number of studies on Korean old documents. In respond to this situation, this paper tried to review these previous research and provid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n Korean old documents. Collecting research materials and establishing research methods on Korean language history and linguistic life history are seriously needed for studying Eongan and Korean old documents. We can expect the foundation of linguistic life history including the Korean language history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ese attempts.

      • KCI등재

        21세기 해양 생활사 연구 동향과 방향

        박경하 한국역사민속학회 2019 역사민속학 Vol.0 No.57

        In the 2000s, a lo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due to the expansion of interest in marine and the appearance of research institutes and many researchers. In this paper, the period of reviewing the study accomplishments will be based on the research accomplishments after the 2000s. Based on the research accomplishments,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s follows. Although there are aspects that relate to the fact that marine research institutes reside mainly, research tends to be concentrated on of the islands of the southwest coast and Jeju-do. In the future, regional expansion of life history studies in fishing villages on the southeast coast is required. The research subjects are mainly focused on faith rituals, labor songs, and oral literature, and the interest and research on production technology and living activities tend to increase, but there is a need for investigating a variety of life history and fishing village research topics. One micro-theme approach, such as salt, early, and anchovy, is important and necessary, but based on the results of many previous studies, it is time to study the macroscopic perspective that comprehensively understands the correlation between marine weather environment, marine ecology such as marine life, fishing production technology, and livelihood. Fork journal work is being done by some islands, but the publication of marine fork journals in islands and coastal fishing villages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as a basic research for marine life history research. In the 2000s, research on the coasts of Korea, China and Japan, focusing on the Yellow Sea region, has been relatively active. In addition to identifying exchanges with these regions through joint research between regions, sea areas, and researchers, and comparative research through cross-checks, the homogeneity and specificity of various marine life should be extracted. It is true that there is little oral investigation of the fisherman, the subject of marine life. Since most of them do not document their lives, the work of re-illuminating their life history as well as their life activities through oral-life research should be activated urgently. This is because the purpose of history and folklore studies is to re-illuminate and restore the unwritten history of the folks that lived in the 20th century. 2000년대 들어서 해양에 대한 관심의 확대와 연구기관 및 많은 연구자의 등장으로 적지 않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글에서 연구 성과 검토 대상 시기는 2000년대 이후의 연구 성과를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연구 성과를 토대로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해양관련 연구기관들이 주로 상주하고 있는 것에서 연유하는 측면이 있지만, 서남해안, 제주도 연안의 도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나, 앞으로는 동남해안 지역의 어촌 마을의 생활사 연구의 지역적 확장이 요구된다. 연구 대상도 주로 신앙의례, 노동요, 구비문학 등의 비중이 높으며, 생산기술과 생업활동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늘어나고 있는 경향이나, 생활사 및 어촌 마을 연구 주제의 다양성이 필요하다. 소금, 조기, 멸치 등 하나의 미시적 주제의 접근도 중요하고 필요하지만 기존의 많은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해양 일기 변화, 해양생물 등의 해양생태환경과 어로 생산기술, 생업과의 상관관계를 종합적으로 파악한 거시적 시각의 연구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일부 도서별로 민속지 작업이 이뤄지고 있으나, 도서 및 연안 어촌 마을의 해양 민속지 발간 작업이 해양 생활사연구의 기초 조사 작업으로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2000년대 들어서 황해권을 중심으로 한 한국 중국 일본 연안의 조사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지역 간, 해역 간, 연구자들 간의 공동 조사, 교차 조사를 통한 비교연구를 통해 이들 지역과의 교류 관계를 밝힐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해양 생활의 동질성과 특수성 즉 고유성 등을 추출해내야 할 것이다. 해양 생활의 주체인 어업 종사 인물들에 대한 구술조사가 거의 이뤄지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들의 대부분이 자신의 삶을 문서로 남기지 않기 때문에 구술 조사를 통하여 그들의 생업 활동뿐만 아니라 생애사를 재조명하는 작업이 시급히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20세기를 살았던 민초들의 쓰이지 않은 역사를 재조명 복원한다는 역사민속학적 연구의 목표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기획논문 : 남명의 생애와 발자취에 대한 연구의 회고와 전망

        ( Ho Jin Yun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2 남명학연구 Vol.35 No.-

        남명의 생애와 발자취에 대한 관심은 상당히 오래 되었다. 어찌 보면 남명 당대에도 이에 대한 관심이 있었고, 남명이 돌아간 직후 이에 대한 정리가 본격화되었다고 할 것이다. 하지만 남명의 생애 가운데 예민한 부분이 있기도 하고, 제자 정인홍의 정치적 부침에 따른 후유증으로 생애에 관한 자료도 여러 차례 여러 사람에 의해 중복하여 지어지기도 하였다. 따라서 남명에 대한 생애자료는 그 누구보다도 많이 남게 되었다. 근대에 들어 남명의 생애를 정리하여 소개하는 일에 그리 적극적이지 못하였다. 근대의 인명사서 등에 남명에 대한 내용은 비슷한 시기의 인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략한 감이 있다. 1990년대 초에 남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남명의 생애에 대해서도 관심을 보이기도 하였으나, 본격적인 연구와 번역, 교정 등은 이루어지 않았다. 다만 최근 들어 다행스럽게 남명에 관한 생애자료가 다시 전반적으로 검토되고 정리되고 있다. 남명의 생애에 관한 정리와 소개, 교정과 연구는 논문, 저서, 소설, 사전, 교과서 및 개설서 등 여러 형태로 이루어졌다. 이 가운데 소설로 지어지고 교과서 및 개설서에 소개되는 것은 그다지 많지 않으나, 논문, 저서 등의 형태로 점점 깊이 있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인터넷 온라인상에 사전적 설명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남명의 생애에 대한 철저한 실증을 바탕으로 생애가 정확하게 소개되어야 할 것이다. 남명의 발자취에 관한 정리와 소개는 주로 책으로 몇 권 나와 있는데, 개설적으로 간략히 설명한 것에서부터 특정한 분야 예컨대 한시 등과 관련하여 발자취를 탐방하는 형식으로 된 것도 있다. 그리고 그의 생애의 발자취와 학문적 궤적을 관련지어 연구한 것도 있다. 이들 발자취에 대한 정리와 탐구는 이전의 유적지에 대해 소략하게 소개한 책자가 갖는 한계를 극복하였다고 할 것이다. 하지만, 아직도 발굴하거나 정리가 되지 않은 발자취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Researches about Nammyung`s life and his footsteps have been changed enormously since Nammyung study Research Center was founded 20 years ago. As for his life, in the beginning there were researches only about informing his career, character and studying, however, now days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to highly specific fields. On previous days there were only few books alluded his words, but now plenty of the books that are totally about him were published. There are the books about his life concisely and specifically, and there are the book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ults and researchers, and there are the books in which his life was restructured interestingly. Compare to the researches about his life, the researches about his footsteps are fewer. In this thesis there are few researches about Duck-chen lecture hall and the few places Nammyung visited, but most of them are only introducing his footsteps briefly. Here, this thesis will introduce many of remains related to Nammyung like Duck-chen lecture hall, Shan-chen Jae, Nammyung`s graveyard, Shan-Hae bower, Shin-Shan lecture hall, Gye-bu bower, Nue-ryong bower and so on. Nammyung Study Research Center printed a booklet introducing Nammyung`s life and his remains for publics. This booklet has been printed from the beginning, but it has a minor defect that contains too little information. After 2000, we published a few booklets introducing Nammyung`s remains which was written after researching Nammyung`s footsteps scattered in Gyungnam area, and these booklets not only help people understand his life and activities, but also deepen the comprehension about his poetry. These research reports and books are the proofs noticing how the research of Nammyung has advanced. Despite of these proofs I reckon we should release more books about Nammyung`s life. For example, we could film his life as a TV drama, since Korean dramas` power has been getting bigger and bigger through Korean wave. Happening at Dan-sheng So and seclusion on Ji-ri mountain show that Nammyung was not a normal person that his life was a lot more dramatical than any other historical people. Few weeks ago Korean TV show, History Special, broadcasting his life is a supporting evidence. Moreover, to inform and study his life, we should have examined the materials about his life in advance, nevertheless there was no full-scale research of that. Fortunately, Nammyung Study Research Center recently published planty of books by arranging and translating his lifetime materials. The accurate translation and the elaborate correction of the materials can contribute remarkably to understand his life firmly. Yet, merely translating his lifetime materials would be not enough to understand his life properly. We found a few mistakes in old day`s materials so that we need to investigate these materials closely one by one. The reason we plan to hold serial seminars about these materials is because of this. I hope that his life could construct clearly without any controversy, and through this work I hope we could introduce the great life of Nammyung completely to young students, and also to grown-ups.

      • KCI등재

        남명의 생애와 발자취에 대한 연구의 회고와 전망

        윤호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2 남명학연구 Vol.35 No.-

        남명의 생애와 발자취에 대한 관심은 상당히 오래 되었다. 어찌 보면 남명 당대에도 이에 대한 관심이 있었고, 남명이 돌아간 직후 이에 대한 정리가 본격화되었다고 할 것이다. 하지만 남명의 생애 가운데 예민한 부분이 있기도 하고, 제자 정인홍의 정치적 부침에 따른 후유증으로 생애에 관한 자료도 여러 차례 여러 사람에 의해 중복하여 지어지기도 하였다. 따라서 남명에 대한 생애자료는 그 누구보다도 많이 남게 되었다. 근대에 들어 남명의 생애를 정리하여 소개하는 일에 그리 적극적이지 못하였다. 근대의 인명사서 등에 남명에 대한 내용은 비슷한 시기의 인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략한 감이 있다. 1990년대 초에 남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남명의 생애에 대해서도 관심을 보이기도 하였으나, 본격적인 연구와 번역, 교정 등은 이루어지 않았다. 다만 최근 들어 다행스럽게 남명에 관한 생애자료가 다시 전반적으로 검토되고 정리되고 있다. 남명의 생애에 관한 정리와 소개, 교정과 연구는 논문, 저서, 소설, 사전, 교과서 및 개설서 등 여러 형태로 이루어졌다. 이 가운데 소설로 지어지고 교과서 및 개설서에 소개되는 것은 그다지 많지 않으나, 논문, 저서 등의 형태로 점점 깊이 있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인터넷 온라인상에 사전적 설명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남명의 생애에 대한 철저한 실증을 바탕으로 생애가 정확하게 소개되어야 할 것이다. 남명의 발자취에 관한 정리와 소개는 주로 책으로 몇 권 나와 있는데, 개설적으로 간략히 설명한 것에서부터 특정한 분야 예컨대 한시 등과 관련하여 발자취를 탐방하는 형식으로 된 것도 있다. 그리고 그의 생애의 발자취와 학문적 궤적을 관련지어 연구한 것도 있다. 이들 발자취에 대한 정리와 탐구는 이전의 유적지에 대해 소략하게 소개한 책자가 갖는 한계를 극복하였다고 할 것이다. 하지만, 아직도 발굴하거나 정리가 되지 않은 발자취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Researches about Nammyung’s life and his footsteps have been changed enormously since Nammyung study Research Center was founded 20 years ago. As for his life, in the beginning there were researches only about informing his career, character and studying, however, now days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to highly specific fields. On previous days there were only few books alluded his words, but now plenty of the books that are totally about him were published. There are the books about his life concisely and specifically, and there are the book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ults and researchers, and there are the books in which his life was restructured interestingly. Compare to the researches about his life, the researches about his footsteps are fewer. In this thesis there are few researches about Duck-chen lecture hall and the few places Nammyung visited, but most of them are only introducing his footsteps briefly. Here, this thesis will introduce many of remains related to Nammyung like Duck-chen lecture hall, Shan-chen Jae, Nammyung’s graveyard, Shan-Hae bower, Shin-Shan lecture hall, Gye-bu bower, Nue-ryong bower and so on. Nammyung Study Research Center printed a booklet introducing Nammyung’s life and his remains for publics. This booklet has been printed from the beginning, but it has a minor defect that contains too little information. After 2000, we published a few booklets introducing Nammyung’s remains which was written after researching Nammyung’s footsteps scattered in Gyungnam area, and these booklets not only help people understand his life and activities, but also deepen the comprehension about his poetry. These research reports and books are the proofs noticing how the research of Nammyung has advanced. Despite of these proofs I reckon we should release more books about Nammyung’s life. For example, we could film his life as a TV drama, since Korean dramas’ power has been getting bigger and bigger through Korean wave. Happening at Dan-sheng So and seclusion on Ji-ri mountain show that Nammyung was not a normal person that his life was a lot more dramatical than any other historical people. Few weeks ago Korean TV show, History Special, broadcasting his life is a supporting evidence. Moreover, to inform and study his life, we should have examined the materials about his life in advance, nevertheless there was no full-scale research of that. Fortunately, Nammyung Study Research Center recently published planty of books by arranging and translating his lifetime materials. The accurate translation and the elaborate correction of the materials can contribute remarkably to understand his life firmly. Yet, merely translating his lifetime materials would be not enough to understand his life properly. We found a few mistakes in old day’s materials so that we need to investigate these materials closely one by one. The reason we plan to hold serial seminars about these materials is because of this. I hope that his life could construct clearly without any controversy, and through this work I hope we could introduce the great life of Nammyung completely to young students, and also to grown-ups.

      • KCI등재

        생애사 연구의 개념적 모형에 대한 이론적 탐색

        민성은 ( Min Sungeun ),최성호 ( Choi Sungho ),김영천 ( Kim Youngch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최근 학문적 활용이 더욱 확산되고 있는 생애사 연구 방법의 전체적 과정을 하나의 개념적 모형으로 제시하고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생애사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과 구체적이고 모범적 적용 사례들에 대한 문헌 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생애사 연구 문제 진술의 형태는 `삶의 전체 여정 묘사`, `개인적 변화의 구체적 양상과 원인`, `특정경험의 개인적 의미 형성 이해`, `특정 단체나 인물의 특징 개념화` 등 4가지로 영역화 할 수 있다. 두 번째, 생애사 연구의 주된 방법으로 생애사 면담, 보조적 방법으로 참여 관찰과 문서 분석을 활용할 수 있다. 세 번째, 생애사 자료 분석은 `연대기적 시간 순서로 분석하기`, `인간관계형식 중심으로 분석하기`, `공간 및 소속집단 중심으로 분석하기`, `가치관과 비전 중심으로 분석하기`, `삶의 대응 방식 중심으로 분석하기`, `사회적/역사적 맥락 중심으로 분석하기` 등 6가지관점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네 번째, 생애사 연구의 결과 표현 및 글쓰기 방법에는 연대기적 글쓰기, 중요한 사건 혹은 일화 중심 글쓰기, 시각적 이미지를 이용한 글쓰기, 호소적 언어사용을 통한 글쓰기, 표를 활용한 글쓰기 등이 있다. 이러한 생애사 연구 과정에 대한 개념적 모형에 대한 논의는 생애사 연구를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하나의 지침과 안내자로서 역할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research, we would like to theoretically explore the conceptual model of life history research in overall way. The concrete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forms of research problem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he description of overall life journey`, `the concrete aspects and causes of individual changes`, `the formation of individual meanings on specific experience`, `the conceptualization of traits of specific organization or personality`. Second, life history interview acts as a main research method,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document analysis act as subsidiary research method. Moreover, developing a interview guide would be necessary for effective life history interview. Third, the frames of data analysis ar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including `to analyze chronologically`, `to analyze based on modes of human relations`, `configurations of interaction`, `to analyze based on place and affiliated groups`, `to analyze based on personal sense of values and vision`, `to analyze based on changing life attitudes`, and `to analyze based on social/historical context`. Fourth, there are manifold writing methods in life history research including `to write chronologically`, `to write based on critical event of anecdote`, `to write utilizing visual images`, `to write through emotional appealing languages`, `to write utilizing the tables`. These overall outline on life history research can be beneficial to especially life history novice as a guidance to research.

      • KCI등재

        암 투병 중인 아버지 삶에 대한 생애사 연구

        김랑(rang Kim),문혁준(Hyuk-Jun M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암 투병 중인 아버지가 자신의 삶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생애이야기를 통해 탐구하였다. 방법 탐구는 생애사(life history) 연구를 통해 연구되었는데 생애사연구는 참여자가 살아온 삶의 이야기를 통해 교육현상이 생성되는 맥락을 이해하는 질적 연구방법이다. 생애사연구는 노인들의 과거 삶의 과정에서의 구체적 선택과 행동이 현재의 삶의 질 및 삶에 대한 해석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이해하는데 유용한 연구 방법으로 암 투병 중인 아버지가 살아온 과거의 시간을 돌아보고 앞으로 남은 삶의 의미를 어떻게 찾아가는지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버지와의 개방적이고 비구조화된 면접, 심층면담, 녹취 자료, 자전적 저널, 사진, SNS로 나눈 대화 등을 토대로 연구참여자의 건강이 허락되는 시점까지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결과 생애이야기를 통해 유년기부터 노년기까지 시간 순서상으로 이야기가 되었으며 총 9개의 주제로 분류되어 다음과 같다. 1)어머니, 아버지에 대한 기억, 2)학창시절과 사회생활의 시작, 3)결혼과 자녀출산, 4) 자녀를 키우면서 힘들거나 슬펐던 순간들, 5)자녀를 키우면서 보람 있었던 순간들, 6) 자녀를 키우면서 어려웠던 점, 7) 아버지 역할에 대한 생각, 8)인생 전체를 돌아보며 : 아동⋅청소년기, 중년기, 노년기를 은유법으로 표현한다면, 9)부모가 자녀에게 물려주었으면 하는 유산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결론 면담에서 아버지는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중년기, 노년기에 걸쳐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자녀를 키우면서 겪었던 아버지로서의 경험을 이야기하였다. 생애이야기를 통해 한 남자로서의 생애와 한 가정의 아버지로서의 삶을 온전히 느낄 수 있었다.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how the father, who is battling cancer, perceives his life through his life story. Methods Inquiry was studied through life history research,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understand the context in which educational phenomena are created through the life stories of participants. Life history research is a useful research method to understand how the specific choices and behaviors of the elderly in the past life process are reflected in the current quality of life and interpretation of life. I wanted to explore how to find the meaning of the rest of my life.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until the health of the study participants was allowed based on open and unstructured interviews with their fathers, in-depth interviews, audio recordings, autobiographical journals, photos, and conversations through SNS. Results Through the life story, the story was told in chronological order from childhood to old age, and it is classified into 9 themes as follows. 1) memories of mother and father, 2) school days and the beginning of social life, 3) marriage and childbirth, 4) difficult or sad moments raising children, 5) rewarding moments raising children, 6) children Difficulties raising a child, 7) Thinking about the father’s role, 8) Looking back on the whole life: If children/adolescence, middle age, and old age are expressed in a metaphorical way, 9) What do you think is the legacy that parents would like to pass on to their children? Conclusions In the interview, the father looked back on his life throughout childhood, adolescence, adolescence, middle age, and old age and talked about his experiences as a father while raising children. Through the life story, I was able to fully feel the life of a man and the life of a father in a family.

      • KCI등재

        생애사(life history) 연구에서의 일곱 가지 글쓰기 전략

        이동성 ( Dong Sung Lee ),김영천 ( Young Chun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4 초등교육연구 Vol.2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생애사 연구에서의 글쓰기 방법을 체계화함으로써 교육현상을 탐구하고자 하는 초보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글쓰기 전략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세 가지 준거(①일반적인 질적 글쓰기와의 유사점, ②주요한 특징, ③차별적인 글쓰기 전략)에 기초하여 기존의 문헌을 체계화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일곱 가지의 글쓰기 전략을 생성하였다. 첫 번째 글쓰기 전략은 ‘원 자료를 유용한 텍스트로 전환하기’이며, 두 번째 전략은 ‘연구 참여자의 삶의 맥락과 배경을 묘사하기’이다. 세 번째 전략은 ‘생애 여정에서의 전환점과 변화를 중심으로 타임라인 구성하기’이며, 네 번째 전략은 ‘참여자의 생애를 연대기적으로 서술하기’이다. 그리고 다섯 번째 전략은 ‘개인적 이야기를 사회문화적 맥락 및 조건에 연결하기’이고, 여섯 번째 전략은 ‘텍스트간의 관련성(다양한 질적 자료의 활용, 연구자와 참여자의 공동적 의미해석, 개인적 이야기와 기존연구의 연결) 추구하기’이다. 끝으로, 일곱 번째 전략은 ‘다성성을 통한 이중적 자서전 쓰기’이다. 앞서 제시한 글쓰기 전략1, 2는 일반적인 질적 연구에서의 글쓰기 방법과 유사하였고, 글쓰기 전략 5, 6은 생애사적 글쓰기에서의 주요한 특징이었다. 그리고 나머지 세 가지 전략들(글쓰기 전략 3, 4, 7)은 논의 대상, 강조점, 지향점, 그리고 목적 측면에서 일반적인 질적 글쓰기와 차별성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생애사적 글쓰기 전략을 명료화함으로써 교육현상을 심층적으로 조명하기 위한 방법적 엄격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lineate useful writing strategies for novice educational researchers through synthesizing writing methods in life history research. We generated seven writing strategies through reviewing life history literatures in terms of life historic writing. The first writing strategy is to translate raw datum into useful text. The second writing strategy is to outline context and setting of research participant, and the third writing strategy is to generate timeline focused on turning point and transition in the life journey. The fourth writing strategy is to chronologically narrate life journey of research participant. The fifth writing strategy is to connect personal life story with sociocultural contexts and conditions, and the sixth writing strategy is to pursue intertextuality(using various raw datum, mutual interpretation between researcher and participant, linking personal story with existing literatures, perspectives, and philosophy). The last writing strategy is to write a ‘double autobiography’ with multivocality. The first and second writing strategy are similar to writing methods in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Also, the five and six writing strategy are prominent characteristics in life history research. However, the others(strategy 3, 4, 7) are minutely different in terms of object, prominent issue, goal, and aim.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consolidate methodic rigor of life history research through compiling life historic writing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