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수업분석에 기초한 컨설팅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안부금 ( Bu Geum A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5

        본 연구는 수학수업분석에 기초한 컨설팅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지, 그 긍정적 영향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수학수업분석 틀을 계획(안)과 실행으로 나누어 개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수업컨설팅을 25명의 예비교사 각각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총 6회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은 수학교수효능감 검사 자료와 수업컨설팅에 대한 심층면담 및 반성적 저널쓰기 자료 중심으로 양적, 질적 분석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수학수업분석에 기초한 컨설팅 경험은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으며, 그 구체적인 내용으로 계획안 작성 측면에서는 유아에게 적합한 수학활동 선정하기,수학수업의 목표 및 내용에 관심가지기, 통합활동으로서의 유아수학수업 이해하기, 효과적인자료 및 매체 선정하기, 평가에 대해 인식하기가 나타났으며, 수업실행 측면에서는 사전지식활성화시키기, 수업목표에 적합한 동기유발전략 활용하기, 효과적인 상호작용 및 질문 전략사용하기, 수학적 의사소통 시도하기, 목표달성 여부 평가하기가 나타났다. 또한 수학교수효능감 측면에서도 수업을 보는 안목 형성하기. 수학수업에 대한 자신감 가지기의 특성이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 증진을 위하여 예비교사 스스로 자신의 수업을 반성하고 체계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수업분석 틀의 활용과 예비교사 대상의 수업컨설팅이 효과적인 교사교육내용 및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in depth whether or not consultation experience based on the analysis of mathematics lessons positivelyaffects the mathematics-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detailed contents of its positive effects. To this end, analytic frameworks for mathematics lessons were developed by dividing them into planning and implementing and based on these, a total of six lesson consultations during one semester were carried out with 25 pre-service teachers. Data collection and analyses were performedwi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tegrated analyses focusing on the test data of mathematics-teaching efficacy, in-depth interviews on lesson consultation, and reflective journal writing materia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sultation experience based on the mathematics lesson analysi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mathematics-teaching efficacy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details included selection of mathematics activities appropriate for the children and having interest in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mathematics lessons in the aspect of preparing lesson plans, and activation of prior knowledge and utilization of appropriate motivational strategy for the lesson goal in the aspect of performing the lesson. To improve mathematics-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utilization of lesson analysis frameworks that allow the pre-service teachers to self-examine and systematically check their own lessons and lesson consultation of pre-service teachers were suggested to be effective contents and methods for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수업연구 (Lesson Study)의 효과와 운영전략 탐색

        장경원(Chang, Kyung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5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수업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활용한 수업연구(Lesson Study)의 효과와 운영전략을 제시한 사례연구이다. Lesson Study는 교사들이 협력하여 수업을 함께 계획하고, 계획한 수업을 실행 및 관찰하고, 그 결과를 성찰하여 수업을 수정하는 협력적ㆍ적극적ㆍ성찰적인 수업 연구 활동이다. 예비교사들이 이수해야 하는 교직과목 중 수업 역량 개발과 관련있는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강좌를 수강하는 57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2014년 2학기에 Lesson Study를 운영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예비교사들이 Lesson Study를 의미 있게 경험할 수 있도록 PBL과 융합하여 수업을 설계하였다. Lesson Study 참여 후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성찰저널을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Lesson Study를 통해 수업에 대한 생각을 정 리하고, 수업설계과정과 실제 수업의 특성을 학습할 수 있었으며, 다른 교사와의 협력적 문제해결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이 경험을 토대로 이후에 교사가 되었을 때 좋은 수업을 위해 동료 교사들과 협력하고, 체계적으로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할 것이며,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할 것이라고 하였다. Lesson Study를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한 것에 대해서는 수업운영 및 다른 수업에 대한 평가 경험과 자신의 수업 역량을 개발 할 수 있었던 점이 좋았다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수업 시 연과 피드백을 위한 시간과 기회가 증가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Lesson Study는 현직교사들뿐만 아니라 예비교사들을 위한 좋은 교육방법이다. 따라서 수업역량과 관련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과정, 교과교육론, 교과교육교재연구 및 지도법, 교육실습 등의 교과목에서 이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교육실습 교과목 운영 방법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presents a case of lesson study for pre-service teachers’s professional development. Lesson study is a team-based mod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Lesson study cycle, teachers work in teams to plan, teach, observe, debrief, revise, reteach, and reflect a lesson. Lesson study was designed and conducted by fusing PBL in the ‘Educational technology and educational method’ course. 57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lesson study and wrote reflective journal about their learning experience. Highlights of reflection journal is as follows: Pre-service teachers have been teaching philosophy, learned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 and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through lesson study.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have decided to collaborate with colleagues, systematically to design their lessons, and implement learner-centered instruction. They evaluated that this course has the strengths of providing experience of instruction and evalu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lso, they demanded much opportunity to lessons experience. Lesson study is a good way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s well as teachers. Thus it should be utilized in a variety of course for pre-service teachers, especially ‘Teaching practice’.

      • KCI등재

        대학 교양체육 수업의 재미와 걱정거리, 수업만족, 운동지속의사와 관계분석

        이지은(Lee, Je-Eun),김공(Kim, Kong) 한국체육과학회 2013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2 No.4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and worry in lessons, satisfaction with lessons, and the intention in athletics continuity. First, physical, psychological effectiveness of interest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lesson operation, lesson instruction, and health life of satisfaction with lesson, and sociality cultivation and accomplishment experience of interest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lesson circumstances of satisfaction with lesson. The worry of subjects and the worry of lesson method, pertaining to worry, had a negative effect on lesson operation of satisfaction with lessons, the worry of lesson method, pertaining to worry, had a negative effect on lesson instruction and health life of satisfaction with lesson, and the worry of lesson circumstances and the worry of lesson facility, pertaining to worry, had a negative effect on lesson circumstances of satisfaction with lessons. Second, physical, psychological effectiveness of interest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n athletics continuity, and the worry of subjects and the worry of lesson method, pertaining to worry, had a negative effect on athletics continuity. Third, lesson operation, health life of satisfaction with less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athletics continuity.

      • KCI등재

        수업 혁신의 대안적 접근 탐색

        서근원,손종현 교육종합연구원 2014 교육종합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for alternative way for classroom lesson innovation in Korea. There are many persons trying to innovate school education in Korea. To innovate classroom lesson, they import the lesson models of "lesson of learning community", "Freinet education", "cooperation learning", "project learning" to innovate Korean school classroom lesson. But many researchers worry on that approach to innovation of classroom lesson. The researchers raise these three points. Firstly, the lesson models don't match with the situation of Korean school. Secondly, the elements of imported lesson models collide with those of existing habitual classroom lesson of Korea. Thirdly, education offices provide school the standardized direction and plan of innovation. And, they introduce a new lesson model to school teachers for 15 hours of training course. During the course, they explain the theoretical base and examples of the new lesson model, and have time to practice teaching according to the new lesson model. But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eaching by the new lesson model is the competency of teacher to cope with the characters of students and the situations of classroom lessons. But the process of disseminating the imported models of lesson to schools omits this point. So, if we want to innovate school lesson enough, we have to change the process of teacher training course. Through the changed training course teachers can get the competency of understanding their students, and create a new lesson model appropriate to their own students.

      • KCI등재

        초등교사의 반성적 수업성찰을 위한 수업연구(Lesson Study)의 이해

        김현욱(Kim Hyunw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7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수업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개선하기 위한 기제로서 수업연구(Lesson Study)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수업연구의 발생 기원과 전개과정을 고찰하였고, 수업연구(Lesson Study)의 특징 및 적용 절차와 교사의 반성적 수업성찰의 의미와 가치를 논의하였다. 수업연구(Lesson Study)는 근대 일본의 첫 번째 교원양성기관으로서 1873년에 설립된 도쿄사범학교에서 현장수업, 즉 지금의 수업실습을 비평하는 것으로 본격화되었으며, 현재까지 140여년의 전통을 바탕으로 교사의 배움의 공동체 형성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Schon이 제안한 ‘행위의 성찰’과 ‘행위 후 성찰’을 하기 위해서, 그리고 비판적인 반성적 수업(critical reflective teaching)을 통해 수업 방법이나 기술에 대한 관심에서 벗어나 더 중요한 무엇 과 왜 라는 질문에 집중하기 위해서, 그리고 수업 외부에서 작용하는 헤게모니에서 자유롭기 위해서 수업에 대한 반성적인 성찰이 필요하다. 관례적이고 형식적인 수업관찰 및 수업컨설팅에서 벗어나, 실제적이고 교사의 주체성을 존중하는 지속적인 수업개선 문화를 창출하기 위해 수업연구(Lesson Study)는 적극 고려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applicability of the Lesson Study as a mechanism for continuous observation and improvement of the teach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ojects the origins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Lesson Stud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process of the Lesson Study and proposes the meaning and value of teachers reflection on lessons. The Lesson Study was begun as a review of the teaching practices at Tokyo Normal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in 1873, the first teacher training institute in modern Japan. Based on the tradition of over 140 years to date, it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forming a community of teachers learning and continuous growth. Reflection on the lesson is needed in order to do the Schön s Reflection-in-action and Reflection-on-action , in order to focus on questions of what and why in the class, which are more important than teaching methods and techniques, and in order to be free from the hegemony that is working in the class potentially. To get away from routine and formal classroom observation and class consulting, the Lesson Study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to create a culture of continuous improvement that respects teachers identity.

      • KCI등재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수업분석 프로그램이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안부금 ( Bu Geum A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s the effect of a science lesson analysis program on self-efficacy in teaching sc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tool of science lesson analysis consists 15 planning criteria and 15 acting criteria.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30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at a three-year college. The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an self-efficacy in teaching science scale, interviews with 30 students and from their “science autobiographies.”The statistic results show that science lesson analysis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in teaching science. And positive results were seen in the following ten additional categories : The change of cognition in lesson planning, recognition of elements on lesson planning, the relevance of lesson planning and curriculum, the experience of lesson coexsistance, confidence of lesson, cognition of the Expertise of Lessons, understanding of science teaching method, interrested in developmental appropriating of young children, cognition of importance on lesson tools and media, improving understanding and confidence of science lesson. In the coming future, a science lesson analysis program have to will be considered as effictive pre-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contents. 본 연구는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수업분석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지, 그 긍정적 영향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과학수업 계획(안)과 실행으로 구성된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수업분석 프로그램을 한 학기동안 적용하였으며 과학교수효능감 자료와 수업분석에 대한 심층면담과 저널쓰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수업분석 프로그램은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그 구체적인 내용으로 계획안 작성에 대한 인식 변화, 계획안 구성요소에 대한 재인식, 교육과정과 계획안의 관련성 이해, 수업일관성 경험, 수업에 대한 자신감이 계획(안) 분석과정에서 나타났으며,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 과학교수방법에 대한 이해, 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대한 관심, 과학수업 자료 및 매체의 중요성 인식, 과학수업에 대한 이해와 자신감이 수업실행 분석과정에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증진을 위하여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수업분석 경험이 효과적인 교사교육내용 및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초임 교사와 경력 교사의 다학문적 통합과학 수업 사례 분석

        이유미 ( Yu Mi Lee ),손연아 ( Yeon A Son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0 초등과학교육 Vol.29 No.4

        This paper is an in-depth case study to analyze integrated elementary science lesson planning and practical teaching by two teachers at an urban elementary schools. One is an experienced teacher and the other is a beginning teacher. For this study, researchers asked teachers to design 5 stages of lesson planning after sharing basic theories about the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The first of the 5 lesson planning stages is curriculum analysis and choice of integrated science topic. The second stage is constructing the frame of integrated science lesson contents, and the third is drawing a diagram of the integrated science lesson development. The fourth stage is making a table of lesson plans, and the last stage is writing integrated science lesson plans. Then, the teachers implemented the lessons they created. They taught students one unit of science which is composed of 8 lessons. Difficulties that teachers meet during designing plans and integrated science class were analyzed. 5 staged lesson planning, video transcriptions, teacher interview about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researchers` checklists, reports of inspection classes, teachers` self evaluation, and students interviews were used for this study. One of the significant results of this study is that both experienced and beginning teachers had many difficulties in deciding on time to teach and contents of science and other subjects, as well as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whole topics of integrated science teaching. The beginning teacher especially had greater issues with developing definite teaching-learning strategy to conduct thoughts and views for integrated science at the whole unit and each lesson. However, the experienced teacher was using various teaching-learning strategies by utilizing integrated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to develop students` integrated .thinking ability during the instruction of other subjects.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that both teachers could deeply understand the need and value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at the elementary school through planning and teaching 8 lessons, and that they could have self-confidence with develop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for integrated science teaching. It may be possible that this study could help the development of pre- and in-service program for improvement of integrated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 플립러닝을 활용한 음악감상수업 적용 연구

        우상희,윤성원,조대현 한국음악응용학회 2019 음악응용연구 Vol.11 No.-

        이 연구의 목적은 플립러닝을 활용한 음악감상수업의 적용이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연구자는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음악감상수업에 관한 고찰, 플립러닝에 관한 고찰, 타교과 수업에서 플립러닝을 활용한 사례를 고찰하였다. 타교과 수업에서 플립러닝을 활용한 사례의 고찰은 연구를 진행하면서 검색한 301편의 타 교과에서의 사례에서 8편의 사례를 엄선한 것이었다. 그리고 연구된 8편의 사례에서 장점만을 선별하였고, 연구결과에서 플립러닝을 활용한 음악감상수업의 설계에 반영하였다. 플립러닝의 수업 기법은 수업 전(교실-밖-학습), 수업 중(교실-안-활동), 수업 후(교실-밖-학습)로 구성하였으며, 음악감상수업은 내용에 따라 음악을 수 용하고 사고하며 음악에 대한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는 단계, 음악적 감수성과 이해와 공감을 바 탕으로 소통 능력을 기르는 단계로 구성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음 악감상수업이 소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플립러닝 교수 기법을 활 용하였다. 둘째, 플립러닝을 활용한 음악감상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이 능동적이고 활동적으로 참 여할 수 있도록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플립 러닝 수업에 적합한 학교 시스템을 갖출 필요가 있다. 둘째, ICT 활용을 위한 교사와 학생의 소양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flipped learning to music appreciation lessons.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established a theoretical background, which covered music appreciation lessons, flipped learning, and its utilization cases in lessons of other subjects. The investigator came across 301 cases of flipped learning used in lessons of other subjects in the research process and selected eight carefully. Their advantages were identified and reflected in the design of flipped learning-based music appreciation lessons. Flipped learning-based lesson techniques were divided before lessons(learning outside the classroom), during lessons(activities inside the classroom), and after lessons(learning outside the classroom). Music appreciation lessons were organized in two stages: one concerned accepting music and thinking according to content and expressing ideas and feelings about music, and the other concerned the cultivation of communication skills based on musical sensitivity, understanding and empath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applied the teaching techniques based on flipped learning to solve the problems around passive music appreciation lessons; and second, the study proposed application plans so that students could take aggressive and active part in flipped learning-based music appreciation less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a need to install a school system fit for flipped learning-based lessons and provide teachers and students with ICT literacy education to promote their utilization of ICT.

      • KCI등재

        문화현상으로서의 국어수업비평

        이정숙 ( Lee Jeong-suk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9 No.-

        이 연구는 국어수업을 하나의 텍스트로 보고 국어수업의 비평적 자질과 전략들을 통해 국어수업비평의 지평을 확장하고자 한다. 수업에서 경험되는 세계는 논리적인 것 이상의 것들로 가득 차 있는 실제의 다층적 현상에 주목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기존의 많은 실천적 노력과 접목한 분석적 연구가 오히려 수업을 보정하고 전망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고 있지 못했다는 반성이기도 하다. 국어수업 고유의 방식을 발견하고 규명하여, 온전히 수업에서 드러나는 현상을 규명하려는 의도는 문화적이며, 문화코드를 해석하는 방식은 비평을 닮아 있다. 이 논의는 그러한 국어수업비평의 가능성으로 출발하여 국어교육에서 수업의 텍스트로서의 가치, 문화로서의 가치, 그리고 현실화의 가능태로서의 가치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가치를 위한 국어수업비평 전략으로 수업에 간여하는 지식의 의도와 그것을 전개하는 표상방식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또, 언어활동과 지식을 습득하는 국어교육의 장에서 언어의 위치는 무엇이고 어떤 학습의 토픽을 제공하고 있는가? 그리고 이 두 자질들 외에 각각의 총체적인 자질들이 발효되어 전혀 새로운 발현체로서의 아우라를 어떻게 바라 볼 것인가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국어수업은 결과이기보다는 구성원들이 상황에 맞게 변용, 전환해 가면서 자신들의 텍스트를 자기화하는 과정인 것이다. 따라서 국어수업을 바라보는 관점을 달리한다면 국어수업에 대한 새로운 가치를 발견할 수 있으리라는 믿음이 수업비평의 새로운 관점이 될 것이다. This research intends to extend the horizon of criticism of Korean language lesson through critical temperament and strategy by regarding Korean language lesson as a text. The world experienced in lesson intends to pay attention to actual multi-layer phenomenon which is full of things more than logical matters. This is retrospect that the analytical research connected to the many existing practical efforts failed to revise the lesson and to present prospect. While the intention to find and identify original method of Korean language lesson and to identify phenomenon wholly exposing in the lesson is cultural, the method to interpret cultural code resembles criticism. Originating from the possibility of such criticism of Korean language lesson, this discussion presented values of lesson text, value of culture and value of possible form of realization in Korean language. How can the intent of knowledge that is involved in the strategy of criticism of Korean language lesson for this value and the expression method that spreads it be explained? And what is the position of languag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ere language activity and knowledge are acquired and which topic of learning is provided? Furthermore, besides these 2 temperaments, I also investigated how to look the aura as totally new effectuation which is made by the respective overall temperament. Korean language lesson is not so much a result as a process in which members customize their test to themselves by changing and converting it in accordance with situation. Thus, the belief that new viewpoint watching Korean language lesson may find new value of Korean language lesson will be new viewpoint of criticism of lesson.

      • KCI등재

        일본 수업연구의 특징 고찰 - 나고야대학 수업분석 방법을 중심으로 -

        천호성(Cheon, Ho-Seong) 한국일본교육학회 2020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5 No.1

        이 연구는 일본의 수업연구 방법에 대하여 고찰한 후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특히 수업기록을 중시하며 워크숍형태의 수업협의회(수업분석)로 장기간에 걸쳐 일본의 수업연구를 선도해 온 나고야대학의 수업연구(일본형 수업연구라 칭함)를 범례로 선택하여 검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본 수업연구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4가지로 요약, 정리할 수 있다. 1) 교사들의 자발성과 동료성을 바탕으로 협동적인 전문학습공동체 구축을 통한 수업연구의 방식을 주로 활용한다. 2) 수업연구 과정에서 특정한 목적이나 문제의식을 수업 안으로 가져와 해결해가는 문제해결 형태의 수업연구가 주로 활용된다. 3) 추출학생의 선정 등 학생을 중심에 두고 협의하는 수업연구방식이 특징이다. 즉 이것은 수업을 구성하는 다양한 변인 중에서도 학생이 중심이 된다는 의미이며, 학습자의 인지적 과정, 학습자의 배움과 성장 등 학생 입장에서 수업의 의미를 해석하고 재해석하는 것이 강조된다. 4) 수업관찰에 의한 기록을 중시하며, 사실적인 기록을 바탕으로 워크숍형태의 수업협의회의 방식이 자주 활용된다. 오늘날 글로벌 시민성의 함양과 창의적인 인재양성을 목표로 융합형 교육과정이 강조되는 학교수업의 흐름을 감안할 때, 보다 분석적이고 체계적인 수업연구가 필요하다. 연구결과 수업연구 방법으로서 학생중심, 기록중심, 문제해결중심, 워크숍 형태의 나고야대학의 수업분석 사례는 수업연구 영역에서 새롭게 주목할 가치가 있다.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method of lesson studies in Japan. In particular, a lesson study by Nagoya University (called a Japanese class study), which has been leading Japan s study through a workshop-type lesson conference (a lesson analysis), was reviewed and analyzed as a case study. The study can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lesson studies into four categories: 1) Based on teachers spontaneity and co-operation, the method of lesson studies is utilized mainl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2) In the course of lesson studies, there are many types of problem-solving studies that bring a particular purpose or sense of problem into the lesson. 3) The focus of Lesson studies is on students. In short, students are centered among various variables, interpreting and re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lesson from the standpoint of students, such as learners cognitive processes, learners learning and growth. 4) Classroom meetings are often used based on the records of classroom observation and based on realistic records. Given the global trend of lesson studies in school education where convergence curricula are emphasized today, it is very valuable in the case of Nagoya University s lesson analysis as a course of lesson analysis in the form of student-centered, record-oriented, problem-solving, workshop,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