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기 정국 평전 연구 (1) - 박태원과 약산과 의열단

        정은경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0 No.2

        This paper studied on Park Tae-won’s critical biography Yaksan & Eyeol-Dan. The writings of biography in the liberation government are important. In the emancipation and chaos, writers had to straighten out their passive attitudes and reborn as a nation-state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nation-state.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Park Tae-won, who translated into Chinese novels, wrote popular novels and pro-Japanese works, sought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state through writing biography of Kim Won-bong and patriotic martyrs. After liberation, Park participated in a leftist literature group, and he visited North Korea as a military service author in 1950 and stayed there. Park Tae-won's works concentrates mainly on biography and historical novels. These works mainly focus on heroine (Yi Sun-sin), revolutionary (Hong Gil-dong), independence fighter (Kim Won-bong), the people(Chun-bo). Park Tae-won’s choice for Kim Won-bong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Kim Won-bong consistently fought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throughout the colonial period, leading the Nationalist Revolutionary Party and Eyeol-Dan. Second, Kim Won-bong 's revolutionary nationalism is not a follow - up of certain ideals but a result of popularism that tried to be with people. Third, Kim Won-bong was a middle-left in the liberation that prioritized cooperation and national reunification, as was the attempt to integrate the divided armed forces. Yaksan & Eyeol-Dan are in the form of episodic composition and the biographies. In addition, many references to 'newspaper articles' are used to reconstruct their activities and terror. Park Tae-Won has often highlighted their activities by novelizing each terrorist incident into a mystery novel. Yaksan & Eyeol-Dan has the following ide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book is not a biography or success story of Kim Won-bong's hero. He has been honoring the noble deeds of the members by recording the unsuccessful acts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This book also emphasizes the spirit of ‘independence’ and ‘violence fighting’ by Kim Won-bong, which distinguishes Lee Sung-man’s foreign policy and Ahn Chang-ho’s the theory of ability development. Third, this book emphasized the spirit of revolution. The revolution of Kim Won-bong is also linked to the Declaration of the Revolution of the Joseon Dynasty, written by Shin Chae-ho. The revolution is not a proletarian revolution against modern class distinction but a popular uprising and a political struggle against 'regime and repressive imperial power'. 본고는 해방기에 간행된 박태원의 『약산과 의열단』을 고찰하였다. 해방 정국에서 작가들의 평전 집필은 중요한 의미를 띤다. 해방과 혼돈의 현실에서 작가들은 과거 일제말이 소극적 태도들 청산하고, 새로운 민족국가 건설을 위해 국민주체로 거듭나야 했기 때문이다. 일제 말 중국고전소설 번역과 통속소설, 친일작품으로 흐르던 박태원도 약산 김원봉과 독립순국열사전 집필을 통해 과거를 청산하고 민족국가 건립에 이바지하고자 했다. 해방 직후 박태원은 좌익계열의 문학단체에 참여하고 1948년 남한단독정부 수립 후에는 전향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의 정치적 혼란을 겪다가 1950년 종군작가로 북한을 방문, 그곳에 남게 된다. 해방기 박태원의 창작은 주로 전기, 역사소설에 집중되는데 이들 작품은 주로 구국 영웅(이순신), 혁명가(홍길동), 독립투사(김약산), 민중(춘보) 등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으며 민족주의, 민중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박태원이 해방기에 이승만, 김구, 여운형, 박헌영 등의 독립운동가, 정치지도자들이 아닌 약산 김원봉과 의열단을 전기 대상으로 삼은 것은 다음과 같은 특징 때문이라 판단된다. 첫째 김원봉은 의열단과 민족혁명당, 조선의용대, 한국 광복군 등을 이끌면서 식민지 시기 내내 일관되게 일제에 맞서 싸운 투사이다. 둘째, 김원봉의 혁명적 민족주의는 특정한 이념의 추종이 아니라 ‘민중’과 함께 하려했던 민중주의의 소산이다. 셋째, 식민지 분열된 무장세력을 통합하려고 했던 것처럼 해방 정국에서도 김원봉은 좌우합작과민족통일을 우선한 중도좌파였다. 『약산과 의열단』은 형식적 측면에서 에피소드식 구성과 열전의 형식을 띠고 있다. 또한 의열단의 활약상을 재구하는 데 있어 ‘신문기사’를 많이 참고하고 있는데, 이는 기사에 내재된 ‘의열단의 영웅화’를 함께 차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박태원은 때로 각각의 테러사건을 한편의 박진감있는 추리소설로 픽션화함으로써 이들의 활약상을 부각시켜놓고 있다. 『약산과 의열단』의 사상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 책은 김원봉의 영웅 일대기나 성공 스토리가 아니다. 일제에 항거하다 순국, 투옥되어 비극적인 생애를 살다간 단원들의 실패한 행적을 기록함으로써 이들의 숭고한 행위를 기리고 있으며 민중지향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이 책에서는 김원봉의 ‘자주독립’과 ‘무력항쟁’의 정신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는 외교정치론의 이승만과 실력양성론의 안창호와 변별되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혁명정신’의 강조이다. 의열단의 폭력, 김원봉의 무력항쟁은 신채호가 써준 의열단 투쟁선언서인 <조선혁명선언>과도 상통하는 것이다. 이때의 ‘혁명’은 근대적 계급차별에 맞서 프롤레타리아 혁명이 아니라 ‘구체제와 억압적 제국 권력’에 맞선 민중적 봉기와 정치투쟁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 KCI등재

        해방정국기 김원봉의 정치활동

        한상도(Han, Sang-do)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8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64

        1945년 12월 1일 대한민국임시정부 군무부장 자격으로 귀국한 김원봉은 “우리군대는 농민 즉 인민의 군대다. 농민의 이익을 위하여 싸우고 또 보호하겠다.” 장차 조직될 국군은 대다수 피지배계급의 안전을 지켜주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민중이 중심이 되고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인식이었다. 이와 함께 귀국 직후 그는 주요 정치세력들과의 연대에 적극적이었는데, 이는 독립운동 시기 협동전선운동의 연장선상에서 좌우합작에 대한 의지가 강했음을 알려준다. 그러다가 비상정치회의와 대한독립촉성중앙협의회가 통합함으로써 임정법통론이 꺾이는 결과를 낳자, 그는 성주식·김성숙 등과 임정을 탈퇴하였다. 그의 귀착지는 민전이라는 좌익 통일전선이었다. 국가 건설의 주도권 장악을 목표로 하는 정치적 경쟁이라는 현실을 선택한 셈이다. 민전의장으로서 김원봉의 활동은 민전의 주도권을 쥐고 있던 공산주의자들의 주장에 부응하는 결과로 나타났지만, 그는 조선민족혁명당(나중의 인민공화당)을 발판으로 독자적인 정치행보를 견지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1946년 9월 총파업과 10월 항쟁 이래 미군정의 압박이 강화되면서 그 만큼 운신의 폭도 좁아졌다. 물론 ‘비공산주의 계열의 좌익 지도자’라는 평가처럼, 미군정 관리로 근무한 미국인의 눈에 비친 김원봉은 선택의 여지가 있었더라면, 공산주의자들과 얽히지 않았을 인물이었으리라는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지만, 아군과 적군의구분이 명확했던 해방정국기의 정치상황에서 연민이나 안타까움이 그를 보호해 줄 수는 없었다. 그는 좌익세력의 결집체인 민전의 의장일 뿐이었다. 그러던 중 1947년 7월 여운형이 암살됨에 따라 새로운 파트너가 필요했을 북로당의 입장에서는 김원봉의 존재감에 주목하였을 개연성과 함께, 같은 해 가을 월북하여 북로당 지도부와 임시헌법 제정 문제 등을 논의했다는 사실 등은 그와 북로당의 연계관계가 축적되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남한만의 단독선거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김원봉에게 평양은 삶의 도피처이자 새로운 활동무대로서 기대감을 갖게 하였을 것이다. 1947년 가을 한국문제가 유엔으로 이관되면서 더 이상 그가 설 땅은 없어졌고, 1948년 4월 ‘남북연석회의’ 참가 명목으로 북행길에 올랐다. On December 1, 1945, Kim Won Bong who returned to his country as a Head of Military Affairs in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emphasized that the nation’s forces will be organized in the future should protect the safety of the subjugated class, mentioning “Our nation’s forces is people’s forces. We will fight and protect the profit of peasants”. At the same time, he was active in the solidarity with major political powers. From this, we could find that he had a strong will of Right-and-Left Joint Movement in the line with the Cooperation Front in the period of independent movement. As the Political Council and Korean Independent Central Council were combined, and Legal Genealogical Theor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was broken, Kim Won Bong left the Provisional Government with Seong Ju-Sik and Kim Seong-Suk. His final destination was the left-united front, Democratic People’s Front. He finally chose the reality of political rivalries which aimed the seizing initiative of nation building. Although Kim Won Bong’s activities as a president of Democratic People’s Front resulted to meet the insistence of communists taking the leadership of Democratic People’s Front, he adhered to his own political move based on Chosen National Revolutionary Party(after People Republican Party). However, after the general strike on September 1946 and struggle on October, his activities became so precarious strengthen the pressure of US Military Government. As an assessment that he was a ‘the Noncommunist left-leader’, although in the eyes of an American worked in US Military Government, if Kim Won Bong had a room of selection, he was not involved with communists. Meanwhile, as Lyuh Woon-hyung was assassinated in July 1947, the fact that Kim Won-Bong received the attention of Buklodang which needed the new partner, while he defected to North Korea in the same year and discussed the establish of temporary constitution with leadership of Buklodang impli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Won-Bong and Buklodang was cumulated. In this situation, as the possibility of single-handed election in South Korea has risen, for Kim Won-bong Pyongyang was a refuge of his life and had expectations as a new political stage. As the issues of Korea was transferred to UN in the fall on 1947, he had no place in South Korea, and he defected to North Korea under the name of participation in the Joint Conference of North and South in April 1948.

      • KCI등재

        김원봉의 월북 배경과 이후 정치활동 궤적

        한상도 한국근현대사학회 2019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88 No.-

        Kim Won Bong defected to North with the ‘Joint Meeting of Representatives of Political and Social groups in South and North Korea’ in April 1948. There were several reasons to his motives of defection to North Korea; life-threatening from U.S Military Government and right wing, high-ranking officials in North Korea who participated together in period of independence movement, political ties with North Korean Labor Party. While Kim Won Bong had public support because he was one of representative fighters for independence, his existence as a leader of leftists in Sough Korea categorized as ‘non-Communist’, ‘non-South Korea Labor Party’ was regarded him as a property to empower to insist on legitimacy. Kim Won Bong was also valuable to make a diversion to South Korean Labor Party. In 1950s, when dotted with purge of anti-Kim Il Seong groups, Kim Won Bong remained undiminished as a minister of National Censorship and Ministry of Labor, vice-chairman of Standing Committee of Supreme People’s Assembly, central member of a Standing Committee of the National Front of Democracy of Korean Unification and a representative of People’s Republicans. However, after purge of major political forces competed against Kim Il Seong party, Kim Won Bong was finally purged in the late of 1985. Kim Won Bong was finally became worthless. 해방정국기 민주주의민족전선(이하 민전) 의장으로서 리더십을 보여주었던 김원봉의 월북 동기로는 미군정 및 우익세력에 의한 신변의 위협, 독립운동시기 함께 활동했던 인물들이 북한정권에 참여했던 사실, 북로당 측과의 정치적 인연 등을 상정해 볼 수 있다. 남한 출신으로, 임정 군무부장, 의열단 단장 및 조선민족혁명당 총서기 등으로 활동한 독립운동 이력과, ‘비공산주의자’ ‘비남로당’으로 분류되는 남한지역 좌익세력의 지도자 역할을 한 김원봉의 존재감은 남로당계를 견제하기 위한 목적에서도 그 가치가 적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했기에 반김일성파의 숙청으로 점철된 1950년대 권력투쟁 과정에서, 그는 국가검열상·노동상 및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조국통일민주주의민족전선 중앙상무위원, 인민공화당 대표 등으로 건재한 모습을 보일 수 있었다. 그러나 김일성파와 경쟁했던 주요 정치세력들이 숙청된 다음, 북한정권의 세대교체상황을 배경으로, 1958년 말 김원봉의 숙청도 단행되었다. 통일전선 형태의 권력구도가 붕괴되면서 그의 효용가치가 다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金尙德의 중국 관내지역에서의 독립운동

        박걸순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논총 Vol.57 No.-

        This paper discusses the latter part of Kim Sang-deok's independence activities, from the return to China from Manchuria in 1933 until the liberation of Korea. Kim Sang-deok moved to Manchuria in 1926 and carried out several roles such as serving as the leader of the Manchurian administration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and the Korean Young Communists. With his return to China in 1933, he devoted himself in Nanjing to unifying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forces. Rather than pursuing one doctrine or ideology, he endeavored to unify the diverse forces as a whole. To achieve this, he joined the New Korea Independence Party and served as an executive. Not long after he began to interact with Kim Won-bong, and took part in the Uiyeoldan. He also worked as the third instructor of the Korean Revolutionary Political and Military School in April 1935. It was a crucial turning point for Kim Sang-deok and his independence movement. Following this, he worked with Kim Won-bong, engaging in the Korean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and the Korean Volunteer Corps. In October 1942 when the Korean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took part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Kim Sang-deok was elected to the Korean Provisional Assembly as the representative of Gyeongsang-do. This was his first return to the Provisional Assembly in 22 years. He played a key part in setting up the framework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establishing the blueprint for the liberated country. He also was active in proposing numerous joint bills with members from other opposition parties. The agendas he proposed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are believed to form a new power structure and to secure a political space and expand the scope of the Korean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after the liberation. At this time he served for the Provisional Government as the Propaganda Department, the Deputy Director of Education, and the Deputy Director of the Ministry of Culture. He then took a role in the cabinet as the Minister of Culture. From his return to China in 1933 to the country's liberation, his journey for independence was taken with Kim Won-bong. His ultimate task was the country's liberation, and it was pursued by revolution through integration. 본고는 김상덕의 독립운동 역정에서 후반부에 해당하는 1933년 만주로부터 관내로 귀환한 이후 해방을 맞이할 때까지의 활동을 살펴본 것이다. 1926년 만주로 건너가 조선공산당과 고려공산청년회 만주총국 책임자등 다양한 활동을 하던 그는 1933년 관내로 귀환한 이후 난징에서 독립운동세력의 통합에 노력하였다. 특정 사상이나 이념에 편향되기보다는 통합을통한 유일당운동에 나선 것이다. 1934년에는 신한독립당에 참여하여 간부로 활동함으로써 통합의 일단을이루었다. 그러나 곧 김원봉과 교류하며 의열단에 참여하였고, 1935년 4월조선혁명정치군사학교 제3기 교관으로 활동하였다. 이는 그의 독립운동 행로에서 중대한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후 그는 조선민족혁명당, 조선의용대에 참여하며 줄곧 김원봉과 함께 활동하였다. 1942년 10월, 조선민족혁명당의 임시정부 참여 결정에 따라 의정원 의원선거에 출마하여 경상도 의원으로 당선됨으로써 22년 만에 임시의정원에복귀하게 되었다. 이후 해방을 맞이할 때까지 임시의정원 의원으로서 임시정부의 골간을 바로 세우고, 해방 후 조국의 청사진을 마련하는데 일익을담당하였다. 또한 조선민족혁명당원 등 야당 계열 의원들과 수많은 제안을공동 발의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특히 해방 전후 시기에 발의한안건은 해방 후 새로운 세력 구도를 형성하여 조선민족혁명당의 정치적 공간을 확보하고 외연을 확장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이 시기 임시정부의 선전부 선전위원, 학무부 차장, 문화부 차장에 이어 문화부 부장에 승임됨으로써 국무위원으로서의 활동도 병행하였다. 요컨대 김상덕의 1933년 관내 귀환 이후 해방을 맞이할 때까지의 활동은김원봉과 함께 한 행로였다. 이 시기 그에게 있어서 지상 과제는 조국의독립이었고, 그 길은 통합을 통해 혁명을 추구한 노선이었다.

      • KCI등재

        부산출신 의열단원 연구

        김혜진 ( Kim Hye-jin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9 항도부산 Vol.37 No.-

        부산은 일본과 가장 가까이 위치하여 어느 지역보다 일본과의 관계가 깊었다. 개항 이후 이러한 지리적 위치로 인해 부산은 수탈의 대상이자 침략의 발판이었고 이에 항거하는 수많은 독립운동 사건과 독립운동가들이 생겨났다. 부산에서도 박재혁 의거를 비롯하여 의열단과 관련된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존재하고 있다. 대중매체에서 의열단과 관련한 이야기들이 다루어지면서 그 동안 조명되지 못했던 의열단과 김원봉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대중이 인식하고 있는 의열단에 대한 내용은 단장 김원봉과 몇몇 의열단원들이 만들어낸 의열투쟁 같은 단면들뿐이다. 의열단이 3.1운동을 전후 한 독립운동방략의 중간다리역할을 했던 의열투쟁의 상징적인 단체였음에도 의열단에 관한 연구는 개별적이고 소략적인 연구에만 그쳐있다. 또한 의열단의 초기 단원들이 대부분 밀양지역 출신의 사람이기에 의열단에 관한 연구가 밀양지역 연구자, 중앙의 독립운동 연구자 중심으로만 이루어져 지역적 초점이 밀양으로만 치우쳐져 있다. 의열단은 창단과 활동 전반에 걸쳐 부산이라는 지역과 뗄 수 없는 관계가 있다. 즉 박재혁을 비롯한 부산지역의 의열단원의 활동, 의열단 활동 이후로 이어지는 조선혁명간부학교와 조선의용대등의 활동에 부산출신의 독립운동가들이 참여한 것으로 짐작 할 수 있다. 부산출신으로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서훈을 받은 독립운동가는 현재 124명이다. 이 중 의열투쟁으로 나타나 있는 독립유공자는 오재영·최천택·김병태뿐이다. 이들은 박재혁과 함께 부산경찰서 폭탄투척사건에 실질적으로 가담했기에 운동계열이 구분되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의열단의 활동을 면밀히 살펴보면 세사람 이외에도 의열단에 가입했고 이후에 김원봉과 관련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했던 독립운동가들을 찾을 수 있다. 의열단의 활동은 한반도의 독립운동사 중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단원들의 행적은 일본, 밀양과 가까웠던 부산에서의 활동이 큰 부분을 차지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는 자연스럽게 부산지역의 독립운동가들이 의열단 활동에 가담했음을 연결 지을 수 있다. 박차정, 박문희와 김원봉의 관계, 최장학, 이동화의 조선혁명간부학교의 활동 등이 있지만 현재로서는 그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찾기가 힘들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제기를 통해 앞으로 기존의 알려진 부산지역 의열단원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부산과 의열단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을 피력하고자 한다. Busan has had close relationship with Japan due to its location. It was the main route for the colonial exploitation and invasion of Japan, which gave rise to a large number of independence movements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Busan produced a number of members, including Park Jae-Hyuk, of Gallant Fighting Brigade(Uiyol-Dan : 義烈團). After being dealt with by mass media, Kim Bong-Won and his stories has attracted lots of attentions, who didn't before. The public, nevertheless, only knows fragmentary facts of him and his struggles. Uiyol-Dan played crucial roles of mediating other Korean independence parties, but a majority of studies usually have focused on partial and brief researches. A large proportion of early members of Uiyol-Dan were from Miryang, for which most studies of the fighting group have been carried out by researchers of and in the region. A number of members of the group from Busan had independence movements actively as well. They, such as Park Jae-Hyuk born in Busan, worked in various fields of activity as members of Chosun Hyeukmyung Ganbu Hakkyo and Chosun Uiyong-Dae. Korean government, so far, has given decorations to one hundred and twenty four of independence fighters from Busan.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categorized only three of them, Oh Jae-Young, Choi Chun-Taek and Kim Byung-Tae, into Gallant Fighting(Uiyeol Tujaeng : 義烈鬪爭). They are included in the category because with Park Jae-Chun, they took part in the act of bombing Busan Police Station. Besides them, more fighters for independence were the members of Uiyol-Dan and acted with Kim Won-Bong. Uiyol-Dan, which played significant roles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had many active members born in Busan which has its location close to Japan and Miryang. It means that the fighters from Busan took a part in the movements of Uiyol-Dan. It is a laborious task to find various data about the fact that Park Jae-Jeong, Park Moon-Hee and Kim Won-Bong had close relationships and the movements Choi Jang-Hak and Yi Dong-Hwa made in Chosun Hyeukmyung Ganbu Hakkyo. This paper aims at studying about activities of the members of Uiyol-Dan and revealing the additional necessities of researching the relation between Busan and the group.

      • KCI등재

        일제 측 정보 자료를 통해 본 1920년대 金星淑의 활동 궤적과 사상

        윤소영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2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79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ajectory and thought of Kim Seong-suk’s activities in the 1920s by using information materials from the Japanese authorities.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I would like to analyze the thought of Kim Seong-suk by focusing on the reason why Kim Seong-suk chose Beijing, China as an overseas activity site, and focusing on the magazine “Revolution” in Beijing. In particular, it pointed out the problems of the research that had been centered on Kim Yong-chan and Yang Myung in the previous Revolution , and this magazine demonstrated that Kim Seong-suk actively expressed his attention and argument as the main editor. In the process, the third volume of Revolution was newly introduced to academia. After Kim Seong-suk studied in Beijing, the first to appear in the Japanese documents is Kito Katsumi’s March 1925 report. After studying abroad in Beijing in early 1923, Kim Seong-suk took the lead in the student society in Beijing during 1924, and since 1925, with financial support from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nd the Soviet embassy, ​​he published the magazine Revolution . He presented his communist theories in this magazine. He moved to Guangzhou, which emerged as the center of the Chinese revolution in early 1926, and participated in the Chinese Communist Revolutionary Movement by preparing for the armed independence movement until December 1927. After the failure of Canton Uprising, he graduated from Sun Yat-sen University in 1928 and fled to Shanghai. In 1930, he returned to the Korean revolutionary society as a Japanese professor at Sun Yat-sen University. Although he was a communist theorist, he was convinced that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colonial Korea should be pursued according to a method suitable for the reality of Korea. He insisted that he should be in solidarity with the communists of the Soviet Union, China, and Japan, but that the central axis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point of view of Korea in the colonial reality. For this reason, he was able to not fall into that dogma while believing in the theory of communism. Rather than representing the position of any one faction, he tried to find a strategy for a unified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discussion. Still, he was very confident in his movement until he took part in the 1927 Canton Uprising. He thought that only the armed struggle centered on the proletariat could bring independence, that the Chinese revolution was imminent, and that the Chinese revolution would succeed first, which would further strengthen Korea’s capacity for independence. Therefore, he actively participated in supporting the Chinese revolution. His convictions were so strong during this period that the abyss caused by the failure of the Canton Uprising would have been even deeper. On the other hand, the encounter with Hegel’s thought in the process of forming Kim’s ideology shows that he transformed from a monk to an independence activist, and that the derivation of the strateg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at regards violence as an art is not inconsistent with Buddhist values. To him, violence did not simply mean physical force to punish the enemy, but was perceived as a process that must be passed in order to be born anew, abandoning the past ‘conservative, passive, fatal, past-centric, male-centric, and feudal’ values. The driving force behind his independence movement was the belief that ‘destruction is the mother of creation’, and that an independent Korea should be created as a ‘new Korea’ tha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past. However, the failure of the Canton Uprising, the death of many Korean youths, and the meeting with a woman named Du Junhui are expected to bring about a new ordeal and a change of reflection and perception for him. This will be another research task in illuminating the life and thoughts of Kim Seong-suk. 이 연구는 일본 측 정보자료를 활용하여 독립운동가 김성숙의 1920년대의 활동 궤적과 사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3·1운동 후 김성숙이 국외의 활동지로서 중국 북경을 선택한 이유와 함께, 북경에서 김성숙이 발간한 잡지 혁명 을 주목하여 김성숙의 사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종래 혁명 을 김용찬과 양명을 중심으로 파악해온 연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 잡지는 김성숙이 주필로서 적극적으로 자신의 주의와 주장을 피력했다는 점을 논증했다. 그 과정에서 혁명 3호를 처음으로 발굴, 소개하였다. 김성숙의 북경 유학 후, 일제 측 자료에 그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기토 가츠미의 1925년 3월의 보고서이다. 김성숙은 1923년 초 북경에 유학한 후 1924년 중에는 북경유학생 사회의 주도권을 장악했으며 1925년부터 중국공산당과 소비에트 대사관의 재정 지원을 받아 잡지 혁명 을 발간했다. 그는 이 잡지를 통하여 자신의 공산주의 이론을 피력했다. 1926년 초 중국혁명의 중심지로 부상한 廣東으로 이동하여 1927년 12월까지 무장독립운동을 준비하며 중국공산혁명운동에 가담했다. 광동봉기 실패 후 1928년 중산대학을 졸업하고 상해로 피신했다가 1930년에 다시 중산대학 일본어교수로 한인 혁명가 사회에 복귀했다. 그는 공산주의 이론가이면서도, 식민지 조선의 독립운동은 조선의 현실을 직시하고 그에 맞는 방법에 따라 추진해야 한다고 확신하고 있었다. 소비에트, 중국, 일본의 공산주의자들과 연대해야하지만, 어디까지나 중심축은 식민지 현실 속에 있는 조선의 입장에서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공산주의 이론을 신봉하면서도 그 도그마에 빠지지 않을 수 있었고, 어느 한 파의 입장을 대변하기보다 토론을 통해 통일된 독립운동의 방략을 모색하고자 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1927년 광저우 봉기에 참여하기까지 자신의 운동노선에 큰 확신을 갖고 있었다. 그것은 무산대중을 중심으로 한 무장투쟁만이 독립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며, 중국의 혁명은 임박했고, 중국의 혁명이 먼저 성공함으로써 조선의 독립을 위한 역량도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적극적으로 중국혁명 지원에 참여했다. 이 시기에 그의 신념은 매우 굳건했기 때문에 廣東 봉기의 실패로 인한 나락은 더욱 깊었을 것이다. 한편, 김성숙의 사상 형성 과정에서 헤겔 사상과의 만남은 승려에서 독립운동가로 변신한 점이나, 또한 폭력을 예술이라고 여기는 독립운동 방략 도출이 결코 불교적 가치관과 모순된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그에게 폭력이란 단순히 원수를 응징하기 위한 물리적 힘을 의미한다기 보다, 과거의 ‘보수적, 소극적, 숙명적, 과거 중심적, 남성 중심적, 봉건적’인 가치관을 버리고 새로 태어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으로 인식되었다. 그야말로 ‘파괴야말로 창조의 어머니’이며, 독립된 조선은 과거의 조선과 전혀 다른 ‘새로운 조선’으로 창조되어야 한다는 신념이 그의 독립운동의 원동력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廣東 봉기의 실패, 수많은 조선 청년들의 죽음, 그리고 두군혜라는 여인과의 만남은 그에게 새로운 시련이자 반성과 인식의 전환을 불러일으켰을 것이 예상된다. 이는 김성숙의 생애와 사상을 조명하는 데에 있어서 또 다른 연구과제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부산출신 의열단원 박문희의 항일활동

        김재승 ( Jae Seung Kim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09 항도부산 Vol.25 No.-

        이제까지 부산 동래출신 여류항일투사 박차정은 잘 알려졌으나 그녀의 두 오빠 박문희·박문호의 항일사적은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부산지역사에서 이들의 이름은 단편적으로 언급된 것에 불과하여 실상은 묻혀있다. 동생 박문호는 1929년 3월 북경으로 망명하여 의열단원으로 활동하다가 천진에서 일경에 체포되어 일본 나가사키 우라카미형무소에서 1년 6개월을, 만기출옥 후 한달만에 다시 레닌주의정치학교사건으로 동래에서 체포되어 서대문경찰서와 서대문형무소에서 극심한 고문을 받아 그 후유증으로 가석방된지 한달만에 28살로 순국사(殉國死) 했다. 형 박문희는 1925년부터 사회운동에 참여하기 시작하여 북풍회, 경성청년회, 동래청년연맹, 동래 혁파회를 통해서 활발한 사회운동을 전개했고, 1929년부터는 신간회 동래지부에서 활동하다가 중앙으로 진출하였다. 신간회 중앙상무집행위원으로 선출된 그는 조선민중을 계도하기 위해서 전국 순회강연을 통해 활발한 활동을 했으며, 의열단장 김원봉·박차정 부부의 요청을 받아 1932년 10월 조선혁명간부학교에 입교지원자 5명을 선발해서 보고 자신도 뒤따라 남경으로 건너갔다. 신간회 중앙상무집행위원으로 선출되면서 민족자각운동을 활발한 전개하던 그는 경성지부 급진좌파의 공격을 받아 사임하고는 중국으로 간 것이다. 그리하여 조선혁명간부학교의 막후인물로 중요한 위치에 활동했었다. 1933년 12월 신병인 천식이 재발하자 치료 겸 2기생 모집을 위해서 부산으로 잠입했다가 1기 졸업생 3명이 체포됨에 따라 배후인물로 체포되어 부산형무소에서 2년을 복역했다. 이들 두 형제의 항일투쟁의 목적은 조국독립에 있었으나, 해방 후 남북 이데오르기 갈등 속에서 좌파활동으로 인식되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해 왔다. 형 박문희는 진보적 민족주의자였고, 동생 박문호는 민족적 사회주의 성향을 가진 항일투사였다. 본고는 이들 형제 중 장남 박문희의 항일사적을 발굴하여 부산독립운동사의 지평을 넓히고, 독립유공자로 추서될 수 있는 길을 열기 위함이다. This study examines Park Mun-Hee`s activity toward Anti- Japanese Imperialism. He was a secret member of Gallant Fighting Brigate(Uiyol-Dan: 義熱團), and in particular its relations with Korea Revolution Staffs` Academy(Chosun Hyeukmyung Ganbu Hakkyo: 朝鮮革命幹部學校) in Nanzing, China. Park Mun-Hee had been performed as a headquarter staff of New Body Society (Shingan-Hwae: 新幹會) during 1929 to 1930. Since that, Kim Won-Bong and his wife requested him with a special attention to collect student candidates for Korea Revolution Officers` Academy. Park Mun-Hee recommended and despatched 5 young men to Nanjing in October 1932. They had hard training there, and graduated this Academy in April 1933. Three young men he despatched returned back to Busan around June or July 1933, having special orders such as new student candidate collection and to organize underground networks in Korea from Kim Won-Bong. They were arrested in advance, and than Park Mun-Hee was also arrested by the police in Busan because they confessed to the police how to go to Korea Revolution Staffs` Academy in Nanzing, China. For this matter, Park Mun-Hee received penal servitude for two years at Busan Local Court, and than into Busan Prison. In the meantime, his anti-Japanese activity was not recognized by the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in Korea because he was a secret members of Gallant Fighting Brigade organized and led by Kim Won-Bong who had been a cabinet member of North Korean Government since 194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urnish relative material and evidence that they can be awarded the National Independence Decoration by Korean Government.

      • KCI등재

        가지 와타루(鹿地亘)의 反戰反帝運動과 朝鮮 - 조선 관련 저작과 조선의용대와의 연대를 중심으로 -

        윤소영(Yoon, Soyoung)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1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75

        이 글은 1930년 전후에 활동한 反戰作家 가지 와타루(鹿地亘, 1903~1982)를 주목하여 그의 투쟁 가운데에 나타난 조선인식과 중국에서의 반전항일운동 및 그 가운데에서 나타난 조선의용대와의 연대투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가지 와타루는 청년기에 공산주의 사상을 수용하면서 일찌감치 조선프롤레타리아 문인들과도 교유하는 환경 속에서 1931년 조선의 독립운동을 주제로 한 단편소설 「태평의 눈」을 발표했다. 이 소설은 일제 지배의 탄압양상과 이에 대항한 의열투쟁 등의 치열한 조선 민중의 독립운동, 그리고 그 정당성을 직설적인 화법으로 그려낸 작품이었다. 1936년 초에 중국으로 망명한 후 중국의 대표적인 진보적 지식인인 노신과 교유하며 중국의 항일운동에 공감했으며, 이윽고 1937년 3월, 곽말약을 매개로 하여 무한에서 성립한 중국정부 군사위원회 정치부 제3청에 초빙되어 본격적인 반전항일운동에 투신하였다. 그는 특히 일본군포로를 대상으로 반전교육을 펼쳐 반전반제운동의 동력으로 삼을 것을 기획했으며 그 방법은 조선의용대의 對敵宣傳에도 폭넓게 실천되었다. 가지 와타루는 자신의 반전항일운동이 일본에 대한 매국행위가 아니라 오히려 침략전쟁을 감행하여 세계평화를 저해하는 일본을 구하는 憂國의 길이라는 강한 신념을 갖고 있었다. 가지 와타루는 직접 일본군 포로를 모아 재화일본인민반전동맹을 결성하여 본격적인 항일투쟁을 전개하는 가운데 1938년 10월 계림에서 창설한 조선의용대의 대장 김원봉과 특별한 관계를 맺으며 항일운동을 공조해나갔다. 그들은 식민국와 피식민국이라는 관계를 넘어 일본인과 조선인으로서 각각의 민족적 독자성을 서로 존중하면서 서로 연대하여 일본제국주의의 침략전쟁의 부당성에 맞서 싸우고자 했다. 가지 와타루는 1939년 12월 무한에서 재화일본인민반전동맹 서남지부를 결성한 후 본격적으로 조선의용대와 공조한 항일대적선전활동에 나섰다. 그러나 국공합작이라는 중국의 정치정세는 가지 와타루의 반전운동에 우호적인 환경은 아니었다. 당시 중국국민당세력은 가지 와타루, 아오야마 가즈오 등 일본인과 조선의용대를 자파에 유리하도록 정치적으로 이용하고자 했다. 국민당계와 공산당계의 갈등 속에 가지 와타루는 공산당계에 속해 있었지만, 반전항일운동의 실현을 위해 국민당계와 타협하는 선택을 망설이지 않았다. 이 점은 김원봉의 경우에도 예외는 아니었다. 그런 점에서 중국국민당정부의 노선을 충실히 따르고자 한 아오야마 가즈오와는 대립되는 지점이 많았다. 가지 와타루가 일본의 침략전쟁으로 일본은 장래에 아시아의 친구를 잃을 것이며, 일본의 침략전쟁을 반대하는 것이야말로 일본인민의 입장이라고 밝힌 부분은 가지 와타루의 반전평화운동의 핵심동력이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perception of Joseon in the anti-war activities of the Japanese writer Wataru Kaji (1903-1982) and the solidarity activities with the the Korean Volunteer Corps such as Kim Won-bong(金元鳳). Kaji Wataru embraced communist ideas in his youth. In Tokyo, in his twenties, while also interacting with writers of the Joseon proletariat, in 1931, he published the short story “Snow in Dae-pyung” with the theme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is novel was a direct narrative of the oppression of Japanese rule, the fierc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Joseon people against it, and its legitimacy. After exiling to China in early 1936, he sympathized with China’s anti-Japanese movement by interacting with China’s representative progressive intellectual, Lu Xin(魯迅). In March 1937, he was invited to the 3rd Office of the Political Department of the Chinese Government Military Committee established in Wuhan upon the recommendation of Guo Moruo(郭沫若) and participated in the anti-war movement. Wataru had a strong belief that his anti-Japanese movement was not an act of retaliation against Japan, but rather the path of a nation of aggression to save Japan, which undermines world peace by conducting a war of aggression. He planned to provide anti-war education to Japanese prisoners of war and use it as a driving force for the anti-war movement, and the method was widely practiced in the anti-war struggle of the Korean Volunteer Corps. In particular, he formed a special relationship with Kim Won-bong, the commander of the Korean Volunteer Corps, which was founded in Guilin(桂林) in October 1938, and cooperated with the anti-Japanese movement. They overcame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lony and a colonized country and respected each other’s national identity as Japanese and Koreans. On that basis, they wanted to fight together against the injustice of the Japanese imperialist war of aggression. In December 1939, Kaji Wataru formed the Southwest Branch of the Japanese People’s Anti-War Alliance in China and began full-fledged anti-Japanese propaganda activities in cooperation with the Korean Volunteer Corps. Amid the conflict between the China Nationalist Party and the Communist Party, Wataru Kaji belonged to the communist circle, but he did not hesitate to choose to compromise with the Nationalist Party for the realization of the anti-Japanese movement. In this case, Kim Won-bong was no exception. Wataru Kaji stated that Japan would lose Asian friends in the future due to Japan’s war of aggression, and that it was the position of the Japanese people to oppose Japan’s war of aggression.

      • KCI등재

        중국 杭州 中央航空學校의 실체와 ‘한인 생도 모집사건(1936)’

        김용진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3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17

        한인독립운동가들은 중국의 국민혁명운동이 성공하면, 국민당정부의지원으로 대일투쟁을 적극적으로 전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중국 국민혁명운동의 성공으로 곧 일제로부터 조국의 독립과 민족의 해방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가졌다. 때마침 국민당정부에서는 국민 혁명과 북벌에 참여한 사병들을 지휘할 유능한 장교의 충원이 시급하였다. 1924년 5월 황푸군관학교의 창설은 그 본보기였다. 황푸군교에서 배출된 장교를 비롯한 국민혁명군은 반군벌과 반제국주의의 기치 하에 혁명운동과 북벌을 실천해 나갔다. 여기에는 육군 뿐만 아니라 공군 장교들도 맹활약하였다. 1931년 12월에 설립된 항저우 중앙항공학교는 중국 공군장교 배출의 요람으로, 공군판 ‘황푸군관학교’라고 불려도 손색이 없었다. 항저우 중앙항공학교에는 소수의 인원이지만 한인 출신 공군장교들이있었다. 최용덕 · 김은제 · 정재섭 · 전상국 등이 그들이다. 장제스는 한인출신 공군장교들을 가리켜 “조선인 쪽이 중국인보다도 비행기술에 우수” 하다고 평가할 정도였다. 중앙항공학교는 학교 내 한인 출신 비행교관이나 독립운동단체의 주선과 추천이 있으면 입학이 가능하였고, 학비가 전액 무료였다. 이러한 이점은 일제강점기 국내에서 방황하는 한인 청년들을 끌어들이는 요인이 되었다. 중앙항공학교의 실체는 1936년 ‘한인 생도 모집사건’으로 드러났다. 한인 생도 모집사건은 총 두 차례에 걸쳐서 전개되었다. 첫 번째는 의열단장 김원봉이 중앙항공학교 생도를 모집하기 위해서, 의열단원 김재형과 정세호를 조선으로 잠입시켜 학생들을 모집하는 것으로, 두 번째는 안재홍 · 김두봉 · 박찬익 등이 국내와 중국을 연결하는 중개자 역할을 함으로써 전개되었다. 이렇듯 한인 생도 모집사건은 김원봉 · 안재홍 · 김두봉· 박찬익과 같은 독립운동계의 이름난 인물들이 관련되어 있었다. 하지만이들 외에도 우리에게 알려지지 않은 인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자신의 일신과 안녕을 위해서든, 조국의 독립과 민족의 해방을 위해서든 어느 쪽에관계없이 현실에 충실하고자 한 무명의 한인 청년들이 있었다. 또한 이들이 중앙항공학교에 입학하여 뜻을 펼칠 수 있도록 뒤에서 지원해 준 또다른 무명의 헌신도 있었음을 보게 된다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believed that if China's national revolution movement was successful, it would be possible to actively develop the struggle against Japan with the support of the Kuomintang government. With the success of the Chinese National Revolution movement, we had expectations that we would soon be able to advance the independence of our country and the liberation of our people from Japanese imperialism. Just in time, the Kuomintang government(國民黨政府) urgently needed to recruit competent officers to command the soldiers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revolution and northern conquest. The creation of the Huangpu Military Academy(黃浦軍官學校)in May 1924 was an example. The National Revolutionary Army, including officers born from the Huangpu Military Bridge, practiced the revolutionary movement and northern punishment under the banner of rebel and anti-imperialism. Not only the army but also air force officers were active here. Founded in December 1931, Hangzhou Central Aviation School(杭州 中央航空學校) was the cradle of the production of Chinese air force officers, and even if it was called the air force version of 'Hwangpu Military Academy', it was not inferior to that of the air force. Although there were a small number of Korean Air Force officers at Hangzhou Central Aviation School. They include Choi Yong-deok(崔用德), Kim Eun-je(金恩濟), Jung Jae-seop(鄭再燮), and Jeon Sang-guk(田相國.) Zhang Jiez(蔣介石) even evaluated Korean Air Force officers as "the Korean side is superior to the Chinese in flight technology." Central Aviation School was available for admission with the arrangement and recommendation of a Korean-born flight instructor or independent activist group in the school, and tuition was free of charge. This advantage became a factor in attracting young Koreans wandering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reality of the Central Aviation School was revealed in 1936 as the 'Korean Cadet Recruitment Case(韓人 生徒 募集事件)'. A total of two Korean cadets were recruited. The first was when Kim Won-bong(金元鳳), the head of the Uiryeoldangdan(義烈團), infiltrated Kim Jae-hyung(金梓瀅) and Jeong Se-ho(鄭世鎬) into Joseon to recruit cadets from the Central Aviation School to recruit students, and the second was when Ahn Jae-hong (安在鴻), Kim Doo-bong(金枓奉), and Park Chan-ik(朴贊翊) acted as intermediaries connecting Korea and China. As such, the recruitment case of Korean cadets involved famous figures from the independence movement such as Kim Won-bong, Ahn Jae-hong, Kim Doo-bong, and Park Chan-ik. However, in addition to these, people who were not known to us are included. There were unknown Korean youth who tried to be faithful to reality regardless of whether they were for their own health and well-being or for the independence of their country and the liberation of their nation. It can also be seen that there was another unknown dedication that supported them from behind to enter the Central Aviation School and spread their will.

      • KCI등재

        의열단의 對日 거사계획과 박열의 의열투쟁

        김명섭(Kim, Myung-Seob)(金明燮) 한일민족문제학회 2020 한일민족문제연구 Vol.38 No.-

        Founded on Nov. 9, 1919, Chosun Euiyeoldan(義烈團) steadily waged a righteous struggle. In the wake of the failure of the first general attack plan in Korea, the Euiyeoldan reorganized its departments into classified, executive, and propaganda departments from the first half of 1922, establishing a command system, and promoting the second plan through the operation of a number of the first half of 1922. The Euiyeoldan held a secret general meeting in June 1923 and a group of members in October to publicize the Japanese attack at home and abroad. The event in Japan was planned to be carried out in October when the wedding of the Japanese crown prince is scheduled. As a result, Kim Won-bong(金元鳳) dispatched his members to Taiwan, Tokyo, Kobe, Osaka, and Yoko Hama from the first half of the year. The practice of living in Tokyo was left to a group of Park Yeol(朴烈). In the spring of 1922, Park Yeol met Choe Hyok-jin(崔爀鎭), a member of the Euiyeoldan, and signed an agreement with Kim Han(金翰) in Seoul around the fall to deliver the bombs to Tokyo. Park Yeol negotiated the purchase of the bomb through the Shanghai Euiyeol Group and is believed to have succeeded in bringing the bomb safely to somewhere in Tokyo. However, he planned to go on a grand march in October, but he was frustrated when the unexpected September 1 earthquake in Kanto occurred and was arrested during the Korean massacre. Despite the failure, the Euiyeoldan’s plan to move to Japan continued. The attack against Japan, which was carried out by Kim Ji-seob on January 5, 1924, was followed by the “Gyeongbuk Uyoldan Incident” in which 11 members of Beijing’s Euiyeoldan unit were arrested after being smuggled into Korea to collect funds for bomb purchases aimed at attacking Tokyo. In the heart of imperialism, the righteous army’s plan to stage a massive Euiyeoldan struggle against Japan Empire was steadily pursued until the winter of 1922 and 1925. 1919年11月9日に創団された朝鮮義烈団は絶えずに義烈闘争を続けた。第 1次国内総攻撃計画の失敗を切っ掛けとして義烈団は1922年上半期から機密 部や實行部·宣傳部等に部署を再編、指揮体系を打ち立てた。また多數の 爆弾工場を運営しながら、第2次投彈計画を進めた。 義烈団は1923年6月、秘密總會を、10月には団員慰労会等を開催し、日 本国内攻撃を対内外に公表した。日本總攻擊計画は皇太子の結婚式が予 定された10月の中執行に移るつもりだった。団長金元鳳は上半期から臺灣を含 め、東京と神戸·大阪·横浜等の日本各地に団員を派遣、準備に着手し た。東京での計画執行は朴烈を中心とする不逞社に委ねられた。朴烈は1922 年、春、義烈団員崔爀鎭を会ったし、秋頃にはソウルの金翰と協約して、密 かに爆弾を東京に運ぶ用意をした。 また、朴烈は上海にある義烈団体を通じて、爆弾購入を協議し、無事に東 京の或所まで爆弾を運ばれたと思われる。だだ、10月中実行に移る積もりだっ たが関東大震災の朝鮮人虐殺のなかで、朴烈が逮捕され、計画の実行はや むをえず中止された。 失敗にも関わらず義烈団の対日本總攻擊計画は続けた。此れによって展開 された攻撃が1924年一月5日の金祉燮の義擧であり、また、北京の義烈団 員 11名が、東京攻撃を目標し、爆弾購入の資金を募集するため国内に密派されたが、逮捕されてしまった、‘慶北 義烈団事件’がその例である。帝国主義 の心臓部で大規模の義烈闘争を展開しようとした義烈団の対日本總攻擊計画 は1922年から1925年、冬まで、絶えずに推進されたのであ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