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애사 연구를 통한 지적장애학생 가족의 삶: 어머니 면담을 중심으로

        정혜윤,강영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fe of famil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life history research. Episodic interview method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collected data were recorded with the consen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n the text did.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rocedural structure analysis method of Schütze 's life histor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ife histor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divided into early childhood, early childhood, childhood, and adolescence from prenatal to current period of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 to explore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that have affected family life. Second, the structure of life histor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analyzed by four types of structures: institutionalized expectation style, internal pain path, life historical events model, and identity chang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life history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process structure of their life historie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various ways to support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 가족의 삶을 탐색하기 위해 4인 이상의 지적장애학생 가족을 목적적으로 표집하여 어머니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방법은 생애사 연구방법으로 자료 수집은 일화 인터뷰(episodic interview) 방법을 이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녹음한 뒤 전사과정을 거쳐 텍스트화 하였다. 자료 변환을 거친 이후, Schütze의 생애이력의 과정적 구조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 가족의 생애이력을 지적장애학생의 출생 전부터 현재 시기까지 결혼초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로 나누어 가족의 삶에 영향을 끼친 긍정적・부정적인 경험을 탐색하여 현재까지의 생애 이력을 도식화하였다. 둘째, 지적장애학생의 생애이력의 구조를 제도화된 기대양식, 내적 아픔의 진행경로, 생애사적 행위 모델, 정체성 변화 등 4가지 구조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적장애학생 가족의 생애이력과 생애이력의 과정적 구조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고, 지적장애학생 가족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경기도 거주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 실태 분석

        조창빈(Cho Chang-Been)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8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현황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장애인복지관, 장애인보호작업장,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등 장애인관련 기관에서 운영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성인 지적장애인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영역별 참여 현황을 살펴보면, 성인 지적장애인이 가장 많이 참여한 프로그램 영역은 `문화예술교육(1.57개)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목적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살펴보면,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목적을 다중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심리적 만족감(26.2%)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기관을 다중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장애인복지관(38.8%)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시간을 분석한 결과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시간을 조사한 결과 `평일 낮(92.9%)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관련 정보 수집 방법에 대해 다중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교육훈련기관(37.8%)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위한 주 교통수단을 조사한 결과`대중교통(38.2%) 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는 `시설의 제공차량(25.3%)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발전 방향에 대하여 몇 가지 논의・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current state of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in life-long program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41 intellectual-disabled adults having experienced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which have been operated in disabled people relevant institutions including rehabilitation centers, sheltered work places, and da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The results of surve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t looking into current state of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by field,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 field that the response of `culture, art & education (1.57) was the highest. Next, at asking the purposes of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it was identified that the response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26.2%) was the highest in the format of multi responses. And, at asking the life-long program institutions that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ed in, it was found that the response of rehabilitation center (38.8%) was the highest in the format of multi responses. As the result analyzing the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time in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it was shown that the response of `daytime in weekdays (92.9%) was the highest, and at investigating their ways collecting the information about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in the format of multi responses, it was appeared that the response of `education & training institution (37.8%) was the highest. Finally, as the result investigating the main transportation type who intellectual-disabled adults commonly used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it was identified that the response of public transportation (38.2%) was the highest.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and provided some suggestions about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for intellectual-disabled people to go toward.

      • KCI등재

        지적장애인 부부의 자녀양육 일상생활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이송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8 한국장애인복지학 Vol.39 No.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ouple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raising their children by observing their daily life in a participation manner to seek the social-welfare undertone. Therefore, this study used the participant observation research methodology to reveal and understand the daily life of the couple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aising children. The inductive analysis procedure by Hatch(2002) was used among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nalysis methods to interpret the obtained materials. As a result of analyzing through it, ‘The life of raising by love body and soul in the hardship of child raising’ was drawn through total 181 participant observation cases. And 1 category called ‘Repetition of busy life’, 7 themes, and 14 sub-themes(Busy morning with preparing to go to work and go to school ; going to school regularly ; restriction of the school activity participation ; on one’s way home with child ; passion and difficulty on learning support ; dinner after leaving the office ; daily life that whole family finalizes together) were drawn. Like this, the cou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repeating the busy life while raising their child. They also underwent challenge as the official social support system was not arranged. However, the cou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living a life of raising child with love body and soul in the hardship of child-raising. And they were living a life of doing their best feeling the trivial pleasure in the daily life through the child-raising like usual parents. 본 논문은 지적장애인 부부의 자녀양육 일상생활을 참여관찰을 통하여 이해하고, 발견하여 사회복지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지적장애인 부부의 자녀양육 일상생활을 생생하게 드러내고 이해하기 위해 참여관찰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자료들을 해석하기 위해서 참여관찰 분석 방법 중 Hatch(2002)의 귀납적 분석절차를 따랐다. 연구결과 총 181개의 참여관찰 사례를 통해 ‘분주한 일상의 반복’이라는 1개 범주, 7개 주제, 14개의 소주제를 도출하였다. 소주제는 [출근과 등교준비로 바쁜 아침], [규칙적인 학교 등교], [학교 활동 참여의 제약], [함께하는 귀가길], [학습지원에 대한 열정과 어려움], [퇴근 후 저녁식사], [가족이 함께 마무리하는 일상]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자녀양육의 고단함 속에 혼신을 다해 사랑으로 기르는 삶’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처럼 지적장애인 부부가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충분한 사회적인 지원체계가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그들은 때로 ‘선택지의 곤궁’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이를 통한 제언으로는 제도권 안에 있어도 공식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사회복지체계 즉, 한정된 네트워크의 문제로 지원체제의 정비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하는 바라 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체제의 정비를 통해 지적장애인 부부도 지역사회 내에서 ‘보통의 삶(ordinary life)’을 살며, 자녀 성장에 대한 ‘기대’와 소소한 ‘행복’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 지적장애인의 결혼생활 실태와 평생교육적 지원방안 탐색

        조창빈(Cho Chang-Been)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8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4 No.1

        이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결혼생활 실태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안정적인 결혼생활 유지를 위한 평생교육적 지원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유형을 구분하여 결혼생활 실태를 조사한 2008, 2011,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의 결과 중 지적장애인과 관련된 내용을 정리하여 지적장애인 결혼생활 실태 변화 추이를 파악하였다. 또한 기혼 지적장애인 1명, 지적장애인 부모 1명, 장애인 성교육 전문가 1명, 특수교사 1명, 사회복지사 1명 등을 포함한 5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결혼생활 변화 추이의 세부적 내용을 파악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10여 년간 지적장애인의 미혼 비율은 70%이상이었고, 장애가 있는 배우자와 결혼하는 비율은 감소, 같은 지적장애인과 결혼하는 비율은 늘어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연구 참여자들은 재정적 지원 부족, 보호자의 장애자녀 결혼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을 원인으로 주장하였다. 둘째, 최근 10여 년간 지적장애인의 유자녀 비율은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낮게 유지되고 있었고, 장애자녀의 비율과 지적장애자녀의 비율이 점차 늘어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연구 참여자들은 지적장애인의 임신과 양육에 대한 교육 부족을 주된 원인으로 꼽았다. 셋째, 최근 10여 년간 본인의 장애로 인한 자녀의 성장발달 지장여부에 대해 지장을 매우 많이 받았다고 느끼는 경우가 가장 많고 점차 늘어나고 있었다. 또한 자녀 양육 시 주로 자녀와의 의사소통과 교육비에 어려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연구 참여자들은 지적장애인의 자녀양육 기술에 대한 교육 부족, 장애부모에 대한 비장애자녀의 부정적 태도를 주된 원인으로 지목했다. 넷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한 평생교육적 지원방안은 지적장애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개발, 지적장애인의 결혼생활 기술, 자녀 양육기술 등을 주제로 한 프로그램 개발 등이 탐색 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적장애인의 안정적인 결혼생활을 위한 평생 교육적 지원방안에 대해 몇 가지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trends of the change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arried lives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explore the plans for the life-long education support for the maintenance of the stable, married lives. For this, among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handicapped in 2008, 2011, and 2014, which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arried lives by classifying the types of the handicaps, the details related to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organized and the trends of the change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arried lives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understood. Also, the details of the trends of the changes of the married lives were understood by carrying out the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e 5 research participants, including 1 married intellectual disabilities, 1 parent of an intellectual disabilities, 1 expert on the sex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1 special teacher, and 1 social worker. And the main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ly, the ratio of the unmarried among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over 10 years of the recent was over 70%. And the ratio of marrying a spouse with a handicap had been decreasing and the ratio of marrying an intellectual disabilities had been increasing. Regarding this, the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argued that the causes were the insufficiency of the financial support, the negative awareness of the marriage of a handicapped child of a guardian, etc. Secondly, the ratio of having the children among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over 10 years of the recent had been maintained low compared to the other kinds of handicaps. And the ratio of the handicapped children and the ratio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children had been increasing gradually. Regarding this, the research participants pointed out the insufficiency of the education on the pregnancy and the rearing for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the main causes. Thirdly, the cases in which one felt that very much hindrance was received with regard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 child due to one s own handicap in the over 10 of the recent was the most and had been increasing gradually. And it appeared that, when rearing a child, there were the difficulties mainly with the communication with, and the education expenses for, the child. Fourth, as the methods of supporting the life-long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ior studies, the development of program targeting the parents having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 and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s on the topics such as technique for the marriage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and the technique for growing child have been studied. In addi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ies, several discussions and suggestions have been proposed.

      • KCI등재

        초등학생들의 생물에 대한 흥미의 특성 및 경험과의 관계

        전민정,김흥태,김재근 韓國生物敎育學會 2012 생물교육 Vol.4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est in life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in life and their experience about nature and life. The questionnaire to survey participants' interest consists of two different parts; one is emotional affinity toward life and the other one is curiosity about life. This questionnaire consists of 10 questions for each domain, and all questions were designed using a 5-point Likert scale. Data were collected from 436 students of 3rd and 6th grades at an elementary school. The survey results showed the level of interest in life was high, and especially the level of emotional affinity was higher than the level of curiosity about life. Also, the 3rd grades were higher than the 6th grades, and girls are higher than boys.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animals than plants.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affinity toward life and curiosity about life significantly (p<.01). The interest in life is correlated to their experience about nature and life. The higher level of interest in life, the higher level of experience. Also, the indirect experience influences on the interest in life, as well as the direct experience.

      • KCI등재

        통합학급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요구 및 만족도 비교 연구

        민천식 ( Chun Sik Min ),오원석 ( Won Seok Oh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1

        이 연구는 통합학급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학교생활에 대한 요구와 학교생활 만족도가 어떠한 지 알아보고,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생활 요구를 분석하고자 초등학교 통합학급 지적장애학생 21명과 비장애학생 349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생활 만족도 척도와 학교생활 요구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각 척도는 통계적으로 타당하고 신뢰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요구와 만족도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학교생활 만족도에 있어서 지적장애학생들은 성적 중위학생들과 유사한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적장애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구들로는 교육과정수정 및 물리적 배치 요구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지적장애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개별화와 더불어 통합학급 학생과의 동등한 학습참여 기회를 부여하여 학습 참여도를 높이고, 장애학생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교사를 우선적으로 통합학급 담당 교사로 배치하여 장애아동과 교사의 관계 개선이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survey needs for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mo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t inclusive education and to analyze needs for school life influencing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For these purposes, we sampled 21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349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t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used scales on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needs for school life,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ach scale were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ir needs for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n satisfaction with school, the level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similar to that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hose school achievement was average. Needs influencing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s satisfaction with school were curriculums modification and physical arrangement. Considering these results, what are required the most for enhancing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s satisfaction with inclusive education are instructional adaptation for them and improving their relation with integrated class students.

      • KCI등재

        청년기와 장년기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 삶의 질 비교: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을 중심으로

        천정민 ( Cheon Jeong-min ),김화수 ( Kim Wha-so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4

        본 연구는 청년기 지적장애인과 장년기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각 집단의 의사소통 삶의 질을 살펴보고 차이를 비교하며, 의사소통 삶의 질 척도의 각 하위영역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지적장애인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이 의사소통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까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의사소통 삶의 질의 전반적 수준은 청년기 지적장애인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 의사소통 삶의 질은 청년기 지적장애인과 장년기 지적장애인 모두 의사소통에 대한 자신감 및 자율성, 일상생활 참여, 타인과의 상호작용, 역할 및 자아 순으로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의사소통 삶의 질의 하위영역 간 상관관계는 4개의 영역이 모두 서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이 의사소통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통계적으로 가장 유의도가 높았던 변인은 대화기술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후속 연구의 방향성과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과 관련한 삶의 질 향상에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differences of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of young adults and late middle ag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determine a correlation between each subcategory of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scale.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communicative competence on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general level of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is higher for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ubcategories of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of both young adults and late middle ag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in the order of high confidence and autonomy in communication, participation in everyday life, interaction with others, and role and self, and it was identified that all 4 areas of a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It was identified that conversation skill is a variable with the highest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for the effects of social communicative competence on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a follow-up study and for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related to communication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들의 자립과 성인생활에 필요한 기능적 생활기술 고찰

        김진호 ( Jin Ho Kim ),김영준 ( Young Jun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1

        기능적 생활기술이란 일상생활 속에서 장애학생이 수행하지 못한다면 다른 사람이 반드시 해주어야 하는 필수적인 삶의 기술들을 의미하는데, 지적장애학생에게 이러한 기능적 생활기술을 교육하여 그들의 자립생활과 성인생활 적응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에 있어서 실질적인 결과요인으로써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대상으로 하여 지적장애학생들의 자립생활과 성인생활 적응에 필요한 기능적 생활기술을 고찰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지적장애학생들의 기능적 생활기술을 다룬 국내외 선행연구를 조사·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적장애학생들이 자립생활과 성인생활에서 성공적인 적응을 하는데 필요한 핵심적인 기능적 생활기술을 일상 및 주거생활영역, 직업생활영역, 사회 및 여가생활영역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술연구에서뿐만 아니라 일선 특수교육현장에서 지적장애학생들의 자립생활과 성인생활을 준비시키기 위한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을 하는데 있어서도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re is a growing emphasis that special education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uld focus on improving their academic and functional life skills to facilitate their transition from school to adulthood. In particular, knowledge acquisition and skill performance of life skills have been suggested in the research literatur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successful independent liv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ationale and research literature on functional life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provide necessary functional life skills which were essential to successful independent and adult liv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revealed 47 studies. The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three life-skills domains such as residential and daily living domain, employment domain, and social and community living domain. Specific functional life skill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three domains and 30 sub-domains in an attempt to suggest the best life-skills education practic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 for educational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on life-skills approach were suggested.

      • KCI등재

        장애아동 양육시설에서 자란 지적장애 여성의 독립, 결혼, 그리고 출산에 대한 생애사 연구

        김아영,이숙향 한국발달장애학회 2023 발달장애연구 Vol.27 No.1

        This study explores the difficulties and needs in the process of independence, employment, marriage and childbirth through the life of a woman who had raised in a juvenile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study, a woma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o has successfully in a community was recruit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narrative analysis. Five categories emerged according to the life cycle as follows: Childhood, school age, independent period, marriage period, and the future self beyond my past From the findings, the loss of parents and the stigma of disability were revealed as features of childhood. The school period was characterized by segregated education, being disregarded and the expansion of interactions with people through inclusive education and employment experience. The independent period was featured as finding unknown side of me, holding up and enduring, outsider, and the necessary condition for independence. The feeling of stability and happiness, changes in herself and her spouse by childbirth and support for pregnancy and childbirth were the main features of the marriage period. Lastly, from the category of the future self beyond my past, it was revealed that her family’s splendid future through reflecting on her past and realizing the value of living together. Through that, we found the motive of her life, the change in her identity, and the human and social factors that led to those changes in her identity and life. Based on the findings, practical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independent living, marriage, and childbirth of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 양육시설에서 자란 여성 지적장애인의 삶을 깊이 탐색하여 자립과 취업 그리고 결혼과 출산 과정에서 어려움과 지원요구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성공적으로 독립한 탈시설 여성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면담하고 네러티브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생애주기에 따라 5개의 범주로 구분되었다: 유년기, 학령기, 독립기, 결혼기, 과거의 나를 넘어 미래로. 연구 결과 유년기는 부모의 상실과 장애로 인한 낙인이 특징적이었고 학령기는 분리된 교육, 묵살된 가능성, 그리고 통합교육과 취업을 통한 사람과의 교류 확대가 주된 특징이었다. 독립기는 새로운 나의 발견, 버티고 감내하기, 무리 밖의 나와 독립을 위한 필수조건이 확인되었고 결혼기는 결혼을 통한 안정과 행복, 아이로 인한 부부의 변화와 임신과 출산을 위한 지원이 특징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과거의 나를 넘어 미래로에서는 과거의 나를 돌아보고 함께 살기의 가치를 토대로 나와 가족의 장밋빛 미래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참여자의 삶의 동기, 정체성 변화와 그러한 변화를 끌어낸 인적‧사회적 요인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의 독립과 결혼 그리고 출산을 지원하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적장애 학생 및 성인의 기능적 생활기술을 위한 국내 중재연구 고찰

        이수정,김진호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8 지적장애연구 Vol.20 No.4

        Functional life skills are basic skills that are essential in all life-span and are systemic to improve the abilit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adapt to adult life. This study investigated intervention studies concerning areas of functional living skills that were dealt with important in the prior analysis paper, as well as effective methods of intervention for the purpose of acquiring functional living skills of students and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7 domestic intervention studies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by examining the intervention studies for acquiring functional living skills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analytical papers. A total of 12 analysis variables (Domestic research trends, research subjects, intervention environments and procedures, arbitration programs, detailed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measuring tools and methods, target technologies, interobserver reliability, intervention fidelity, social validity, effectiveness) were conducted in five area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a community-based instruction, and areas of functional life skills were centered to the areas of daily and residential life, and the effects of the study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most studies had an effective PND value of over 90 %. These analys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content, methods and effects of the arbitration program for functional living skills. 기능적 생활기술(functional life skills)이란 일상생활 속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삶의 기본 기술이며, 지적장애학생들의 자립생활과 성인생활 적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반드시 교육해야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하는 기능적 생활기술과 관련된 중재연구에 대하여 조사하고, 지적장애 학생 및 성인들의 기능적 생활기술습득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방법과 중재도구 그리고 전략들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기능적 생활기술 중재를 적용한 중재연구들을 분석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총 37편의 국내 중재연구를 최종 분석대상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은 5가지 영역에서 총 12개의 분석변인(국내연구동향, 연구대상, 중재환경, 중재설계 및 절차, 중재프로그램, 세부전략 및 중재도구, 측정도구 및 방법, 목표기술, 관찰자간 신뢰도, 중재충실도, 사회적 타당도, 중재 효과와 유지 및 일반화:PND, PZD, 기초선 기준 성취도변화)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재프로그램은 지역사회중심교수를 많이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적 생활기술은 일상 및 주거생활영역과 관련된 기술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석대상연구의 중재효과로서 대부분의 연구가 PND값이 모두 90%이상으로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능적 생활기술 중재프로그램의 내용, 방법 그리고 효과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