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유와 필연의 이율배반성: 『전쟁과 평화』의 안드레이와 피에르를 중심으로

        최인선(Inson Choi)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21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 No.57

        Freedom and inevitability form the premise of Leo Tolstoy’s novel, War and Peace. In its second epilogue, Tolstoy points out the fundamental contradiction between freedom and inevitability. For example, human beings seek freedom from being subjected to laws. However, considering the various causes of human behaviors, human beings cannot live solely on free will. Therefore, both are denied: freedom without being subjected to the law of necessity and being subjected to the law of inevitability without freedom. Tolstoy emphasizes the need to scrutinize the fundamental structure that defines inevitability as form and freedom as content. This antinomy between freedom and inevitability leads to questions such as “what is a desirable way to live?” and, thus, to the philosophy of life. Hence,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how two main characters of the novel, Andrei and Pierre, recognize the law of inevitability and understand their freedom within that law.

      • KCI등재

        전쟁 결정에 있어 ‘역사적 필연성’ 인식론의 역할

        김재학(Jaehak Kim),김성현(Sunghyun Kim)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1

        본고는 전쟁 결정 원인으로서 역사적 필연성 사고 체계에 주목하였다. 이에 대하여 냉전 시기 소련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우선 본고는 전쟁 결정 여부를 설명하는 데 있어 타자와의 관계 인식을 양립불가성 또는 공존불가성에 기반한 관계로 분류할 수 있는 역사적 필연성에 대한 인식론을 분석틀로 제시하였다. 이 중에서 후자가 전쟁 결정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소련의 역사적 필연성 인식을 살펴보았다. 냉전 시기 소련은 자유주의와 자본주의 진영과의 전쟁불가피론과 필연적 승리론을 채택하였으나, 흐루쇼프 시기를 기점으로 이를 폐기하고 전쟁가피론을 수용하였다. 더 나아가 본고는 소련이 미국과의 전쟁에 대하여 새로운 역사적 필연성 인식을 가졌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에 대하여 소련이 전쟁 대신 체제 경쟁을 통해 미국을 이길 수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핵무기의 등장으로 전쟁은 궁극적으로 공동 멸절을 가져올 것이라는 새로운 역사적 필연성의 확립으로 인해 소련의 전쟁불가피론에서 전쟁가피론으로의 사고 변화는 불가역적 속성을 갖는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cause of war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inevitability’ as a system of thought, focusing on the Soviet Union during the Cold War. Specifically it explores Hegel’s understanding of speculative philosophy of history as a means to define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into two categories which are ‘mutual coexistence’ versus ‘impossibility of coexistence’. The latter is a system of thought which may lead to war. Based on this, this paper analyzes the perception of ‘historical inevita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viet Union. During the Cold War, the Soviet Union pursued the strategy of the ‘inevitability of war’ and victory. This was replaced in the era of Khrushchev by the ‘avoidability of war’. This paper finds that the Soviet Union gained a different perception concerning its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in which they began to believe that victory was possible through competition over its system rather than through war. The advent of the nuclear age also reinforced the possibility of mutually assured destruction. These changes led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Soviet Union perception on ‘historical inevitability’, from the ‘inevitability of war’ to the avoidance of it.

      • KCI등재

        펠로폰네소스 전쟁은 필연적이었는가? -투키디데스 테제에 대한 고찰-

        손태창 호서사학회 2022 역사와 담론 Vol.- No.103

        The ancient Greek historian Thucydides, renowned for the establishment of modern historiography, wrote on the Peloponnesian War(431-404 BC). It was a very impressive and large scale civil war. Thucydides wrote about his own participation in the war just to inform the descendants of what had happened. In this book he made a very well known point: namely the growth of Athenian power during the previous 50 years panicked the Spartans and they were forced to wage war against the Athenians. Even Thucydides argued that this war was inevitable, and his frank statement of it tended to bring many readers to believe it easily, without sufficient deliberation, as though it had been fate. To some degree his theory is plausible when the cause of the war is considered structurally. However Athens didn’t enlarge and become more powerful in a consistent fashion since the end of the Persian War(478-431). Moreover, it is generally thought that both Athens and Sparta might not have been under circumstances which required them to engage in such wars unconditionally. In this paper two points will be reconsidered. Firstly, the years of Pentekontaetia(πεντηκονταετία) -literally 50- will be reviewed, showing that Athens was not always so powerful in the Mediterranean area. The next reconsideration will be a systematic study on the period beginning with the affair of Epidamnus to the outbreak of the Peloponnesian War. Through it we will see that this war did not develop in an unavoidable way. Indeed, it contained several possibilities that might have prevented war. We must not accept without criticism the argument of a historian from the 5th century BC, that a very significant and major war broke out inevitably. In this paper, I reconsider the objectives of the historian Thucydides by reanalyzing his thesis. Human affairs are scrutinized most persuasively if their complex and various causal factors are reviewed. 근대 역사학을 성립시키는 기반이 된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인 투키디데스는 고대 그리스 세계에서 매우 인상적이고 전방위적인 내전인 펠로폰네소스 전쟁(431-404)에 직접 참전하여 겪은 바를 가지고 후대에 널리 알리기 위해 전쟁사를 서술하였다. 개별 폴리스들이 독립된 국가로 보면 대외전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전체 그리스인들이 연루된 하나의 큰 사건으로 보려는 시각에 의해서 내전이라고 표현하였다.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유사한 생활방식을 지닌 그리스인들을 큰 틀에서 같은 민족으로 보는 것이다. 여기에서 그가 주장하는 아테나이의 50년에 걸친 세력강성과 스파르타의 두려움이 결국 스파르타로 하여금 이 비극적 전쟁을 일으키도록 만들었다는 유명한 테제(These)가 발원한다. 심지어 투키디데스는 이것이 필연적이라는 맥락으로 주장함으로써 충분한 고증을 하지 않고 듣는 자들에게 이 전쟁이 불가피했다고 믿게끔 만든다. 장기적인 전쟁원인론에 입각하면 구조적으로 개연성이 있는 주장이지만 아테나이가 기원전 478년 이래 전쟁 개전시점인 431년까지 늘 강성했던 것도 아니었고 무조건적으로 이 두 세력이 전쟁으로 나아가야 할 조건에 처한 것도 아니라고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 주장에 대해 두 가지 점을 검토한다. 먼저 펜테콘타이티아 즉 ‘50년’의 세월이 내내 아테나이 세력 강성을 보여주는 것만은 아님을 밝히고자 한다. 이어서 1차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끝난 이후인 기원전 445년부터 에피담누스 사태 및 개전에 이르는 기간 동안을 단계별로 짚으면서 전쟁이 필연적인 성격으로 비화된 것이 아니라 사전에 방지될 수 있었을 여지들이 실제로 있었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적어도 우리는 매우 크고 중대한 전쟁이 어떠한 심리적 원인에 의해 불가피하게 되었다고 보는 기원전 5세기 역사가의 주장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해선 안 될 것이다. 투키디데스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재고함으로써 한 가지 중요한 점을 되새겨보고자 한다. 전쟁이 필연화된 주장을 하기에 앞서 그것을 가능케 한 복합적 원인들과 요소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했는지가 해명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 점에 대해 숙고해보건대 투키디데스는 명제를 보강해주는 증거에는 충분히 신경을 쓰지 않은 것이다.

      • KCI등재

        배틀로얄 장르의 게임 다이나믹 고찰

        안진경(Jin-kyoung Ahn) 한국게임학회 2017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는 디지털 게임의 신생 장르 중 하나인 ‘배틀로얄(Battle Royale)’ 장르의 형성과 다이나믹을 고찰하고, 극적 긴장을 유발시키는 게임성의 구성요소를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장르의 정전 텍스트로 〈배틀그라운드〉를 선정하고 MDA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게임의 구성 요소를 살펴보았다. 게임 다이나믹 차원에 있어, 배틀로얄 장르는 불확실성과 필연성의 교차를 통해 게임의 긴장감을 유지하는 게임성을 드러낸다. 불확실성은 게임 월드의 무작위성과 플레이어의 상태 정보 은닉을 통해 강화되며, 필연성은 전투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밖에 없는 지형의 설계와 시간에 따라 활동 가능한 공간을 제약하는 두 형태를 통해 발현된다. 이와 같은 기법은 플레이어의 의미있는 선택을 유도하고 긴장감을 끝까지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배틀로얄 장르의 게임성을 구축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ame dynamics of ‘Battle Royale’ genre and how these dynamics create dramatic tension, focused on 〈Battlegrounds〉. Battle Royale games maintain the dramatic tension through the intersection of uncertainty and inevitability. Uncertainty is reinforced by randomness of the game world and hidden information of player statement. Inevitability is emerged from the level design with choke point, and restriction of playable field over time. From this mechanism, Battle Royale genre establishes the gameness which derives player’s meaningful choice and maintains player’s tension until the end of the game.

      • KCI우수등재

        ‘결과’와 ‘환언’의 접속 부사 ‘그러니까’ 연구

        서반석 ( Seo Ban-seoc ) 국어학회 2021 국어학 Vol.- No.100

        본고는 접속 부사 ‘그러니까’를 대상으로 하여 그 ‘결과’의 의미와 ‘환언’의 의미에 대해 관찰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일반적으로 ‘결과’와 ‘환언’은 상당히 다른 성격을 가진 의미들로 인식되어 왔는데, ‘그러니까’는 이러한 이질적인 의미들을 동시에 나타낸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결과’와 ‘환언’은 대립되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서로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겹치는 영역도 있다. 본고에서는 ‘결과’와 ‘환언’의 이러한 특성이 ‘결과’에 대한 ‘내면화 수준’, 그리고 ‘논리적 필연성’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이를 통해 ‘그러니까’가 이 두 의미를 포괄하게 된 경위를 추적해 보았다.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meanings of ‘result’ and ‘expository’ of a conjunctive adverb ‘geureonigga’. Generally, the ‘result’ and ‘expository’ have been perceived as meaning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geureonigga’ has grabbed attention in the aspect of showing such different meanings simultaneously. However, contrary to this general perception, the ‘result’ and ‘expository’ do not oppose to each other, and some parts are overlapped that is hard to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is study regarded that such characteristics of ‘result’ and ‘expository’ would be related to the ‘assimilation of result’ and ‘logical inevitability’, and then traced the route in which ‘geureonigga’ included those two meanings.

      • KCI등재

        박용철 시론에서 ‘천재’의 의미

        김영범(Kim, Young-Beom)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8

        박용철의 시론에 대한 선행 연구는 서구 이론과의 영향관계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었다. 준거점이 거기에 있었으므로 논의는 주로 수용의 적합성에 초점이 맞춰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박용철의 문학적 이력에 포함시킬 수 있는 것은 서구 이론뿐만이 아니었다. 그는 일정 수준 이상의 한문 실력을 보유하고 있었고, 한학자 정인보와 시문학 동인으로 활동했으며, 시조와 한시를 창작하기도 했다. 따라서 그의 문학적 자양을 서구 이론에만 한정하는 것은 부당한 일이다. 이 연구는 그의 문학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인 낭만주의 경도를 그가 시론에서 사용한 천재 개념을 중심으로 해명하고자 했다. 박용철은 비평과 창작에 대해 논할 때 공히 천재라는 술어를 썼다. 따라서 전자를 먼저 살폈다. 박용철은 작품의 사회적 효과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비상한 천재의 진맥”이 필요하다고 했는데, 그가 제시한 비평의 과정은 이성을 기반으로 하는 분석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창작의 과정에서는 “생리적 필연”에 따른 정진과 노력이 천재의 비결이었다. 그의 시론에서 시와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서로를 고양시키는 ‘무명화’는 그러나 시인에게만 허락된 불이 아니었다. 박용철은 이것을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졌다고 보았다. 따라서 그의 시론은 비평의 차원이든 창작의 차원이든 낭만주의와 일정한 거리를 가졌다고 하겠다. 한편 그의 시론에서 천재는 고래로부터 동서양이 공유하던 보편적 의미에 가깝다. 박용철 시론의 성취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천재라는 개념에서 출발했으나, 시 창작의 근원적 동력에 가닿았다는 데 있을 것이다. Prior studies on Park Yong-cheol’s poetics tended to pay attention to its influence relationship with Western theories. Since the reference point was Western theories, the discussion focused mainly on the suitability of acceptance. However, Western theory was not the only thing that shaped Park"s literary background. He possessed more than a certain level of Chinese writing proficiency, worked with Chinese classics scholar Jeong In-bo, and created Shijoes and Chinese poems. It is thus unreasonable to limit his literary diet to Western theories.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the inclination of romanticism, a representative misunderstanding of Park’s literature, centering on the concept of genius he used in his poetics. Park used the concept of “genius” to discuss criticism and creation. In order to predict the social effect of a literary work, Park said that “the diagnosis of an extraordinary genius” was necessary, and the process of criticism he presented consisted of analysis based on reason. In the process of creation, devotion and effort according to “physiological inevitability” were the secret of genius. In his poetics, however, the “nameless fire,” which organically interacts with poetry exalting each other, was not a fire allowed only for poets. Therefore, whether in the dimension of criticism or creation, it can be said that his poetics maintained a certain distance from romanticism. Meanwhile, in his poetics, genius was close to the universal meaning shared by the East and the West since ancient times. The achievement of Park"s poetic theory started from the concept of genius that is generally used, but it may be that it touched the fundamental power of poetry creation.

      • KCI우수등재

        『순수이성비판』에서 선험적 가상의 불가피성과 기만성 ‒경험적 가상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홍우람 한국철학회 2022 철학 Vol.- No.150

        In this paper we will show that the transcendental illusion has two essential properties, i.e., inevitability and deceptivity, and thereby elucidate Kant’s claim that the errors of traditional metaphysics criticized in the Dialectic of the Critique of Pure Reason arise from the nature of reason. For this purpose we will clarify the origin and nature of transcendental illusion by means of the analogy with empirical illusion. Also in this process, we will argue that the transcendental illusion must be understood as a kind of (indeterminate) subjective judgments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determinate) objective judgments, and based on this, we will try to resolve some important misunderstandings found in related studies.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First, in Chapter 2, we start our discussion by briefly reviewing two misunderstandings encountered at the beginning of the Dialectic. Next, Chapter 3 reveals that the empirical illusion, which is introduced as a model for understanding transcendental illusion, is a kind subjective judgments, and Chapter 4 identifi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empirical illusion and transcendental illusion. Chapter 5 investigates the origin of transcendental illusion as a subjective judgment and exposes inevitability and deceptivity as its essential properties. Finally, Chapter 6 briefly confirms that the transcendental illusion is necessary for the positive as well as the negative end of the Dialectic. 이 논문에서 우리는 ‘선험적 가상’이 불가피성과 기만성이라는 두 가지 본질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음을 밝히고, 이를 통해서 『순수이성비판』의 변증론에서 비판되는 전통 형이상학의 오류가 이성의 본성에서 비롯한다는 칸트의 주장을 해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경험적 가상’과의 유비를 통해 ‘선험적 가상’의 기원과 본성을 분명하게 드러낼 것이다. 또한 이 과정에서 우리는 선험적 가상이 (규정적인) 객관적 판단과 구별되는 (미규정적인) 주관적 판단의 일종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논증하고, 이에 기초해서 기존 연구에서 발견되는 몇몇 중요한 오해를 해소할 것이다.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2장에서 우리는 선험적 가상에 대한 논의의 출발점에서 마주치는 두 가지 오해를 검토한다. 이어서 3장은 선험적 가상을 이해하기 위한 모델로 제시되는 경험적 가상이 주관적 판단의 일종임을 밝히고, 4장은 선험적 가상과 경험적 가상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확인한다. 5장은 주관적 판단으로서 선험적 가상의 기원을 밝히는 동시에, 선험적 가상의 본질적 속성으로 불가피성과 기만성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6장은 선험적 가상이 변증론의 소극적 목적뿐만 아니라 적극적 목적을 위해서도 필수적임을 간략히 확인할 것이다.

      • KCI등재

        ‘-지 않을 수 없다’의 의미 분석 및 교육 방안

        박진완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9 한국어 교육 Vol.30 No.4

        This research aims to conduct a corpus study on the meanings of ‘-ji anhoel su eops-’ and their applica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 analysis of 4,563 examples of ‘-ji anhoel su eops-’ in the “21st Century Sejong Modern Korean Corpora” was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ji anhoel su eops-’ is used for three meanings [inevitability] (不可避), [obligation] (當爲), and [unavoidable occurrence] (必然發生). The meaning of ‘-ji anhoel su eops-’ can vary depending on the context. Therefore, syntactic, semantic, and discourse analysis, considering the grammatical features, such as person (人稱) and agency (意志), was utilized in this research. Also, the agent’s attitude toward the situation was analyzed, to look into whether each meaning was correlated with positive, negative, or neutral contex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When the subject of a sentence is the second person or the third person, ‘-ji anhoel su eops-’ is used to express [inevitability]. 2) When the subject of a sentence is the first person, other meanings can be expressed; If ‘-ji anhoel su eops-’ collocates with emotional verbs, then [unavoidable occurrence] is expressed. And if it collocates with agency verbs, then [obligation] can be expressed only in positive contexts. By contrast, ‘-ji anhoel su eops-’ is widely used to express [inevitability] in negative or neutral contexts. 3) Since these three meanings are realized in stages on a syntactic, semantic, and discourse level, it is helpful to present a checklist explaining the conditions for occurrence of each meaning in grammar class to foreign students.

      • KCI등재

        The Effects of Intervening Narrators Represented in William Faulkner’s Absalom, Absalom!

        조동인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12 영어영문학21 Vol.25 No.1

        Faulkner's narrators occupy an unusual place in Absalom, Absalom! They perform at once the obvious function of relating the events of the story and the less obvious function of shaping the reader's perception of that story through their own participation in, and conception of, events. Particularly, the narrative technique in Absalom, Absalom! furthers a sense of inevitability within the novel by using as narrators people who were removed from the events they describe either by time or distance or both, and by allowing those narrators to deliver their information as a jumbled mass of interconnected, but not clearly linear, events. We must examine our response to the novel in terms of the ways in which we are drawn into the narrative. The narrative technique at work in Absalom, Absalom! which serves to draw us into the novel also serves to ally us with the narrators, particularly Quentin.

      • KCI등재

        The Effects of Intervening Narrators Represented in William Faulkner`s Absalom, Absalom!

        ( Dong In Cho )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12 영어영문학21 Vol.25 No.1

        Faulkner`s narrators occupy an unusual place in Absalom, Absalom! They perform at once the obvious function of relating the events of the story and the less obvious function of shaping the reader`s perception of that story through their own participation in, and conception of, events. Particularly, the narrative technique in Absalom, Absalom! furthers a sense of inevitability within the novel by using as narrators people who were removed from the events they describe either by time or distance or both, and by allowing those narrators to deliver their information as a jumbled mass of interconnected, but not clearly linear, events. We must examine our response to the novel in terms of the ways in which we are drawn into the narrative. The narrative technique at work in Absalom, Absalom! which serves to draw us into the novel also serves to ally us with the narrators, particularly Quent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