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의 분쟁 처리와 지방지배-중성리비와 냉수리비 비교분석-

        서지영(Seo, Ji-young) 신라사학회 2021 新羅史學報 Vol.- No.53

        「중성리비」와 「냉수리비」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서술방식의 차이는 있지만, 분쟁을 처리하는 절차와 구성원의 역할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하급의 실무진이 사건을 조사하고, ‘간지’급 이상의 고위 지배층이 판결한 뒤 교를 내렸으며, 도사 등의 실무진이 판결내용을 집행하였다. 다만 下敎를 내린 의결집단과 집행을 담당한 실무 집단의 소속부와 관등의 양상은 차이가 있었다. 「중성리비」는 왕을 비롯하여 탁부, 사탁부인으로 의결이 이루어졌지만, 「냉수리비」는 탁부, 사탁부 이외 본피부와 사피부의 "간지" 계층도 참여하였다. 「냉수리비」의 "간지"들은 신라 왕의 소집 명령을 받아 국정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비록 과거 사로국 단계의 위호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지만, 신라 왕에게 용인 받은 세력으로 관료집단으로 편제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냉수리비」에서 본피부와 사피부인이 의결집단에 참여한 것은, 部의 수장적 지위보다 국왕의 관료로 편제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본피부와 사피부인이 보유한 간지 관등은 기존 部主의 전통적 지위를 명목상 인정해 준 것으로, 일원적 관등체계가 마련되기 전 명예적 성격이 강한 간지를 예우하는 과도기적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집행을 담당한 중앙의 실무진은 두 비 모두 탁부와 사탁부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나마 이하 하급관등자와 도사가 중심이었다. 「냉수리비」는 판결을 집행한 실무진을 ‘典事人’으로 하여 하나의 직군으로 기록하였지만, 「중성리비」는 역할에 따라 분산된 채 기록되어 있었다. 판결을 알리는 방식도 「중성리비」는 典書 여모두가 판결 사실을 기록하고 심도리를 통해 널리 알린, 반면 「냉수리비」는 중앙의 ‘典事人’이 “煞牛拔誥” 한 뒤 ‘故記’하였고, 이것을 다시 촌주가 “世中了事”하고 故記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냉수리비」에서의 사건 처리는 중앙 왕경인 집단의 판결 집행, 지방 촌주의 확인이라는 이중적 절차를 행한 것이며, 중앙에서 지방으로의 ‘敎令’ 전달 체계를 알 수 있다. 두 비의 분쟁은 모두 경제적 이권을 둘러싼 다툼이다. 「중성리비」의 분쟁은 두지사간지와 일부지가 빼앗은 4개 촌을 모단벌탁으로 다시 돌리는 수취와 관련된 문제이고, 「냉수리비」는 절거리 개인의 재산과 관련된 다툼이었다. 이 두 비는 농업생산력 증대와 이에 따른 재화의 유통, 市肆와 東市의 설치 등 당시의 경제적 상황을 잘 보여준다. 또 「냉수리비」는 "별교"의 형태로 상속자를 명시하였고, 패소측에게 이의를 제기하면 중죄를 받을 것임을 서약하도록 하여 법을 강제하였다. 이것은 지역, 촌에서 일어난 분쟁에 신라중앙이 개입하여 판결을 내리고, 이를 준수하도록 강제하여 지방에 미치는 중앙의 통치력을 확인할 수 있다. 6세기 초 신라 중앙은 이러한 방식을 통해 지방에 행정력을 발동하고, 지방지배를 실현해나가고 있었다. Jungseong-ri Silla Stone Monument, Naengsu-ri Silla Stone Monument,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e aspects of disputes and their handling process were examined. The two inscriptions were different in the way they were written. The procedure for handling disputes was the same. All the voting groups were high-ranking officials above the kan-ji(干支). The working group consisted of people who held official positions such as nama-gwan-deung(奈麻-官等) or lower-ranking officials. Judgment and execution of disputes were centered on the king, the people of Tak-bu(喙部) and Satak-bu(沙喙部). The operation of the state was decided only by the king, Tak-bu(喙部) and Satak-bu(沙喙部) without going through a six-bu(6部) agreement. In the public opinion group of Naengsu-ri Silla Stone Monument, people such as Gan-ji-gwan-deung(干支-官等) and others from Bonpi-bu(本彼部) and Sapi-bu(斯彼部) participated. This indicates that he belongs to the royal priesthood, not the head of the bu(部). Bonpi-bu, Sapi-bu, and Jamtak-bu of Naengsu-ri Silla Stone Monument, Bongpyeong-ri Silla Stone Monument took part in state affairs by referring the kan-ji. This is an undifferentiated bureaucracy used in the governance structure of small countries in the past. They were discriminated against by the king"s religious group. Modanbeol-tak (牟旦伐喙) and bonpa-tak(本波喙) are the structures of kan-ji-ilbeol(干支-壹伐) for public opinion-group. The Ch"on(村) shows a similar form in the structure of kan-ji-ilgeumji(干支-壹金知). Tak-bu(喙部) and Satak-bu(沙喙部) revealed their superior status through the use of differentiated kanji series including ilganji(壹干支). bu of Modanbeol-tak(牟旦伐喙), bonpa-tak(本波喙) and Ch"on(村) use different government structures, and a social structure that is divided into stages appe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