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창쇄록(菊窓瑣錄)의 일화 선택과 이상적 인물 형상

        이강옥(Lee, Kang-ok) 국어국문학회 2013 국어국문학 Vol.- No.165

        This article analyses Kukchangsheorok(菊窓?錄) edited by Whoweon Lee (李厚源). Kukchangsheorok(菊窓?錄) represents the image of ‘ideal king’, ‘ideal Sadaebu(士大夫)’, and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kings and Sadaebus. Ideal king is very strict in reflecting himself and generous in taking care of retainer and people. He practices filial piety towards his parents, and strictly disciplines his children. The most important virtue of ideal king is the ability to choose the wise men and to listen to their expostulation. Ideal Sadaebu holds fast to his principle and ideology. He leads a sincere and austere life. He willingly remonstrates with the king about his foolish conduct and behaviors. Keeping his belief and cause is the most important value, He would not confer with the vulgar people not to taint his principle. Promoting public interests and keeping justice are his priorities. Prerequisite to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king and Sadaebu is king’s will and ability to find the talented subjects without being confined to the traditional measures of appointing officials. Once chosen, the subject would have king’s total support. The king would listen to the remonstrance of the retainer, reflecting on himself. In return, the retainer should demonstrate extraordinary ability in administration or scholarship, and remonstrate with the king without any reservation. Whoweon Lee(李厚源) tried to find a solution of the crisi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 and retainer of his time by selecting those anecdotes which incorporated ideal relationship between king and his subjects. Kukchangsheorok(菊窓?錄) tried to give lesson not only to king but also to Sadaebu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the ideal cases. Rather than following the tradition of Japrok(雜錄), Kukchangsheorok(菊窓?錄) selected the episodes from didactic books. Kukchangsheorok(菊窓?錄) highlighted frugality, filial piety, expostulation and uprightness as the essential virtues of ideal king and his retainers, while avoiding adapting the negative anecdotes of unworthy kings. By foregrounding the positive parts of the past society, Whoweon Lee(李厚源) wanted to console his contemporary society and to give the model example which people could emulate. Kukchangsheorok(菊窓?錄) used epitaph as a significant source of anecdotes. Since epitaph aims to announce the owner of the tomb and to explain his life to the posterity, epitaph inclined to take the tone of praise and commemoration. The positive perspective and narrative method of Kukchangsheorok(菊窓?錄) came from those of epitaph. It can be concluded that Kukchangsheorok(菊窓?錄) is a kind of epitaph written on papers, enabling many model kings and Sadaebus’s virtuous personalities to shine. Future generations would try to emulate their virtuous personalities and principles, by reading Kukchangsheorok(菊窓?錄).

      • KCI등재후보

        19세기 조선 학자의 딸 / 선비의 아내로 산다는 것 : 화서 이항로의 2녀 벽진 이씨의 삶

        김현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1 한국문화연구 Vol.20 No.-

        이 글은 화서 이항로(李恒老:1792∼1868)가 그의 둘째 딸인 벽진 이씨에게 쓴 네 편의 편지를 통하여 드러나는 벽진 이씨의 삶의 모습들을 살펴서 구체적으로 기술하고자 한 것이다. 이 글들은 아버지가 살아있는 딸에게 보낸 편지라는 점에서, 특히 그 아버지가 19세기의 조선 성리학 향방을 이끈 대표적인 학자라는 점에서 여타 남성 사대부들이 지어 온 비지 문자 중심의 여성 대상 글과 변별되는 여성의 형상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19세기 남성 사대부의 대표 격인 화서의 목소리로 그려지는 딸의 모습이라는 점에서 그 시기를 대표할 수 있는 남성 사대부의 눈에 비친 여성의 모습과 그 사이에 드러나는 여성의 실제 삶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효과적인 자료라고 생각한다. 편지글에서 드러난 벽진 이씨의 모습은 시대를 대표했던 유학자의 딸로서 글에 관심을 가지고 선인들의 글도 볼 수 있는 능력과 글을 쓰는 데 매진하고 싶은 의지 또한 지녔으나, 시부모님을 잘 모시고 글을 읽고 궁리하는 선비인 남편을 뒷받침하기 위해 글이 금기되고 이전에 어진 여성들이 걸었던 길인 ‘길쌈’만을 해야 할 일로서 강력하게 권장 받았다. 어떻게 보면 자신이 원하는 것에 대한 좌절을 겪었다고 할 수 있는 그녀의 최종 목표는 ‘가난을 딛고 내일의 희망인 아이들을 도리에 알맞게 키우는 것’으로 확정되었던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삶의 목표에 대한 권고가 일방적이고도 건조한 공표가 아니라 딸의 고민과 삶의 무게를 헤아릴 줄 아는, ‘지기(知己)’로서의 아버지를 둔 딸로서의 모습도 드러난다. 이 글들은 사대부 남성의 목소리로 발화되는 여성에 대한 글이기 때문에 딸인 벽진 이씨의 모습만이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아버지인 화서의 목소리도 함께 드러나고 있다. 글 속에서 화서가 딸에게 겉으로 본받을 것으로 공표하는 모습은 다름 아닌 ‘어진 여성’의 길이지만, 한편으로는 부모의 입장으로서 자식이 편하게 살아가기를 기원하고, 딸이 바라는 대로의 모습을 인정하려는 속내도 드러나고 있다. 이것은 여성의 형상에 대하여 가지게 되는 남성 사대부의 욕망과 글의 객체가 되는 여성이 바라고 원하는 양상이 충돌하는 지점을 보여주기에, 19세기 조선에서도 여전히 이러한 ‘남성이 바라는 여성’과 ‘여성이 원하는 여성’의 모습 간 괴리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aspects of women’s lives in 19th century’s Chosun concretely. To observe that, 4 letters of Hang-ro Lee(李恒老) to his daughter are chosen as texts. That letters are proper to be chosen as a text, because Hang-ro Lee is a representative of scholars in 19th century Chosun(朝鮮), and there are rare letters regarding living woman. In these letters, Mz Lee is described as a woman who was able to read Classics and had a passion of writing, but this passion was prohibited strictly, and she was forced to work hard for her family as well as to be a good mother of many sons. Nevertheless, this advice is not the only content of letters. The aspects of beloved daughter are seen also. These coexistence of two conflicting aspects can be shown that the gap of ‘woman-he-wants’ between ‘woman-she-wants’ still existed in 19th century Chosun(朝鮮).

      • KCI등재

        조선전기(朝鮮前期) 한시사(漢詩史) 서술(敍述)을 위한 몇 가지 전제(前提)

        김창호 ( Kim Chang-ho ) 한국한문학회 201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5

        본고는 조선전기 한시사 서술을 의도할 때, 앞서 정리되어야 할 몇 가지 문제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간의 연구는 주로 詩話나 비평자료에 의지하면서 시풍 및 미적 규정의 면에서 안정적 기반을 제공받는 대신, 창작 주체의 진정성과 그 역동적 구성으로서의 詩史라는 면에서는 취약점을 노출했다. 본고는 먼저 시기에 따른 주제 변화를 상세하게 파악하고 이를 발판으로 건실한 `史`를 지향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분화와 갈등의 지점`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 같은 分岐에서 간난을 딛고 전망하는 `개인의 인생이상`과 `시대의 기상`, `보편적인 시대정신`을 반영한 작품을 구도 안에 적극 수렴해야 함을 말하였다. 다음으로 文化史的 시각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시풍 관련 자료의 활용에 요구되는 몇 가지 문제를 제시하였다. 문화사적 시각에서 宋代 文學의 世俗化·日常化 경향의 영향과 15세기 일상성 제재의 문제, 時代 風氣의 고려를 강조했고, 이어 시풍 변화의 계기와 확산을 보여주는 실증적장면, 새로운 시풍과 전대 시풍과의 길항과 수용의 장면, 문화적 현상으로서의 시풍 변화의 측면 등에 유의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주제적 접근과 논리적으로 맞닿을 길을 열어가야 한다는 점을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道學詩 연구의 문제를 거론하였다. 그간의 도학시 연구는 작품의 분석과 해명을 통해 시인의 정신경계를 드러내는 데에 있어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지만 도학의 수행 주체의 실존적 자기완성 과정에 대한 탐구가 결여되어있으며, 특히 宋儒로부터 이어지는 도학시 자체의 전통에 소홀했다. 이런 점에서 송유로부터 음미, 전수되는 氣像 관련 形象이나 故事, 모티프 系譜의 정리가 우선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도학시에 나타나는 세계와 우주에 대한 태도, 주제 등을 일반 한시의 그것과 비교하면서, 시사적 좌표점을 모색해야 한다는 내용을 덧붙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some of the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when the Hansi history in the former period of Joseon is intended. The current research stage has been provided with a stable basis in terms of poetry style and aesthetic regulations while relying on materials of criticism. Instead, it is vulnerable to the authenticity of the creation subject and the poetry history as its dynamic composition. This study explains the four points of attention in advance of the description of Hansi history in the former period of Joseon. First, this study catches the points of differentiation and conflict in Sadaebu class(士大夫階級) in the history of the former period of Joseon, through which it is necessary to find various themes. Second, this study notes poets` life ideals and the spirit of the age appearing in Hansi in the former period of Joseon, and states that these works should be actively incorporated into the composition of poetry history. Third, it is also noted that the view of the culturology should be emphasized, and that when the poetry style materials should be utilized in three dimensions, the limit should also be clearly recognized. Fourth, this study summarizes the shape and motif genealogy of Dohaksi (道學詩), and states that it should be utilized for understanding of Dohaksi. This study intends to make it a future task to advance to the composition of `history (史)` while collecting the problems raised in a unified way.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