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컴퓨터 그래픽스 커뮤니티에 소개된 사운드 관련 연구들

        유민준(Min-Joon Yoo),이인권(In-Kwon Lee)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09 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Vol.15 No.1

        사운드는 가상현실 및 컴퓨터 애니메이션에서 사용자의 현실감 및 집중도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에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도 연구자들이 사운드 관련 연구들에 관심을 가지고 여러 컴퓨터 그래픽스 학술지와 학회에 주목 할만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 소개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관심을 가지는 사운드 연구의 주제에 대하여 알아보고 중요성을 가지는 논문들을 소개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다음 두 가지 분야의 논문들을 소개한다. 첫째, 사운드를 물리적으로 합성함으로써 그래픽스의 물리 법칙에 동기화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이다. 둘째, 음원에서 나오는 사운드가 사람에게 들리는 음향적 환경을 모델링하는 것이다. 사운드에 대한 연구에서 주된 관심은 이러한 음향학적인 물리법칙을 더욱 효율적으로 모델링하여 적은 자원으로도 실제적인 사운드 효과를 발생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을 중점으로 다양한 사운드 관련 논문들을 살펴보고 컴퓨터 그래픽스와의 관계를 살펴보도록 한다. Sound is very important element to enhance and reinforce reality and immersion of users in virtual reality and computer animation. Recently, significant researches about sound modeling are presented in computer graphics cummunity. In this article, main subjects are explained and major researches are rewiewed based on the sound papers presented in computer graphics community. Specially, several papers about following two subjects are reviewed in this paper: 1) synthesing sound using physically-based laws and generating sound synchronized with graphics. 2) spatializing sound and modeling sonic environment. Many research about sound modeling have been focused on more efficient modeling of real physical law and generate realitic sound with limited resources. Based on this concept, various papers are introduc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es about sound and graphics is discussed.

      • KCI등재

        The Role of Visual Communication in Community Participation on Developing A Climate Adaptation Plan

        Armin Mouly,김준현,Wayne Beyea 인간식물환경학회 2023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26 No.2

        Background and objective: Community participation or participatory planning are two terms used interchangeably that aimto incorporate community residents' opinions in the planning process to get the maximum benefit. This approach aims togather stakeholders and engage them in a meaningful conversation to come to a decision representing the stake foreveryone involved.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acts of photorealistic visualization on community participation in the U.S. Great Lakes Region through a 5-year long (2017-2022) climate adaptation planning project conducted in MarquetteCounty, Michigan, USA. Methods: Using the deliberation with analysis method of public participation, supported by visualizations, and followed bypost-project surveys, the study explores how visualizations can improve in disseminating knowledge, bridging the gap ofunderstanding among participants, enhancing engagement and delivering consistent approaches in the communitydecision-making process to come to a mutual ground of trust and common interest. Results: The study reveals that visualizations used at different phases of the community participation process increasedparticipants' interest and engagement during the meeting, provided them with the necessary knowledge regarding climatechange and its negative impact on health, and assisted them in decision-making and prioritizing design goals. The studyalso reveals that the visuals enhanced the project participants' engagement beyond the project's scope in future planningendeavors and increased their inclination towards climate and health adaptation planning. Conclusion: These findings will play a significant role in shaping the adaptive capacity in rural nonagricultural communitiesand strengthening the decision-making for similar areas dealing with climate change and its consequences.

      • KCI등재

        진월 전어잡이소리의 전승 맥락 고찰

        나승만 한국민요학회 2010 한국민요학 Vol.30 No.-

        This paper is studied the transmission context of Catching gizzard shad song in Jinwol on Gwangyang Bay by folklore-graphic perspective. And is presented a generative transformational logic of sustainable folklore culture. I argue that we can achieve sustainable transmission when we find the cultural factor of the Catching gizzard shad song in Jinwol and we reflect the life of the biology community on Gwangyang Bay. I adduced four forms to support my thesis: a transmission scene and context of text production, transforming aspects of the folk song text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scene changes, changes and factors of the transmission scene, the generative change and sustainable aspect of text. I claims the cultural factor of the Catching gizzard shad song in Jinwol is a circular relationship of ‘sea and its residents’, ‘shad and fishing techniques’, ‘eco-environment and life’ and ‘richness’. This paper is proved that the Catching gizzard shad song in Jinwol can be sustainable culture after the anthropocentricism is replaced by an egalitarian of living beings. 이 논문은 문화축제 공연형태로 전승되고 있는 전남 광양시 진월 전어잡이소리의 전승맥락 고찰을 통해 지속가능한 민속문화의 변형생성 논리를 제시한 것이다. 필자는 공연되는 진월 전어잡이소리 전승맥락 고찰을 통해 진월 전어잡이소리를 지속가능하게 하는 문화적 요소들을 발견하려고 했다. 전승과 변모의 과정 속에서 진월 전어잡이소리의 문화적 요소를 찾아내고, 진월 전어잡이소리는 광양만 생명공동체의 지속가능한 삶을 반영할 때 변형생성의 과정을 지속한다고 주장한다. 논지를 전개시켜 나가는 순서는 무대공연으로 전승되는 텍스트 양상, 공연화 이전 광양만 어로현장에서 생산노동 기능을 수행하는 텍스트의 생성 배경, 축제무대 공연화에 따른 텍스트의 변모 양상, 텍스트의 변형생성적 지속가능성 요소 찾기의 네 단계다. 필자는 진월 전어잡이소리의 전승맥락 속에 지속적으로 변형생성하는 문화적 요소가 있다고 본다. 그 문화적 요소의 핵심을 필자는 텍스트와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관계로 보았다. 인간 중심의 관계에서 생명공동체의 풍요로운 삶 회복으로 변형생성해야 진월 전어잡이소리가 지속가능한 문화가 된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 KCI등재후보

        MMORPG 콘텐츠 분석틀

        김서영,박태순 한국콘텐츠학회 200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6 No.10

        This paper suggests frame of analysis about MMORPG and analyzes three representative games. That frame has seven categories and more divisional analysing items. The 7 categories are community orientation, PK orientation, convenient usability of item, variety of character, balance, convenience of interface, aesthetics of graphic and sound. As a result, We found that Lineage and WOW have many different characters and Ragnarok has the characters in-between Lineage and WOW. MMORPG에 대한 분석틀을 제시하고, 이 분석틀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3개의 게임에 대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분석틀은 커뮤니티성, 피케이용이성, 아이템 이용 용이성, 캐릭터 다양성, 밸런스, 편의성, 심미성의 7개 항목을 가지는 것으로 그 안에서 세부적으로 다시 구체적인 조사항목이 정해진다. 이러한 분석틀을 이용한 분석 결과 리니지와 와우는 분야별 특성이 매우 대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라그나로크는 두 게임의 중간 정도에 해당하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 「유럽공동체 디자인에 관한 이사회규정」을 통한 유럽공동체 역내 회원국내에서의 국내상표의 보호전략

        문삼섭(Sam-Sup Moon) 세창출판사 2005 창작과 권리 Vol.- No.39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for our national applicants or the patent attorneys to protect their trademarks by using the EC Design Council Regulation and to kn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sign protection system of Korea and that of EC. As graphic symbols, the dematerialized designs, fall under the definition of a product under the EC Council Regulation, traditional two-dimensional device marks, stylized word marks and composite marks could be protected as designs in EC. Global enterprises, such as 'INTEL' 'KONAMI', are protecting their trademarks by using this new EC design protection system, but many Korean applicants and patent attorneys do not even know about the EC design protection system. So this paper presents some strategies and recommendations to our national applicants or the patent attorneys who are striving to campaign against the infringement of their trademarks and trying to strengthen their brand power in European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