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runer의 일상교수(Folk Pedagogy)에 기반한 유아·놀이 중심 활동의 재개념화 탐구

        엄나현(Na-Hyeon Eom),강현석(Hyeon-Suk Ka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9 No.1

        유아 교육현장에서 배움과 가르침의 문제는 주체와 객체 간의 상호작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배움의 주체자로서 유아가 놀이나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자로서 교사의 역할 또한 강조하고 있다. 교육의 과정에서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과정을 질 높게 구성하기 위해서는 구성원 서로의 마음을 이해하는 문제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서 문화심리학은 문화가 인간의 마음을 구성하며, 교육에서 인간의 마음이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관심을 갖는다. 이러한 문화심리학은 일상심리의 원리에 의해 운영된다. 일상심리(학)의 교육적 전환이 일상교수학(folk pedagogy)으로, 일상교수는 유아를 사고의 주체자로 보며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배움이 촉진된다고 보는 입장이다. 이 점에서 일상교수는 현행 유아교육의 새로운 기반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일상교수학과 현행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유아·놀이 중심의 활동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Bruner의 folk pedagogy의 의미를 탐색하고, 학습자의 마음에 대한 네 가지 교수모형을 비판적으로 고찰해보았다. 이에 기초하여 현행 유아·놀이 중심 활동과는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유아·놀이 중심활동의 계획, 내용, 활동방법 및 전략과 평가, 유의점 등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유아와 교사가 함께 참여하고 만들어 갈 수 있는 folk pedagogy에 기반한 놀이 중심 활동을 재개념화해보고, 활동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roblem of learning and teaching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interaction between subjects and objects. The role of teachers as a supporter is also emphasized in that young children can actively participate in play or activities.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each other"s minds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 organize the interaction process between members with high quality in the course of education. As a new approach to this problem, cultural psychology is interested in how culture constitutes the human mind and how the human mind works in education. This cultural psychology is governed by the principles of folk psychology. The educational transition of folk psychology may be interpreted as a folk pedagogy. Folk pedagogy regards young children as subjects capable of thinking and considers learning as constructs facilitated by interaction among members. In this regard, folk pedagogy can be a new foundation for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fore, the meaning of Bruner"s folk pedagogy was explored alongside the critical examination of four teaching models of learners" minds to examine the connection between folk pedagogy and play-oriented activities pursued in the current early childhood curriculum, Based on this, it was discussed how it relates to the current early child and play-oriented activities. In addition, the plans, contents, methods, strategies, evaluations, and significance of play-oriented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examined with a matter of interest. Furthermore, a future aim would be to re-conceptualize the play-oriented activities based on folk pedagogy in which both young children and teachers can participate and create together, and present a new direction for the activities.

      • KCI등재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민화의 상징적 의미와 예술치료적 가치 탐색 연구

        신미경,오승진,이난경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4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민화의 상징적 의미를 알아보고 예술치료적 가치 탐색을 연구한 논문으로 민화가 가지는 상징의미가 오늘날 예술치료현장에서 가치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국내외에 전문서적과 관련 논문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범위는 민화가 민중 사이에 성행하고 자료가 풍부한 조선시대의 민화를 중심으로 하였다. 조선시대 회화 중 일반 서민의 그림이라 불리는 민화는 인간이 추구하는 보편적, 근원적인 욕구가 상징화되어 있는 대표적인 회화이다. 민화는 생활 주변의 모든 대상들, 즉 현실 뿐 만 아니라 상상의 내용, 전설과 설화 등 다양한 소재들이 그려졌다. 민화가 담고 있는 의미를 보면, 장수(長壽)ㆍ부귀(富貴)ㆍ다남(多男)ㆍ성애(性愛) 등을 바라는 인간의 근원적 소망을 상징으로 표현하여 민중의 삶에 위로와 기쁨을 주었다. 또한 민화에 등장하는 다양한 소재는 인간이 공유하는 보편적 정신으로, 상징들이며 집단무의식의 내용인 원형을 이해하는 것으로 통합된 자기(self)를 발견하게 해준다. 민화의 상징들은 집단무의식의 원형을 형상화하고 있으며 그 내용이 보편성을 띠고 있으므로 모든 인간 심리에 숨겨있는 감정을 고양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상징들은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보편적 정서를 반영한 것으로 예술치료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ymbolic meaning of folk painting from analytic psychological point of view and researches on the search for art therapeutic value, and aims to see if the symbolic meaning of folk painting is still meaningful today's art therapeutic sector. The method of study is focused on the domestic and foreign specialized books and relevant theses and the scope of study is focused on the folk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when the folk painting was popular among people and of which the data is abundant. Folk painting which is called as the painting of ordinary person among the paintings of Joseon Dynasty period is a representative painting that symbolizes universal and primal desires pursued by human. The folk painting deals with all life objects including legends and tale which are contents of imagination as well as reality. The folk painting comforted and pleased the people's lives by expressing root desires of human for longevity, wealth, fecundity of men, and sexual love with symbols with the meanings contained in the folk paintings. Also, the various materials appeared in the folk painting are universal spirits and symbols shared by human, and they help us discover unified self by understanding the original form, the contents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The symbols of folk painting embody the original form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as the contents are charged with universality, they have the power to boost the emotion that hides in the human psychology. Therefore, such symbols reflect universal emotion for happy life of Korean people and it means that they have artistic art therapeutic value.

      • 민담 <외쪽이>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김지연 ( Ji Youn Kim ) 한국분석심리학회 2017 心性硏究 Vol.32 No.2

        한국 민담 <외쪽이>를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외쪽이> 민담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인도와 아프리카에 유화가 있다. 대상 민담을 보면 아이를 낳지 못하는 부인이 수태 음식 두 개 반을 먹고 온전한 아들 두 명과 팔도 하나, 다리도 하나, 눈도 하나인 반쪽 아들을 낳았다. 형들은 과거 보러 갈 때 외쪽이가 따라오는 것을 싫어해서 바위와 나무에 묶어 놓지만, 외쪽이는 힘이 세서 쑥 뽑아서 집의 뜰에 가져다 놓았다. 형들은 외쪽이를 칡으로 묶어서 호랑이 앞에 던져 놓지만 외쪽이는 호랑이와 칡 끊기 내기에서 이겨 호랑이 가죽을 벗겨 돌아온다. 호랑이 가죽을 탐낸 숙소 주인과 장기 내기에서 이겨 주인의 딸을 데려오기로 하고 노끈과 북, 벼룩, 빈대를 가지고 가서 주인집 사람들을 곯려주고 처녀를 데려와서 잘 살았다는 이야기이다. 아이를 낳지 못하는 부인이 부처에게 비는 제시부는 창조성이 고갈된 의식의 한계 상황에서 의식의 자아가 무의식에 겸허한 태도를 취하며 정신의 자발적 활동을 기다리는 태도이다. 하얀 영감이 와서 고기 세 마리를 주는데 고양이가 와서 반 마리를 먹어서 부인은 고기를 두 마리와 반 마리만 먹고 온전한 아들 둘과 막내 아들 외쪽이를 낳는다. 노현자 상으로 나타난 정신(Geist)과 고양이로 나타난 동물적 본성이 작용하여 무의식에서 낯설고 새로운 형상을 지닌 정신적 내용이 생성되었다. 반쪽 존재는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원형상으로 많은 문화에서 신과 정령이 반쪽만 있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창조 신화에서 반쪽 존재는 생식 능력이 없지만, 죽지 않고 불멸한다고 전해진다. 인도네시아와 아프리카의 설화에서는 반쪽으로 태어난 소년이 하늘나라에 가서 자신의 반쪽을 만나 합쳐져서 온전한 몸이 된다. 반쪽 정령이 인간에게 해로운 경우도 있지만, 반쪽만 있는 새, 닭, 정령이 인간에게 도움을 주는 이야기도 있다. 반쪽 존재는 하늘에서 곡식을 훔쳐 오거나 대나무를 다루는 방법을 배워 오는 문화 영웅이다. 반쪽 존재가 나중에 온전한 몸이 되는 이야기도 있지만, 대상 민담과 대부분의 유화에서는 이야기의 결말까지 반쪽 형상이 그대로 유지된다. 외쪽이는 무의식에서 태어난 정신적 체험의 상징이다. 형들이 외쪽이를 싫어하는 것에서 보이듯이 무의식의 내용은 처음에는 이상하고 기괴하게 보일 수 있으며 집단적 의식은 무의식의 내용을 받아들이지 않으려 하지만 새로운 정신은 영향력을 행사하며 의식의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외쪽이는 호랑이를 퇴치하고 호랑이 가죽을 벗겨 오는데 호랑이는 집어 삼키려는 무의식이며 집단적 무의식의 부정적 모성 원형으로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과정에서 극복해야 할 괴물이다. 숙소 주인의 딸을 데려올 때 외쪽이는 떨어져 있는 것을 연결해 주는 끈과 음악과 무속에 쓰이는 악기, 하찮아 보이는 벌레를 들고 가서 점잖은 척 하는 사람들을 놀려주는 동시에 활기와 창조성을 가져다준다. 외쪽이는 트릭스터로서 유교적 신분 사회였던 우리 사회의 집단적 의식을 보상하는 역할을 했다고 보여진다. 외쪽이는 비정상적인 것으로 보이지만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세상 혹은 존재와 연결되어 있고, 어려움이 있을 때 도움을 주며 그전에 없던 것을 가져다 주는 문화 영웅이기도 한 정신적 내용으로 집단적 무의식에 존재하며 점차 드러날 심성이다. I tried to understand a folk tale “The half-boy” in terms of analytical psychology. In the story, a lady without children prayed to the Buddha. The white old man came and gave three fishes, but the cat ate half of it. So, she ate two and a half. She gave birth to two perfect sons. The third son had one arm, one leg, and one eye. They grew well. Brothers went to take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 and the half-boy followed. But two brothers did not like the half-boy coming along. So, brothers tied the half-boy to the rocks and trees, and he picked them up with force and gave them down to the yard of the house. And the halfboy followed his brothers again, and brothers tied him with kudzu and put him in front of the tiger. The half-boy won the tiger by betting with cutting kudzu. The half-boy stripped off the tiger’s skin. The host coveted the tiger skin and they played with janggi. The half-boy won the game and was permitted to take host’s daughter. The half-boy went with a string, a drum, a flea, and a bedbug. He teased host’s people with these. The half-boy brought a virgin and lived well. “The Half-Boy” folktale is an old story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There are similar stories in India and Africa. Unilateral figures are universally distributed archetypal images. In numerous cultures gods and spirits are being portrayed as unilateral figures. In the creation mythology, half-figure beings have immortality. In Indonesian and African folk tales, the half-born boy goes to heaven and merges with its half and becomes perfect. Some of one-sided spirits are harmful to humans but some of one-sided birds, chickens, and spirits are helpful to people. Sometimes half being is a cultural hero who steals grain from heaven or gets some advice how to use bamboo. There are stories that half body becomes a whole body afterwards. But in this folktale and most of the similar folktales, half-figure does not change and maintains half-figure to the end. And as a half-figure he does various great things and marries a virgin. The half-boy symbolizes a psychic experience born in the unconscious. The unconscious contents may seem strange and weird at first and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does not want to accept them. But the unconscious exerts greater power and brings vitality and creativity to consciousness. This folk tale seems to have compensated for the stubborn collective consciousness of our society, which was a Confucian class society. It also allows people to change their attitude toward disabled people and recognize strengths and creativity of the handicapped.

      • KCI등재

        Bruner의 내러티브 논의에 기초한 교육문화학의 장르에 관한 학제적 연구

        강현석(Kang, Hyeon-Suk) 한국교육철학회 2008 교육철학 Vol.36 No.-

        The discussion of the nature of pedagogyas a disciplinarygen re can be approached in various ways. At a historical stance, we may find the problem of science of education because scientific inquirym ovement assume the tint of cause and effect tendencyr elated to educational study. Now there are much consensus of the epistemology about educational studyi n the context of post-modern ages. Accordingly, we have to paya ttention to new conception of epistemology of educational study and develop strategy of professional study in new genre of pedagogy. The purpose of this studyi s to search the interdisciplinaryn ature of educational culturologyo n the basis of narrative. There are many critics about the meaning and nature of doing research in context of educational study. The issue about educational epistemology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logic and practice of educational research are differentlyp rocessed byt he notion of knowledge. The positivistic notion of knowledge have overwhelmed the practice of folk pedagogy in the situation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So, the biased conception of science of education often brings about manyp roblems in curriculum construction. Bruner have suggested two mode of thinking, paradigmatic and narrative mode of thought since 1980. School Knowledge have tied to paradigmatic mode of thought. So we need to search the interdisciplinarynat ure of educational culturology based on Bruner's narrative. We criticize technical rationality on knowledge and educational research in terms of Bruner's narrative and discuss practical knowledge through narrative. Furthermore we suggest educational culturology as a disciplinarygen re by integrating the narrative epistemology, folk pedagogy and cultural psychology. The integrated approach focuses on narrative epistemologyand cultural knowledge. In this paper we argue new conception of pedagogyi 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narrative thinking and cultural psychology. In the line of narrative thinking, educational culturologyp layt he keyr ole of science of education by agency, reflection, and collaboration.

      • KCI등재

        Bruner의 Folk Pedagogy에 기반한 수업과정의 재개념화 탐구

        황은주,강현석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9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7 No.3

        Instruction is made up of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between students and students. For active interaction with students in instruction, the teacher's role is important. When knowing how students understand what a teacher teaches and knowing what students think about the class, a teacher can teach with best instruction methods, which students can understand. In instruction and learning environments,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understand what a teacher says; for the teacher,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what students are thinking about. Understanding mutual mind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s related to inter-subjectivity, which is the way human beings get to know others' mind. Human can construct a meaning by himself by internalizing culture through language use. Therefore, this article explored instruction methods which innovate pre-existing school instruction by overcoming its problem based on Bruner's idea, folk pedagogy. Folk pedagogy is what applies folk psychology in education. Folk psychology is an exploration of the human mind through human's intentional language and behavior. In the perspective of folk pedagogy, teacher's instruction method and educational tendency are affected by his thought and belief about learner in mind, and they appear in instruction and learning environments. As teacher's belief and thought about learners reflect culture and they affect instruction method formation, it is necessary for the teacher to have a most useful theory about the learner's mind. 본 연구에서는 Bruner의 일상교수(folk pedagogy)의 아이디어에 기반하여 현행 수업 방법의 문제점을 비판해보고 학교 수업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과정과 수업 방법 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 정하였다. 첫째, Bruner의 Folk pedagogy의 아이디어에 들어있는 의미와 특성은 무엇이 며, 현행 수업 방법에는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둘째, Bruner의 Folk pedagogy의 기본 입장은 무엇이며 수업 방법과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 셋째, Bruner의 Folk pedagogy 에 기반한 수업 방법은 어떻게 개발될 수 있으며 그것은 실제의 학교 교육에 어떠한 시 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가?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을 분석하였다. 논 의에 의하면, Bruner의 일상교수(folk pedagogy)는 마음이 여기에서 지금 어떻게 작용하 는지, 아동의 마음이 어떻게 학습하는지, 무엇이 마음을 성장시키는지에 관심을 가지는 일상심리(folk psychology)에 기반하고 있다. 인간의 신념에는 문화가 반영되어 있고 그 러한 신념을 갖고 있는 인간의 의도적인 언어나 행위로 인간의 마음을 탐구하는 일상심 리(folk psychology)를 교육에 적용한 것이 일상교수(folk pedagogy)이다. 교사의 교수 방법이나 교육적 성향은 교사 내면에 자리 잡고 있는 학습자에 대해 가지고 있는 교사의 생각이나 신념의 영향을 받고 교수·학습상황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교사는 아동들이 어 떻게 생각하여 그 지식을 획득하게 되었는지를 파악하여 교수·학습 상황에서 아이들을 도울 수 있는 수업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

      • KCI등재

        남창 손진태의 민요론 연구

        박경수 한국민요학회 2020 한국민요학 Vol.59 No.-

        This article is a study on folk song theories presented by Son Jin-tae in Korea and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I tried to clarify the nature of the folk song materials cited in the folk song theory, grasp the viewpoi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lk song theory, and find out the meaning and status of the folk song theory. I found six folk song theories that Son Jin-tae published. Four theories were published in Japanese and two theories in Korean. These folk song theorie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eories of children’s folk songs and theories of women’s folk songs. 「Korean Children’s Folk Songs and Childhood」(1927.2) is the final theory that was completed through Japanese theories on children’s folk songs. This Son Jin-tae’s theory of children’s folk songs was the first to be announced. Most of the children’s folk songs included in the children’s folk song theories were quoted from folk songs collected by Jeong In-seop, and three were quoted in Um Pil-jin’s 『Korean Children’s Folk Songs』. Jeong In-seop’s folk song materials were delivered to Kim So-un by Son Jin-tae and included in 『Korean Oral Folk Songs』(1933). Son Jin-tae discusses the childhood of Korean children’s songs as having seven characteristics in 「Korean Children’s Song and Childhood」. In particular, the multifaceted discussion of the childhood of Korean children’s songs had aspects of nationalism, including awareness of national reality, progressive consciousness including social satire and criticism, and ecological thinking that can be recognized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today. Son Jin-tae’s theories of Women’s Folk Songs was published in Japanese, and it seems to have been released earlier as an independent discussion on Korean women’s folk songs. However, with little effort to grasp the context or meaning of the post-war women’s folk songs themselves, the discussions were made with more attention to the background and customs of singing editorials and the manners in which the editorials evoke. There was a self-determined cultural consciousness and self-deprecating cultural consciousness that had been imbued with the colonial discourse. 이 글은 손진태가 일제강점기에 국내와 일본에서 발표한 민요론을 대상으로 민요론에 인용된 민요 자료의 성격을 밝히고, 민요론의 논의 관점과 특징을 파악한 다음, 민요론이 갖는 의미와 위상을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쓰인 것이다. 필자는 손진태의 민요론으로 6편을 찾았다. 4편은 일문으로, 2편은 국문으로 발표된 것이다. 이들 민요론은 크게 동요론과 부요론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동요론이 4편(국문 2편, 일문 2편), 부요론 2편(일문)이다. 「조선의 동요와 아동성」(1927. 2)은 일문 동요론을 거쳐 최종 완성된 동요론이다. 현재까지 발표된 동요론 중에서 손진태의 동요론이 가장 앞서 발표된 동요론이다. 동요론에 수록된 동요들 중 대부분은 정인섭이 채집한 민요들에서 인용된 것이며, 엄필진의 『조선동요집』에서 3편이 인용되었다. 정인섭 채록 민요 자료들은 손진태에 의해 김소운에게 전달되어 『언문조선구전민요집』(1933)에 수록되었다. 손진태는 「조선의 동요와 아동성」에서 조선 동요의 아동성을 7가지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논의했다. 특히 조선 동요의 아동성에 관한 다각적인 논의는 민족현실에 대한 자각을 포함한 민족주의 담론과 사회풍자와 비판의식을 포함한 진보적 의식, 그리고 오늘날 생태학적 관점에서 재인식될 수 있는 생태학적 사유의 면모를 지니고 있었다. 손진태의 부요론 2편은 모두 일문으로 발표된 것이며, 조선의 부요에 관한 독자적인 논의로는 가장 앞서 발표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부요 자체의 전후 맥락이나 의미를 파악하려는 노력을 거의 보이지 않고, 노래 사설의 배경이나 부분적인 사설이 환기하는 제도와 풍속에 더 관심을 두고 논의를 전개했다. 여기에는 식민주의 담론에 물든 자가당착의 문화의식과 자기비하의 문화의식을 내재하고 있었다.

      • KCI등재

        「오세암」 설화의 심층의미와 아동문화콘텐츠로의 변용에 관한 연구

        노제운 ( Je Un Noh ) 민족어문학회 2010 어문논집 Vol.- No.61

        이 논문은 「오세암」 설화의 심층의미를 분석하고, 설화에서 창작동화로, 다시 애니메이션으로의 변용과정을 거치면서 원화(原話) 혹은 원작의 본래의 의미가 어떻게 변화되었으며, 그것이 작품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탐색하기 위해 쓰였다. 설화에서는 `스님과 조카’, `어머니와 관세음보살’, 숫자 `5`와 `아이’, `눈’과 `암자’의 상징적 의미를 통해 다섯 살 배기 아이가 명승(名僧)인 스님과 분리되어 `성불(成佛)`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아가 페르조나로부터 분리되어 ‘본연의 나’를 찾는 ‘자기실현’의 과정으로 해석하였다. 동화에서는 설화의 원형을 보존하면서도 ‘동화’라는 장르에 맞게 아이의 성격을 확고히 하여 스님과 대립구도를 형성함으로써 흥미를 유지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자기실현’에 ‘어머니’라는 또 하나의 지향점이 추가됨으로써 이야기의 흐름이 분산되었으며, ‘어머니와의 분리’를 전제로 성숙을 이루는 아동문학의 규범적인 서사구조가 구현되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와 비교할 때, 동화와 애니메이션이라는 두 변용물의 차이점을 스토리 비교에서 찾지 않고, 원 소스인 설화에 대한 심리적 접근을 통해 근원적인 이유를 탐색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This paper is written to analyse the deep meaning of the folk tale `Oseam`, to explore how the meaning of the original tale or work was changed through modification process from folk tale to children`s story and from children`s story to animation and to explore how the change affected the creative fairy tale and animation. In folk tale, through the symbolic meaning of `monk and nephew`, `mother and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number `5` and `child` and `snow` and `hermitage`, this paper interpreted the process `attaining Buddhahood` after five-year-old child is separated from monk as the one of `self-realization` that ego is separated from persona and searches `true self`. In fairy tale, this paper grasped that the fairy tale preserved the archtype of the folk tale, revealed the personality of child suitable to the genre `fairy tale` and maintained the interest in the conflicting design with monk. In animation,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re was no inconsistency by adding another intention point `mother` to `self-realization` and that the canonical epic structure of children`s literature, namely maturity premised on `separation from mother` was not realized.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ies, the significances of this paper are that it didn`t find the difference of modification works such as the children`s story and the animation into the comparison of the story and investigated the deep reason by psychologically accessing to the original source `folk tale`.

      • KCI등재

        내러티브에 기반한 교육과정 설계 원리 탐구

        강현석(Kang, Hyeon-Suk) 한국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principles of curriculum design based on Bruner's narrative and folk pedagogy. There are many critics about the nature and tendency of existing mode of curriculum design. Because of positivistic stance and linear approach, upholders of main stream of curriculum design have been criticized in terms of objectives model and technological operation. Curriculum design presupposes teaching-learning on the basis of conception of learner and mind. This implies narrative of teacher and learner. Narrative is considered as story-telling, mode of thought, structure of experience, and scheme of meaning making. Principles of curriculum design, in this study focus on planning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in terms of folk pedagogy which functions as tool and embodiment of narrative. Bruner emphasizes the cultural psychology as tool and conceptual lens considering curriculum design and teaching. In context of cultural psychology, Bruner suggested, curriculum design should contemplate the model of mind and learner thinking. From this work on narrative and folk pedagogy and psychology, curriculum design should be reconceptualized toward culturalism. Bruner suggests four models of mind and models of pedagogy: seeing children as imitative learners, seeing children as learning from didactic exposure, seeing children as thinkers, children as knowledgeable. Theses four models should be integrated into curriculum design. The principles of curriculum design we studied focusing on narrative and folk pedagogy are as follows: First-constructivism, spiral orientation, internalization. Second-dynamic of structure of knowledge, narrative learning process, interpretive perspective. These principles are applied to macro and micro levels of curriculum design.

      • KCI등재

        `바보 형` 이야기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이유진 ( Yi Yu-ji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문학치료연구 Vol.41 No.-

        `바보 형` 이야기는 바보 이야기에 속하는 한국 민담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바보 이야기로는 `바보 사위` 이야기, `바보 며느리` 이야기, `바보 원님`이야기 등을 꼽을 수 있겠는데, `바보 형` 이야기는 그런 이야기들만큼 널리알려져 있지 않고, 남한에서 수집되어 보고된 예도 많지 않기 때문에 자주논의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그러나 이 민담은 한국의 다른 바보 이야기에서 찾아볼 수 없는 엽기적인 화소들과 그 난해성으로 인해 연구자들의 주의를 끈 바 있다. 다른 유형의 바보 이야기들과 마찬가지로, `바보 형` 이야기도 바보의 우행(愚行)에 대한 이야기다. 바보 형과 똑똑한 동생이 함께 사는데, 형이 동생의 말을 잘못 알아들어서 자꾸만 실수를 저지르게 된다. 그런데 문제는 그 실수가 결코 가볍게 웃어 버릴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는 데 있다. 어이없게도 바보 형은 어머니를 죽이고, 장례를 망치고, 시신을 잃어버린다. 이 기괴한 바보 이야기를 도대체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일반적인 논리와 상식으로는 이해하기가 어려운 부분들이 있기 때문에, 선행 논의들에서는 `바보 형` 이야기를 신화의 잔상 또는 신화의 파편으로 간주하기도 했다. 그러나 `바보 형` 이야기에서 어떤 신화의 흔적을 찾으려고 하기보다는, 이 이야기를 하나의 온전한 민담으로 수용함으로써 그것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고 본다. `바보 형` 이야기는 웃음을 주는 바보 이야기에 익숙한 우리에게 너무나 낯선, 기괴한 이야기임에 틀림없지만, 결코 허술한 이야기는 아니다. 오히려 어떤 분명한 논리에 의해 빈틈없이 짜여 있는 이야기다. 그러므로 `바보 형` 이야기를 조직하고 있는 일관된 논리를 찾아내면, 이 이야기의 수수께끼도 자연스럽게 풀릴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분석심리학 이론을 적용해, `바보 형` 이야기를 자아와 그림자의 갈등, 그리고 그로 인한 아니마의 상실을 보여 주는 이야기로 해석했다. 이 이야기에 등장하는 똑똑한 동생은 자아를 표상한다고 볼 수 있고, 바보 형은 그림자를, 어머니는 아니마를 표상한다고 볼 수 있다. "The Stupid Brother" is a type of Korean folk tale that can be categorized as a fool story. Just as other Korean fool stories, such as "The Stupid Son-In-Law," "The Stupid Daughter-In-Law," and "The Stupid Lord," it is a story about follies. It runs as follows: Once upon a time, there were two brothers. The older one was stupid and the younger one was clever. The older brother misunderstood whatever the younger brother said and continuously made mistakes. However, the follies of "The Stupid Brother" are not laughable, as would be expected. Shockingly, the stupid brother kills his mother, ruins her funeral, and abandons her body. This unusual and unfunny fool story has gained attention because of its grotesqueness and abstruseness. In order to find a way to decode this story, some researchers tried to regard it as an afterimage of a myth or as a fragment of a myth. But we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this story better when we regard it as a complete folk tale, not as an afterimage or fragment of some myth. "The Stupid Brother" is indeed a strange story; nevertheless, it is very logical. There is logic in this folk tale that organizes all the episodes and all the acts flawlessly. Therefore, "The Stupid Brother" can be decoded when we discover the consistent logic of the whole story. Applying analytical psychology, we can understand that "The Stupid Brother" is a story about the conflict between ego and its shadow, and about the loss of Anima caused by the conflict.

      • KCI등재

        브루너의 내러티브 이론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 방향의 탐색

        강현석 ( Hyeon Suk Kang ),조인숙 ( In Sook Ch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3 초등교육연구 Vol.26 No.3

        급변하는 세계에 학생들이 잘 대처하도록 준비시키기 위해 학교교육은 학생들의 자아 구성과 발전을 돕고 타자와의 소통능력 향상에 주력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교육은 소통을 방해하는 몰개성적이고 무문화적인 교육원리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실증주의’는 일방적인 설명중심의 한정된 학습을 포함하여 많은 문제점을 양산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합리적이고 실증적인 사고양식의 폐단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비논리적이고 허구적인 사고양식이자 소통의 방식인 내러티브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Bruner의 내러티브 이론에 따른 교육과정개발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먼저 내러티브의 개념과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았다. 특히 내러티브를 내러티브 사고양식의 산물인 이야기로 국한시켜 내러티브의 구성요소와 구조 및 토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내러티브는 인물과 줄거리를 갖추고 입장을 통해 구조화되며 문화를 반영하고 또 변화시키는 이야기로 정의내릴 수 있었고, 이러한 정의는 내러티브 접근법 중 입장 모형화 이론을 기반으로 창출된 내러티브 모형과 부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브루너가 제안한 교수-학습의 네 가지 주요개념(주체적 행위, 협동, 반성, 문화)과 통합하여 내러티브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구안하고 교육과정의 보편적인 공통요인 측면에서 개발 방향을 논의하였다. Education is the process of human development where the potential of human beings can be drawn to meet the needs of times. Human development is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human mind, and the nature of mind engages in meaning making by internalizing culture. In this process, human m9)ind uses cultural and folk psychology as the cultural toolkit, which is constructed and organized by narrative mode. Also the cultural and folk psychology can be the source of narrative. The goal of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macroscopic aspect is the development of human mind, or more specifically th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Self. Since the narrative specializes in meaning making, it is inevitable to cultivate and nurture the narrative mode, which is the great tool of understanding human development. Developing narrative mode is implicated in knowing and understanding what narrative is, where it originates and how it works.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new perspectives on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Jerome S. Bruner`s narrative theory. It starts from the discussion of cultural psychology and folk psychology, which is organized by narrative mode and can be the source of narrative. Two(endogenous and plight-modeling) approaches that explain the narrative theoretically are discussed followed by the display of narrative model in a diagram using a plight-modeling theory. More suggestions are made by curriculum commonplace such as educational goals,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valuation and language including a new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